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389B1 - 승객 컨베이어 및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체 - Google Patents
승객 컨베이어 및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5389B1 KR100195389B1 KR1019910002882A KR910002882A KR100195389B1 KR 100195389 B1 KR100195389 B1 KR 100195389B1 KR 1019910002882 A KR1019910002882 A KR 1019910002882A KR 910002882 A KR910002882 A KR 910002882A KR 100195389 B1 KR100195389 B1 KR 1001953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affold
- scaffolding
- passenger conveyor
- stator
- linear mo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4—Chai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26—Driving gear with a drive or carrying sprocket wheel located at end portion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나 전동도로등 인원을 태워서 수평방향 혹은 경사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컨베어 및 그것에 사용되는 발판체에 관한고 특히 리니어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승객컨베어 및 승객컨베어용 발판체에 관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화하지 않고 리니어모터의 설치가 행하여지는 승객컨베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이동자와를 발판체의 이동방향 및 너비방향에 따라서 편평하게 하고 또한 이것을 상기 발판체의 왕로와 복로와의 사이에 설치하도록 한것이므로 승객컨베어를 대형화하는 일없이 리니어모터를 설치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의 일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 골격부재를 제거시킨 단의 단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르는 종단 확대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골격부재를 제거시킨 단부의 확대도.
제4도는 제1도의 Ⅳ-Ⅳ선에 따르는 종단 확대정면도.
제5도는 리니어모터의 고정자의 지지구조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손잡이의 구동기구를 표시하는 개략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에를 표시하는 왕로(往路)측 발판체와 리니어모터의 고정자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Ⅸ-Ⅸ선에 따르는 종단확대도.
제10도는 제9도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종단확대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발판체의 변형예를 표시하는 측면도.
제12도는 발판체의 연결구조를 표시하는 제8도에 해당하는 도면.
제13도 및 제14도는 각각 리니어모터의 고정자의 배치를 표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골격 5 : 발판체
11 : 리니어모터 12(12A, 12B) : 이동자
13(13A, 13B) : 고정자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나 전동도로등 인원을 태워 수평방향 혹은 경사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 컨베이어 및 승객 컨베이어에 사용하는 발판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니어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승객 컨베이어 및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리니어모터로 발판체를 구동하는 승객 컨베이어는 예를 들면 US 3731166, US 4738346, 일본특개소 62-100395호 공보나 일본특개소 62-136489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손잡이(moving handrail)등의 순환 플렉시블 벨트(endless flexible belts)를 리니어모터로 구동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GB 2096966A가 있다.
상기 리니어모터로 발판체를 구동하는 종래의 기술은 승객 컨베이어의 설치 치수에 관한 배려가 되어 있지 않아서 승객 컨베이어를 대형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이동손잡이등의 순환 플렉시블 벨트를 리니어모터로 구동하는 종래기술은 다수의 발판체를 순환 벨트 형태로 연결한 승객 컨베이어와는 대상이 다르며,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승객 컨베이어의 설치 치수 특히, 높이에 관해서 배려가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화하지 않고 리니어모터의 설치를 행할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발판체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리니어모터 구동의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어느 한 관점에 있어서 발판체의 왕로(往路)와 그 아래쪽에 설치한 복로(復路)사이에 구동용 