KR100198609B1 -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609B1
KR100198609B1 KR1019950002364A KR19950002364A KR100198609B1 KR 100198609 B1 KR100198609 B1 KR 100198609B1 KR 1019950002364 A KR1019950002364 A KR 1019950002364A KR 19950002364 A KR19950002364 A KR 19950002364A KR 100198609 B1 KR100198609 B1 KR 10019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ight emitting
light
value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655A (ko
Inventor
에하라다구지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고오끼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고오끼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95003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03B27/62Holders for the original
    • G03B27/6271Holders for the original in enlargers
    • G03B27/6285Handling strip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46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 G03B27/46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in enlargers, e.g. roll film prin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 Projection-Type Copi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도 필름의 유무를 확실히 검출하여 사람손으로 번잡한 조정작업을 하지 않고도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제어회로 10 의 지령으로 기준전압발생회로 7 에 의한 기준설정전압을 초기 설정치(표준치)로부터 소정의 여유도를 갖도록 설정하고, 이 새로운 기준설정전압이 될 때까지 발광소자 1 의 구동전류를 D/A 변환회로 3 에 의하여 증대시키고,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이 기준설정전압을 넘는 순간의 전류치에 정전류회로 4 를 설정하며, 그 후 기준전압발생회로 7 의 기준설정전압을 본래의 값으로 돌려서, 발광소자 1 에 통상의 여유도를 갖도록 설정하므로써 경시변화에 의해 출력저하가 있어도 필름유무로 확실히 필름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제1도는 제 1 실시예상의 제어회로의 전체개략블럭도.
제2도는 위와 같은 실시예에 의한 필름검출방법상의 작용설명 플로우챠-트.
제3도는 제 1 및 제 4 실시예상의 작용설명도.
제4도는 제 2 실시예상의 제어회로의 전체개략블럭도.
제5도는 제 2 실시예상의 필름검출방법의 작용설명 플로우챠-트.
제6도는 제 3 실시예상의 제어회로의 전체개략블럭도.
제7도는 제 3 실시예상의 필름검출방법의 작용설명 플로우챠-트
제8도는 제 4 실시예상의 제어회로의 전체개략블럭도.
제9도는 제 4 실시예상의 필름검출방법의 작용설명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1a …1n 발광소자 2 : 2a…2n 수광소자
3 : D/A 변환회로 4 : 정전류회로
5 : 입력회로 6 : 비교회로
7 : 기준전압발생회로 8 : 증폭회로
9 : A/D 변환회로 10 : 전자제어회로
11 : 디스플레이 12 : 키-보드
13 : 입출력 포-트 14 : 바스회로
15 : RAM 16 : ROM
본 발명은 사진처리기에 있어서의 광학검출수단(光學檢出手段)에 의한 필름(Film)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진소부장치 등의 사진처리기에는 처리기내에 필름이 삽입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광학계의 필름검출수단이 설치되고 필름의 삽입을 검출하면 그 신호에 따라 다른 자동기기를 기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필름검출수단을 동작시킬 경우, 미리 현상이 끝난 필름을 이용하여 동작기준을 조정하여 적절한 레벨로 설정한다. 이 조정은 필름이 없는 경우의 레벨과 조정필름이 있는 경우의 검출레벨의 중간에 맞추어 조정되고, 이와 같은 조정이 장치출하시 또는 보수점검작업시 서비스맨 등에 의해 행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검출방법은, 현상이 끝난 필름을 이용하여 필름의 유무를 확인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현상이 끝난 필름이 필히 있어야 하고, 조정이 번잡하여 특히 필름검출수단이 다수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나씩 개별로 조정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대단히 번거롭고 수고가 많아진다.
