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458B1 - 모심기 장치 - Google Patents

모심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458B1
KR100193458B1 KR1019960004734A KR19960004734A KR100193458B1 KR 100193458 B1 KR100193458 B1 KR 100193458B1 KR 1019960004734 A KR1019960004734 A KR 1019960004734A KR 19960004734 A KR19960004734 A KR 19960004734A KR 100193458 B1 KR100193458 B1 KR 100193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intermediate gear
case
rotation
seed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모루 구보
노보루 히가시오
Original Assignee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611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40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7746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40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746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66123A/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 고오헤이, 가부시키가이샤 구보타 filed Critical 미쯔이 고오헤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458B1/ko

Links

Landscapes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앙기 등에 장치되는 모심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의한 모심기 장치는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의 회전 케이스와 고정부재에 회전 불가능의 태양기어와 모심기 클릭을 지지하는 지지체를 회전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유성기어를 구비한다.
더욱더, 이 모심기 장치는 태양기어와 유성기어의 사이에 제1과 제2중간기어를 갖고 이들 제1과 제2중간기어 사이에서 부등속 상태에서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편심 크랭크식의 회전운동 전달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모심기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모심기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모심기 기구의 종단면도.
제3도는 회전 케이스의 종단측면도.
제4도는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의 종단측면도.
제5도는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의 측면도.
제6도는 회전 전달기구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의 상대 요동각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유극(play) 흡수기구의 측면도.
제9도는 유극 흡수기구의 측면도.
제10도는 유극 흡수기구의 작용을 도시하는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제1과 제2중간기어의 축심을 도시하는 도면.
제12도는 토크 균일화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발명의 배경]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이앙기에 탑재되어 자동적으로 모를 모심기하기 위한 모심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고정부재와 이 고정부재에 대하여 제1축심 들레로 회전 자유로이 지지된 회전 케이스와 상기 제1축심과 평행한 제2축심을 축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한 지지축과, 상기 회전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지지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모심기 클릭 지지체와, 상기 모심기 클릭 지지체에 설치된 모심기 클릭과, 상기 회전 케이스의 회전운동을 상기 모심기 클릭의 모의 공급점과 모를 심기 위한 지면과의 사이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상대 회전운동 수단을 구비하는 모심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
상기 모심기 장치에 있어서, 종래에는, 예를들면 일본 특공소 49-17806호 공보에 표시되는 구성의 것이다. 이 관련기술에서는 회전 케이스의 내부에 그 회전축상에 고정된 태양기어에 맞물리는 중간기어 및 이 중간기어에 맞물리는 유성기어의 각각이 설치되어 유성기어의 측면에 긴 홈이 형성됨과 동시에, 지지축에 크랭크 및 크랭크 핀이 설치되고 파이널(final) 기어의 회전축심과 지지축의 축심과를 편심시켜 크랭크 핀고 긴 홈과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지지축을 회전운동시켜, 모심기 클릭 지지체를 회전 케이스의 1공전 중에 상하운동을 실행하도록 상대 회전운동시키는 편심 크랭크식의 회전운동 전달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상기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모심기 클릭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회전 케이스에 대하여 지지축의 한쪽의 끝부분만이 지지되어 있고 (이를 한쪽 지지상태라함), 다음과 같은 불리한 면이 있었다.
모심기 클릭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하운동을 행하면서 모 싣기대에 얹어 놓여지는 모의 일부를 떼어냄으로써 지면에 모심기하는 것이지만, 모심기용의 모는 매트상으로 뿌리가 강하게 서로 얽힌 상태로 되어 있고, 이와 같은 모의 일부를 떼어내는 경우에 모심기 클릭은 강한 반동충격을 받는 일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강한 힘이 가해진 경우일지라도 모심기 클릭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한쪽 지지상태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서의 지지축의 지지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은 강한 힘에 의하여 지지축이 경사져 버리거나, 벡래시(back lash)가 발생하는 등의 염려가 크게되는 불리한 점이 있었다.