리니어모터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이동자를 상기 발판체의 이동방향 및 폭(幅) 방향에 따라서 편평(編平)하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관점에 있어서는 리니어모터의 고정자와 발판체의 사이에 상기 고정자와 리니어모터의 이동자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유지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리니어모터의 고정자 및 이동자를 편평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발판체 왕복로간의 근소한 간격을 이용하여 상기 리니어모터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간격유지수단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발판체와 발판체를 안내하는 부재 사이에 집중하는 주행저항을 분산시켜서 발판체의 주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제5도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수평방향으로 승객을 운반하는 전동도로이며 그 구성을 아래에 설명한다. 주골격(1)은 예를들면 단면 L자형의 산(山)모양 강철을 조합하여 구성한 좌우 한쌍의 주골격부재(2A, 2B)와 이들 좌우 한쌍의 주골격부재(2A, 2B)를 그 긴쪽 방향의 복수개소에 연결하는 수평부재(3)로 구성되고, 이 주골격(1)이 후술하는 발판체(5)의 왕로용 가이드레일(4U)과 복로용 가이드레일(4D)을 지지하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상기 발판체(5)는 승객이 탈 수 있는 수평인 발판부(6)와 그 이면쪽에 설치한 보강부재(7A, 7B)로 구성되어 높이 (hc)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발판체(5)는 발판부(6)의 나비방향에 위치하는 보강부재(7A)를 관통하는 축(8)을 구비하고, 이 축(8)의 양끝단에 전동롤러(9)가 회전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상기 축(8)은 발판체(5) 이동방향의 전후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1개의 발판체(5)당 4개의 전동롤러(9)로 상기 왕로용 가이드레일(4U)과, 복로용 가이드레일(4D) 위를 이동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각 발판체(5)는 순환형태로 구성된 체인(10)에 상기 축(8)을 연결 지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순환형태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구성된 발판체(5)는 리니어모터(11)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 리니어모터(11)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고정자 철심과 이 고정자 철심에 감겨진 고정자 코일로 이루지는 고정자(13)와 이 고정자(13)와 대향하는 이동자(12)로 이루어지는 예를들면 리니어 인덕션 모터이고, 상용 전원 혹은 인버터를 통해서 구동된다.
상기 이동자(12)는 알루미늄이나 동(銅)등의 비자성 도체를 단독으로 혹은 자성체의 표면에 비자성 도체를 겹친 복합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판체(5)의 이면쪽의 보강재(7B)에 볼트조임 결합 혹은 용접등의 공지 수단으로 직접 설비되어 있다.
이 이동자(12)(12A, 12B)는 상기 발판체(5)의 나비방향 양쪽의 대칭 위치에 설비된다. 한편, 상기 고정자(13)는 상기 이동자(12A, 12B)와 대향하도록 상기 주골격(1)의 수평부재(3)에 지지된다.
즉, 상기 고정자(13)(13A, 13B)는 각각 지지골격(14)에 고정되고, 이 지지골격(14)은 상기 인접하는 수평부재(3)에 걸쳐서 고정되어 있다(제3도).
여기서, 인접하는 상기 수평부재(3)의 간격(L) 내에서 상기 발판체(5)의 왕로와 복로 사이(X)에 배설되는 상기 고정자(13A, 13B)는 그 높이(ha)가 상기 수평부재(3)의 높이(hb)와 일치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이동자(12A, 12B)는 미소 간격(g)을 가지고 접근해 있다.
이상은 발판체(5)의 왕로측을 설명하였지만, 복로측은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발판체(5)의 이면쪽에 고정된 이동자(12A, 12B)에 대향하도록 상기 고정자(13A, 13B)가 하향으로 상기 지지골격(14)을 통하여 인접하는 상기 수평부재(3)간에 지지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지지골격(14)은 상기 발판체(5)를 관통한 축(8)과 미소간격(δ)(제13도)을 갖고 대향하는 안내 테두리(14G)를 가짐으로써, 운전중에 고정자(13)와 이동자(12)의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흡인력(M, N)에 의해 상기 축(8)이 휘어져서 발판체(5)가 상기 고정자(13)측으로 흡입되는 것을 제한하여 상기 자기흡인력이 상기 전동롤러(9)에의 부하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13)(13A, 13B) 및 이동자(12)(12A, 12B)는 상기 발판체(5)의 이동방향 및 나비방향에 따라 편평하게 형성 및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체(5)의 이면쪽에 고정된 이동자(12)는 이 발판체(5)의 휘어짐을 감소시키는 강도부재의 기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주골격(1)의 좌우 한쌍의 주골격부재(2A, 2B)의 상부에는 설치기구(15)가 고정되고, 이 설치기구(15)에 난간패널(16)의 하부가 고정된다. 이 난간 패널(16)의 테두리를 따라서 상기 발판체(5)와 주기속도로 이동하는 이동손잡이(17)가 있다.
