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674B1 - 윈치의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윈치의 조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1674B1 KR100191674B1 KR1019960021383A KR19960021383A KR100191674B1 KR 100191674 B1 KR100191674 B1 KR 100191674B1 KR 1019960021383 A KR1019960021383 A KR 1019960021383A KR 19960021383 A KR19960021383 A KR 19960021383A KR 100191674 B1 KR100191674 B1 KR 1001916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winch drum
- brake
- winch
- brak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4—Control devices non-automatic pneumatic of hydrauli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오조작에 의해 매달린 짐의 낙하를 방지한 윈치의 조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브레이크 페달(11)의 밟기조작에 연계하여 윈치드럼(6)을 제동하는 포지티브 브레이크 기능, 및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윈치드럼(6)의 구동정지에 연계하여 윈치드럼(6)을 제동하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한 브레이크 기구(10)와, 제1모드 및 제2모드의 선택부재가 가능한 모드 선택부재(20a)와, 제1모드의 선택시에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한 드럼(6)의 제동을 가능하게 하고, 제2 모드의 선택시에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한 드럼(6)의 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변화밸브(20, 22)와, 드럼(6)의 구동이 정지한 상태에서 제2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브레이크 페달(11)이 밟아진 상태에서 제2모드의 선택조작과는 다른 확인조작이 실행될 때 까지 드럼(6)의 제동상태를 지속시키는 전환보류기구(7, 23)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된 윈치의 조작장치 요부의 유압회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전자밸브의 솔레노이드부에 대한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윈치의 조작레버 4 : 윈치용의 제어벨브
5 : 유압모터 5a : 권하방향 회전시의 리턴측 유로
5b : 카운터 밸런스 밸브 6 : 윈치드럼
7 : 클러치실린더 10 : 브레이크 기구
11 : 브레이크 페달 12 : 브레이크 실린더
13 : 브레이크 밴드 15 : 감압밸브
20 : 수동전환밸브 20a : 수동전환밸브의 레버
21,22 : 전환밸브 23 : 전자밸브
30 : 리미트스위치 31 : 압력스위치
32 : 푸시버튼스위치 33 : 경고등
본 발명은 크레인 등의 건설기계에 탑재되는 윈치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장치에 탑재되는 브레이크 기구로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 조작에 연계하여 윈치드럼을 제동하는 포지티브 브레이크와, 윈치의 조작레버가 중립위치일 때 윈치드럼을 제동하고, 상기 조작레버가 작동위치일 때 윈치드럼의 제동을 해제하는 네거티브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소정의 브레이크 모드 선택부재의 조작에 의하여 네거티브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을 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변환하도록 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네거티브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이 가능한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는, 윈치의 구동정지(윈치조작레버의 중립 위치로의 조작)에 연계하여 윈치드럼이 자동적으로 제동됨으로써, 매달린 짐이 불시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네거티브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이 불가능한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는, 브레이크 페달의 느슨한 조작에 의하여 윈치드럼의 제동이 완전히 해제되어 이른바 프리폴(free fall)상태가 된다. 또한, 프리폴을 행하는데는 유압모터에 의한 브레이크 작용이 윈치드럼에 작용하지 않도록 클러치를 오프시켜 유압모터와 윈치드럼을 떼어낼 필요가 있다. 