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077B1 - 랜의 접속장치 - Google Patents

랜의 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077B1
KR100195077B1 KR1019930024275A KR930024275A KR100195077B1 KR 100195077 B1 KR100195077 B1 KR 100195077B1 KR 1019930024275 A KR1019930024275 A KR 1019930024275A KR 930024275 A KR930024275 A KR 930024275A KR 100195077 B1 KR100195077 B1 KR 100195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s
connector
connection
bus
adapter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875A (ko
Inventor
김상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3002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077B1/ko
Publication of KR95001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루프형 랜(Local Area Network; LAN)의 버스와 단말장치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확장기(EXPANDER) 혹은 허브(HUB;집중기)에 적합한 접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는 그의 접접들 중에서 전원을 제공하는 접점들이 여타의 신호접점들 보다 돌출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는 어댑터보드가 버스의 콘넥터에 삽입될 경우에는 전원을 제공하는 접점들이 여타의 신호접점들보다 먼저 접속되게 하며 이탈될 경우에는 나중에 분리되게 함으로써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안정화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랜(LAN)의 접속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접속장치가 적용된 허브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어댑터보드에 설치된 적분회로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경로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백플레인(back-plane) 22 : 콘넥터
40 : 어댑터보드 42 : 플럭
본 발명은 컨넥터에 삽입되어져 보드와 컨넥터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특히 루프형 랜(Local Area Network; LAN)의 버스와 단말장치와의 접속을 허용하는 확장기(EXPANDER) 혹은 허브(HUB; 집중기)에 적합한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이에 접속되는 단말장치 중의 일부를 네트워크로부터 자유로이 이탈 혹은 삽입시키도록 하는 것은 시스템의 안정적인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한 사항이며 이를 실현시키는 기술을 Live Insertion Removal 혹은 hot swapping 이라고 한다.
특히 토큰링형의 랜에 있어서 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말장치에 연결된 어댑터보드를 버스측의 콘넥터로부터 분리할 때 콘넥터의 접점들이 자동적으로 쇼트(short) 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유럽규격의 DIN콘넥터 중에는 플럭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양단간의 접점이 도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S-DIN(SwingDIN)이라는 콘넥터가 있어서, 단말장치의 삽입 혹은 이탈에 따른 루프의 연속성을 보장하도록 하는 것도 있다.
한편, 버스의 연속성 유지와 더불어 어댑터보드의 삽입 혹은 이탈시 어댑터보드 혹은 단말장치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는 장치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어댑터보드를 통하여 제공되는 전원이 여타의 신호보다 먼저 제공되어져야 하는바 상술한 S-DIN 콘넥터 등에 의해서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랜에 접속되는 단말장치의 삽입 및 이탈시 단말장치로의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제공하는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는 버스에의 연결을 허용하는 컨넥터와 컨넥터에 삽입되어져 버스에 연결되는 단말장치와의 전기적 접속을 달성하는 플럭을 갖는 어댑터 보드를 구비하는 랜의 접속장치에 있어서,
컨넥터의 접접들 중에서 전원을 제공하는 접점들은 여타의 신호접점들 보다 돌출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가 적용된 허브(HUB)의 구성도를 보이는 도면이다. 허브 혹은 콘센트레이터(consectrator;집중기)는 복수의 입출력포트를 갖는 콘넥터를 다수 구비하여 랜의 버스와 복수의 단말장치와의 연결을 허용하는 장치로서, 단말장치는 어댑터보드를 통하여 버스측의 콘넥터에 접속된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는 1개의 전원공급보드(PSU)가 1개의 중앙제어보드(CU)와 4개의 어댑터보드(AU1~AU4)에 전원을 공급하고, CU는 4개의 AU를 제어하여 각 AU에 접속된 컴퓨터 네크워크 장치나 컴퓨터 단말기를 랜에 접속하거나, 다른 허브에 접속한다.
각종 보드들은 보드의 뒤쪽에 위치한 백플레인(back-plane)에 꽃혀서 상호 연결되어져 있다.
이러한 장치의 운용도중 AU중의 일부가 고장날 경우에 전체의 시스템을 정지시키지 않고 당해 보드만을 취출하여 수리한 뒤 삽입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기능이 구현되기 위하여서는 Live Insertion Removal 기능이 구현되어져야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도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백플레인(20)에 부착된 컨넥터(22)는 신호전달용 접점들(30)과 전원공급용 핀(32)을 구비한다.
이에 삽입되는 어댑터보드(40)에 부착된 플럭(42)은 신호인입용 접점들(60)과 전원인입용 단자(62)를 구비한다.
콘넥터(22)의 전원공급용 핀(32)은 신호전달용 접점들(30)보다 돌출되어져 있어 어댑터보드(40)의 플럭(42)이 컨넥터(22)에 삽입될 때 전원접점(32:62)이 신호접점(30:60)보다 먼저 삽입되어 어댑터보드(40)이 활성화된 뒤 신호가 접속되므로 장치가 오동작을 일으키는 확율이 적어진다.
또한, 접지전위핀(32b:62b)이 +5v의 핀(32a:62a)보다 길게 되어 있으므로 어댑터보드(40)의 삽입시 접지전위가 먼저 인가되고,이탈시에는 나중에 분리되므로 어댑터보드(40)의 동작을 보다 더 안정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2도에 도시된 접속장치의 구조에 의한 것 만으로는 부족하므로 제3도에 도시되는 바의 적분회로를 추가한다.
제3도에 도시되는 것을 제2도에 도시된 어댑터보드(40)에 부속되는 적분회로이다. 어댑터보드(40)가 플럭(42)을 통하여 접속되어 전원전압이 인가되더라도 저항(R) 을 통하여 콘덴서(C)를 충전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만큼 전원전압이 지연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게 되면 전원전압이 서서히 증가하거나 감소되게 되므로 어댑터보드의 안정적인 동작을 보장하게 된다.
제4a도 및 제4b도는 제1도 도시된 장치의 신호전달경로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4a도에 있어서 버스(100)에는 랜에의 접속을 허용하는 5개의 콘넥터(30a~30e)가 설치되어져 있고, 각각의 콘넥터에는 중앙제어장치(cu) 및 어댑터보드(AU1~AU4)가 접속되어져 있다.
여기서,어댑터보드(AU3)가 버스(100)으로부터 분리된다면 버스(100)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4b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콘넥터(30d)의 접점은 쇼트가 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컨넥터로서는 플럭이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양단간의 접점이 도통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S-DIN(Swing DIN) 콘넥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컨낵터측의 접점들 사이에 단차를 두는 것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어댑터보드의 플럭측에서도 동등하게 행하여 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신을 구현함에 있어서 반드시 접지전원용 핀의 선단이 다른 전원용 핀의 선단보다 돌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접지전원용 핀과 다른 전원용 핀의 선단이 일치하되 다른 전원공급용 핀의 선단의 일부에 부도체를 도포하는 방법등에 의해 실질적으로 접지 전원용 핀이 다른 전원공급용 핀에 비해 길도록 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속장치는 S-DIN 콘넥터를 사용함과 동시에 전원의 공급이 신호의 공급보다 늦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안정화시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버스에의 연결을 허용하는 컨넥터와 상기 컨넥터에 삽입되어져 상기 버스에 연결되는 단말장치와의 전기적 접속을 달성하는 플럭을 갖는 어댑터보드를 구비하는 랜의 접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의 접점들 중에서 전원을 제공하는 접점들은 여타의 신호접점들 보다 돌출되어져, 상기 어댑터보드가 상기 버스의 콘넥터에 삽입될 경우에는 상기 전원을 제공하는 접점들이 여타의 신호접점들보다 먼저 접속되게 하며 이탈될 경우에는 나중에 분리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을 제공하는 접점들 중에서 접지전원을 제공하는 접점은 여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접점들보다 더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에 제공되는 전원을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수단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넥터는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신호접점의 양측이 도통상태를 유지하는 S-DIN 형의 콘넥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장치.
KR1019930024275A 1993-11-16 1993-11-16 랜의 접속장치 KR100195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275A KR100195077B1 (ko) 1993-11-16 1993-11-16 랜의 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275A KR100195077B1 (ko) 1993-11-16 1993-11-16 랜의 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875A KR950015875A (ko) 1995-06-17
KR100195077B1 true KR100195077B1 (ko) 1999-06-15