그리고 상기 난간패널(16) 하부의 고정부는 내측 커버(18) 및 외측 커버(19)에 의해 덮혀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동도로는 고정자(13)를 여자하는 것에 의해 이동자(12)에 구동력이 발생하고, 이 이동자(12)와 일체형인 상기 발판체(5)는 왕로측 가이드레일(4U) 및 복로측 가이드레일(4D)을 따라 이동하여 승객의 운반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 고정자(13)와 이동자(12)를 각각 편평하게 형성하고 그 상태에서 상하로 겹치도록 배설했기 때문에, 상기 고정자(13)를 상기 발판체(5)의 왕로와 복로 사이에서, 또한 상기 주골격(1)의 수평부재(3)간에 위치시킬 수 있고, 그 결과 발판체(5)의 발판부(6)의 왕로측과 복로측의 간격(S)(제2도)을 종래의 전동도로와 거의 같은 정도로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동도로를 리니어모터 구동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왕로측 발판체(5)의 발판부(6)로부터 아래쪽의 높이 바꿔말하면 주골격(1)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없고, 전동도로의 대형화를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자(12A, 12B)는 발판체(5) 나비방향의 양끝단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고정한 것이므로, 상기 고정자(13A, 13B)의 자기흡인력에 의해 상기 전동롤러(9)를 지점으로 하여 상기 발판체(5)를 고정자(13A, 13B)측으로 변위시키는 모멘트를 최소한으로 막을 수가 있고 그만큼 상기 발판체(5)의 두께를 감소시켜 경량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발판체(5)의 왕로측과 복로측에 각각 대향하도록 고정자(13A, 13B)를 배치한 것이므로 순환 형태로 연결된 상기 발판체(5)에 제5도에 화살표(P, Q)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평균적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발판체(5)의 왕로 및 복로측의 구동력이 밸런스되므로 각 발판체(5)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음과 동시에 각 고정자(13)에 작용하는 반발력(FP, FQ)은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서로 상쇄되고 각 고정자(13)를 지지하고 있는 수평부재(3)에는 반발력(FP, FQ)이 작용하지 않는다.
이외에 각 발판체(5)를 순환 형태로 연결하는 체인(10)은 구동력을 전달할 필요가 없으므로, 인접하는 발판체(5)가 떨어져 나가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음에 제6도 및 제7도에 의하여 이동손잡이(17)의 구동과 발판체(5)의 제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체인(10)에 의해 순환 형태로 연결된 복수의 발판체(5)는 왕로와 복로가 반전하는 전동도로의 양 승강구부에서 각각 한쌍의 스프로킷(sproket)(21A, 21B)에 의해 안내되고 있다.
이 한쌍의 스프로킷(21A, 21B)은 주골격(1)에 부착된 회전축(20)에 고정되어 상기 체인(10)을 감고 있다.
이 한쌍의 스프로킷(21A, 21B)을 고정한 회전축(20)중 적어도 한쪽의 승강구부의 회전축(20)에는 한쌍의 구동 스프로킷(22A, 22B)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 스프로킷(22A, 22B)에는 전달체인(23)이 각각 감겨져서 이동손잡이(17)를 구동하는 손잡이 구동장치(24)를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 손잡이 구동장치(24)의 한 예로서는 상기 이동손잡이(17)를 정위치로 유지하는 종동롤러(26)와 이 종동롤러(26)위에 이동손잡이(17)를 누르는 구동롤러(2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달체인(23)은 이 구동롤러(25)를 회전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축(20)의 구동 스프로킷(22A)의 외측에는 회전원판(27)이 고정되고, 그 외측둘레부에 대향하여 브레이크 장치(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장치(28)의 일예로서는 상기 회전원판(27)의 양면을 끼고 있는 기구를 가지는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가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리니어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력을 얻어서 복수의 발판체(5)가 이동하면 각 발판체(5)를 지지하는 체인(10)이 회전하고 이 체인(10)에 의하여 상기 스프로켓(21A, 21B)이 회전한다.
