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8408B1 -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 Google Patents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8408B1
KR100268408B1 KR1019970035360A KR19970035360A KR100268408B1 KR 100268408 B1 KR100268408 B1 KR 100268408B1 KR 1019970035360 A KR1019970035360 A KR 1019970035360A KR 19970035360 A KR19970035360 A KR 19970035360A KR 100268408 B1 KR100268408 B1 KR 100268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rear shock
trunk
steel tube
trunk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2085A (ko
Inventor
김화진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101997003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408B1/ko
Publication of KR19990012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8Damper mount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리어액슬의 컨트롤암에 고정되는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리어액슬(6)의 볼조인트부(3)를 중심으로 리어 쇼크업소버(4)가 트렁크룸(13)의 내측 저면부(15)를 향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기 리어 쇼크업소버(4)의 상단측 환형부(21)가 트렁크룸(13)측 트렁크플로워판넬(14)의 저면부(15)에 웰딩된 마운팅브라켓(20)의 내측 플랜지부(10')에 얼라인된후 볼트부재(22)와 너트부재(19')로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트렁크룸(13)의 공간을 좀더 넓게 활용할 수 있게됨은 물론 궁극적으로 차량의 품위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리어액슬의 컨트롤암에 고정되는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쇼크업소버의 상단부를 차량의 트렁크플로워판넬측 저면부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구비하여 차량의 트렁크룸을 좀더 넓힐 수 있게 하도록 한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측에는 차체를 떠 받치는 휠캐리어(1)의 양측으로 각각의 컨트롤암(2)이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컨트롤암(2)에는 볼조인트부(3)로 연결되는 리어 쇼크업소버(4)와 차량의 타이어(5)를 회동시키는 리어액슬(6)이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리어액슬(6)에는 타이어(5)의 휠디스크(7)를 휠볼트(8)로 고정하는 리어 브레이크드럼(9)이 구비되고 상기 리어 브레이크드럼(9)의 외측단 플랜지부(10)에는 상기 휠디스크(7)에 고정되는 휠볼트(8)들에 이물질이 끼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차량의 미적고려를 위해서 휠커버(11)가 끼워지게 된다.
특히, 상기 리어 쇼크업소버(4)의 상단부(12)는 차량의 트렁크룸(13)을 이루는 트렁크플로워판넬(14)의 일측 저면부(15)에 스프링시트(16)와 코일스프링부재(17)를 갖는 나사봉(18)으로 관통되게 끼워진후 너트부재(19)로 고정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트렁크룸(13)의 공간을 좀더 넓게 쓸 수 있도록 하고자 할 때 상기 트렁크룸(13)을 이루는 트렁크플로워판넬(14)의 일측 저면부(15)에 리어 쇼크업소버(4)의 상단부(12)가 거의 수직으로 장착되어 있음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트렁크룸(13)의 공간확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로 하여금 트렁크룸의 공간을 좀더 넓게 활용할 수 있게 하여 궁극적으로 차량의 품위도 높일 수 있게 하도록 한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차량의 리어액슬과 휠캐리어를 연결하는 컨트롤암에 볼조인트부로 연결되는 리어 쇼크업소버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확대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측 리어 쇼크업소버의 상단이 트렁크플로어판넬의 저면부에 경사지게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측 리어 쇼크업소버의 상단을 나타내는 개략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3: 볼조인트부 4: 리어 쇼크업소버 6: 리어액슬 10': 플랜지부 13: 트렁크룸 14: 트렁크플로워판넬 15: 저면부 19': 너트부재 20: 마운팅브라켓 21: 환형부 22: 볼트부재 23: 관통홀 24: 인너스틸튜브 25: 아웃터스틸튜브 26: 핀롤러 27: 러버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리어액슬의 볼조인트부를 중심으로 리어 쇼크업소버가 트렁크룸의 내측 저면부를 향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기 리어 쇼크업소버의 상단측 환형부가 트렁크룸측 트렁크플로워판넬의 저면부에 웰딩된 마운팅브라켓의 내측 플랜지부에 얼라인된후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차량의 트렁크룸(13)을 좀더 넓게 쓸 수 있도록 트렁크룸(13)의 양측 공간을 차지하는 리어 쇼크업소버(4)의 상단부(12)를 트렁크룸(13)을 이루는 트렁크플로워판넬(14)의 저면부(15)로 경사지게 구비시킨다.
이때, 상기 트렁크플로워판넬(14)의 양측 저면부(15)에는 각각의 마운팅브라켓(20)을 웰딩되게 구비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20)의 내측 플랜지부(10')에는 리어 쇼크업소버(4)의 상단측 환형부(21)가 볼트부재(22)와 너트부재(19')로 고정될 수 있게 관통홀(23)을 형성시킨다.
