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988B1 - 리튬코발트산화물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2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코발트산화물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2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988B1
KR100190988B1 KR1019980025914A KR19980025914A KR100190988B1 KR 100190988 B1 KR100190988 B1 KR 100190988B1 KR 1019980025914 A KR1019980025914 A KR 1019980025914A KR 19980025914 A KR19980025914 A KR 19980025914A KR 100190988 B1 KR100190988 B1 KR 100190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balt oxide
oxide powder
lithium cobalt
lithium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윤보
이학주
정의덕
Original Assignee
김성두
세방전지주식회사
심윤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두, 세방전지주식회사, 심윤보 filed Critical 김성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40Cobaltates
    • C01G51/42Cobalt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Co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2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정극 활성화물질로 사용되는 다염기 유기산을 사용한 착물생성 반응법으로 제조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사용하여 전극을 제조함으로써, 충방전 효율이 높고, 전지 수명이 길며, 또 단위 중량당에너지 밀도가 높은 우수한 리튬 2차전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튬코발트 산화물(LiCo02)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 2차전지
본 발명은 다염기 유기산(Humic Acid)을 사용한 착물생성 반응법으로 합성한 리튬코발트 산화물(LiCo02)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 2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튬 2차전지의 정극 활성물질로 사용되는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에 도전재및 결합재를 초음파를 사용해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전극(정극)으로 사용하는 리튬2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튬 2차전지의 정극 활성물질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첫째, 리튬과 반응시 가역적인 반응을 하여야만 한다. 즉, 충반전 효율이 거의 100% 를 나타내야 한다. 둘째, Li+이온의 삽입/탈삽입(intercalation/deintercalation)시 정극 활성물질의 구조가 파괴되지 않아야 된다.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리튬 2차전지용 정극 활성물질로서 티타늄계(TiS2), 바나듐계(VOX), 몰리브덴늄계(MoSX) 외에 각종 전이금속 산화물계(LiCo02 ,LiCo02 ,LiCoxNi1-x-02및 LiMn204) 등을 사용한 연구가 많이 진행중에 있다. 이중 리튬코발트 산화물(LiCo02)은 층진암염(layered rock salt)구조를 갖는 계열 화합물중의 하나로서, 이러한 구조는 산소의 최밀충진망(close packed network)을 기본 골격을 형성되며, 입방암염(cubic rock salt)구조의(111)면위에 존재하는 Li+Co3+이온이 각 층마다 번갈아 가며 배열(ordering)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때, (111)면에 존재하는 Li+와 Co3+이온에 의해 격자 (lattice)가 변형(distortion)된 육방정계 대칭(hexagonal symmetry)을 갖게 된다.
따라서, α-NaFe02구조를 가지며 공간군(space group) R3m(3회 회반축3개)의 결정 구조를 나타낸다.
그리고, 리튬코발트 산화물(LiCo02)을 정극 활성물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반응식 1과 같이 진행되는 전지 반응에서 충방전이 진행됨에 따라 구조의 변화가 없어야 한다.
상기 반응식 1의 충전과정에서 탈삽입(deintercalation)된 리튬 이온은 부극 활성물질로 이동하고, 방전과정이 진행되면 리튬코발트 산화물내로 삽입(intercalation)된다.