이 클러치의 오프는, 상술한 브레이크 모드 선택부재에 의한 프리폴 가능한 모드의 선택조작에 연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 프리폴 가능한 모드로의 전환조작이 행해지면, 그 전환시점에서 매달려진 짐이 불시에 낙하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일본국 특개평 1-145997호 공보에 기재된 브레이크 기구에서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지 않는 한 프리폴 가능한 모드로 전환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윈치의 오퍼레이터는 네거티브 브레이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것이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조작 그 자체는 오퍼레이터의 프리폴 가능한 모드로의 전환의사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를 네거티브 브레이크 해제의 조건으로 한 경우에는, 때때로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진 상태에서 브레이크 모드의 선택조작부재가 무의식적으로 조작되어, 그 결과 브레이크 페달의 느슨한 조작에 연동하여 매달려진 짐이 불시에 낙하될 우려가 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프리폴이 가능한 모드로의 전환조작을 오퍼레이터에게 충분히 의식시켜 오조작의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는 윈치의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에 대응시켜 설명하면, 청구항 1항의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기구(11)의 밟기조작에 연계하여 윈치드럼(6)을 제동하는 포지티브 브레이크 기능, 및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기구(11)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윈치드럼(6)의 구동정지에 연계하여 윈치드럼(6)을 제동하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한 브레이크 기구(10)와, 윈치드럼(6)의 프리폴이 불가능한 제1모드 및 프리폴이 가능한 제2모드의 선택조작이 가능한 모드 선택부재(20a)와, 제1모드의 선택시에는 윈치드럼(6)의 프리폴을 금지시키도록 하여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한 윈치드럼(6)의 제동을 가능하게 하고, 제2 모드의 선택시에는 프리폴을 허용하도록 하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한 윈치드럼(6)의 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제어수단(20, 22)을 구비한 윈치의 조작장치에 적용된다. 그리고 모드 선택부재(20a)에 의하여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된 경우,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기구(11)이 밟아진 상태에서 제2모드의 선택조작과는 다른 확인조작이 실행될 때 까지는,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기구(11)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윈치드럼(6)의 구동정지에 연계하여 윈치드럼(6)을 제동시키는 전환보류수단(7, 23)을 설치하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한다.
청구항 2항의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윈치의 조작장치에 적용되며, 윈치드럼(6)을 구동하는 유압모터(5)와, 윈치드럼(6)의 구동정지에 연계하여 유압모터(5)의 권하방향 회전시에 리턴측(5a)에 작동유를 가두는 밸브수단(5)을 가지며, 전환보류수단(23, 7)은 작동유가 가두어진 유압모터(5)와, 윈치드럼(6)을 서로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고 윈치드럼(6)의 제동상태를 지속시킨다.
청구항 3항의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윈치의 조작장치에 적용되며, 확인조작을 받는 조작부재로서, 조작력의 해방에 의하여 조작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자동복귀형 조작부재(32)를 사용한다.
청구항 4항의 발명은, 유압모터(5)로 구동되는 윈치드럼(6)과, 유압모터(5)와 윈치드럼(6)의 접속 및 접속해제를 전환하는 클러치(7)와, 유압모터(5)의 구동을 지시하는 작동위치 및 유압모터(5)의 구동정지를 지시하는 중립위치로 조작가능한 조작레버(3)와,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기구(11)의 밟기조작에 연계하여 윈치드럼(6)을 제동하는 포지티브 브레이크 기능, 및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기구(11)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조작레버(3)의 중립위치로의 조작에 연계하여 윈치드럼(6)을 제동하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한 브레이크 기구(10)와, 윈치드럼(6)의 프리폴이 불가능한 제1모든 및 프리폴이 가능한 제2모드의 선택조작이 가능한 모드 선택부재(20a)와, 제1모드의 선택시에는 조작레버(3)의 중립위치로의 조작에 연계하여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한 윈치드럼(6)의 제동을 실행시키고, 제2모드가 선택되고 또한 조작레버(3)가 중립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네거티브 기능에 의한 윈치드럼(6)의 제동을 저지함과 동시에 클러치(7)를 유압모터(5)와 윈치드럼(6)을 떼어내는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제어수단(20, 21, 22)을 구비한 윈치의 조작장치에 적용된다. 그리고, 모드 선택부재(20a)에 의하여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된 경우,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기구(11)이 밟아진 상태에서 제2모드의 선택조작과는 다른 확인조작이 실행될 때 까지는, 조작레버(3)가 중립위치로 리턴되어도 클러치(7)를 유압모터(5)와 윈치드럼(6)을 접속하는 온상태로 유지하는 클러치 전환보류수단(23)을 설치하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한다.