또한, 현상이 끝난 필름에 의해 감도조정의 경우, 가장 농도가 옅은 필름을 이용하여 레벨조정하나, 잘못하여 농도가 진한 필름을 사용하여 조정할 경우에는 실제로 필름을 검출할 때 농도가 옅은 필름은 검출할 수 없는 일이 있어, 사진소부장치전체가 오동작을 하게 되고, 트러블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더우기, 처음에는 정상적으로 조정을 하고 있다 하여도, 경시변화에 따라 동작기준상태가 조금씩 벗어나거나 어긋나 버리게 되는 일이 생기게 되고 검출 수단에 더러운 것이 부착될 경우에는 작업을 못하게 될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필름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의 현상에 유의하여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도 필름의 유무를 확실히 검출하고, 사람손에 의한 번잡스러운 조정작업을 없게 하며, 잘못 설정된 검출수단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필름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은 사진처리기에 있어서의 처리공정의 필름검출위치에 설치되는 광학필름검출수단의 발광수단으로 부터의 빛을 수광수단에 의해 수광하여 필름의 유무를 검출할 때에 제어수단에 의한 필름유무의 판정기준치에 대한 수광수단의 출력레벨이 이 기준치를 넘도록 검출수단을 변화시키고, 이 출력레벨이 판정기준치보다 일정한 마진(margin), 즉 여유도(sufficient margin)를 갖도록 상기 검출수단을 설정하여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도 필름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을 안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여유도는 사용하는 필름검출수단의 감도특성에 따라 결정한다.
상기, 어느 것이든 필름검출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의 출력회로에 판정기준치가변수단을 설하고, 이에 따라 기준치를 여유가 있도록 증가설정하고, 이 증가기준치에 달할 때까지 발광수단의 광량을 증대시켜 기준치를 넘는 순간의 상태로 발광수단을 설정한 후 상기 가변수단의 기준치를 초기의 값으로 돌리므로써 발광수단에 여유도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다른 태양으로서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발광수단의 광량(光量)을 증대시켜 판정기준치를 넘는 순간의 광량에 대하여 여유를 가지도록 발광수단의 광량을 더욱 증대시켜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는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수광수단의 게인을 증대시켜 판정기준치를 넘는 순간의 게인치(値)에 대하여 상기 여유도의 게인치에 증가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발광수단의 임의의 상태에서의 광량에 대응하는 수광수단의 출력레벨을 읽어내고, 이 읽힌 값(讀取値)에 대하여 일정비율로 감한 값을 판정 기준치로 기억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일례로서 사진소부기의 광학필름검출수단을 제어하는 회로의 개략블럭도이다. 전자제어회로 10 는 디스플레이 11 와 키-보드 12 가 부설되고, 디스플레이 11 는 필름검출수단에 의한 검출상태 등의 메시지를 표시하며, 키-보드는 키 조작으로 매뉴얼로도 검출상태를 첵크할 수 있다.
전자제어회로 10 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사진소부기의 필름반송장치, 가이드, 스캐너, 노광용 광원, 조광(調光)필터 등 여러 종류의 기능부를 제어하는 전자제어회로이고, 이 제어회로내에 다음의 필름검출수단의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다.
통상, 이 전자제어회로 10 에 의해 사진소부기를 구동하는 조작의 개시 또는 어느 일정시간의 간격에 셋트된 타이머(도시생략)에 의해 광학필름검출수단의 작동 또는 설정동작을 제어하나, 상기 키-보드에 의해 매뉴얼로 이들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부호 13 은 입출력 포-트, 14는 바스회로, 15 는 RAM (램덤악세스메모리), 16 은 ROM (리-드온니메모리), 17 은 CPU (중앙연산처리유닛트) 이다.
광학필름검출수단은 예컨대 LED 의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발광소자 1a와, 핀-피디(Pin-PD) 호이다이오드를 이용한 수광소자 2a 의 1쌍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사진소부기의 여러 가지 위치에 설치된다. 그림중 1n 과 2n 의 조합에 의해 이들 복수쌍의 필름검출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발광소자 1a, …, 1n 은 전자제어회로 10 으로부터의 디지털 제어신호를 D/A 변환회로 3 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전류 회로 4 에 의해 구동된다.
수광소자 2a, …, 2n 은 수광신호를 입력회로 5 로 각각 처리하여 전자제어회로 10 으로 보냄과 아울러, 도중 비교회로 6 으로 그 수광신호의 출력레벨을 기준전압발생회로 7 로 부터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 비교신호 (H, High 또는 L, Low)를 전자제어회로 10 로 보낸다. 기준전압은 전자제어회로 10 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기준전압발생회로 7 안에서 발생한다.
이상과 같은 제어회로에 의해 광학필름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으로 필름을 다음과 같이 하여 검출한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매뉴얼조작시에는 키-보드 12 의 키조작에 의해 제2도의 플로우차-트의 작동이 개시된다. 또한, 풀오토장치시에는 키조작에 의해 사진소부기의 시업점검 모-드(始業點檢 mode)를 선택하면 동시에 작동이 개시된다.