리튬코발트 산화물은 방전전압이 높고, 이온 에너지가 밀도가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합성시 출발물질의 종류, 분위기, 열처리 시간, 온도설정 조건 등에 따라 전기화학적으로 다른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개발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2차전지의 전극은, 예를들면 M, M Thackeray 그룹이 출원한 미국특허 제5, 160,-716호(1992. 11. 3.)에는 합성시 출발물질로서 무수탄산리튬(anhydeous Li2Co03)과 무수탄산코발트(anhudeous Co03)를 고체상태로 혼합한 후, 열처리온도 200℃~600℃. 열처리 시간 12~168시간, 분위기는 산소, 공기 혹은 혼합상태에서 열처리하여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제조하고 있다. 전극은 결합재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erafluoroethylene), 도전재로 아세틸렌블랙(Acetylene black)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저온에서 합성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온도에 기인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구조적 안정성 문제점으로 인해 순환 전위전류(cyclicvoltammetry)의 측정결과 산화환원을 계속하면, 산화환원파가 급격이 줄어들어 2차 전지용 활성물질로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Miyal, Seiihi가 출원한 유럽특허 제462,575호(1991. 6. 18.)에는 합성시 출발물질로 탄산리튬(Li2C03)과 탄산코발트(CoC03)를 고체상태로 혼합하여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제조하고 있다. 이 탄산리튬(Li2C03)은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내에 남아있지 않도록 하였다. 전극은 결합재로 N-메틸-2-피롤리돈(N-methl-2-pyrrolidone) 용매에 녹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ilidenefluoride)를 사용하여 혼합하고, 이 반죽을 알루미늄 박(Al foil)위에 도포하며, 60℃에서 건조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자기방전이 낮다는 장점은 있지만, 방전용량이 105mAh/g로 작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Nagaura가 출원한 유럽특허 제243,926(1987. 4. 28.)에는 합성시 출발물질로 탄산리튬(Li2C03)과 탄산코발트(CoC03)를 각각 1:1원자비(atomic ratio)로 고체 상태에서 혼합하고, 공기중에서 열처리 온도를 900℃, 5시간 동안 열처리 하여 리튬코발트 산화물을 제조하고 있다. 전극은 결합재가 테프론 분말(Teflon powder, 3중량% 또는 2중량% ), 도전재로 흑연(graphite, 27중량%, 또는 9.3중량% )을 혼합하여 펠랫(pellet)으로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은 결합재로 테프론 분말(Teflon powder)밀도가 낮아 전지당 에너지밀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또, 방전시 평탄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304664호에는 합성시 출발물질로 탄산리튬(Li2C03)1몰과 탄산코발트(CoC03) 1몰을 고체상태로 혼합하여 공기중에서 900℃, 5시간동안 열처리하여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제조하고 있다. 입자크기에 따른 결과를 보면 10~50㎛크기의 입자 사이에서 용량이 약 100mAh/g으로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용량이 높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염기 유기산(Humic Acid)을 이용한 착물생성 반응법으로 합성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에 비율을 달리한 도전재 및 결합재를 초음파와 회전교반기를 사용해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한 리튬 2차전지용 전극(정극)으로 사용하는 리튬 2차전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착물생성 반응법을 이용하여 액체상태의 착물을 합성한 후, 적절한 열처리를 시행하여 저온에서 합성하고, 입자 크기가 작으며, 결정이 잘 성장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로 제조된 전극(정극)을 사용하여 구성된 리튬 2차전지를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의 제조방법과 이를 사용한 전극 제조의 개략적인 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합성된 분말의 열무게 분석(TG)/시차열법분석(DTA)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HA-7 LiCo02) 및 2(HA-9LiCo02)의 X선 회절 무늬(XRD pattern)를 나타내는 도면.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발명의 리튬 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HA-7 LiCo02)로 제조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표면의 전자현미경(SEM) 사진을 각각 1,000배 및 2,000배 확대한 도면.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의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2(HA-9 LiCo02)로 제조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표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각각 1,000배 및 2,000배 확대한 도면.
제6a도 및 제6b도는 본 발명의 전극 제조예 1로 제조된 전극 표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각각 1,000배 및 2,000배 확대한 도면.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의 전극 제조예 2로 제조된 전극 표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을 각각 1,000배 및 2,000배 확대한 도면.
제8도는 주사속도가 0.01mV/sec일 때,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의 분말로 제조된 전극의 순환전압류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제9도는 주사속도가 2mV/sec일 때,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의 분말로 제조된 전극의 순환전압류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제10도는 주사속도가 2mV/sec일 때,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2의 분말로 제조된 전극의 순환전압류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리튬 함량에 따른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의 분말로 제조된 전극으로 시험전지를 구성한 경우 정전류 충방전 곡선을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리튬 함량에 따른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의 분말로 제조된 전극과 MCMB 6-28 산화전극을 사용하여 제조된 전지의 구성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정전류 충방전 동안의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 전극의 충방전용량 및 충방전 효율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리튬 2차전지의 구성시 사용한 밀폐식 원통형 테프론 전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여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다염기 유기산(Humic acid)을 물에 용해시킨다. 이 유기산 용액에 수산화리튬(LiOH·H2O) 수용액을 서서히 떨어뜨려 저어주면서 충분히 반응시킨다.