이 스프로킷(21A, 21B)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축(20)위의 구동 스프로킷(22A, 22B)이 회전하므로, 그것에 감긴 전달체인(23)은 손잡이 구동장치(24)의 구동롤러(25)를 회전시켜, 종동롤러(26)로 이동손잡이(17)를 이동시킨다.
한편, 전동도로의 운전을 정지시킬 필요가 생겼을 경우에는 브레이크 장치(28)를 작동시켜서 상기 회전원판(27)을 제동한다. 이 회전원판(27)의 제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20), 스프로킷(21A, 21B), 체인(10)을 통하여 상기 발판체(5)가 정지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는 리니어모터의 고정자(13)에 의하여 이동자(12)를 구비한 발판체(5)를 이동하는 구성이며, 각 발판체(5)는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간격을 가지고 인접하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발판체(5D, 5F, 5R)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되고 있는 경우, 고정자(13)에 의하여 구동력을 얻고 있는 발판체(5D)는 상기 고정자(13)를 통과한 발판체(5F)를 간격(G)을 좁혀서 밀고, 상기 고정자(13)에 이르지 않은 발판체(5R)를 체인(10)을 통하여 잡아당긴다.
이 밀고 잡아당김이 상기 고정자(13)를 통과할 때마다 행하여지므로 특히 구동중의 발판체(5D)가 통과한 발판체(5F)를 밀 때 충돌음이 발생하며 항상 소음을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각 발판체(5D, 5F, 5R)의 인접하는 발판체의 대향부에 양자의 간격(G)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간격부재(29)를 설치하여 양자간의 간격(G)의 변화를 적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인접 발판체간에 간격(G)의 변화가 없어지면 충돌 그 자체가 없어지므로 충돌음의 발생이 없어진다. 또한 상기 간격부재(29)를 고무나 용수철등의 탄성체로 하는 것에 의해 완충 기능을 갖게 할 수가 있다.
그런데 제8도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재(29)는 예를들면 한쪽 발판체(5D) 진행방향의 앞끝단(A)에 설치되어 인접하는 다른쪽 발판체(5D) 진행방향의 뒤끝단(B)에 대향시킨 것을 표시하고 있으나, 대향하는 앞끝단(A) 및 뒤끝단(B)에 각각 간격부재(29)를 설치해도 상관없으며, 또 한 개의 발판체(5D)의 앞끝단 양쪽에 간격부재(29)를 설치하고, 이 발판체(5D)와 앞뒤에 인접하는 발판체에는 간격부재(29)를 설치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이외에 상기 발판체(5)(5D, 5F, 5R)는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한 축(8)의 양끝단에 전동롤러(9)를 설치하여 왕로측 가이드레일(4U)위를 주행시킨다.
그러나 리니어모터 동작시, 고정자(13)에 전자흡인력이 작용하면 발판체(5)는 이동자(12)를 통하여 하향으로 변위하려고 한다. 그 변위를 적게하기 위하여 축(8)을 굵게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축(8)을 굵게 하더라도 축끝단에 설치한 전동롤러(9)의 베어링(도시하지 않음)에는 큰 하중이 작용하며, 전동롤러(9)가 소음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바깥둘레에 고무타이어를 장착하고 있을 경우에는 고무타이어를 압축시켜서 상기 이동자(12)와 고정자(13)의 대향간격을 좁게 할 수가 있다.
상기 고무타이어의 필요 이상의 압축은 고무타이어 수명을 저하시키게 되며, 또 고정자(13)와 이동자(12)의 간격이 좁아지는 것은 양자를 접촉시키게 되는 것이며, 또한 구동력을 변화시켜서 발판체의 원활한 이동을 저해하게 한다.