작동개시하면, 스텝 S1 으로 우선 필름검출수단의 발광소자 1 와 수광소자 2 와의 사이가 빛차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필름검출수단을 필름으로부터 이동되게 한다. 이 이동은 도시생략의 이동기구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필름이 삽입상태이면 필름을 후퇴시켜 비차광상태로 해도 좋다.
스텝 S2 에는 전자제어회로 10 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기준전압 발생회로 7 에 의한 기준전압의 설정치를 일시적으로 상승(up)시킨다. 이 상승시킨 전압은 본 실시예에서는 본래의 표준치에 대하여 20% 상승되어 있으나 반드시 20% 되지 않아도 좋고, 필름을 검출수단으로 삽입차광한 때에 50-60% 정도 감소하도록 필름검출수단이면 좋으며, 사용하는 필름검출수단의 강도특성에 의해 결정하면 좋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있어 20% 또는 80%의 수치에 대해서도 전적으로 같다.
다음,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레벨이 H(높음)인가를 스텝 S3 로 첵크한다. H 가 안되면 스텝 S4 로 발광소자 1 의 전류치를 상승시켜 상기 출력전압이 L(낮음)로부터 H 로 될 때까지 발광소자 1 의 발광강도를 증대시킨다. 이 경우 H, L 이란 다음의 것을 의미한다. 즉, 제3도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광소자 1 에 대하여 적절히 설정된 기준전압(표준치)에 대하여 이를 넘는 값이 된 것을 H, 넘지 않는 상태를 L 로 하고, H 는 필름 없음(無), L 은 필름 있음(有)으로 대응케 한다. 따라서, 스텝 S2 로 기준전압을 올린 때에는 그 조정기준전압에 대하여 H, L 인가를 판단한다.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이 H 가 되면, 이번에는 스텝 S5 로 발광소자 1 의 전류를 감소시키고,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이 L 로 될 때까지 발광소자 1 의 광량을 감소시킨다. 스텝 S6 로 수광소자의 출력전압이 L 로 되면, 그 때의 발광량에 대응하는 전류치에 발광소자 1 를 설정한다. (그 상태로 전류치를 고정 한다.)
이 경우, 발광소자 1 의 전류체는 원래의 기준전압이 아니고 증대된 조정기준전압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되고,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이 H 로 될 때까지 전류치를 상승시키는 것은 필름검출수단의 히스테리시스특성의 영향을 제거하고,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이 감소하는 측의 특성곡선상으로 H 로부터 L 로 변하는 점을 검출하기 때문이다.
그 후, 스텝 S7 으로 수광소자 기준전압치를 본래의 설정치로 돌린다. 이에 따라 다음의 사항이 확인된다.
필름의 유무를 필름검출수단으로 검출할 경우, 필름을 필름검출수단사이에 삽입하여 발광소자 1 의 빛을 수광소자 2 로 감지하나, 이 실시예에서는 그 감지되는 빛의 광량을 필름을 삽입차광하므로써 필름농도가 옅게 되는데 통상 50∼60% 정도 감소하게 된다.
한편, 종래와 같이 발광소자 1 의 설정을 대응하는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이 초기에 설정된 기준전압(표준치)으로 되도록 설정하면, 필름검출수단을 1년, 2년 등 장기간 매일같이 사용한 경우에 경시변화에 따라 각 소자의 동작상태가 변화하고, 극단적인 예로 수광소자 2 측의 기준전압은 같으나. 발광소자 1 의 발광량이 상당히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 같으면 발광소자 1 의 발광량은 언제나 사람손에 의해 조정되며, 이와 같은 조정은 극히 번잡하고 수고가 많이 든다. 또한, 조정을 잘못하여 기준전압치를 크게 밑돌 경우에는 필름은 삽입되지 않아도 출력전압이 기준전압이하로 되고 필름있다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오동작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필름의 삽입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반드시 발광소자 1 의 발광량을 기준전압보다 큰 출력전압을 수광소자 2 가 출력하도록 설정하여,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여유도를 가지도록 상기 증대된 비율의 값은, 20% 부근이 적당한데, 가령 50% 정도로 지나치게 크게 하면, 필름삽입시 빛의 투과광량의 감소가 50∼60% 나 되기 때문에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레벨을 넘고, 필름이 삽입되고 있는데도 필름 없음이라는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등 오동작을 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여유도 값을 10% 이하로 하면 경시변화에 따른 영향을 무시할 수 없게 되므로 여러 가지 경험적인 판단을 가미하여 대략 20% 정도로 한 것이다.
