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796B1 -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796B1
KR100192796B1 KR1019960024726A KR19960024726A KR100192796B1 KR 100192796 B1 KR100192796 B1 KR 100192796B1 KR 1019960024726 A KR1019960024726 A KR 1019960024726A KR 19960024726 A KR19960024726 A KR 19960024726A KR 100192796 B1 KR100192796 B1 KR 100192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size
unit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4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7152A (ko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24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796B1/ko
Publication of KR980007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 Control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주고 받는 두 시스템간의 데이터 전송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된 버스 용량을 갖는 임의 시스템에서 다양한 용량을 갖는 외부 버스를 통해 전송해 오는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송된 데이터 크기를 시스템 버스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데이터 크기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송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부(11); 와 입력데이터의 크기와 출력데이터의 크기 및 출력 데이터 순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어 정보부(12); 및 상기 제어 정보부(12)와 정보를 교환하면서 상기 버퍼부(11)의 데이터를 출력 순서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변환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 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된 버스 용량을 갖는 임의 시스템으로 외부 버스를 통해 전송되어져 오는 데이터는,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를 통해서 출력 순서와 시스템에 적합한 크기로 변환되어 전송받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An conversion apparatus of digital data siz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에 대한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32비트 데이터버스를 갖는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 장치의 1실시예에 대한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장치에 대한 32비트 입력데이터를 8비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신 디지털 시스템 20 :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11 : 버퍼부 12 : 제어 정보부
12-1 : 데이터 크기 저장부 12-2 : 출력 데이터 지정부
13 : 제어부 14 : 수신 디지털 시스템
21 : 버퍼 선택부 22 : 32비트 버퍼부
26 : 출력 선택부
본 발명은 디지털 데이터를 주고받는 두 시스템간의 데이터 전송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된 버스 용량을 갖는 임의 시스템에서 다양한 용량을 갖는 외부 버스를 통해 전송해 오는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송된 데이터 크기를 시스템 버스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시스템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각 시스템의 요건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스트림의 변환과 2가지 이질적인 매체의 속도정합, 시스템이 갖는 데이터버스 용량 및 입출력 속도 등의 요건이 충족되어야만 한다.
현재, 미니컴퓨터나 마이크로 컴퓨터 등에서 채용되고 있는 시스템 버스(SYSTEM BUS)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로서, 멀티버스(MULTI BUS, IEEE, 10MB/s, 8/16비트)나 브이엠이 버스(VME BUS, IEEE, 57MB/s)등 국제 규격 표준품의 시스템 버스가 유명하며, 국제 규격에 입각한 시스템 보드가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범용기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제조사가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공급되고 있는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시스템 버스를 갖고 있는 시스템은, 외부에서 여러 종류의 데이터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아야 한다.
만약, 8비트 시스템 버스를 갖는 시스템이 외부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으려 할 때, 데이터 버스의 용량이 8비트, 16비트 혹은 32비트 등으로 다양한 데이터 크기를 갖고 접속해 온다면, 8비트 버스만을 갖은 시스템은 버스용량이 각각 다른 외부 데이터 버스와 시스템 버스를 정합시키기 위해서 회로 구성을 바꾸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 버스를 통해 전송해 오는 데이터 크기를 시스템 환경에 맞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는, 전송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부와, 입력 데이터의 크기와 출력데이터의 크기 및 출력데이터 순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어정보부 및, 상기 제어 정보부와 정보를 교환하면서 상기 버퍼부의 데이터를 출력 순서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변환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회로를 구비하므로써 외부 전송 버스의 용량이 변경되더라도 수신 시스템측은 어떤 물리적인 회로 변경없이도 다양한 크기 데이터를 자신의 시스템 버스에 맞도록 크기를 변환시켜 전송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에 대한 블록도로서,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20)는 버퍼부(11)와 제어 정보부(12) 및 제어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버퍼부(11)는 송신시스템(10)으로부터 전송된 입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상기 제어 정보부(12)는 송신 시스템이 전송한 데이터중에서 입출력데이터버스가 수용하는 데이터 크기에 대한 정보 및 출력순서에 대한 제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3)는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클럭과 로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정보부(12)와 정보를 교환하면서 상기 버퍼부(11)의 데이터를 출력순서에 맞게 적당한 크기로 변환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32비트 데이터버스를 갖는 디지털데이터 크기 변환장치의 1실시예에 대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은 버퍼입력선택부(21)와 4개의 32비트 버퍼(22), 버퍼출력선택부(26), 제어 정보부(12)의 데이터 크기 저장부(12-1)와 출력데이터 지정부(12-2) 및 제어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퍼입력선택부(21)는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신호(SEL.I)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상기 4개의 32비트 버퍼(22)중에서 적당한 버퍼를 선택하여 입력한다.