그래서 제8도,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고정자(13)의 이동자(12)와 대향하는 표면에 양지의 간격(g)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이루어진 간격유지체(30A, 30B)를 발판체의 진행방향에 따라서 설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상기 이동자(12)와 상기 고정자(13)의 간격(G)은 양자간에 전자흡인력이 작용해도 상기 간격유지체(30A, 30B)에 의하여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동롤러(9)의 축(8)을 굵게 할 필요가 없고, 또 상기 전동롤러(9)에 고무타이어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그 고무타이어를 필요이상으로 압축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간격(G)이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리니어모터에 의한 구동력은 거의 일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동롤러(9)에 고무타이어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승객이 탑승하였을 때 고무 타이어의 압축량에 알맞는 정도로, 간격유지체(30A, 30B)와 이동체(12)의 사이에 미리 근소한 간격을 설치해 두면, 상기 간격유지체(30A, 30B)가 발판체의 모든 하중을 받는 불안정한 상태를 막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간격유지체(30A, 30B)는 미끄러져 움직일 수 있는 것이며, 당연히 마찰이 적고 내마모성의 비자성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이동체(12)와 접촉하여 미끄러져 움직이는(摺動)이상, 이동체가 움직일 때의 저항(抵抗)이나 소리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그래서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발판체(5D)의 이면쪽의 이동체(12)로부터 상기 고정자(13)의 표면을 향하여 비자성회전체(31)를 돌출시키는 것이다. 이 회전체(31)에 의하여 이동체가 움직일 때의 저항 및 소리가 제거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31)의 돌출 치수는 이동체(12)와 고정체(13)의 간격(G)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이상의 설명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전동도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경사로 배치되는 전동도로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경사각을 30도 전후로 한 에스컬레이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가 있다.
제11도는 에스컬레이터의 발판체(32)를 표시하는 것으로 승객이 타는 발판부(33)와 이 발판부(33) 양방향의 양쪽을 떠받치는 거의 3각형모양의 보강골격(34)과 상기 발판부(33)의 뒤끝단쪽으로부터 하부로 연재하여 상기 보강골격(34)에 지지되는 라이저(riser)(35)와 상기 보강골격(34) 하부의 앞뒤에 축 받이된 앞 전동롤러(36)와 뒤 전동롤러(37)로 구성되어 가이드레일(38) 위를 주행한다.
또, 인접하는 발판체(32A)와의 연결은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상기 전동롤러(36, 37)의 축을 체인에 지지시키고 있는 점에서 상기 전동도로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상기 양쪽의 보강골격(34)의 상기 앞 전동롤러(36)와 상기 뒤 전동롤러(37)의 축받이부(軸支部) 사이에 각각 지지기구(40)를 통해서 리니어모터의 이동자(39)를 구비하고 있다.
물론 이 이동자(39)는 발판체(32)의 이동방향과 나비방향을 따라서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이동자(39)와 대향하는 리니어모터의 고정자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전동도로에서의 고정자와 동일한 설치구성이다.
그리고 또 리니어모터 구동시에 인접하는 발판체(32, 32A)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뒷단 발판체(32)의 상기 보강공격(34)앞끝단에 간격부재(41)를 설치하여 이 간격부재(41)를 앞단 발찬체(32A)의 라이저 아래끝단(35S)에 대향시켜서 돌출시키고 있다.
물론 이 라이저 아래끝단(35S)의 이면 쪽에는 보강골격(34)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간격부재(41)의 충돌로 인하여 상기 라이저 아래끝단이 변형하는 일은 없다.
이상의 각 설명에 있어서 각 발판체(5(5D, 5F, 5R), 33)는 체인(10)을 통하여 순환 형태로 연결된 것이다.
그러므로 뒤쪽의 발판체의 구동력이 작용하면 체인이 쉽게 늘어져버려 앞쪽의 발판체의 뒤쪽의 발판체가 충돌하므로,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간격부재(29, 41)가 필요하게 된다.
제12도에 표시하는 것은 상기 간격부재(29, 41)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발판체(5)의 연결구조이다. 즉, 인접하는 발판체(5)간을 직접연결기구(42)로 연결하는 것이다.