이상을 요약하면, 필름이 필름검출수단의 발광소자 1 과 수광소자 2 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발광소자 1 의 전류치를 낮은 레벨로부터 증대시켜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이 조정기준전압을 넘도록 상기 전류치를 인정하고, 수광측의 기준전압을 본래의 소정치로 되돌리게 되어, 필름없음으로 해도 필름삽입의 유무를 검출하게 되고, 그 후 실제로 필름을 삽입하기도 하고, 그 삽입이 도중 없어지게 된 때에는 그에 대응하여 필름삽입의 유무를 확실히 캣치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검출작용에 있어, 경시변화에 의해 기준전압의 설정치가 필름검출수단의 제조당시의 설정치로부터 내려간 경우에도 필름검출수단은 통상 동작이 시작하기 전에 상기 설정조정을 반드시 실행하고 그 후 통상의 동작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그 설정조정상태, 가령 기준전압이 조금씩 내려가더라도, 그 하강한 기준전압에 대하여 20% 올린(up) 조정기준전압에 대응하도록 발광소자 1 의 전류치가 설정된다. 이 경우, 필름검출수단상의 동작전압은 변화하나, 기준전압을 중심으로 이를 넘는지 안넘는지에 따라 필름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
제4도는 제 2 실시예의 제어회로의 전체개략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의 비교회로 6, 기준전압발생회로 7 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기타 동일 기능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2개의 부재를 생략한 대신 전자제어회로 10 내의 프로그램이 일부 변경되어 있다.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텝 S12 에는 S3 의 경우와 같이,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이 H 인가를 첵크하며, 이 경우 수광소자 출력전압이 기준전압을 넘고 있는가를 검출할 경우의 기준전압은 변동되지 않고 따라서 미리 설정된 값으로 되는 전압치를 전자제어회로 10 내에서 첵크하므로써 상기 출력전압이 H 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스텝 S13, S14 는 스텝 S4, S5 에 대응되어 있다. 스텝 S15 도 기본적으로 스텝 S6 와 같고, 판단기준이 당초의 설정기준전압인 점만이 다르다.
그리고, 스텝 S16 에는 발광소자 1 의 전류치의 설정을 상승시킨다. 이 전류치의 설정은 상기 설정기준전압에 대응하는 발광소자 1 의 전류치를 컴퓨터 내에서 검지하고, 그 값의 20% 오른 값으로 상승케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실시예와 같이, 설정기준전압을 중심으로 발광측의 설정을 소정의 비율로 크게 한 상태로 할 수가 있고, 설정기준전압이 경시변화 등으로 변화하더라도 그 변화한 기준전압에 대하여 발광측에 설정하기 때문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 6 도는 제 3 실시예상의 제어회로의 전체개략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D/A 변환회로 3, 정전류회로 4, 입력회로 5, 비교회로 6, 기준전압발생회로 7 은 생략되어 있고, 그 대신 증폭회로 8 가 수광소자 2 의 출력측과 전자제어회로 10 와의 사이에 설치된다는 점이 다르다.
이 경우, 전자제어회로 10 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신호는 전부 디지털이며, 발광소자 1, 수광소자 2 는 아날로그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당연 발광측에는 D/A 변환회로, 신호증폭하는 구동회로가 설치되며, 수광측에는 A/D 변환회로가 설치되나, 이들은 본 발명상의 필름검출방법을 실시하는 위에 동작상태를 적극적으로 변화시켜 필름검출방법에 대하여 직접 기여하는 것이 아니므로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 점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실시예에서 공통되는 도시방법을 채용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증폭회로 8 의 게인을 변화시키므로써 제7도의 플로우챠트에 따라 본 발명상의 필름검출방법을 실시한다. 스텝 S22 에는, 제 2 실시예와 같이, 증폭회로 8 에 의해 보내어지는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신호를 전자제어회로내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신호와 비교하여 그 기준치를 넘는 H 가 검출되고, H 가 될 때까지 증폭회로의 게인을 증대시켜 출력전압을 크게 한다.(S23)
출력전압이 H 가 되면, 반대로 게인(gain)을 감소시키고, L 로 된 때의 증폭회로 8 의 게인치(値)를 전자제어회로 10 으로 읽어내고, 이 읽어낸 값에 대응하는 출력전압치를 기준전압으로 기억하며, 이 읽어낸 값보다 일정비율이 큰 게인치를 새로이 증폭회로 8 에 대하여 설정한다. 이 경우의 일정비율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20% 부근이다.