청구항 1항의 발명에서는, 모드 선택부재(20a)에 의하여 제1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는 윈치드럼(6)의 구동정지에 연계하여 브레이크기구(10)의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하여 윈치드럼(6)이 제동되고 프리폴이 저지된다. 모드 선택부재(20a)에 의하여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된 경우는,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기구(11)이 밟아진 상태에서 소정의 확인조작이 실행될 때 까지 윈치드럼(6)의 구동정지에 연계하여 전환보류수단(7, 23)에 의하여 윈치드럼(6)이 제동된 상태로 유지되고 프리폴이 저지된다.
청구항 2항의 발명에서는, 윈치드럼(6)의 구동이 정지되면 작동유가 가두어진 유압모터(5)의 브레이크 작용에 의하여 윈치드럼(6)이 제동된다.
청구항 3항의 발명에서는, 윈치드럼(6)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모드 선택부재(20a)에 의하여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도 브레이크 페달브레이크기구(11)이 밟아진 상태에서 자동복귀형 조작부재(32)가 조작될 때 까지 윈치드럼(6)이 제동된 상태로 된다. 자동복귀형 조작부내(32)는 오퍼레이터의 조작해제에 응답하여 조작전의 상태로 되돌아가므로 오퍼레이터의 조작이 없어도 확인조작된 상태가 지속되고, 오퍼레이트의 의사에 상반되어 전환보류수단(7, 23)에 의한 제동상태의 지속이 해제되는 일은 없다.
청구항 4항의 발명에서는, 모드 선택부재(20a)에 의하여 제1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는 윈치드럼(6)의 구동정지에 연계하여 브레이크기구(10)의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하여 윈치드럼(6)이 제동되고 프리폴이 저지된다. 모드 선택부재(20a)에 의하여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된 경우는, 브레이크 페달(11)이 밟아진 상태에서 소정의 확인조작이 실행될 때 까지 조작레버(3)가 중립위치로 리턴되어도 클러치 전환보류수단(23)에 의하여 클러치(7)가 온상태로 유지되어 유압모터(5)와 윈치드럼(6)이 접속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유압모터(5)의 구동정지에 수반하여 그 권하방향 회전시에 리턴측(5a)에 작동유를 가두면, 유압모터(5)의 브레이크 작용으로 윈치드럼(6)을 제동하여 프리폴은 저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작용의 항에서는, 본 발명을 알기쉽게 하기 위하여 실시예의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의하여 본 발명이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에 관계된 조작장치가 조립된 윈치 구동용의 유압회로의 요부를 나타내며, 1은 주회로용의 유압펌프, 2는 조작계용의 유압펌프이다. 유압펌프(2)의 토출압은, 조작레버(3)로 연동하는 한쌍의 감압밸브(3a, 3b)의 1차측에 유도된다. 조작레버(3)가 도시된 중립위치일 때는 감압밸브(3a, 3b)로부터 제어밸브(4)로 유도되는 파일롯압이 탱크압과 동등하게되어 제어밸브(4)가 도시된 중립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윈치 구동용의 유압모터(5)의 권하방향 회전시에 리턴측 유로(5a)에 설치된 카운터밸런스밸브(5b)가 폐쇄된다. 그 결과, 리턴측 유로(5a)에 압유가 가두어지고, 유압모터(5)의 권하방향의 회전이 저지된다. 조작레버(3)가 중립위치에서 도면의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경사지게 움직여 조작되면, 그 조작량에 따라 감압밸브(3a) 또는 (3b)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롯압이 상승하고, 제어밸브(4)가 중립위치에서 좌우의 어느 한 쪽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하여 유압펌프(1)로부터의 유압이 유압모터(5)로 공급되어 유압모터(5)가 구동된다. 유압모터(5)로부터 윈치드럼(6)으로의 회전전달 경로는, 클러치실린더(7)에 의해 접속 및 절단된다. 클러치실린더(7)에 소정의 클러치 해제압이 공급되면 유압모터(5)로부터 위치드럼(6)이 분리된 클러치 오프상태로 되고, 클러치 해제압의 공급이 저지되면 스프링(7a)의 힘에 의하여 유압모터(5)로부터 위치드럼(6)이 접속된 클러치 온상태로 된다.