물론 이 연결기구(42)는 강한 몸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발판체(5)의 보강부재(7A)에 핀(43, 44)에 의해 회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성에 의하면 제12도중 왼쪽의 발판체(5)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되어 이동하면 도면중 오른쪽의 발판체(5)는 연결기구(42)를 통하여 밀려지므로 양 발판체(5)의 간격(G)은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양 발판체(5)의 충돌은 없어지고, 충돌에 의한 소음이나 발판체(5)의 손상은 없어진다.
다음에 제13도 제14도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3도는 발판체(5)의 왕로측과 복로측에 각각 대향하여 리니어모터 고정자(13)를 각각 배치한 것이고 승객 혼잡시에는 모든 고정자(13)를 여자하여 운전하고 있다.
그러나 승객이 없을때나, 소수일 때에는 발판체(5)의 왕로측 맨끝단의 고정자(13G) 단체 혹은 복로측의 처음 끝단의 고정자(13R)를 병용하여 여자한다.
이와 같이 운전하는 것에 의하여 왕로측의 발판체가 모두 잡아 당겨져서 이동하도록 되므로, 무리없이 이동할 수가 있다.
그러나 왕로측 처음 끝단 및 복로측 맨끝단의 고정자를 여자하였을 경우에는 왕로측의 발판체가 모두 밀려지게 되므로 발판체(5)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체인이 늘어져서 발판체가 가이드 레일에서 부상할 염려가 있으므로 좋은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또 제14도는 발판체(5)의 왕로측에 대향하여 리니어모터의 모든 고정자(13)를 배치한 것이고 모든 고정자(13)를 여자하는 것에 의하여 왕로측 대부분의 발판체(5)가 항상 구동력을 얻을 수가 있으므로 승객을 태워서 안정하게 주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이동자를 발판체의 이동방향 및 나비방향에 따라 편평하게 하고 또한 이것을 상기 발판체의 왕로와 복로의 사이에 설치하도록 한 것이므로 승객 컨베이어를 대형화하지 않고 리니어모터를 설치할 수가 있다.
또한 리니어모터의 고정자와 이동자의 사이나 인접 발판체 사이에 간격유지 수단이나 간격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발판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Claims (11)
-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왕로의 아래쪽을 복로로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발판체와, 상기 발판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좌우 한쌍의 왕로용 가이드레일 및 좌우 한쌍의 복로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복수의 발판체를 구동하는 리니어모터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이동자를 상기 발판체의 이동방향 및 나비방향에 따라서 편평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자를 상기 좌우 한쌍의 왕로용 가이드레일과 복로용 가이드레일 사이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이동자를 상기 발판체의 이면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왕로의 아래쪽을 복로로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발판체와, 상기 발판체를 구동하는 리니어모터와, 상기 발판체와 리니어모터를 지지하는 주골격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 및 이동자를 상기 발판체의 이동방향 및 폭방향에 따라서 편평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자를 발판체의 왕로와 복로 사이에서, 상기 주골격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평부재 사이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이동자를 발판체의 이면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를 상기 수평부재의 높이내에서 포개지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를 상기 발판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병렬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왕로의 아래쪽을 복로로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발판체와, 상기 발판체를 구동하는 리니어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리니어모터의 고정자를 상기 발판체의 왕로와 복로의 사이에 설치함과 동시에, 이 고정자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리니어모터의 이동자를 상기 발판체의 이면쪽에 설치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와 이동자 사이에 양자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왕로의 아래쪽을 복로로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발판체와, 상기 발판체를 구동하는 리니어모터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모터의 고정과 이동자를 상기 발판체의 이동방향 및 나비방향에 따라서 편평하게 형성하고, 또한 상기 이동자를 상기 발판체의 이면쪽에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자를 발판체의 왕로와 복로의 사이에 설치하며, 상기 고정자를 발판체의 왕로측과 복로측에서 상기 이동자와 대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왕로의 아래쪽을 복로로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발판체와, 상기 발판체를 구동하는 리니어모터와, 상기 발판체와 동기적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발판체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동력으로 