또한, 상기 볼트부재(22)가 끼워지는 리어 쇼크업소버(4)측 환형부(21)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마운팅브라켓(20)의 관통홀(23)에 끼워진 볼트부재(22)를 중심으로하여 리어 쇼크업소버(4)가 차량의 흔들림에 자연스러울 수 있도록 상기 볼트부재(22)의 외주면에 끼워진 인너스틸튜브(24)와 아웃터스틸튜브(25)의 사이에 다수의 핀롤러(26)가 끼워지고 상기 아웃터스틸튜브(25)의 외측에는 러버링(27)이 끼워지게 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순서와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의 작업자가 먼저 리어액슬(6)에 볼조인트부(3)로 연결되는 리어 쇼크업소버(4)의 상단측 환형부(21)에 인너스틸튜브(24), 다수의 핀롤러(26), 아웃터스틸튜브(25) 및 러버링(27)으로 이루어지는 마운팅어세이(28)를 가조립한후 상기 마운팅어세이(28)를 갖는 리어 쇼크업소버(4)의 상단측 환형부(21)를 트렁크룸(13)을 이루는 트렁크플로워판넬(14)의 저면부(15)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20)측 플랜지부(10')의 관통홀(23)에 경사지게 얼라인시킨다.
그런 다음 계속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20)의 관통홀(23)을 통해 마운팅어세이(28)의 센터측 인너스틸튜브(24)를 통해 볼트부재(22)를 관통되게 끼운후 너트부재(19')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서, 차량의 상하 또는 좌우흔들림에도 리어 쇼크업소버(4)의 상단측 환형부(21)가 인너스틸튜브(24)와 아웃터스틸튜브(25)를 이루는 다수의 핀롤러(26)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동될 수 있게됨은 물론 횡방향으로 발생되는 충격도 상기 아웃터스틸튜브(25)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러버링(27)에 의해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는 차량의 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리어액슬(6)의 볼조인트부(3)를 중심으로 리어 쇼크업소버(4)가 트렁크룸(13)의 내측 저면부(15)를 향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기 리어 쇼크업소버(4)의 상단측 환형부(21)가 트렁크룸(13)측 트렁크플로워판넬(14)의 저면부(15)에 웰딩된 마운팅브라켓(20)의 내측 플랜지부(10')에 얼라인된후 볼트부재(22)와 너트부재(19')로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트렁크룸(13)의 공간을 좀더 넓게 활용할 수 있게됨은 물론 궁극적으로 차량의 품위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량의 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리어액슬(6)과 트렁크룸(13)을 이루는 트렁크플로워판넬(14)의 사이에 구비되는 리어 쇼크업소버(4)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쇼크업소버(4)가 상기 리어액슬(6)의 볼조인트부(3)를 중심으로 트렁크룸(13)의 내측 저면부(15)를 향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되, 상기 리어 쇼크업소버(4)의 상단측 환형부(21)가 트렁크룸(13)측 트렁크플로워판넬(14)의 저면부(15)에 웰딩된 마운팅브라켓(20)의 내측 플랜지부(10')에 형성되는 관통홀(23)에 얼라인된후 볼트부재(22)와 너트부재(19')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쇼크업소버(4)의 환형부(21)는 센터축으로부터 방사상의 바깥측으로 상기 볼트부재(22)를 관통시키는 인너스틸튜브(24)와, 상기 인너스틸튜브(24)의 외주면에 슬라이딩되게 구비되는 다수의 핀롤러(26)를 감싸는 아웃터스틸튜브(25)와, 상기 아웃터스틸튜브(25)를 감싸는 러버링(27)으로 각각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KR1019970035360A 1997-07-26 1997-07-26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KR100268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360A KR100268408B1 (ko) 1997-07-26 1997-07-26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360A KR100268408B1 (ko) 1997-07-26 1997-07-26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085A KR19990012085A (ko) 1999-02-25
KR100268408B1 true KR100268408B1 (ko) 2000-10-16

Family

ID=19515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360A KR100268408B1 (ko) 1997-07-26 1997-07-26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84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479B1 (ko) * 2020-09-24 2021-12-2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워트레인의 리어 마운팅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085A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7852A (en) Suspension system
US5454585A (en) Strut assembly with bearing axis alignment
US6814496B2 (en) Suspension thrust bearing with retaining means
US4565389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US4108469A (en) Spring leg with mounting for the front wheels of automobile vehicles
US6076247A (en) Method of connecting a ball and socket joint to a control arm in a vehicle suspension system
KR100268408B1 (ko)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JPH07276949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り付け構造
JP2000074126A (ja) バンパーラバー
CN101468682B (zh) 跨骑式车辆
JPS5851605Y2 (ja) 懸架系のストッパゴム装置
JPH09254623A (ja) リ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3873495B2 (ja) サスペンション取付構造
KR102074498B1 (ko) 차량용 너클 및 그 제조 방법
CN210821718U (zh) 减震器总成和汽车
US20040080086A1 (en) Resilient bushing mount for a vehicle suspension
KR200143939Y1 (ko) 쇽 업소버용 범퍼고무의 지지구조
KR100398207B1 (ko) 차량의 리어서스펜션 보강구조
JPH1038002A (ja) サスペンションのブッシュ構造
JP4196787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車体取付構造
KR200185454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럿 어셈블리
JPH11115809A (ja) ストラット取付構造
KR200267240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930005180Y1 (ko) 자동차용 리어(Rear)쇽 업소오버
KR100197976B1 (ko) 현가장치용 스프링의 하부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