10은 윈치드럼(6)을 제동하기 위한 브레이크 기구이다. 이 브레이크 기구(10)는 브레이크 페달(11)과, 브레이크 실린더(12)와, 윈치드럼(6)의 외주에 감겨 설치된 브레이크 밴드(13)와, 브레이크 실린더(12)와 브레이크 밴드(13)를 연동시키는 링크(14)와, 감압밸브(15)를 가진다. 브레이크 실린더(12)는 감압밸브(15)를 거쳐 유도되는 브레이크 해제압의 대소에 따라 작동한다. 브레이크 해제압이 상승하면 스프링(12a)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실린더(12)가 작동하고, 이것에 연동하여 브레이크 밴드(13)가 느슨해져 윈치드럼(6)의 제동이 해제된다. 브레이크 해제압이 저하되면, 스프링(12a)의 힘으로 브레이크 밴드(13)가 조여감겨져 윈치드럼(6)이 제동된다. 감압밸브(15)는 브레이크 페달(11)과 연동한다. 브레이크 페달(11)이 해방, 즉 밟아져있지 않을 때는 유로(151)와 브레이크 실린더(12)가 연통하고, 탱크(16)로 향하는 유로(152)가 브레이크 실린더(12)에 대하여 차단된다. 브레이크 페달(11)이 밟아짐에 따라 유로(151)측이 점차로 폐쇄되고, 유로(152)측이 점차 연통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페달(11)이 소정량 이상 밟아지면, 브레이크 실린더(12)에 대하여 유로(151)가 차단되고 브레이크 실린더 (12)와 유로(152)만이 연통한다. 이 때, 브레이크 페달(11)에 의해 리미트위치(30)가 눌려지면, 그 내부접점이 온된다. 유로(152)는 항상 탱크(16)와 연통한다.
상술한 클러치실린더(7) 및 브레이크 기구(10)에 각각 유도되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유압회로에서는 수동전환밸브(20)와, 한쌍의 유압파일롯식 전환밸브(21,22)와, 전자밸브(23)가 설치되어 있다. 수동전환밸브(20)는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설치된 레버(20a)의 조작에 연동하여 a위치 및 b위치 사이에서 전환된다. a위치는 윈치드럼(6)의 프리폴을 금지하는 위치이고, b위치는 프리폴을 허용하는 위치이다. 전환밸브(21)는 클러치실린더(7)로의 클러치 해제압을, 변환밸브(22)는 유로(151)로주터 브레이크 기구(10)로 유도되는 브레이크 해제압을 각각 제어한다. 조작레버(3)의 조작에 연동하여 감압밸브(3a) 또는 (3b)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롯압이 상승하면, 그 파일롯압이 셔틀밸브(8)을 거쳐 전환밸브(21, 22)에도 유도되어 전환밸브(21,22)가 b위치로 전환된다. 조작레버(3)가 중립위치일 때는 전환밸브(21, 22)가 a위치로 유지된다. 전자밸브(23)는 후술하는 제어회로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부(23a)가 여자(勵磁)되었을 때 b위치로, 솔레노이드부(23a)가 소자(消磁)되었을 때 a위치로 전환된다. 또 각 밸브(20~23)의 전환상태에 따른 클러치 해제압 및 브레이크 해제압의 변화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자밸브(23)에서 전환밸브(21)로 향하는 유로(210)에는, 소정의 압력을 바다 온으로 되는 압력스위치(31)가 설치되어 있다. 32는 프리폴을 행할 때에 조작하는 푸시버튼스위치, 33은 프리폴가능한 상태인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경고하기 위해 운전실에 설치된 경고등이다.