또, 이 수용액에 질산코발트(Co(No3)2·6H20) 수용액을 떨어뜨려 저어주면서 가열하여 겔(Gel) 상태의 유기산 착화물(금속착물)을 형성한다(액성반응공정). 이겔상태의 유기산 착화물을 핫플레이트에서 건조, 연소시켜 리튬코발트 산화물의 전구물질(precursor)을 합성한다(합성공정). 이 합성된 전구물질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 공기 분위기, 350℃에서 6시간, 450℃에서 12시간동안 하소시켜 1차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만든다(1차 열처리공정). 이 1차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분쇄하고, 다시 700℃혹은 900℃에서 24시간동안 열처리한 후,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시켜 2차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소결한다(2차 열처리공정). 이 2차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미세하게 분쇄한 후, 체(sieve)를 사용하여 45㎛이하 크기의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얻는다(필터링공정). 이 리튬코발트 산화물은 합성이 안료된 후에도 공기중에서 안정하다.
제2도에 착물생성 반응법으로 합성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의 열처리 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발의 열무게 분석(TG)/시사열법분석(DTA)곡선을 나타내었다. 600℃이후에는 중량 감소가 거의 없고, 반응이 완료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다음에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사용한 전극의 제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조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85중량% 의 정극 활성물질과 아세틸렌블랙 10중량% 의 도전재 및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NMP)용매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ildenefluoride)(PVDF)를 녹인 5중량% 의 결합재를 초음파와 회전교반기를 사용해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1cm×1cm(단면기준, 면적 1cm2)의 유기용제로 표면처리한 SUS 316 exmet(혹은 Al foil 두께 20㎛ 집전극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150℃에서 24시간동안 진공 건조한 후 10㎫의 압력(혹은 roll press)으로 압착하여 전극(정극)을 제조한다. 전극(정극)제조시 정극 활성 물질은 90중량% 까지 사용 가능하며, 도전재의 비율은 12~15중량% 이다.
다음, 상기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을 사용하여 구성된 리튬 2차전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합성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과 도전재 및 결합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을 정극으로, 리튬, 리튬 알루미늄합금, 탄소 혹은 흑연계통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전극을 부극으로, 리튬과 염소산(LiCl04)을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에 녹인 전해질을 사용하여 리튬 2차전지를 구성한다. 전해질은 LiA5F6,LiPf6, LiBF, LiCl04도 사용 가능하며, 용매는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1,2-디메톡시에탄(1,2-dimethoxyethane),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등의 혼합 용매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은 수분 함량이 적어야 되며, 입자의 크기가 45㎛이하일 때 가장 우수한 충방전 특성을 유지한다.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
다염기 유기산 (Humic acid)을 물에 용해시킨다. 이 유기산 용액에 수산화리튬(LiOH·H20)수용액을 서서히 떨어뜨려 저어주고, 또 질산코발트(CO(NO3)2·6H2O)수용액을 떨어뜨려 저어주면서 금속착물을 형성시킨 후, 핫 플레이트로 건조 및 연소시켜 전구물질(precursor)을 합성한다. 이 전구물질을 공기 분위기, 350℃에서 6시간, 450℃에서 12시간 동안 하소시키고, 700℃에서 24시간동안 열처리하여 분쇄한 다음, 700℃에서 24시간동안 한번 더 열처리하여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제조한다.
