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701B1 - 전기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 횡단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 횡단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701B1
KR100196701B1 KR1019950702897A KR19950702897A KR100196701B1 KR 100196701 B1 KR100196701 B1 KR 100196701B1 KR 1019950702897 A KR1019950702897 A KR 1019950702897A KR 19950702897 A KR19950702897 A KR 19950702897A KR 100196701 B1 KR100196701 B1 KR 100196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atch
holes
conductors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2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539A (ko
Inventor
마린 마르코 안토니오
Original Assignee
세이취크 제이 엘.
더 와이타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취크 제이 엘., 더 와이타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세이취크 제이 엘.
Publication of KR960700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7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5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 H01R4/500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cam, wedge, cone or ball also combined with a screw using rotatable c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29D30/246Drums for the multiple stage building process, i.e. the building-up of the cylindrical carcass is realised on one drum and the toroidal expansion is realised after transferring on another drum
    • B29D30/247Arrangements for the first stage only, e.g. means for radially expanding the drum to lock the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하방으로 접혀진 상부 날개(8)를 가진 U자형의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며, 여기에는 그 하부 안쪽부분(11)에 홈(17)이 제공되어 있고, 날개 (8)에 구비된 구멍(9)과 공통의 평면에 있는 다수의 관통구멍(9)을 가지며, 내부 보디(21)는 구멍(9)에 도선(3)을 끼울 수 있으며, 도선(3)은 구멍(9)을 가로질러 중앙슬롯(10)을 통해 래치(7,23)위에 놓여지며, 도선(3)이 가로질러 있는 래치는 하부(11)에 끼워져서 유지 홈(17)에 걸쳐 놓여지는 도선(4)을 수용하게 되어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홈(19)을 가진 웨지(18)가 하방으로 눌려지면 도선(3) 주위로 회전운동이 야기되어 편심형 부분(12)이 도선(4)과 슬롯(10)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도선들을 커넥터(A)에 압박시킨다. 편심형 부분(12)의 하부 오목한 부분에는 홈(16)이 제공되어 도선(3,4)과 커넥터(A)의 전기 접촉 및 래칭을 확고하게 해준다. 래치(23)는 동일한 방법으로 도선에 작용하지만 그 설치시 플라이어 (24)를 사용하여 날개(25)를 움직여 줌으로써 래치(7)보다 몇 배 큰힘 또는 압력을 얻을 수 있어서, 크고 일정한 힘을 가진 접촉압력및 스프링작용을 필요로 하는 케이블의 접속시 권장 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전기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 횡단 커넥터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구리, 알루미늄, 황동등과 같은 양호한 전도체 재질로 만들어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두개의 와이어 또는 도선 사이에 전류 전도가 이루어지도록 이들을 결합시켜 주는 물체를 가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하방으로 접혀진 날개를 가진 U자 형태의 스탬프된(또는 압출된)시트 또는 포일로 만들어지며, 구부러질 수 있어서 그 구조를 보강해줄 뿐만 아니라 양호한 전기 접촉을 이루게 해준다.
날개를 따라서 횡단 관통구멍이 배치되는데, 도선중 하나가 커넥터를 직각으로 가로지를 수 있게 되어있다. 상기 구멍들에는 여러가지 직경의 와이어 또는 도선이 끼워질 수 있게하여 동일한 커넥터를 사용해 여러가지 와이어 조합을 이룰 수 있으며, 도선들 사이에는 동일거리의 중심이 유지되고 있다. 이들 사이에는 접촉력 또는 압력이 형성된다.
U자형 커넥터의 중앙부에 구멍들과 직각으로 두 가지 타입의 케이블 래치가 설치될 수 있는데, 하나는 수조작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플라이어를 사용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첫번째 타입은 래치트 로트(ratchet lock)(웨지)형태이며 편심형 부분을 갖는 것인데, 편심형 부분은 도선들 사이에 압력을 주기위한 것으로서 도선들을 이동시켜 커넥터에 대해 눌러준다. 약간 점진적인 곡선으로 되어있어서 수조작으로 설치될 수 있다.