제2도는 전자밸브(23)의 솔레노이드부(23a)에 대한 제어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푸시버튼스위치(32)가 온으로 되고, 또 브레이크 페달(11)에 연동한 리미트스위치(30)가 온으로 되면, 릴레이(34)가 여자되어 솔레노이드부(23a)가 여자된다. 또, 압력스위치(31)가 온되면 릴레이(35, 36)가 여자되고, 솔레노이드부(23a)가 여자됨과 동시에 경고등(33)이 점등된다. 37은 전원, 38은 다이오드이다. 제2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스위치(32)는 푸시버튼(32a)과, 푸시버튼(32a)의 가압조작에 응답하여 온으로 되는 접점(32b)과, 푸시버튼(32a)을 접점(32b)이 오프로 되는 방향으로 가세하는 스프링(32c)을 가지는, 이른바 자동복귀형의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에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프리폴을 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동전환밸브(20)를 a위치로 전환시킨다. 이 경우는, 유압펌프(2)로부터의 유압이 수동전환밸브(20)에 의해 블록되고, 수동전환밸브(20)를 거치는 전환밸브(22) 및 전자밸브(23)로의 유압공급이 저지된다. 또, 전환밸브(21) 및 전자밸브(23)가 a위치, b위치 중 어느 곳에 있더라도 클러치실린더(7)가 탱크(16)와 연통하고, 따라서 조작레버(3)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클러치온, 즉 유압모터(5)와 윈치드럼(6)이 접속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조작레버(3)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는 전환밸브(22)가 a위치로 유지되고, 그 결과, 감압밸브(15)로 통하는 유로(151)가 전환밸브(22) 및 수동전환밸브(20)를 거쳐 탱크(16)에 연통한다. 따라서, 감압밸브(15)의 전환상태에 관계없이 브레이크 실린더(12)의 브레이크 해제압이 탱크(16)의 압력과 같아지고, 브레이크 페달(11)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윈치드럼(6)이 제동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브레이크 기구(10)가 네거티브 브레이크로서 기능하고,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11)을 개방하여도 윈치드럼(6)은 프리폴되지 않는다.
수동전환밸브(20)가 a위치인 상태에서 조작레버(3)가 중립위치에서 좌우 어느 한쪽으로 조작되었을 때는, 그 조작에 응답하여 전환밸브(21, 22)가 b위치로 전환되고, 유압펌프(2)의 압유가 전환밸브(22) 및 유로(151)를 거쳐 감압밸브(15)로 유도된다. 이 때 브레이크 페달(11)이 밟아져 있지 않으면, 브레이크 실린더(12)의 브레이크 해제압이 상승하여 윈치드럼(6)의 제동이 해제되고, 이것에 응답하여 윈치드럼(6)이 유압모터(5)에 의해 구동된다. 브레이크 페달(11)을 밟았을대는, 감압밸브(15)가 유로(152)와 브레이크 실린더(12)를 연통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브레이크 실린더(12)에 의하여 윈치드럼(6)이 제동된다.
프리폴을 행하는 경우는 수동전환밸브(20)를 b위치로 전환시키고, 조작레버(3)를 중립위치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는, 유압펌프(2)의 토출압이 수동변환밸브(20)를 거쳐 전환밸브(22) 및 전자밸브(23)의 1차측으로 유도되고, 또 전환밸브(22)가 a위치로 유지되기 때문에 유압펌프(2)의 토출압이 유로(151)로부터 감압밸브(15)로 유도된다. 이때, 브레이크 페달(11)이 밟아져 있으면 유로(151)의 압력이 감압밸브(15)에 의해 블록되고, 브레이크 실린더(12)에 작용하는 브레이크 해제압이 유로(152)를 거쳐 탱크(16)로 해제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실린더(12)에 의하여 윈치드럼(6)은 제동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11)을 느슨하게 하면, 유로(151)의 압력이 감압밸브(15)로부터 브레이크 실린더(12)로 유도되어 윈치드럼(6)의 제동이 해제된다. 즉, 이 상태에서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한 제동이 불가능해진다. 그러나, 전자밸브(23)가 a위치로 유지된 상태이면, 클러치 실린더(7)가 전환밸브(21) 및 전자밸브(23)를 거쳐 탱크(16)와 연통하고, 그 결과 클러치 온의 상태가 지속되기 때문에, 윈치드럼(6)이 유압모터(5)의 브레이크 작용(카운터밸런스밸브(5b)에 의해 가두어진 배압에 의한 제동작용)에 의하여 제동되고, 윈치드럼(6)은 프리폴 되지 않는다.