하여 상기 이동수단을 구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왕로의 아래쪽을 복로로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발판체와, 상기 발판체를 구동하는 리니어모터를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발판체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체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체에 제동력을 주는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왕로의 아래쪽을 복로로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발판체와, 상기 발판체를 구동하는 리니어모터와, 상기 발판체와 동기적으로 이동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발판체의 이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회전체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회전체의 회전을 동력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2회전체 및 제3회전체를 설치하고, 상기 제2회전체의 회전을 동력을 하여 상기 이동수단을 구동하고, 또한 상기 제3회전체에제동력을 주는 브레이크 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왕로의 아래쪽을 복로로하여 이동하는 복수의 발판체와, 상기 발판체를 구동하는 리니어모터와, 상기 발판체 및 리니어모터를 지지하는 주골격을 구비한 승객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모터를 구성하는 고정자와 이동자를 상기 발판체의 이동방향 및 나비방향에 따라서 편평하게 형성하고, 상기 고정자를 발판체의 왕로와 복로 사이에서 상기 주골격을 구성하는 복수의 수평부재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이동자를 발판체의 이면쪽에 설치하며, 상기 복수의 발판체는 인접발판체와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를 상기 발판체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병렬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67041A JPH0784317B2 (ja) | 1990-03-19 | 1990-03-19 | 乗客コンベア |
JP2-67041 | 1990-03-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6609A KR910016609A (ko) | 1991-11-05 |
KR100195389B1 true KR100195389B1 (ko) | 1999-06-15 |
Family
ID=1333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02882A KR100195389B1 (ko) | 1990-03-19 | 1991-02-22 | 승객 컨베이어 및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체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H0784317B2 (ko) |
KR (1) | KR100195389B1 (ko) |
CN (1) | CN1025912C (ko) |
GB (1) | GB2243133B (ko) |
HK (1) | HK5919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95278A (en) * | 1995-04-28 | 1997-01-21 | Otis Elevator Company | Pallet for a conveyor |
AU2002318615B2 (en) * | 1998-08-20 | 2004-11-18 | Otis Elevator Company | Linear handrail drive |
DE19837915A1 (de) * | 1998-08-20 | 2000-03-02 | Otis Elevator Co | Linearantrieb für Fahrtreppen oder Fahrsteige |
DE19837916A1 (de) * | 1998-08-20 | 2000-03-02 | Otis Elevator Co | Linear-Handlaufantrieb |
CN1078563C (zh) * | 1998-09-29 | 2002-01-30 | 陈福敏 | 双向复式变频移动通道 |
DE19963893A1 (de) * | 1999-12-30 | 2001-07-12 | Bison Stematec Maschb Und Huba | Antriebsvorrichtung |
DE10036913B4 (de) * | 2000-07-28 | 2005-05-04 | Otis Elevator Co., Farmington | Fahrtreppen- oder Fahrsteig-Antrieb |
JP3789077B2 (ja) * | 2001-02-23 | 2006-06-2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乗客コンベア |
JP4567951B2 (ja) * | 2003-04-30 | 2010-10-27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動く歩道 |
ZA200405181B (en) * | 2003-07-31 | 2005-03-11 | Inventio Ag | Drive equipment for escalator step or moving walkway plate. |
EP1502892A1 (de) * | 2003-07-31 | 2005-02-02 | Inventio Ag | Antriebseinrichtung für Fahrtreppenstufe |
ATE509878T1 (de) * | 2004-02-17 | 2011-06-15 | Otis Elevator Co | Vorrichtung zur reduzierung von geräuschübertragung durch den spalt zwischen rolltreppenstufen |
FI123556B (fi) * | 2005-08-18 | 2013-07-15 | Kone Corp | Liukukäytävä ja menetelmä liukukäytävän sähkölaitteen huoltamiseksi |
JP4884731B2 (ja) * | 2005-09-09 | 2012-02-29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乗客コンベア装置 |
