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976B1 -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976B1
KR100197976B1 KR1019950063064A KR19950063064A KR100197976B1 KR 100197976 B1 KR100197976 B1 KR 100197976B1 KR 1019950063064 A KR1019950063064 A KR 1019950063064A KR 19950063064 A KR19950063064 A KR 19950063064A KR 100197976 B1 KR100197976 B1 KR 10019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ower bracket
suspension
rubber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3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134A (ko
Inventor
오병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덕중
사단법인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덕중, 사단법인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50063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976B1/ko
Publication of KR970034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현가장치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자동차 현가장치에서 스프링의 하부가 쇽업소버의 몸체에 용접되는 하부브라켓상부에 장착되는 것에서, 하부브라켓(10)의 내측에는 소정길이의 철선(14)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끼워진 도우넛형 고무판(12)이 압착되고, 이 고무판(12)의 상부에는 스프링(16)의 하단둘레가 얹혀져 철선(14)에 의하여 스프링(16)과 하부브라켓(10)이 일체화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를 도시한 분리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상태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브라켓 12 : 고무판
14 : 철선 16 : 스프링
본 발명은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스프링의 하부를 받쳐주는 하부브라켓과 스프링을 일체화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조립라인에서의 작업을 단순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앞현가장치에서는 쇽업소버와 스프링이 조합된 형식을 사용하고 있는 데, 이와 같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있어서는 스프링을 내부의 쇽업소버 몸체에 장착하기 위하여 도우넛형상의 하부브라켓을 쇽업소버 몸체에 용접으로 고정부착한 상태에서, 이 상부에 스프링을 얹어 스프링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했었으며, 이러한 스프링장착방식에 있어서는 하부브라켓과 스프링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었으므로 조립라인에서 작업공수가 증가하게 되고, 스프링의 안착시 스프링의 하부를 하부브라켓에 바르게 안착시키기 위하여 스프링을 회전시켜야 하는 등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가장치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브라켓의 내측에는 소정길이의 철선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끼워진 도우넛형 고무판을 압착시키고, 이 상부에 스프링을 올려 스프링의 하단둘레를 상기 철선으로 결속시켜 스프링과 하부브라켓이 일체화 되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브라켓(10)의 상부에는 철선(14)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끼워진 도우넛형 고무판(12)이 압착되고, 이 고무판(12)의 상부에 스프링(16)이 올려진 상태에서 철선(14)이 스프링(16)이 하단둘레에 감겨져 하부브라켓(10)과 스프링(16)이 일체화 되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현가장치의 조립전에 스프링(16)과 하부브라켓(10)을 일체화시킨 상태에서 조립라인에 투입시키면, 조립라인에서는 스프링(16)을 쇽업소버에 끼운상태에서 하부브라켓(10)을 쇽업소버의 몸체에 용접시키는 작업을 해주기만 하면되므로 작업을 단순화 및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가장치 스프링의 하부에 하부브라켓을 고무판의 철선으로 결속시켜 스프링과 하부브라켓을 일체화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작업시 스프링을 하부브라켓에 올려 안착시키는 작업을 하지 않게 되므로 현가장치의 조립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자동차 현가장치에서 스프링의 하부가 쇽업소버의 몸체에 용접되는 하부브라켓상부에 장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켓(10)의 내측에는 소정길이의 철선(14)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끼워진 도우넛형 고무판(12)이 압착되고, 이 고무판(12)의 상부에는 스프링(16)의 하단둘레가 얹혀져 상기 철선(14)에 의하여 스프링(16)과 하부브라켓(10)이 일체화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
KR1019950063064A 1995-12-29 1995-12-29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 KR100197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064A KR100197976B1 (ko) 1995-12-29 1995-12-29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3064A KR100197976B1 (ko) 1995-12-29 1995-12-29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134A KR970034134A (ko) 1997-07-22
KR100197976B1 true KR100197976B1 (ko) 1999-06-15

Family

ID=19446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3064A KR100197976B1 (ko) 1995-12-29 1995-12-29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9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134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976B1 (ko)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
US4834417A (en) Wheel suspension
US4280602A (en) Strut suspension repair structure
JPS636513Y2 (ko)
JPH0314938A (ja) 緩衝器のブラケット固定方法
JP2000074126A (ja) バンパーラバー
US7117982B2 (en) Shock absorber
JPS6039551Y2 (ja) ばぬ外装式シヨツクアブソ−バのばね受装置
JP3240859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け構造
JPS6223227Y2 (ko)
CN214888789U (zh) 一种带铸件固定支架的伸缩杆硬轴变速操纵器
JPS6323251Y2 (ko)
KR100268408B1 (ko)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CN210363264U (zh) 汽车后悬架连接杆总成及汽车
FR2557666A3 (fr) Robinet de commande pour une suspension pneumatique de vehicule automobile
JPH03584Y2 (ko)
JPS627007Y2 (ko)
JPS63315312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インシュレ−タ
JPH0338004Y2 (ko)
JPS6225362Y2 (ko)
JPS5931930Y2 (ja) 片持式ピンの取付構造
JPH0263925A (ja) 車両のクラッチケーブルガイド構造
JPS5939111Y2 (ja) 緩衝器のアウタ−カバ−回転止め装置
JPH0442591Y2 (ko)
KR950031568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상부스프링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