그 결과 이와 같은 모심기 클릭 지지체의 백레시에 기인하여 모 싣기대의 모꺼내기 입구의 끝 가장자리에 모심기 클릭이 맞닿아서 손상하는 등의 불합리한 것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또, 상기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축 뿐만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은 상대 회전운동 기구를 구성하기 위하여 유성기어도 꼭 같이 회전 케이스에 대하여 한쪽 지지상태로 지지되는 구성으로 되기 때문에, 모심기 클릭에 강한 힘이 가하여진 경우에 있어서, 이 기어의 지지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기어 지지축이 경사하여 버리는 등의 불합리한 것이 발생하는 것도 고려되어, 이와 같은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더욱더, 상술한 결점을 해소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상대 회전운동 수단에 있어서 기어를 비원형기어로 구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지지축의 상대 회전운동을 실현시키는 구성이 고려되어 실용화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비원형기어는 절삭가공 등의 기계가공이 곤란하고, 소결 등에 의하여 제작되지만, 이와 갖은 제작 가공상의 이유나 그 형상등에 기인하여 원형기어에 비교하여, 가공 코스트가 높게 됨과 동시에 기어 맞물림 때 백래시가 크게되는 불리한 점이 있다. 그결과 모 떼어내기 작동시에 있어서 모심기 클릭 지지체의 백래시가 크게 되는 등의 불리한 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합리적인 구성에 의하여 모심기 클릭 지지체를 정확도 좋게 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대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기어열을 정확도 좋게 지지시키는 것으로, 모 떼어내기 작동을 원할히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모심기 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모심기 장치는 상기 상대 회전운동 수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 태양기어와 상기 지지축에 고정된 유성기어와, 상기 태양기어와 상기 유성기어 사이에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중간기어와 제2중간기어를 갖고, 상기 제1중간기어의 회전축심과 제2중간기어의 회전축심은 서로 편심하여 있고, 상기 제1중간기어의 회전축심과 제2중간기어 사이에는 상기 제1중간기어의 회전운동을 부등속으로 상기 제2중간기어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 케이스의 회전에 동반하여, 태양기어에 맞물려 연계되는 상태로, 제1중간기어 또는 제2중간기어의 어느 한쪽이 공전하여 회전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한다. 그리고 제1과 제2중간기어 사이에서 부등속 상태로 회전운동력이 전달되어, 회전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된다.
이때, 제1중간기어와 제2중간기어와는 회전축심이 편심하여 있고, 게다가, 편심 크랭크식의 회전운동 전달수단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전달되므로 회전운동력이 전달되는 측의 중간기어에 맞물려 연계되는 유성기어가 회전 케이스의 1회전에 대하여 상대 회전속도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그결과 비원형기어 등의 특수한 기어를 사용하는 일없이, 유성기어가 설치된 지지축이 회전 케이스에 대하여 늦게 공전하는 상태와 그리고 빨리 공전하는 상태가 번갈아 나타나서 모심기 클릭의 선단부가 측면에서 보면 대략 타원 궤적을 그리는 것과 같이, 모심기 클릭 지지체와 회전 케이스가 상대 회전운동 구동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유성기어가 장치되고, 모심기 클릭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축은 기어연계에 의하여 회전운동력이 전달되는 것으로 되므로 양쪽에서 지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편심 크랭크식의 회전운동 전달수단을 구성하는 각 전동부가 각각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제1중간기어 및 제2중간기어는 편심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향 배치되고, 각각 회전 지지축에 의하여 한쪽 지지상태에서 회전 