두번째 타입은 갈매기 날개 형태를 한 것으로써, 래치를 들어올려주는 기구를 사용하여 설치된다는 점이 다르지만, 동일한 접촉력 및 압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커넥터는 제조가 간단한 두 부분으로 만들어지며 커넥터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여러번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한 타입의 접속은 신속하고 저렴하며 안전하게 이루어진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편심형 래치가 조립되는, 전기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 횡단 커넥터 타입 전기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큰 직경의 주 전력선과 작은 직경의 분기선을 접속시킨 제1도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설치되기 이전의 래치를 도시한 커넥터의 단면도.
제4도는 설치된 후의 래치를 도시한 커넥터의 단면도.
제5도는 조립되기 이전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갈매기 날개 형태의 래치를 도시하는, 전기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 횡단 커넥터 타입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큰 직경의 주 전력선에 작은 직경의 분기선을 접속시킨 제5도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제7도는 설치되기 이전의 다른 실시예의 래치를 도시한 커넥터의 단면도.
제8도는 플라이어로 눌려진 후의 다른 실시예의 래치를 도시한 커넥터의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전기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으로 적합한 횡단 커넥터는 적어도 두 부분, 즉 커넥터 보디(A)와; 양호한 실시예의 래치(7) 및 다른 실시예의 래치(23)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커넥터의 보디A는 일반적으로U자형이며, 하방으로 접혀진 두 개의 상부 날개(8)를 갖는데, 여기에는 날개(8)와 마주하는 커넥터의 각 측면에 제공된 다수의 구멍(9)과 공통의 평면에 있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제공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멍(9)에 도선(3)이 끼워지며, 도선은 직경에 따라서 커넥터 날개 및 보디A의 면과 직각인 커넥터의 관통구멍중 하나를 가로질러 간다. U자형 커넥터의 내부쪽 하부에는 도선(4)의 부착력을 좋게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홈이 제공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래치(7)는 제1도 및 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선 (3)이 교차되는 중앙슬롯(10)을 가지며, 또한 그 말단부에 웨지(18)를 갖는다. 래치(7)의 하부에는 오목한 부분(16)이 있다. 래치(7)에는 도선(4)의 부착력 및 래칭기능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홈이 제공되어, 래치될 때 견인력하에서 도선(4)이 미끄러지지 않게 해준다. 또한 접촉 및 래칭을 견고하게 해준다. 오목한 부분(16)은 스프링 작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프링 행로를 제공하고 접촉력 또는 압력을 제공한다.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도선(3)은 로크된 위치에서 커넥터의 보디 A 및 래치(7)와 교차한다.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20)은 래치가 작용하기 이전의 로크된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도선(4)은 U자형 커넥터 보디 A의 하부 안쪽 부분에 끼워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제3도 및 4도는 래치(7)가 작용될 때 또는 작용하지 않을때의 케이블과 커넥터 사이의 장력의 기능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3도는 편심형 부분(12)을 가진 정지위치의 래치(7)를 도시 한 것이다.
제4도에서 추후에 회전된 래치(7)는 하방으로 눌려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편심형 부분(12)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같은 가상의 작용력선(15)이 생기게 한다. 이렇게 도선(4)는 커넥터 보디A의하부 안쪽영역에 대해 하방으로 눌려진다. 래치(4)는 이제, 중앙슬롯(10)에 끼워져있고 커넥터 A의 구멍(9)을 가로질러 있는 도선(3)을 상방향으로 올려준다. 이렇게 대향하는 반작용력이 생성되어 도선(3,4)을 커넥터 보디 A로 밀어주므로 로킹 및 전기적 접속이 확고해진다.
제4도에는 래치(7)를 로킹하기 위해 커넥터의 보디 A에 제공된 돌출부인 돌출 슬릿(22)에 도시되어 있다. 작용 암(18)이 눌려지면 상기 돌출부를 지나서 클릭되는데, 이 소리로 설치자는 접속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슬릿(22)은 래치(7)가 로크풀림 위치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아준다.