상기 4개의 32비트 버퍼(22)는 상기 버퍼선택부(21)에 의해 선택된 버퍼에 입력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상기 버퍼출력선택부(26)는 상기 제어부(13)의 선택신호(SEL.O)에 따라 상기 4개의 32비트 버퍼(22)의 데이터 중 일부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크기 저장부(12-1)는 송신 시스템(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데이터 중에서 제어 정보 즉, 입력데이터의 크기와 출력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32비트 버퍼(22-1~22-4)에서 최후로 출력될 비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7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출력데이터 지정부(12-2)는 상기 32비트 버퍼(22-1~22-4)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의 출력순서를 정해주는 4비트 양방향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3)는 송신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클럭과 로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정보부(12)와 정보를 교환하면서 상기 32비트 버퍼(22-1~22-4)의 데이터를 출력순서에 맞게 적당한 크기로 변환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변환장치를 통해서, 송신시스템이 32비트 전송능력을 갖는 데이터 버스를 이용하여 8비트 전송능력을 갖는 수신 시스템 QTM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를 들어,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고자 한다.
① 제어 정보부(12) 셋팅 단계
송신 시스템은 보내고자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우선, 자신이 전송하는 데이터 크기와 수신 시스템 버스에 적합한 데이터 크기, 출력 순서 등의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러한 제어정보는 현재 입력되는 데이터가 제어정보임을 나타내는 로드신호(load)로서 제어부(13)에 알려지게 된다.
현재 입력된 데이터가 제어정보임을 판단한 제어부(13)에서는 상기 제어 정보를 데이터 크기 저장부(12-1)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크기 저장부(12-1)로 이용된 레지스터의 각 비트 상태가 나타내는 정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크기 저장부 :
상기 데이터 크기 저장부(12-1)의 첫 번째 비트(b0)는 8비트 데이터를 입력받는 상태를, 두 번째 비트(b1)는 8비트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지시를, 세 번째 비트(b2)는 16비트 데이터를 입력받는 상태를, 네 번째 비트(b3)는 16비트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지시를, 다섯 번째 비트(b4)는 32비트 데이터를 입력받는 상태를, 여섯 번째 비트(b5)는 32비트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지시를 나타낸다.
상기 레지스터의 각 비트 상태는 “0”일 때 가능(enable)을 나타내고, “1”일 때 불가능(disable)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일곱 번째 비트(b6)에는 시스템 버스로 전송할 데이터의 출력 순서를 제어하는 정보가 저장된다. “0”이면 32비트 버퍼중 최하위비트(D0)를 맨 나중에 출력하고, “1”이면 최상위비트(D31)를 맨 나중에 출력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제, 실제 시스템에 적용된 제어정보 비트를 살펴보면,
데이터 크기 저장부 :
상기 데이터 크기 저장부(12-1)에서 의미있는 정보는 “0”으로 표시된 일곱 번째(b6), 다섯 번째(b4), 두 번째(b1) 위치의 정보비트이다.
일곱 번째 비트(b6)는 32비트 버퍼(D0~D31)에 일시 저장되는 데이터의 최후비트를 결정짓는 정보로서, “0”은 D0비트가 맨 나중에 전송할 것을 나타낸다.
다섯 번째 비트(b4) “0”는 입력되는 데이터 버스의 용량의 데이터 크기는 32비트라는 것을 나타낸다.
두 번째 비트(b1) 0는 출력되는 시스템 버스의 용량의 데이터 크기는 8비트라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출력데이터 지정부(12-2)로 이용된 레지스터의 각 비트 상태가 나타내는 정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력 데이터 지정부 :
상기 출력데이터 지정부(12-2)의 첫 번째 비트(B0)는 상기 32비트 버퍼에 저장된 D0~D7의 데이터출력 가능상태를, 두 번째 비트(B1)는 D8~D15의 데이터출력 가능상태를, 세 번째 비트(B2)는 D16~D23의 데이터출력 가능상태를, 네 번째 비트(B3)는 D24~D31의 데이터출력 가능상태를 나타낸다.
초기값은 “1111”로 셋팅되어 있고, 비트값이 “0”이면 해당 데이터가 출력할 순서임을 나타낸다.
상기 데이터 크기 저장부(12-1)의 일곱 번째 비트(b6)에 저장되는 최후 출력비트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데이터 지정부(27-2)는 맨 처음 출력할 데이터를 지정하는 비트를 “0”으로 셋팅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13)와 정보를 교환하면서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0”을 시프트 시키면서 32비트 데이터(D0~D31)의 출력순서는 결정된다.
이제, 실제 시스템에 적용된 제어 정보비트를 살펴보면,
출력 데이터 지정부 :
상기 출력데이터 지정부(12-2)는 양방향 시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출력할 바이트부분을 “0”으로 표시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크기 저장부(12-1)의 일곱 번째 비트가 “0”이므로 데이터 버퍼가 일시 저장하고 있는 32비트 중에서 처음으로 출력할 1바이트는 D24~D31의 8비트가 출력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출력데이터 지정부(12-2)는 “0111”이 되고, 이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시프트하여 레지스터가 “1011”되면 D16~D23의 8비트가 출력되고, “1101”이 되면 D8~D15의 8비트가 출력되고, “1110”이 되면 D0~D7의 8비트가 출력된다.
