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998B1 - 회전압축기 - Google Patents

회전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998B1
KR100188998B1 KR1019950072254A KR19950072254A KR100188998B1 KR 100188998 B1 KR100188998 B1 KR 100188998B1 KR 1019950072254 A KR1019950072254 A KR 1019950072254A KR 19950072254 A KR19950072254 A KR 19950072254A KR 100188998 B1 KR100188998 B1 KR 100188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hamber
rotary compressor
valve seat
sea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7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816A (ko
Inventor
히로카즈 이이즈카
마사시 오무라
마사타카 곤도
히데키 고바야시
히로유키 미츠노
다케야 야마자키
가츠오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60023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04C29/12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 F04C29/128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of the elastic type, e.g. re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7043Guards and shields
    • Y10T137/7062Valve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냉동기계나 냉장고, 공기조화기 등의 냉동사이클에 편입되는 회전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구를 개량해서 소음을 줄이고 압축효율을 향상시킨 회전압축기에 관한것으로,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고 압축효율의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실린더의 볼륨이 있는 토출실에 의해 소음감소를 도모하도록 한 회전 압축기를 제공하고, 회전 압축기(10)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식 압축기구(13)를 밀폐케이싱(11)내에 수용하며, 이 실린더 내부둘레면의 일부가 밸브시트판(50)에 의해 구성되고 이 밸브시트판(50)에 토출구멍(3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압축기
제1도는 본 발명에 회전압축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회전압축기에 들어간 회전식 압축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회전식 압축기구에 구비된 밸브시트 편입식 실린더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나타낸 회전식 압축기구를 확대하고 힘의 작용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회전식 압축기구의 흡입구를 실린더외부로부터 V방향에서 본 부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회전식 압축기구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트윈회전식의 회전식 압축기구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트윈회전식의 회전식 압축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10B, 10C : 회전압축기 11 : 밀폐케이싱
12 : 전동기
13, 13A, 13B, 13C, 13D : 회전식 압축기구
15 : 고정자 16 : 로터
17 : 회전샤프트 17a : 크랭크부
20 : 메인베어링 21 : 서브베어링
22, 22A : 실린더(밸브시트 편입식 실린더) 24 : 서포트프레임
25 : 실린더실 26 : 롤러피스톤
27 : 블레이드홈 28 : 블레이드
30 : 흡입구 31 : 토출구
33 : 어큐뮬레이터(accumulater) 35 : 토출밸브기구
36 : 토출실 37 : 챔버커버
38 : 누름 스프링 40 : 서브머플러실
41 : 토출실 출구구멍 43 : 연결구멍
44 : 메인머플러실 45, 46 : 베어링커버
50 : 밸브시트판 52 : 밸브플레이트
52 : 밸브가이드 55 : 토출파이프
60 : 칸막이판
본 발명은 각종 냉동기계나 냉장고, 공기조화기 등의 냉동사이클에 편입되는 회전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구를 개량해서 소음을 줄이고 압축효율을 향상 시킨 회전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냉동기계나 냉장고,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냉동사이클에 편입되어 있는 회전 압축기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압축기구를 밀폐케이싱내에 수용되고, 이 회전식 압축기구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실에서 밀폐케이싱내를 통과해서 냉동사이클에토출하고 있다.
종래 회전식 압축기구의 실린더는 주조품으로 이 실린더의 흡입된 냉매를 실린더내에 압축하고 메인베어링 또는 서브헤어링측에 형성된 토출실을 지나 메인머플러실 또는 메인베어링측에 형성된 토출실을 지나 메인 머플러실 또는 서브머플러실에 토출시키고 있다. 메인머플러실 및 서브머플러실은 각각 메인베어링 및 서브베러링을 덮는 베어링커버로 형성된다.
서브머플러실에 토출된 냉매는 연결구명을 통해 메인머플러실에 도입되고 이어서 이 메인머플러실에서 밀폐케이싱내에 안내된다.
종래의 회전압축기에서는 메인베어링이나 서브베어링에 형성한 토출통로가 토출밸브를 수용한 토출실으로서 이용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토출실로서 충분히 기능하는 공간을 얻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실린더내 둘레측 단부에 토출포트용 절개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이 절개부의 존재에 의해 최대압축시에 있어서 압축용적을 형성하는 빈틈이 생기고 톱클리어런스의 감소가 어려워지고 압축효율의 향상이나 소음저감을 도모하는 데에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제 62-20186호 공보에는 주조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내에 토출실을 형성하는 회전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회전 압축기에서는 실린더내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실린더보어의 종축과 평행하게 실린더체 드릴 등으로 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이 구멍을 토출실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토출실에는 칼밸브라 부르는 토출밸브를 수용시키고 토출실은 토출구를 통해 실린더보어와 연이어 통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보어의 내부둘레면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절삭가공해서 필요한 형태를 얻도록 하고 있다.
실린더를 주조에 의해 형성한 후 실린더체에 실린더보어와 평행하게 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주조에 의해 토출실을 형성해서 내부에 컬밸브를 수용한 종래의 회전압축기에서는 토출실을 크게 형성할 수 없었다. 또한 토출구(토출구멍)를 블레이드홈에서 떨어트림과 동시에 블레이드홈과 토출구간의 실린더벽의 내부두께를 크게하고 또는 토출구의 용적을 어느정도 확보해야하기 때문에 톱클리어런스의 감소가 곤란했다. 또한 토출실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없고 실린더 높이방향에서의 토출실의 차폐가 곤란하기 때문에 압축율의 향상과 소음의 감소를 도모하는 데에 문제가 있었다.