제5도는 대안적 실시예 또는 제2타입의 래치(23)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 래치는 중앙슬롯(10)을 가지며 적어도 두 개의 날개(25)가 하방으로 접혀져 있는 갈매기 날개 형태를 한 것이다. 이 래치도 도선(3)을 지지해 준다.
래치(23)의 형태가 접촉 압력에 큰 영향을 주는데, 스프링 작용을 가진 높은 접촉압력을 필요로 하는 접속을 이룰 때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래치(23)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쪽으로 접혀진 갈매기 날개 형태를 가진 스탬프된 시트로 만들어진다. 설치시, 래치(23)는 처음에 하방으로 구부러져 있는 날개(25)가 안쪽으로 구부러지게, 또한 그 중앙슬롯(10)이 커넥터 A를 가로지르는 도선(3)을 위로 밀어주도록 변형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선(4)위에 놓여진 날개(25)는 도선(3및4)사이에 지지 및 접촉압력을 생성시키며,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넥터 A와 래치(23)가 항구적인 압력을 이룬 어셈블리로 유지되게 한다.
상기한 타입의 커넥터에서 매우 중요한 스프링 작용은 날개와 그 곡률반경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설치 및 래치될 때 날개의 과도한 길이를 흡수하도록 변형되며, 이러한 방법으로 날개는 구조적 스트레스하에서도 영구적일 수 있으며, 주변 온도의 변동에 의한 또는 전력회로망의 회로단락에 의해 야기되는 접속부의 발열에 의한 도선 사이의 거리의 변동을 흡수할 수 있다.

Claims (9)

  1.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 횡단 커넥터에서,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U자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두 개의 측방향 날개(8)가 하방으로 접혀져 있는 보디(A)를 구비하며, 날개(8)에는 날개에 인접한 보디(A)에 제공된 구멍(9)과 공통의 평면에 있는 다수의 구멍(9)이제공되며,보디(A)는 구멍(9)과 인접한 보디(A)의 내부에 다수의 홈(17)이 제공된 하부(11)를 가지며, 돌출슬릿(22)이 또한 제공되며, 커넥터는 보디(A)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된 래치(7)를 가지며, 래치(7)는 중앙슬롯(10)과, 적어도 두 개의 작용 암(18)과, 중앙슬롯(10)에 인접한 하부에 있는 오목한 부분(16)과, 오목한 부분(16)에 인접한 편심형 부분(12)를 가지며, 래치(7)에는 다수의 홈(1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도선(3,4)들이 서로 직각으로 떨어져서 커넥터에 조립되며, 도선(3)은 구멍(9)을 가로질러 있고 도선(4)은 커넥터의 하부(11)에 지지되며, 도선(3)이 래치(7)위에 놓여지고 래치가 회전하여 편심형 부분(12)이 도체(4)와 커넥터 보디(A)의 하부 안쪽부분(11) 사이에 힘을 주게되어 도선(3,4)들과 커넥터 사이에 지지 반작용력이 생기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래치(7)의 편심형 부분(12)은 회전시 그 회전 중심을 이동시켜 도선(3,4)들이 떨어져 있게 하고 커넥터 보디(A)에 대해 압력을 주는 힘이 생성되게하며, 하부의 오목한 부분(16)은 편심형 부분(12)과 함께 래치(7)와 도선(4)사이의 부착력을 좋게하여 도선(4)이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고 접촉 및 래칭을 확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A)는 스탬프된 시트 또는 압축된 시트로 만들어지며, 날개(8)와 보디(21)사이의 공간은 날개와 도선(3)간의 접촉영역을 증가시키도록 채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커넥터.