케이스를 지지하고, 서로 대향하는 단면끼리를 맞닿게 하는 상태에서 베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심기 작동 중에 모심기 클릭에 대하여 큰 충격 반력이 발생한 경우일지라도, 각 중간기어가 서로 받아서 고정지지되고 기어의 경사 등의 좋지 않은 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가공 등의 기계가공에 의하여 염가로 제작가능한 원형기어를 사용함으로써 치수 정확도가 높고 백래시에 기인한 회전방향에 따르는 백래시 등이 적은 원할한 작동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모심기 클릭 지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축을 회전케이스에 대하여 양쪽 지지상태에서 강고히 지지시키는 것으로,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백래시도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더, 편심 크랭크 식의 회전 전달수단을 설치하는 것으로, 한쪽 지지모양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되는 중간기어의 지지강도를 크게 시킬 수가 있어서, 기어의 경사등에 기인한 동작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결과, 전체로서 백래시가 적은 원할한 모 꺼내기 작동을 행할 수 있게 되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이앙기 등의 주행기체에 구비된 모심기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모심기 장치는 각 파이프 모양의 메인 프레임(1)을 기체 가로폭 방향에 따라서 배치하고, 이 메인프레임(1)의 가로폭 방향 대략 중앙부에 기체측에서의 동력이 전달되는 피드 케이스(feed case;2)가 장치되어 있다. 더욱더, 가로쪽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어 설치된 복수의 모심기 전동 케이스(3; 고정부재의 1예) 가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하고 있다. 이들에 의하여 프레임체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 싣기대(4)가 프레임체에 지지되어 있다.
이 모 싣기대(4)는 기체 가로폭 방향으로 일정 스트로크로 왕복이동한다.
이 모 싣기대(4)위에 얹어놓여진 매트모양의 모의 일부를 떼어내어, 지면에 모심기하는 복수의 모심기 기구(5)를 상기 각 모심기 전동케이스(3)의 후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하여 설치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각 모심기 기구(5)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피드 케이스(2)로부터 전동체인 (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회전동력이 구동축(8) 에 전달된다.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구동축(8)은 모심기 전동 케이스(3)의 후부에 있어서, 가로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회전운동 자유로이 베어링(9)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구동축(8) 의 바깥쪽으로 돌출부에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하는 상태에서 회전 케이스(10)를 장치하고 있다. 구동축(8)의 돌출측 끝부의 외주부의 일부에 절결부(k)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회전 케이스(10)의 축지지부(10a)의 상기 절결부(k)에 구동축(8) 축심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테이퍼 핀(11)이 압접하는 상태에서 삽입되어 있다.
이로서, 구동축(8)과 회전 케이스(10)가 일체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 케이스(10)의 바깥쪽으로 빠져 벗겨짐을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회전 케이스(10)에는 구동축(8)의 축심(X1; 제1축심에 상당)과 평행한 축심(X2,X3; 제2축심에 상당)을 갖는 한쌍의 지지측(14,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쌍의 지지축(14,14')에는 모심기 클릭 지지체로서 각각 고정 되어 있다.
따라서,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는 지지축(14')과 일체 회전하고, 모심기 클릭 지지케이스(13')는 지지축(14')과 일체 회전하는 것이다.