유압모터(5)의 브레이크 작용을 해제하고 프리폴은 실행하는데는, 수동전환밸브(20)을 b위치로 전환시키는 조작과 함께, 전자밸브(23)를 b위치로 전환시킬 필요가 생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브레이크 페달(11)을 밟아 리미트스위치(30)을 온시키고, 이 상태에서 푸시버튼스위치(32)를 누른다. 그러면 제2도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전자밸브(23a)의 솔레노이드부(23a)가 여자되어 전자밸브(23)가 b위치로 전환된다. 전자밸브(23)가 b위치로 전환되면, 수동전환밸브(20)로부터 출력되는 유압펌프(2)의 토출압이 전자밸브(23) 및 전환밸브(21)를 거쳐 클러치 실린더(7)로 유도되고, 클러치가 오프된다. 이것에 의하여 프리폴이 가능해진다. 유로(210)에 압력이 상승되면 압력스위치(31)가 온으로 되고, 이것에 응답하여 경고등(33)이 점등된다. 푸시버튼스위치(32)로부터 손을 떼어도 압력스위치(31)가 온상태로 유지되므로, 일단 프리폴이 가능해지면 그 후에 푸시버튼스위치(32)를 조작할 필요는 없다. 또한, 프리폴이 가능한 상태에서, 유압펌프(2)를 구동하는 엔진이 정지하는 등, 어떠한 이유로 클러치 실린더(7)에 대한 클러치 해제압이 손실된 경우에는, 압력스위치(31)가 오프되어 전자밸브(23)가 a위치로 복귀한다. 이 경우, 수동조작밸브(20)가 b위치로 전환된 상태이더라도 브레이크 페달(11)을 밟으면, 푸시버튼스위치(32)의 조작을 동시에 행하지 않는 한 프리폴되지 않으므로 안전하다.
수동전환밸브(20)가 b위치의 경우이더라도 조작레버(3)가 조작되어 전환밸브(21, 22)가 b위치로 전환되었을 때는, 클러치 실린더(7)가 탱크(16)와 연통하여 클러치온으로 되고, 또 유압펌프(2)의 토출압이 유로(151)를 거쳐 감압밸브(15)로 유도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11)의 해방에 의하여 윈치드럼(6)의 제동이 해제되고 유압모터(5)에 의하여 윈치드럼(6)이 구동된다. 이 경우, 유압펌프(2)의 토출압이 유로(210)에 가두어져 압력스위치(31)가 온상태로 되므로, 조작레버(3)의 중립위치로의 복귀와 브레이크 페달(11)의 해방에 의하여 프리폴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프리폴이 가능한 모드에서 프리폴이 불가능한 모드로 이행하는데는, 레버(20a)에 의하여 수동전환밸브(20)를 b위치에서 a위치로 변환시키는 것만으로 좋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수동전환밸브(20)의 레버(20a)가 모드 선택 부재를, 수동전환밸브(20) 및 전환밸브(22)가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클러치(7) 및 전자밸브(23)가 전환보류수단을, 수동전환밸브(20) 및 전환밸브(21, 22)가 제어수단을, 전자밸브(23)가 클러치 전환보류수단을, 푸시버튼스위치(32)가 자동복귀형 조작부재를, 카운터밸런스밸브(5b)가 밸브수단을 각각 구성한다. 또, 수동전환밸브(20)가 a위치일때가 제1모드로, b위치일 때가 제2모드로 각각 상당하고, 푸시버튼스위치(32)의 누름조작이 확인조작에 상당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수동전환밸브(20)가 b위치로 전환조작된 시점에서 브레이크 실린더(12)에 의한 윈치드럼(6)의 제동을 해제하고, 그후는 클러치(7)를 접속상태로 유지하고 유압모터(5)의 브레이크 작용으로 윈치드럼(6)을 제동하였는데, 브레이크 페달(11)이 밟아진 상태에서 푸시버튼스위치(32)가 온될 때 까지 브레이크 실린더(12)에 대한 브레이크 해제압의 공급을 저지하고, 브레이크 실린더(12) 자체에 의하여 윈치드럼(6)을 제동하여도 된다. 전환밸브(20)는 수동변환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러치의 온·오프를 브레이크 모드의 전환과는 별도의 조작부재로 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드 선택부재에 의하여 제2모드로 선택하여도 오퍼레이터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과 동시에, 프리폴 가능한 모드로의 전화조작인 것을 의식하여 확인조작을 행하지 않는 한, 윈치드럼의 제동상태가 지속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오조작에 의한 매달린 짐의 낙하를 종래보다 더욱더 막을 수 있게된다. 특히, 청구항 2, 4항의 발명에서는 유압모터의 브레이크 작용을 이용하여 윈치드럼의 제동을 계속하므로, 새로운 브레이크 수단을 추가할 필요도 없다. 청구항 3항의 발명에서는 자동복귀형 조작부재에 의해 확인조작을 행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오퍼레이터의 의사에 상반하여 윈치드럼의 제동상태 지속이 해제될 우려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다.