  5.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 횡단 커넥터에서, 전기 전도성 재질로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U자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두 개의 측방형 날개(8)가 하방으로 접혀져 있는 보디(A)를 구비하며, 날개(8)에는 날개에 인접한 보디(A)에 제공된 구멍(9)과 공통의 평면에 있는 다수의 구멍(9)이 제공되며, 보디(A)는 구멍(9)과 인접한 보디(A)의 내부에 다수의 홈(17)이 제공된 하부(11)를 가지며, 돌출슬릿(22)이 또한 제공되며, 커넥터(A)는 안쪽으로 접혀진 적어도 두 개의 날개(25)가 말단부에 형성되고 도선(3)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중앙슬롯(10)을 가진 래치(23)를 가지며, 날개(25)는 로킹압력을 가지며 움직여질 수 있어서 보디의 하부(11)에 지지되어 있는 도선(4)을 눌러주고 도선(3)을 도선(4)과 먼쪽으로 압력을 가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래치(23)는 엣지가 안쪽으로 접혀지는 갈매기 날개 형태를 가지며, 적어도 두 개의 측방향 날개(25)와 중앙슬릿(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중앙슬롯(10)에는 오목한 부분에 다수의 홈이 제공되어 거기에 놓여지는 도선(3)과의 접촉이 양호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커넥터.
  8. 제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래치(7,23)는 도선(3) 및 (4)사이의 전류 전도성을 향상시키도록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또는 다른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커넥터.
  9. 제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커넥터(A) 및 래치(7,23)는 여러가지 크기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커넥터.
KR1019950702897A 1993-11-18 1994-11-16 전기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 횡단 커넥터 KR1001967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PI9304542-5 1993-11-18
BR9304542A BR9304542A (pt) 1993-11-18 1993-11-18 Conector transversal para aplicação de fios e cabos elétricos
GYPI9304542-5 1993-11-18
PCT/BR1994/000038 WO1995014313A1 (en) 1993-11-18 1994-11-16 Transversal connector for electric wire and cable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539A KR960700539A (ko) 1996-01-20
KR100196701B1 true KR100196701B1 (ko) 1999-06-15

Family

ID=4057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2897A KR100196701B1 (ko) 1993-11-18 1994-11-16 전기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 횡단 커넥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624286A (ko)
EP (1) EP0694218A1 (ko)
JP (1) JPH10500244A (ko)
KR (1) KR100196701B1 (ko)
CN (1) CN1041978C (ko)
AU (1) AU8101894A (ko)
BR (1) BR9304542A (ko)
CA (1) CA2153801C (ko)
CZ (1) CZ208395A3 (ko)
HU (1) HUT76458A (ko)
NZ (1) NZ275770A (ko)
PL (1) PL309950A1 (ko)
TW (1) TW306081B (ko)
WO (1) WO1995014313A1 (ko)
ZA (1) ZA9491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1854C1 (de) * 1996-03-26 1997-07-10 Kostal Leopold Gmbh & Co Kg Schraubenlose Anschlußklemme
BR9603572A (pt) * 1996-08-27 1998-09-08 Whitaker Corp Conjunto de conector elétrico para conectar dois condutores
CN100346537C (zh) * 2002-09-25 2007-10-3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7121868B2 (en) * 2004-12-30 2006-10-17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splice connector
WO2009004400A1 (en) * 2007-07-02 2009-01-08 Alcatel-Lucent Device for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ing a pipe
DE102008061268B4 (de) * 2008-12-10 2017-02-2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ontaktklemme und Verbinder mit Kontaktklemme
US8608517B2 (en) * 2011-09-27 2013-12-17 Tyco Electronics Brasil Ltda Wedge connector assemblies and methods and connections including same
EP2846336B1 (de) * 2013-09-10 2016-05-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bindung von mindestens vier elektrischen Leitern
MX366694B (es) 2015-06-10 2019-07-19 Thomas & Betts Int Llc Abrazadera para línea energizada estampada.