제3a도는 제조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HA-7 LiCoCO2) X-선 회절무늬(XRD pattern)를 나타내었다. 사용된 X선은 니켈필터(Ni filter)로 단색화시킨 CuK α1선이었고, 전압은 30kV를 사용하였다. 육방정계로 하여 무늬 색인(peak indexing)을 하면 왼쪽으로부터 각 무늬(peak)는 (003),(101), (006), (102), (104), (105), (107), (108), (110), (113)결정면에 해당한다. 18°부근의 (003)면의 피이크가 매우 커 결정이 잘 발달된 산화물이 합성되었음을 볼 수 있다.
격자상수를 구하면 a축과 c축은 각각 2.089Å, 14.972Å였다.
1(003)/1(104)는 6.70이고, c/a는 4.98이었다.
제4a도 및 제4b도에는 리튬코발트산화 분말 제조예 1(HA-7 LiCo02)의 표면 현상을 관찰한 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나타내었다. 10㎛이하의 입자들이 뭉쳐져 있으며, 입자 표면이 매끈하고 결정의 성장이 잘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2]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구물질을 합성하고, 최종 열처리 온도를 900℃에서 24시간동안 열처리하고 분쇄한 다음, 900℃에서 24시간 동안 한번 더 열처리하여 리튬코발트 산화물을 제조한다.
제3b도는 제조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Ha-LiCo02)의 X-선 회절 무늬를 나타내었다. 분말 제조의 예 1과 마찬가지로 (003)면의 피이크가 크고 결정이 잘 발달되었음을 볼 수 있다. 격자상수를 구하면 a와 c는 각각 2.828Å, 14.075Å였다. 1(003)/1(104)는 8.09이고, c/a는 4,99이었다.
제5a도 및 제5b도에는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2(HA-LiCo02)의 표면 현상을 관찰한 전자현미경 사진을 나타내었다. 약 30㎛크기의 입자와 작은 입자들이 섞여 있음을 볼 수 있다.
[전극 제조예1]
전극(정극)은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85중량% 의 정극 활성물질과, 아세틸렌블랙 10중량% 의 도전재 및 N-메틸피롤리돈(NMP) 용매에 폴리비닐덴플루오라이드(PVDF)를 녹인 5중량% 의 결합재를 초음파와 회전교반기를 사용해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5cm×50cm(단면기준, 면적 250㎡)의 Al 박(foil)집전극 양면에 테이프 캐스팅(Tape casting)법으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15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한 후 전극(정극)을 제조한다.
[전지 구성 예]
정극 활성물질인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과, 도전재인 아세틸렌 블랙 및 결합재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초음파로 혼합해서 알루미늄 박위에 양면 도포하여 제조된 정극과, MCMB 6-28을 구리 박위에 양면 도포하여 제조된 부극을 셀가드(Celgard) 2400으로 격리시켜 감아서 만든 원통형 전지를 1.0M리튬과염소산/프로필렌카보네이트+디메틸카보네이드(LiCl04/propylene carbonate + dimethyl car bonate)의 전해액을 사용하여 시험 전지(Test cell)를 구성한다. 전극면적은 5cm ×50cm(단면기준, 250㎠), 전기화학적 측정에 사용되는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 및 상대전극(counter electrode)은 순수한 리튬 금속 박(foil)을 사용하였고, 테프론 재질의 원통(φ15mm×100mm)을 사용하였다.
또한, 전극 제조예 1을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으로 구성된 전지(cell)를 이용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실험하였다. 주사속도 0.01mV/sec에서의 순환전압전류 곡선을 제8도에 나타내었다. 4.9V와 3.85V에서 산화 환원파가 나타났다. 주사속도 2mV/sec에서의 전위영역을 4.3V~3.0V로 85회 순환시켰을 때의 순환전환곡선을 제9도에 나타내었다.
리튬코발트 산화물(LiCo02)/리튬 전지는 개로전압(open circuit voltage)이 3.05V~3.14V이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3.84V에서부터 산화(전지 반응시 충전, 탈삽입)가 시작되고, 환원(전지 반응시 방전, 삽입)은, 4.15V에서 환원이 시작된다.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로 만든 전극의 경우 85회 정도 순환시켜도 산화/환원용량이 거의 일정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제10도에서는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2로 만든 전극을 사용하여 주사속도 2mV/sec, 전위영역 4.3~3.0V로 80회 순환시켰을 때의 도면으로,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로 만든 전극과는 다르게 17회까지 서서히 줄어들고, 이후는 산화 환원용량이 거의 일정한 현상을 나타내었다.