이들의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13')에는 모심기 클릭(12,12')이 장치되어 있다. 이들의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13')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심(X1)을 통하여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하, 회전 케이스(10)의 내부구조는 축심(X1)을 중심으로 대칭적이므로, 제2도에서 축심(X1)보다 위의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축심(X1)보다 아래 부분도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에는 모심기 클릭(12)과, 모심기 작동에 동반하여 모심기 클릭(12)에 의하여 유지되어 있는 모를 지면에 밀어내는 모 밀어내기 도구(15)가 설치되어 있다.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내에 지지축(14)의 축심의 연장상에 위치하는 캠축(16)이 지지축(14)에 대하여 상대 회전운동 자유로이 베어링 지지되어있다.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캠축(16)에는 모 밀어내기 도구(15)를 밀어내기 작동시키는 캠(17)이 형성되어 있다. 캠축(16)과 타방향 측의 캠축(16)사이에는 연결봉(18)이 볼트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캠축(16)과 타방향 측의 캠축(16')은 회전 케이스(10)의 회전에 동반하여 일체적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 밀어내기 도구(15)에는 링크(19)를 통하여 천칭아암(20)이 피벗지지되고, 이 천칭아암(20)의 반대측 끝부에는 상기 캠(17)에 작용하는 캠 폴로워(21;cam follower)를 구비하여 있고, 게다가, 캠 폴로워(21)가 캠(17)에 누름하는 방향으로 천칭아암(20)을 가압하는 스프링(22)을 구비하여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는 회전 케이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되므로,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와 캠축(16)과는 소정 회전운동 범위에서 상대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대 회전운동에 동반하여 캠축(16)에 설치된 탬(17)의 작용에 의하여 리턴 스프링(22)의 복귀 가압력에 대항하여 모 밀어내기 도구(15)가 모심기 작동에 동반하여 상대적으로 모 밀어내기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회전 케이스(10)의 회전에 동반하여, 각 모심기 클릭(12)의 선단부가 측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 궤적을 그리도록, 각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와 회전 케이스(10)를 상대 회전운동 구동시키는 기어식의 상대 회전운동 수단(S)이 구비되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8)이 베어링(9)을 통하여 모심기 전동 케이스(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모심기 전동 케이스(3)로부터는외측에 보스부(3a)가 돌출하여 있고, 상기 구동축(8)은 이 보스부(3a)의 가운데를 지나, 구동축(8)의 선단부분에서 회전 케이스(10)와 연결되어 있다. 이 구동축(8)과 회전케이스(10)가 일체적으로 회전함으로써, 회전 케이스(10)는 구동축(8)에 회전구동 된다. 태양기어(23)가 보스부(3a)의 외측에 있어서 구동축(8)에 대하여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보스부(3a)의 선단에는 맞물림부(A)가 설치되고 이 맞물림부(A)에 대하여 태양기어(23) 구동축(8)의 축심방향으로 맞물림으로써, 태양기어(23)가 모심기 전동 케이스(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모심기 전동 케이스(3)에 대하여 조정되어 있다. 또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를 지지하는 지지축(14)이 회전 케이스(10)의 내부에 있어서 좌우 양측의 베어링(24,25)에 의하여 양쪽 지지상태로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축(14)이 모심기 전동 케이스(3)와 반대측 바깥쪽으로 향하여 회전케이스(10)로 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있고, 제5도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지지축(14)의 바깥쪽 돌출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부(26)가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에 형성된 플렌지부(27)는 볼트(28)로 연결되어 있다.
더욱더 지지축(14)의 플렌지부(26)보다도 바깥방향측 축부를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의 구멍(29)에 관통시켜,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를 지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회전 케이스(10)내에 있어서, 지지축(14)에 유성기어(30)가 스플라인에 의하여 고정 상태로 지지되고, 이 유성기어(30)와 상기 태양기어(23)와의 사이에는 중간 전동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중간 전동부는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를 갖고, 제1중간기어(31)의 회전축심(X4)과 제2중간기어(32)의 회전축심(X5)은 제3도에 도시되는 편심거리(L)분 만큼 서로 편심하고 있다.
더욱더, 이 중간 전달에는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를 부등속 상태로 회전 운동시키는 편심 크랭크 식의 회전운동 전달수단(D)을 구비하고 있다.
더욱더 이 회전운동 전달수단(D)은 다른쪽의 모심기 클릭 전동 케이스에 대하여도 꼭같은 구성의 것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하 한쪽의 것을 대표하여 설명한다.