증폭회로 8 의 게인을 증가설정하는 것은 수광량이 같아도 수광소자 2 의 출력전압을 크게 한다. 이는 발광소자 1 의 발광량을 증대시킨 것과 같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발광소자 1 측에 여유도를 주는 제 1 또는 제 2 실시예와 같이 필름없이 필름검출수단의 동작이 확실히 행해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제8도는 제 4 실시예의 제어회로의 전체개략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A/D 변환회로 9 만이 설치되고, 이것과 전자제어회로 10 에 의해 본 발명상의 필름검출방법이 실시된다.
스텝 S31 에는, 제 1 실시예의 S1 과 같이 필름검출수단의 비차광이동이 행해지고, 스텝 S32 으로 A/D 변환회로의 출력데이터가 읽혀진다. 이 읽혀진 데이터를 기준치로 하여 스텝 S33 에는 읽혀진 데이터를 일정비율로 저감하고 그 저감된 값을 RAM15 로 기억한다. 이 일정비율은 기준치에 대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80% 로 하고 있는데, 80%부근이면 좋은 것은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다.
상기 필름검출방법에 의한 필름유무의 판단방법을 제3도(b)에 나타내었다.
도시한 바와 같이, A/D 변환회로 9 가 출력데이터의 읽어낸 값에 대하여, 그 후 실제 필름유무를 판단할 때 필름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반드시 기억기준치보다 측정전압은 높고 H 필름없음이라 판단되고, 필름이 삽입되어 있으면 광량이 감소하고 측정전압은 기억기준치보다 작고 L 필름있음이라 판단되어진다. 즉, 기억기준치에 대하여 측정전압은 20%의 여유도를 주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제 1 특징에 의한 필름검출방법은 검출수단을 변화시켜 수광수단의 출력레벨이 판정기준치를 넘도록 하고, 검출수단이 예컨데 20%정도의 일정한 여유도를 갖도록 하였으므로, 이에 따라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필름의 유무를 검출할 수가 있어 번잡하게 사람손으로 조정작업을 하지 않고도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고 하는 잇점이 있다. 필름의 농담(濃淡)에 관계없이 확실히 필름의 유무를 검출할 수가 있게 된다.
제 2 특징은 수광측의 판정기준치 가변수단을 이용하여 발광수단의 광량을 증대시키고, 증대된 기준치에 대응하는 레벨로 발광수단을 설정한 후 기준치를 본래의 상태로 되돌려서 발광수단으로 소정의 여유도를 주지 않도록 하였으므로, 간이수단을 부가하므로써 필름유무의 검출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고, 사람손으로 번잡한 조정작업을 없앰과 아울러 오동작을 방지하고, 이들을 경제적인 코스트로 실현할 수 있다.
제 3 의 특징은, 제 2 의 특징과 다른 것으로, 발광수단에 여유도를 가지고 제어회로에 의해 주어지도록 하였으므로, 이 경우도 경제적인 코스트로 제 2 의 특징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제 4, 5 의 특징은, 수광측의 회로에 가변수단을 설하므로써 발광수단에 여유도를 부여함과 같은 효과를 얻는 방법이다. 어는 것이든 제 2, 제 3 특징으로부터 일층 간이하고도 경제적인 코스트로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5)

  1. 사진처리기에서의 처리공정상 필름(Film)검출위치에 설치되는 광학 필름검출수단의 발광수단으로부터 빛을 수광수단(受光手段)에 의해 수광하여 필름의 유무를 검출할 때에, 제어수단에 의한 필름유무의 판정기준치에 대하여 수광수단의 출력레벨이 판정기준치를 넘지 않도록 검출수단을 변화시키고, 이 출력레벨이 판정기준치보다 통상 10∼50% 의 여유도(margin)를 가지도록 하므로써 상기 검출수단을 설정하여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도 필름의 유무를 검출가능하도록 한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의 출력회로에 판정기준치 가변수단을 설치하고, 이에 따라 기준치를 상기 여유도로 증가설정하며, 이 증가기준치에 달할 때까지 발광수단의 광량(光量)을 증대시켜 기준치를 넘는 순간에 상기 발광수단에 의하여 상기 가변수단의 기준치를 초기값으로 되돌리므로써 발광수단에 상기 여유도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 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발광수단의 광량을 증대시켜 판정기준치를 넘는 순간의 광량에 대하여 상기 여유도를 갖게 되도록 발광 수단의 광량을 더욱 증대시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기용 광학 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수광수단의 게인(gain)을 증대시켜 판정기준치를 넘는 순간의 게인치를 상기 여유도를 가진 게인치로 증가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의 임의의 상태에서의 광량에 대응하는 수광단의 출력레벨을 읽어내고, 그 읽혀진 값에서 상기 여유도만큼 감한 값을 판정기준치로 하여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KR1019950002364A 1994-02-10 1995-02-09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KR1001986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40494A JP3085074B2 (ja) 1994-02-10 1994-02-10 写真処理機のフィルム検出用光学検出装置