제11도에는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제조예 1의 분말을 사용하고, 전극 제조예 1로 만든 전극을 정극으로, 부극으로는 MCMB 6-28을 사용하여 구성한 리튬 이온 2차전지의 충방전 곡선을 나타내었다. 충전시는 3.5V 부근, 4.0V 및 4.2V부근에서 평탄한 전압 곡선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MCMB 6-28/Li 사이의 전압에 의한 현상임을 볼수 있다. 이는 MCMB 6-28/Li 사이에는 0.1V이하로 전압이 내려가지 않으며, 이러한 현상은 부극보다 정극 물질의 양이 많아 전극 물질간의 불균형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방전시는 4.0V에서 3.6V사이에 완만한 전압 곡선의 기울기를 나타내고, 3.6V이하에서는 급격히 전압 곡선이 떨어지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MCMB 6-28/Li 사이에 0.2V 전압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데 충전시와 같이 전극 물질의 불균형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제13도에 충방전 횟수에 대한 충방전 용량 변화는 충방전 효율의 변화관계를 도시하여 나타내었다. 전극물질의 최대 이용율은 리튬코발트 산화물의 경우 109.8mAh/g이었고, MCMB 6-28은 274mAh/g을 나타내었다. 충방전에서도 제13도에서처럼 98~99% 의 충방전 효율을 나타내었다. 60번째 충방전시 578.2mAh/567.4mAh의 충방 용량을 나타내어 방전 용량이 첫회의 83.3% 를 나타내었다. 원통형으로 구성한 시험용 전지를 제14도에 나타내었고, 제12도에 전지 구성시 사용한 규격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합성한 리튬코발트 산화물(LiCo02)(0≤×≤1.1)은, 첫째, 액상반응(공침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므로 열처리 온도를 낮출 수 있고, 둘째, 화학량론적으로 균일한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고, 셋째, 입자가 작은 분말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리튬 2차전지(이온전지)의 정극 활성물질로 사용할 경우 전압 평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충방전 효율이 높고, 전지 수명이 길며, 단위 중량당 에너지밀도가 높은 우수한 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소형 고성능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대용량 전지의 정극 활성물질로도 사용 가능하다.

Claims (1)

  1. 다염기 유기산 (Humic acid)을 물에 용해시키면서 수산화리튬(LiOH·H20) 수용액을 서서히 떨어뜨려 저어주면서 충분히 반응시킨 후, 질산코발트(Co(N03)2·6H20) 수용액을 떨어뜨려 저어주면서 가열하여 겔(Gel)상태의 유기산 착화물(금속착물)을 형성하고(액상반응공정), 상기 겔(Gel)상태의 유기산 착화물을 핫플레이트에서 건조, 연소시켜 리튬코발트 산화물의 전구물질(precursor)을 합성하며(합성공정), 상기 합성된 전구물질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어 공기 분위기, 350℃에서 6시간, 450℃에서 12시간동안 하소시켜 1차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만들고 (1차 열처리공정), 상기 1차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분쇄하여 다시 700℃혹은 900℃에서 24시간동안 열처리한 후, 실온까지 서서히 냉각시켜 2차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소결하며(2차 열처리공정), 상기 소결된 2차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미세하게 분쇄한 후, 체(sieve)를 사용하여 45㎛이하 크기의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을 얻고(필터링공정), 상기 얻어진 리튬코발트 산화물 분말 85중량% 의 정극 활성물질과 아세틸렌블랙 10중량% 의 도전재 및 N-메틸피롤리돈(N-methyl-pyrrolidone)(NMP) 용매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ildenfluoride) (PVDF)를 녹인 5중량% 의 결합재를 초음파와 회전교반기를 사용해서 균일하게 혼합한 후, 1cm×1cm(단면기준, 면적 1㎠)의 유기용제로 표면처리한 SUS 316 exmet(혹은 Al foil 두께 20㎛)집전극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하여 150℃에서 24시간동안 진공 건조한 후 10㎫의 압력(혹은 roll press)으로 압착하여 제조된 정극과, 탄소계통(MCMB6-28)의 재료를 사용하여 구리 박위에 양면 도포하여 제조된 부극과, 상기 정극 및 부극을 서로 격리시켜 감아 원통형 전지를 만드는 셀가드(Celgard) 2400 및 리튬과염소산(LiCl04)을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와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에 녹인 전해질을 구비하여 제조된 리튬 2차전지.