제1중간기어(31)는 태양기어(23)에 맞물림과 동시에, 그 태양기어(23)와 동일기어 톱니수로 되도록 형성되어, 제2중간기어(32)는 상기 유성기어(30)에 맞물림과 동시에, 그 유성기어(30)와 동일기어 톱니수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중간기어(32)의 회전축심(X5)이 제1중간기어(31)의 회전축심(X4)보다도 태양기어(23)측에 편심하여 있고, 각각의 회전지지축(33,34)이 회전 케이스(10)에 베어링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33)은 제1중간기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34)은 제2중간기어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지지축(33)은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심기 전동 케이스(3)의 방향으로 연장하고, 회전 케이스(10)에 대하여 한쪽 지지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회전지지축(34)은 모심기 전동케이스(3)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하고, 회전 케이스(10)에 대하여 한쪽 지지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중간기어(32)에 있어서 회전 지지축(34)과 반대측, 즉, 제1중간기어(31)에 대항하는 측으로서 그 회전축심에서 편심한 곳에 전동부로서의 크랭크 롤러(35; 걸어맞춤 돌기부의 1예)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크랭크 롤러(35)는 내마모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2중간기어(32)의 측면에 일체적으로 돌출설치하게 한 크랭크 핀(36)에 회전운동 자유로이 밖에서 끼워져 있다. 또, 제1중간기어(31)에 있어서, 회전 지지축(33)과 반대측, 즉, 제2중간기어(32)에 대향하는 측에는, 상기 크랭크 롤러(35)가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크랭크 롤러(35)가 직경방향으로 위치어긋남하는 것을 허용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부로서 홈부(38;걸어맞춤 오목부의 1예)를 형성하는 한쌍의 판모양채(39,3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각 중간기어(31,32)는 회전 케이스(10)내에 맞붙게된 상태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단면끼리, 즉, 상기 각 판모양체(39,39)의 대향측 단면과 제2중간기어(32)의 대향측의 측면과를 맞닿게 하는 상태에서 배치하여 있다. 또 상기 각 판모양체(39,39)는 그의 회전중심, 즉, 제1중간기어(31)의 회전축심보다도 기어 편심량(L) 보다 큰 거리만큼 제2중간기어(32)의 회전축심에 대한 편심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여 기어 톱니 밑가까이 까지 연장하는 상태에서 형성하여 있다.
이와 같이하여 판모양채(39,39)의 대향측 단면이 제2의 중간기어(32)의 대향측의 측면과 맞닿는 거리를 각 기어의 반경보다 크게 하고 있다. 이로서, 제1과 제2중간기어가 서로 맞닿으므로써, 서로 지지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1과 제2중간기어가 회전 케이스(10)에 대하여 한쪽 지지모양으로 축지지되어 있는 것이 원인이 되어 모심기 작동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구동반력에 의하여 기어가 경사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 할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회전 케이스(10)의 회전에 동반하여, 제1중간기어(31)가 태양기어(23)에 대한 맞물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구동축(8)의 축심둘레로 1회전 공전하면, 회전 케이스(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1회전 자전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 이 제1중간기어(31)에 대하여 유성기어(30)가 맞물리는 상태이면, 유성기어(30)과 제1중간기어(31)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1회전 자전하므로, 상대적으로 자전하지 않는 상태와 같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상대 회전운동 수단(S)이 설치되는 것으로, 제1중간기어(31)에 설치된 한쌍의 판모양체(39,39)에 의하여 회전운동 조작되는 크랭크 롤러(35)가 설치되는 제2중간기어(32)는 회전축심이 편심하여 있으므로, 회전 케이스(10)의 1회전에 대하여 1회의 변동주기로 상대 회전운동 원주속도가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그결과, 회전 케이스(10)의 회전에 따라 유성기어(30)의 자전 각도가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것으로 되고, 모심기 클릭(12)의 선단부의 궤적이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대략 타원 궤적을 그리는 것으로 인하여, 상하로 타원형 운동이 실행되고, 적절한 모심기 작동이 실행된다. 즉, 상대 회전운동 수단(S)은 상기 회전 케이스(10)의 회전운동을 상기 모심기 클릭(12)의 모의 공급점(4)과 모를 심기 위한 지면(G) 과의 사이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여기서 모의 공급점(4)이란 모 싣기대(4)의 아래쪽의 선단부분(4a)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중간기어의 회전축심(X5)이 제1중간기어의 회전축심(X4) 보다도 태양 기어측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하면, 예를들면, 제11(b)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중간기어(32)의 회전축심(X5)이 제1중간기어(31)의 회전축심(X4)보다도, 태양기어(23)측과는 반대측으로 편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1(a)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기어 톱니수에 설치되는 유성기어(30)와 제2중간기어(32)와의 각각의 회전축심(X5,X2)이 그만큼, 톱니간 거리를 크게 할수 있어, 각각의 기어직경을 크게할 수있다. 그결과 제1중간기어와 제2중간기어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편심 크랭크식의 회전운동 전달기구에 있어서 제2중간 기어측의 구동력 전달용의 작용점이 회전축심에서 아주 먼 곳에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제2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를 지지하는 지지축(14)은 회전 케이스(10)내에 있어서 좌우 양쪽 지지상태에서 베어링 지지되어 강고히 지지할 수가 있다.