Claims (4)
- 브레이크 페달 밟기조작에 연계하여 윈치드럼을 제동하는 포지티브 브레이크 기능과, 상기 페달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윈치드럼의 구동정지에 연계하여 윈치드럼을 제동하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한 브레이크 기구와, 상기 위치드럼의 프리폴이 불가능한 제1모드 와 프리폴이 가능한 제2모드중에 하나의 모드의 선택조작이 가능한 모드 선택부재와, 상기 제1모드의 선택시에는 윈치드럼의 프리폴을 금지시키도록 하여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한 상기 윈치드럼의 제동을 가능하게 하고, 제2 모드의 선택시에는 상기 프리폴을 허용하도록 하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한 윈치드럼의 제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브레이크 제어수단을 구비한 윈치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재에 의하여 제1모드에서 제2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진 상태에서 제2모드의 선택조작과는 다른 확인조작이 실행될 때 까지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윈치드럼의 구동정지에 연계하여 윈치드럼을 제동시키는 전환보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의 조작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드럼을 구동하는 유압모터와, 상기 윈치드럼의 구동정지에 연계하여 상기 유압모터의 권하방향 회전시에 리턴측에 작동유를 가두는 밸브수단을 가지며, 상기 전환보류수단은 상기 작동유가 가두어진 상기 유압모터와 상기 윈치드럼을 서로 접속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윈치드럼의 제동상태를 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의 조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조작을 받는 조작부재로서, 조작력의 해방에 의하여 조작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자동복귀형 조작부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의 조작장치.
- 유압모터로 구동되는 윈치드럼과, 상기 유압모터와 상기 윈치드럼의 접속과 접속해제를 전환하는 클러치와, 상기 유압모터의 구동을 지시하는 작동위치 와 유압모터의 구동정지를 지시하는 중립위치로 조작가능한 조작레버와, 브레이크 페달의 밟기조작에 연계하여 윈치드럼을 제동하는 포지티브 브레이크 기능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상태에 관계없이 상기 조작레버의 중립위치로의 조작에 연계하여 윈치드럼을 제동하는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한 브레이크 기구와, 상기 윈치드럼의 프리폴이 불가능한 제1모드와 상기 프리폴이 가능한 제2모드중 하나의 모드의 선택조작이 가능한 모드 선택부재와, 상기 제1모드의 선택시에는 조작레버의 중립위치로의 조작에 연계하여 네거티브 브레이크 기능에 의한 윈치드럼의 제동을 실행시키고, 상기 제2모드가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조작레버가 중립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상기 네거티브 기능에 의한 상기 윈치드럼의 제동을 저지함과 동시에 클러치를 상기 유압모터와 상기 윈치드럼을 떼어내는 오프상태로 전환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윈치의 조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제2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밟아진 상태에서 제2모드의 선택조작과는 다른 확인조작이 실행될 때 까지는,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중립위치로 리턴되어도 클러치를 상기 유압모터와 상기 윈치드럼이 접속된 온상태로 유지시키는 클러치 전환보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치의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5-150381 | 1995-06-16 | ||
JP7150381A JPH092785A (ja) | 1995-06-16 | 1995-06-16 | ウインチの操作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1203A KR970001203A (ko) | 1997-01-21 |
KR100191674B1 true KR100191674B1 (ko) | 1999-06-15 |
Family
ID=15495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21383A KR100191674B1 (ko) | 1995-06-16 | 1996-06-14 | 윈치의 조작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EP (1) | EP0748760A3 (ko) |
JP (1) | JPH092785A (ko) |