② 32비트 데이터를 8비트 데이터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정보부(12)를 셋팅하는 단계가 끝나고, 이제 32비트 입력 데이터가 전송되어 들어오면, 상기 제어부(13)에서는 버퍼 선택신호(SEL.I)를 버퍼입력선택부(21)로 제공하여 상기 데이터를 선택된 버퍼에 저장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데이터 크기 저장부(12-1)와 상기 출력데이터 지정부(12-2)의 비트상태를 이용하여, D24~D31의 8비트를 출력하도록 상기 버퍼출력선택부(26)로 선택신호(SEL.0)를 제공하고, 동시에 출력데이터 지정부(12-2)를 오른쪽으로 1 시프트 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제, 다음 클럭이 치면, 상기 제어부(13)에서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수행된다. 즉, 입력된 32비트는 버퍼(22)로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13)에서 상기 출력데이터 지정부(12-2)와 서로 정보를 교환하면서, 출력 순서에 따라 8비트 단위의 데이터가 출력되어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데이터 흐름을 제3도 타이밍도에 나타내었다.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는 32비트 단위로 입력된 데이터를 8비트 단위로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된 버스 용량을 갖는 임의 시스템으로 외부 버스를 통해 전송되어져 오는 데이터는, 디지털데이터 크기 변환장치를 통해서 출력 순서와 시스템에 적합한 크기로 변환되어 전송받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전송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부(11); 와 송신측으로부터 제공된 입력데이터의 크기와 출력데이터의 크기 및 출력데이터 순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제어 정보부(12); 및 상기 제어 정보부(12)와 정보를 교환하면서 상기 버퍼부(11)의 데이터를 출력 순서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변환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된 디지털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버퍼부(11)에는,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신호(SEL.I)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저장할 버퍼를 선택하는 버퍼입력선택부(21);와 상기 버퍼입력선택부(21)에 따라 입력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다수개의 버퍼(22); 및 상기 제어부(13)의 제어신호(SEL.0)에 따라 상기 버퍼(22)에 저장된 입력데이터 중 일부를 출력하는 버퍼출력선택부(26)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부(12)는 입력데이터 중에서 제어 정보 즉, 입력 데이터의 크기와 출력 데이터의 크기 및 상기 버퍼부(11)에서 최후로 출력될 비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크기 저장부(12-1);와 상기 버퍼부(11)에 임시 저장된 데이터의 출력순서를 지정해주는 출력데이터 지정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KR1019960024726A 1996-06-27 1996-06-27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KR100192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4726A KR100192796B1 (ko) 1996-06-27 1996-06-27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4726A KR100192796B1 (ko) 1996-06-27 1996-06-27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152A KR980007152A (ko) 1998-03-30
KR100192796B1 true KR100192796B1 (ko) 1999-06-15

Family

ID=1946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4726A KR100192796B1 (ko) 1996-06-27 1996-06-27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7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152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7447A (en) Information transferring apparatus
KR100904476B1 (ko) 하이브리드 병렬/직렬 버스 인터페이스
US5155698A (en) Barrel shifter circuit having rotation function
JPS60551A (ja) 自動車用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443446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ccess of processors at a data line
US5321400A (en) Serial data interface circuit dealing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modes
KR20020073784A (ko) 전송될 데이터 길이 값에 따라 전송 모드가 유동적으로변환되는 직접 메모리 억세스 컨트롤러
KR100192796B1 (ko) 디지털 데이터 크기 변환장치
US6009493A (en) Data transf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nsecutive burst transfer operations with a simple structure
US5511229A (en)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a switching network connecting multiple peripheral devices using data paths capable of different data bus widths
US4644469A (en) Addressing system for electronic computer
US5416745A (en) Parallel data transfer circuit
KR100295640B1 (ko) 버스상호간의데이터제어장치
JP2550659B2 (ja) データ伝送方法
JPH1063617A (ja) シリアル通信装置
JP2591060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信号処理装置
JP2512990B2 (ja) デ−タ伝送方法、デ−タ伝送装置及びデ−タ受信装置
KR100798583B1 (ko)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와 방법
JPH05265948A (ja) 4線式同期シリアル通信方式
US5579483A (en) Communication controller for controlling multi-channel multiplex communication and having channel selection functions and memory for storing communication control data for each channel
JP3074598B2 (ja) データ交換装置
JPS61148562A (ja) 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デ−タの移送方式
JPH05292144A (ja) 通信データバイト順変換装置
KR20000038686A (ko) 직접 메모리 접근 제어기
JPH11194997A (ja) 双方向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イス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