상기 모심기 클릭(12)이 모 싣기대(4)위의 모에 들어갈 경우, 회전 케이스(10)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향하여 강한 충격반력을 받지만, 이 충격반력을 받는 방향은 유성기어(30)의 구동 회전운동 방향과 같은 것으로부터, 기어 맞물림부의 백래시에 상당하는 백래시 분만큼, 모심기 클릭(12)의 이동방향 (회전 케이스(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염려가 있고, 그결과, 원할한 모 꺼내기가 행하여질 수 없는 염려가 있다.
여기에서, 이와 같은 백래시를 적게하기 위한 음극 흡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2도, 제8도,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중간기어(32)의 가로측 부분에 기어 톱니 끝보다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2개의 조작부(40a) 가 형성된 조작부재(40) 일체 회전운동 자유로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축(14)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40)에 대응하는 곳에, 선단부가 기어 피치원과 대략 일치하는 2개의 맞닿음부(41a) 가 형성된 선행회전운동부재(41)를 지지축(14)에 헐겁게 자유로이 밖에서 끼움하는 상태로 설치하여 있다.
상기 선행회전운동부재(41)는 유성기어(30)의 측면에 세워설치한 핀(42)에 의하여 맞닿게 되어 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고 기어 맞물림에 의한 회전운동에 동반하여 맞닿음부(41a)가 약간만 조작부(40a)보다도 선행하여 회전운동함과 동시에, 이 맞닿음부(41a)에 대하여 기어 톱니 끝보다도 돌출한 조작부(40a)가 맞닿아 조작되어, 기어 맞물림에 의한 회전운동 보다도 약간만 선행시킨 상태에서, 선행회전운동부제(41)를 선행시켜 회전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선행회전운동부재(41)의 측면에 세워설치한 핀(43)과, 유성기어(30)의 측면에 세워설치한 핀(42)에 걸쳐서 선행회전운동부재(41)의 보스부(41b) 에 루프(loop) 모양으로 두루 감겨진 판스프링(44)을 팽팽하게 설치하여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맞닿기 조작에 의한 선행회전운동에 동반하여 이 판스프링(44)의 스프링 가압력에 의한 유성기어(30)가 연동하여 선행회전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결과, 모 꺼내기 작동시에 있어서,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40a) 가 기어부 보다도 큰 직경으로 설치되는 결과 약간 기어부에 선행하여 맞닿음부(41a)를 회전운동시켜, 제2중간기어(32)에 대하여 유성기어(30)가 약간만 선행하는 상태로 회전운동하는 것으로 되어, 모심기 클릭지지 케이스(13)가 미리 후퇴한 상태에서 모 꺼내기가 실행되는 것으로 되어 백래시에 의한 유극이 해소된 상태에서 모 꺼내기 작용이 행해지는 것으로 된다. 더욱 제10도중 (a)도는 맞닿음 개시시, (b)도는 선행회전운동작동 중, (c)도는 맞닿음 작용 종료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더욱 상기 맞닿음부(41a) 및 조작부(40a)가 소정피치로 벌려서 한쌍 설치되어, 모의 꺼내기 작동시 뿐만아니라 지면에의 모내기 작동시에 있어서 백래시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구성의 모심기 기구(5)에 있어서는, 모심기 클릭(12)에 의한 모의 꺼내기 작동시에 큰 구동부하가 걸리는 것으로 되어, 그 이외의 회전 위상(位相)에 있어서는, 구동부하가 작은 상태로 되므로 회전 케이스(10)의 1회전 주기에 있어서 구동축(8) 의 구동토크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된다.