KR (1) | KR1001916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602006019645D1 (de) * | 2006-05-09 | 2011-02-24 | Navalimpianti Spa | Selbstgesteuerte winde zur handhabung von lasten auf schiffen, booten, pontons, plattformen, sowie anderen wasserfahrzeugen und dergleichen, insbesond |
JP6645937B2 (ja) * | 2016-09-13 | 2020-02-14 | 住友重機械建機クレーン株式会社 | ウインチのブレーキ装置 |
SI25547B (sl) * | 2017-11-10 | 2022-01-31 | Tajfun Planina Proizvodnja Strojev, D.O.O. | Hidravlični sklop za upravljanje navijalnega bobna s pomočjo sklopke in zavore pri gozdarskem vitlu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52077B2 (ja) * | 1977-11-28 | 1985-11-16 | 日立建機株式会社 | 油圧ウインチにおける吊り荷の落下防止装置 |
JPS56165696A (en) * | 1980-05-26 | 1981-12-19 | Komatsu Mfg Co Ltd | Brake gear for oil pressure type crane winch |
US4398698A (en) * | 1981-05-29 | 1983-08-16 | Fmc Corporation | Freefall winch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
US4549640A (en) * | 1982-01-28 | 1985-10-29 |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 Operation system for hoisting device |
JPH01145997A (ja) * | 1987-11-30 | 1989-06-07 | Kobe Steel Ltd | 油圧駆動ウインチの操作装置 |
JP3251651B2 (ja) * | 1992-08-14 | 2002-01-28 | 日立建機株式会社 | ウインチの制御装置 |
-
1995
- 1995-06-16 JP JP7150381A patent/JPH092785A/ja active Pending
-
1996
- 1996-06-14 KR KR1019960021383A patent/KR1001916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06-14 EP EP96201673A patent/EP0748760A3/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1203A (ko) | 1997-01-21 |
EP0748760A2 (en) | 1996-12-18 |
JPH092785A (ja) | 1997-01-07 |
EP0748760A3 (en) | 1998-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813518A (en) | Brake release mechanism | |
US3339672A (en) | Transmission control system | |
KR100191674B1 (ko) | 윈치의 조작장치 | |
US5484352A (en) | Switch for detecting operation of control valve spool | |
US4549640A (en) | Operation system for hoisting device | |
JP3357232B2 (ja) | 作業機械の安全装置 | |
EP0126954B1 (en) | Hydraulic disk brake circuit for crane draw works | |
JP3307890B2 (ja) | 建設機械用ウインチのブレーキ装置 | |
JPH0355398B2 (ko) | ||
US4579209A (en) | Clutch and throttle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engine speed | |
JP2529513Y2 (ja) | クレーンの巻胴制御装置 | |
JPH0624689A (ja) | ウインチの制御装置 | |
JPS6220732Y2 (ko) | ||
US4765203A (en) | Engine brake control for automatic transmission | |
JPH0130476Y2 (ko) | ||
JPH0812276A (ja) | 安全装置を備えた作業車両 | |
JPH0218068Y2 (ko) | ||
JPH0126714Y2 (ko) | ||
JPH0628990B2 (ja) | 油圧制御式クラツチ、トランスミツシヨンの非常用コントロ−ル装置 | |
JPS6037431Y2 (ja) | 巻胴自動ブレ−キの誤操作防止装置 | |
JP2569916Y2 (ja) | 駐車安全装置 | |
JPH0628991B2 (ja) | 油圧制御式クラツチ、トランスミツシヨンの非常用コントロ−ル装置 | |
KR960007600Y1 (ko) | 휠타입 굴삭기의 제동장치 | |
JP2691923B2 (ja) | 機械式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コントロール装置 | |
JPH1143293A (ja) | ウインチのクラッチ・ブレーキ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126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