KR1019980025914A 1995-12-21 1998-06-30 리튬코발트산화물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2차전지 KR100190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465A KR0158281B1 (ko) 1995-12-21 1995-12-21 리튬코발트산화물 분말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 및 리튬 2차전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465A Division KR0158281B1 (ko) 1995-12-21 1995-12-21 리튬코발트산화물 분말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 및 리튬 2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0988B1 true KR100190988B1 (ko) 1999-06-15

Family

ID=194423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465A KR0158281B1 (ko) 1995-12-21 1995-12-21 리튬코발트산화물 분말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 및 리튬 2차전지
KR1019980025914A KR100190988B1 (ko) 1995-12-21 1998-06-30 리튬코발트산화물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2차전지
KR1019980025913A KR100190987B1 (en) 1995-12-21 1998-06-30 Electrode made from lithium cobalt oxide powd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465A KR0158281B1 (ko) 1995-12-21 1995-12-21 리튬코발트산화물 분말의 제조방법,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극 및 리튬 2차전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913A KR100190987B1 (en) 1995-12-21 1998-06-30 Electrode made from lithium cobalt oxide pow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01582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335B1 (ko) * 2002-10-29 2005-04-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구체 표면 개질 방법을 이용한 리튬코발트산화물나노분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0987B1 (en) 1999-06-15
KR970042276A (ko) 1997-07-24
KR0158281B1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147B1 (ko) 마그네슘으로 도핑된 망간 스피넬, 상기 망간 스피넬을 포함하는 캐소드 재료, 이들의 조제 방법 및 상기 스피넬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Ein‐Eli et al. LiNi x Cu0. 5− x Mn1. 5 O 4 Spinel Electrodes, Superior High‐Potential Cathode Materials for Li Batteries: I. Electrochemical and Structural Studies
CN100433422C (zh) 可充电锂电池的正极活性物质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它的可充电锂电池
CA2796903C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electrolyte cell
KR10032645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N108923044B (zh) 含掺杂的镍酸盐化合物的组合物
US7258821B2 (en) Nickel-rich quaternary metal oxide materials as cathodes for lithium-ion and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JP7207261B2 (ja) 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JPH0922693A (ja) 非水電解液電池およびその正極活物質と正極板の製造法
JP2000058059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6776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正極活物質用リチウム遷移金属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1052465A (zh) 非水系电解质二次电池用正极活性物质及其制造方法、以及使用该正极活性物质的非水系电解质二次电池
JP7468590B2 (ja) リチウム化合物粉末
CN112768645A (zh) 正极活性物质的制造方法和锂离子电池的制造方法
KR20200022359A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과 리튬 이차 전지
JP2003242974A (ja) 正極活物質及び非水電解質電池の製造方法
JP3974396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CN112909256A (zh) 钙钛矿型氧缺位化合物改性富锂锰基正极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JP2003017049A (ja) リチウム二次電池正極活物質用リチウム遷移金属複合酸化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57240B1 (ko) 공침법을 이용한 리튬 2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를이용한 리튬 2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AU2460501A (en) Nickel-rich and manganese-rich quaternary metal oxide materials as cathodes for lithium-ion and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JP7480527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190988B1 (ko) 리튬코발트산화물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된 리튬2차전지
JP2000128540A (ja) マンガン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マンガン酸化物を用いた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3571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