여기에서, 토크 균등화 수단이 구비되어있다. 즉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축(8)에 일체 회전운동 자유로이 설치된 캠체(50)에 대하여, 모의 꺼내기 작동에 동반하는 구동토크의 작은 회전 위상에 있어서 맞닿음 작용하여, 구동토크를 부가하기 위한 재동부재(52)가 스프링(51)에 의하여 누름가압되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회전 케이스(10)의 1회전 중의 구동부하의 균일화를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별도 실시예]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판모양체(39,39)가 크랭크 롤러(35)에 대한 걸어멎춤 안내범위로부터, 편심량 이상으로 길게 연장설치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대신하여, 상기 걸어맞춤 안내범위 부분에만, 상기 판모양체(39,39)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중간기어(31)에 2개의 판모양체를 세워설치하여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제1중간기어(31)의 측면에 직접 홈부(38)를 형성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3)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중간기어(31)에 걸어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제2중간기어(32)에 크랭크 롤러(35)를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지만, 제2중간기어(32)에 걸어맞춤 오목부를 형성하고, 제1중간기어(31)에 크랭크 롤러(3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원형의 롤러에 대신하여, 걸어맞춤 오목부(38)에 미끄럼이동 자유로이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크랭크 핀(36)에 회전운동 자유로이 지지된 직4각형 형상의 안내체로 구성 하여도 좋다.
(4)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체로서의 회전 케이스(10)에 1쌍의 모심기 클릭 지지체를 장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회전케이스(10)에 모심기 클릭 지지체를 1개만 장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 도면과의 대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부호를 기록하지만, 해당 기입에 의하여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조정부재(3)와, 이 고정부재에 대하여 제1축심(X1) 둘레에서 회전 자유로이 지지된 회전 케이스(10)와, 상기 제1축심(X1)과 평행한 제2축심(X2,X3)을 축심으로 하고, 상기 회전 케이스(10)에 대하여, 상대 회전가능의 지지축(14)과, 상기 회전케이스(10)에 대하여, 상기 지지축(14)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모심기 클릭 지지체(13)와, 상기 모심기 클릭 지지체(13)에 설치된 모심기 클릭(12)과, 상기 회전 케이스(10)의 회전운동을 상기 모심기 클릭(12)의 모의 공급점(4)과 모를 심기 위한 지면(G)과의 사이의 왕복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상대 회전운동 수단(S)을 구비하는 모심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대 회전운동 수단(S)은 상기 고장부재(3)에 고정된 태양기어(23)와, 상기 지지축(14)에 고정된 유성기어(30)와, 상기 태양기어(23)와 상기 유성기어(30) 사이에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중간기어(31)와 제2중간기어(32)를 가지고, 상기 제1중간기어(31)의 회전축심과 제2중간기어(32)의 회전축심은 서로 편심하여 있고, 상기 제1중간기어(31)의 회전축심과 제2중간기어(32)의 사이에는, 상기 제1중간기어(31)의 회전운동을 부등속으로 상기 제2중간기어(32)에 전달하는 회전 전달수단(D)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심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전달수단은 상기 제1중간기어(31)에 설치된 걸어맞춤 돌기(35)와 상기 제2중간기어에 설치되어, 상기 걸어맞춤돌기(35)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 오목부(3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심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돌기(35)는 상기 제1중간기어(31)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평면에서 볼 때 디스크 모양의 돌기이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38)는 상기 제2중간기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1쌍의 평행으로 연장된 판모양체(39)이고, 상기 판모양체의 간격은 상기 걸어맞춤돌기(35)의 직경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심기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 제2중간기어(31,32)는 각각의 한쪽면에서 상기 회전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심기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간기어(31)는 상기 회전 케이스(10)에 지지되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상기 제2중간기어와 맞닿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심기 장치.