JP94-16404 1994-0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655A KR950033655A (ko) 1995-12-26
KR100198609B1 true KR100198609B1 (ko) 1999-06-15

Family

ID=11915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364A KR100198609B1 (ko) 1994-02-10 1995-02-09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85887A (ko)
EP (1) EP0668532B1 (ko)
JP (1) JP3085074B2 (ko)
KR (1) KR100198609B1 (ko)
CN (1) CN1075206C (ko)
CA (1) CA2142319A1 (ko)
DE (1) DE6951855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9858B2 (en) * 2004-11-04 2007-08-21 Carestream Health, Inc. Imaging apparatus having media sen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8325A (en) * 1977-05-31 1978-12-05 Pako Corporation Automatic density measurement calibration for photographic replenishment system
US4967094A (en) * 1989-02-02 1990-10-30 Eastman Kodak Company Film detection apparatus
US4978858A (en) * 1989-06-09 1990-12-18 Eastman Kodak Company Optical web detection and measurement system e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replenishment of x-ray film processing chemicals
US5260740A (en) * 1991-05-28 1993-11-09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detecting image frame and apparatus thereof, method of positioning image frame, photographic film carrier, and method of printing photographic film
JPH04350645A (ja) * 1991-05-29 1992-12-04 Fuji Photo Film Co Ltd センサ系校正方法及び写真フィルムキャリ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42319A1 (en) 1995-08-11
EP0668532A2 (en) 1995-08-23
DE69518557T2 (de) 2001-05-31
JP3085074B2 (ja) 2000-09-04
US5585887A (en) 1996-12-17
KR950033655A (ko) 1995-12-26
CN1075206C (zh) 2001-11-21
EP0668532A3 (en) 1995-12-06
CN1148693A (zh) 1997-04-30
EP0668532B1 (en) 2000-08-30
DE69518557D1 (de) 2000-10-05
JPH07225283A (ja) 1995-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227093A (en) Apparatus for adjusting optical sensors
US4954846A (en) Detecting device for detecting the size and/or presence of an original document
US6674475B1 (en) Method and circuit for electronic shutter control
KR900008632B1 (ko) 광학식 매체 감시장치
JPH0377475B2 (ko)
KR100198609B1 (ko) 사진처리기용 광학검출수단에 의한 필름검출방법
US4259662A (en) Threshold setting circuit
JP3440401B2 (ja) センサ自動調整装置
JP3135281B2 (ja) 画像形成装置
CN111812739A (zh) 反射式光电传感设备和检验物品是否取走的方法
JP2551344B2 (ja) 媒体検出用フォトセンサ回路
JPS63138203A (ja) 原稿サイズ検知装置
KR940003119B1 (ko) 전자복사기의 자동 노광 조절회로 및 방법
JPS63288515A (ja) 光検出装置
JPH0679948B2 (ja) 2枚差し検出装置
JPH0869550A (ja) 光学センサ出力の自動補正装置
JP2554390B2 (ja) 原稿検知装置
JPH06177738A (ja) 多光軸光電スイッチ
JPS62215888A (ja) 光電式物体検知方式
JP2894466B2 (ja) 受光素子のバイアス制御回路
JPH01223386A (ja) 紙葉類検知装置の発光量調整方法
JPS62299748A (ja) 透過光検出装置
JP2001004761A (ja) 光センサによる被検出体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220956A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の異状検知装置
KR20000001782A (ko) 자동 역광 보상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