Family

ID=19368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275A KR100195077B1 (ko) 1993-11-16 1993-11-16 랜의 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0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875A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73773B1 (en) Disengaging electrical circuit boards from power-supply units
US20070025240A1 (en) Bypass switch for an ethernet device and method of bypassing devices in an ethernet network
US4704599A (en) Auxiliary power connector and communication channel control circuit
JPS61163577A (ja) 印刷回路基板
US4614877A (en) Apparatus for a redundant power supply
EP0241905A2 (en) Circuit board for on-line insertion in computer system
EP13119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d installing a computer system bus agent without powering down the computer system
US6410869B1 (en) Branch assembly for a communication bus
KR100195077B1 (ko) 랜의 접속장치
BRPI0613779A2 (pt) protetor de segmento de barramento de campo modular
US6447309B1 (en) Suppressing power bus bouncing in a hot-swappable system
JPH08125361A (ja) 活性挿抜可能なプリント基板
JPS5932956B2 (ja) 電気回路装置
JP2884666B2 (ja) 活線挿抜方式
JPH08256191A (ja) データ処理装置
JPH07182074A (ja) ホットスタンバイ式デュプレックスシステムの活線挿抜装置
JPH054704Y2 (ko)
KR100263510B1 (ko) 핫 도킹을 위한 신호선 접속장치
JPH01297880A (ja) 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
JPS6373597A (ja) 挿抜検出回路が搭載された挿抜式電子回路ユニツト
KR200158546Y1 (ko) 신호 안정화를 위한 리셋 제어 회로
JPH04284523A (ja) 活線挿抜方式
JPH0752377B2 (ja) 電子回路基板
JPH02126580A (ja) パッケージ挿抜時の信号線雑音防止方式及び接続装置
JPH053627A (ja) 基板の活線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