  6. 제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30)는 그 양측에서 상기 회전 케이스(10)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심기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간기어(31)는 상기 태양기어(23)와 걸어맞춤함과 동시에, 동일의 톱니수를 갖고, 상기 제2중간기어(32)는 상기 유성기어(30)와 걸어맞춤과 동시에, 동일의 톱니수를 갖고, 상기 제2중간기어(32)의 회전축심(X5)이 상기 제1중간기어(31)의 회전축심(X4) 보다도, 상기 태양기어(3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심기 장치.
KR1019960004734A 1995-03-31 1996-02-27 모심기 장치 KR1001934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611295A JP3294044B2 (ja) 1995-03-31 1995-03-31 苗植付機構
JP95-76112 1995-03-31
JP95-77463 1995-04-03
JP07746395A JP3294045B2 (ja) 1995-04-03 1995-04-03 苗植付機構
JP95-77464 1995-04-03
JP7746495A JPH08266123A (ja) 1995-04-03 1995-04-03 苗植付機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3458B1 true KR100193458B1 (ko) 1999-06-15

Family

ID=27302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734A KR100193458B1 (ko) 1995-03-31 1996-02-27 모심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193458B1 (ko)
CN (1) CN1067840C (ko)
TW (1) TW3187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5733A (zh) * 2011-06-21 2011-12-07 东北农业大学 直取式宽窄行分插机构栽植臂
CN109121607B (zh) * 2018-09-13 2021-04-16 东北农业大学 非圆齿轮行星轮系取苗总成与栽植总成组合机构
CN112189417B (zh) * 2020-09-22 2021-10-01 农业农村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水稻大苗栽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2381B2 (ja) * 1986-09-17 1995-12-06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H03143315A (ja) * 1990-09-18 1991-06-1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における苗植装置
JP3082238B2 (ja) * 1990-11-13 2000-08-28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JP3143315B2 (ja) * 1994-03-29 2001-03-07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加熱調理器
JP4917806B2 (ja) * 2003-07-24 2012-04-18 日本精工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減速ギヤ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840C (zh) 2001-07-04
CN1139511A (zh) 1997-01-08
TW318773B (ko) 199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05711A (zh) 混合高阶变性椭圆齿轮行星系钵苗移栽机分秧机构
KR100193458B1 (ko) 모심기 장치
CN101066012A (zh) 偏心圆齿轮-非圆齿轮行星系分插机构
JP3294045B2 (ja) 苗植付機構
CN102405713A (zh) 变性卵形齿轮行星系钵苗移栽机分秧机构
JPH11168925A (ja) 移植機
JPH0757126B2 (ja) 田植機における苗植装置
CN2390385Y (zh) 圆盘式椭圆齿轮行星系分插机构
JP3294044B2 (ja) 苗植付機構
CN112189417B (zh) 一种水稻大苗栽植装置
CN86107594A (zh) 一种可变传动装置
JP3294101B2 (ja) 苗植付機構
JPH08266123A (ja) 苗植付機構
CN101933424A (zh) 差动偏心齿轮系分插机构
CN201069909Y (zh) 一种偏心圆齿轮-非圆齿轮行星系分插机构
CN2401010Y (zh) 圆盘式正齿行星轮分插机构
JP2002059330A (ja) 工具マガジン
JPH086427Y2 (ja) 苗植付け機
JP3292650B2 (ja) 苗植付装置
CN110073787B (zh) 用于移栽机苗盘架的两排距间歇换排装置
JPH1098925A (ja) 苗植付機構
CN1248387A (zh) 差速分插机构
JPH10136735A (ja) 苗植付機構
JPH11168926A (ja) 移植機
JPH07108135B2 (ja) 植付け爪部のガタ取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