CN101318608B (zh) * | 2007-06-06 | 2013-01-30 | 李岭群 | 一种永磁悬浮履带路 |
JP5252384B2 (ja) * | 2007-07-31 | 2013-07-31 |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 乗客コンベア |
FI121783B (fi) | 2008-09-22 | 2011-04-15 | Kone Corp | Henkilökuljetin |
JP2011219228A (ja) * | 2010-04-09 | 2011-11-04 | Toshiba Elevator Co Ltd | 乗客コンベアの乗降部床装置 |
AT510182A1 (de) * | 2010-07-26 | 2012-02-15 | Mertl Daniel | Beförderungsmittel, insbesondere rolltreppe, rollsteig, oder dergleichen |
CN109987494A (zh) * | 2018-01-02 | 2019-07-09 | 杭州菱智电梯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的驱动主机 |
CN109987493A (zh) * | 2018-01-02 | 2019-07-09 | 杭州菱智电梯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动扶梯或自动人行道的驱动装置 |
CN116176634B (zh) * | 2023-04-27 | 2023-07-14 | 成都西交华创科技有限公司 | 一种轨道板式运载系统及运载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31166A (en) * | 1970-05-15 | 1973-05-01 | Hitachi Ltd | Duplex driving system for an electrically operated moving object with an endless chain |
JPS5790378A (en) * | 1980-11-26 | 1982-06-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Controller for passenger conveyor |
JPS6270190A (ja) * | 1985-09-25 | 1987-03-31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乗客コンベアの移動てすり駆動装置 |
US4738346A (en) * | 1985-10-29 | 1988-04-19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Driving unit for passenger conveyor system |
JPS63173173U (ko) * | 1987-04-28 | 1988-11-10 | ||
JPH01197297A (ja) * | 1988-01-29 | 1989-08-08 | Toshiba Corp | 動く歩道 |
-
1990
- 1990-03-19 JP JP2067041A patent/JPH078431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
- 1991-02-22 KR KR1019910002882A patent/KR1001953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1-03-18 GB GB9105722A patent/GB2243133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1-03-19 CN CN91101797A patent/CN102591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
- 1995-04-20 HK HK59195A patent/HK59195A/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K59195A (en) | 1995-04-28 |
CN1054951A (zh) | 1991-10-02 |
GB9105722D0 (en) | 1991-05-01 |
JPH0784317B2 (ja) | 1995-09-13 |
JPH03267292A (ja) | 1991-11-28 |
GB2243133A (en) | 1991-10-23 |
CN1025912C (zh) | 1994-09-14 |
KR910016609A (ko) | 1991-11-05 |
GB2243133B (en) | 1994-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195389B1 (ko) | 승객 컨베이어 및 승객 컨베이어용 발판체 | |
US5295568A (en) | Passenger conveyor and treadboard construction for passenger conveyor | |
JP4531067B2 (ja) | 磁気浮上装置 | |
US4895240A (en) | Cogbelt handrail drive for passenger conveyor | |
JPH0840671A (ja) | 自己推進エレベータシステム | |
US5921351A (en) | Modular drive mechanism for a passenger conveyor | |
AU2004203530B2 (en) | Drive equipment for escalator step or moving walkway plate | |
CN109678038B (zh) | 用于人员输送机的传动带 | |
US8739957B2 (en) |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device and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escalator including the same | |
JP4884731B2 (ja) | 乗客コンベア装置 | |
EP1680348A1 (en) | Conveyor | |
JP4982063B2 (ja) | 乗客コンベア | |
EP3511284B1 (en) | Moving walkway | |
JP3982264B2 (ja) | 乗客コンベア | |
JP2581854B2 (ja) | マンコンベア装置 | |
JP2001031353A (ja) | コンベヤ装置 | |
JP2000007263A (ja) | 動く歩道 | |
JP2799085B2 (ja) | 中間加速マンコンベヤ | |
JP3583046B2 (ja) | 乗客コンベア | |
JP2527831B2 (ja) | マンコンベアの安全装置 | |
WO2003024857A1 (fr) | Transporteur de passagers | |
JPH0485287A (ja) | 乗客コンベア | |
JPH04209191A (ja) | 中間加速マンコンベア | |
JPH03264490A (ja) | エスカレータ | |
JPH08310776A (ja) | 加減速式動く歩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203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