JP6638759B2 (ja) * 2018-05-09 2020-01-29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電気機器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7220A (en) * 1931-12-10 1936-01-07 George O Benson Clamping device
US3309645A (en) * 1964-12-31 1967-03-14 Burndy Corp Multiple connector
US3290746A (en) * 1965-05-14 1966-12-13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securing wires at right angles
DE1928580A1 (de) * 1969-06-04 1970-12-10 Siemens Ag Einrichtung zur Klemmung und zum Anschluss des Innenleiters und des Aussenleiters eines Koaxialkabels
DE2416441B2 (de) * 1974-04-04 1976-02-1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lemme fuer elektrische leiter
DE2420630A1 (de) * 1974-04-27 1975-11-06 Hans Valentin Vorrichtung zur verbindung von kabelenden, insbesondere kabeladern
FR2279235A1 (fr) * 1974-05-15 1976-02-13 Telemecanique Electrique Organe de raccordement de l'extremite d'un conducteur a une broche
GB1445307A (en) * 1975-01-07 1976-08-11 Hego Electric Gmbh Spring-loaded cam-action electrical terminal
DE3112554C2 (de) * 1981-03-30 1983-02-0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Einrichtung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eines Kabelschirms
US4372637A (en) * 1981-04-10 1983-02-08 Amp Incorporated Bond shield terminal
US4533205A (en) * 1982-09-30 1985-08-06 Burndy Corporation Collapsible wedge for electrical connector
DE3238699C2 (de) * 1982-10-19 1986-02-06 C.A. Weidmüller GmbH & Co, 4930 Detmold Federdruckanschluß für elektrische Leiter
US4734062A (en) * 1986-12-04 1988-03-2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4723920A (en) * 1986-12-04 1988-02-0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4723921A (en) * 1986-12-04 1988-02-09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4872856A (en) * 1989-03-15 1989-10-10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5152701A (en) * 1991-07-24 1992-10-06 Mario Polidori Gri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53801C (en) 1999-09-14
ZA949184B (en) 1996-05-20
CA2153801A1 (en) 1995-05-26
NZ275770A (en) 1998-05-27
HU9502417D0 (en) 1995-10-30
JPH10500244A (ja) 1998-01-06
PL309950A1 (en) 1995-11-13
WO1995014313A1 (en) 1995-05-26
EP0694218A1 (en) 1996-01-31
CN1041978C (zh) 1999-02-03
US5624286A (en) 1997-04-29
TW306081B (ko) 1997-05-21
CN1118202A (zh) 1996-03-06
CZ208395A3 (en) 1996-01-17
AU8101894A (en) 1995-06-06
BR9304542A (pt) 1995-07-11
HUT76458A (en) 1997-09-29
KR960700539A (ko) 199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5990B2 (ja) 電子装置用の接続部材
KR100196701B1 (ko) 전기 와이어 및 케이블 설비용 횡단 커넥터
JP2000223181A (ja) リボンケ―ブル用の電気コネクタ
IE920172A1 (en) Electrical conductor trap terminal and connector
KR940009367B1 (ko) 변형 보호 idc 접속기
US11527845B2 (en) Spring clip and connector for a flat flexible cable
US5281760A (en) Terminal fitting for a high voltage resistor wire
JP2023153751A (ja) フラット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用のばねクリップヘッダ
JP3697231B2 (ja) プラグコネクタ
US3206712A (en) Lamp socket with clamp member
HU218123B (hu) Csavarkötésmentes villamos csatlakozóeszköz
US6319014B1 (en) Holder for the securing of a sun visor
JPS62296379A (ja) 一体構造の電気端子
US4199654A (en) Semiconductor mounting assembly
MXPA06001357A (es) Elemento terminal de cable.
JP3054345B2 (ja) 電線圧接コネクタ
CN217691698U (zh) 一种接线座
US6210207B1 (en) Wire clamp, wire trap electrical connector
JP2001185247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H0122228Y2 (ko)
GB2321790A (en) A cam operated clamping terminal
JP3354266B2 (ja) トロリー線の接続方法
JPH084691Y2 (ja) 圧接端子
JP3750399B2 (ja) 圧接端子および配線器具
JPS608373Y2 (ja) リ−ド線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