또한, 메인베어링이나 서브베어링에 토출실을 형성하고 이 토출실에 토출밸브를 설치한 종래의 회전압축기에서는 토출실의 볼륨을 충분히 확보 할 수 없기 때문에 토출밸브를 조립하는 것이 곤란하고 토출냉매의 압력맥동(pressure pulsaion)을 충분히 감쇠시킬 수 없는 상태에서 밀폐케이싱내에 토출되기 때문에 회전 압축기의 운전에 동반되는 소음을 충분히 감소기키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실린더에 형성되는 흡입구가 원형형상으로 가공되고 있는 경우에는 롤러피스톤의 회전방향(회전운동 방향)의 흡입구의 개구폭이 크게 되고 롤러피스톤의 압축개시점이 늦어지기 때문에 그 만큼 압축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고 압축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실린더내의 토출실의 볼륨을 확보해서 소음저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회전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내에 충분한 용적이 확보된 토출실을 설치하고 압축냉매의 토출맥동에 기인하는 소음·진동을 감소시키고 소음이나 진동의 외부전달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 회전압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의 제조시에 밸브시트판을 미리 편입해서 토출실을 형성한 토출실의 다음 가공이 불필요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며 밸브시트판과 실린더 주물과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키고 안정화시킬 수 있는 회전압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출실내로의 토출밸브의 조립을 간단하고 또는 용이하게 실행하는 한편, 토출냉매의 압력 맥동을 감소시켜 소음을 충분히 감소시킨 회전압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롤러피스톤의 압축개시점을 앞당겨서 압축효율을 향상시킨 회전압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린더형상을 표준화해서 범용성을 갖게 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값싼 회전압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린더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압축실이 형성되는 회전식 압축기구를 밀폐케이싱내에 수용하고 상기 실린더내 둘레면에 토출구를 형성한 회전압축기에있어서 상기 실린더내 둘레면의 일부를 밸브시트판에 의해 구성하고 이 밸브시트판의 토출구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는 밸브시트판의 재질을 강판으로 하고 실린더 주조시에 이 밸브시트판을 편입해서 밸브판 조립식 실린더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밸브시트판의 두꼐는 0.5㎜ ~ 3㎜정도로 하는 것이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밸브시트판은 니켈(Ni)을 3중량% 이상 포함하는 강판 또는 판표면에 니켈(Ni)도금을 실시한 강판으로 구성하거나 또한 밸브시트판은 크롬(Cr)을 10중량% 이상 포함하는 스텐레스 강판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에서는 밸브시트판을 L자형으로 접어 구부리고 그 L자형상의 접어 구부러진 부분을 블레이드홈의 홈측벽 일부에 구성하면 좋고 또한 실린더내 둘레면을 구성하는 실린더체와 밸브시트판의 블레이드홈 반대측 부분과의 경계부를 바깥쪽으로 연장시킨 경계면과 상기 경계부를 통과하는 실린더 내부둘레면의 외부 접촉면과 일정한 각도로 교차시킨 것이다.
실린더에는 토출구를 통해 압축실에 연이어 통하는 토출실을 형성하고 이 토출실에 상기 토출구를 덮는 토출밸브기구를 설치하거나 또한 이 토출실에는 실린더축선과 대략 평행한 토출실 출구구멍을 형성하는 한편 압축기구는 메인베어링 및 서브베어링을 구비하고 이들 메인베어링 및 서브베어링을 덮는 베어링커버에 의해 메인머플러실 및 서브머플러실을 각각 형성하는 한편, 토출실을 토출실 출구구멍을 통해 서브머플러실에 연이어 통과시키고 이 서브머플러실과 메인머플러실을 연이어 통과시키는 연통구멍을 설치해서 메인머플러실을 밀폐케이싱내에 연이어 통과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린더를 구비하고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식 압축기구를 밀폐케이싱내에 수용하고 상기 실린더 내부둘레면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토출구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토출실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토출실을 실린더 바깥쪽에서 덮는 챔버커버로 닫는다.
상기 실린더는 내부둘레면의 일부를 밸브시트판에 의해 형성하고 이 밸브시트판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챔버커버를 진동제어 강판으로 구성하고 또는 실린더에 포함되는 흑연입자의 형상보다 큰 조각형상의 흑연을 주성분으로 한 주물재료로 구성하고 또는 상기 챔버커버와 실린더의 접촉부에 탄력성을 가지는 시일수단을 끼워 장착함과 동시에 챔버커버를 판 용수철 등의 탄성누름수단을 사용해서 실린더에 고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린더를 구비하고,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피스톤을 구비하며 압축실이 형성되는 회전식 압축기구를 밀폐케이싱내에 수용하고, 상기 압축실에 접해있는 흡입구를 상기 실린더에 설치한 회전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내부둘레면측에 개구하는 흡입구중 적어도 롤러피스톤의 회전방향 하류측의 흡입구 가장자리를 회전 샤프트으 축선과 대략 평행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는 내부둘레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밸브시트판을 구비하고 이 밸브시트판에 토출구를 형성하거나 상기 실린더에 형성되는 흡입구는 상기 롤러피스톤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실린더를 구비하고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회전식 압축기구를 칸막이판을 끼워 밀폐케이싱내에 일체로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구는 메인베어링 및 서브베어링을 구비하고 이들 메인베어링 및 서브베어링을 덮은 베어링커버에의해 메인머플러실 및 서브머플러실이 각각 형성된 회전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양 압축기구의 실린더내에 토출실을 각각 형성하고 2개의 실린더에 형성되는 토출실 끼리를 연통구멍에서 서로 통하게 하는 한편, 적어도 서브베어링측 실린더의 토출실을 지나 메인머플러실에 통하고 이 메인머플러실을 밀폐케이싱내에 연이어 통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는 실린더 내부둘레면의 일부를 밸브시트판으로 구성하고 이 밸브시트에 토출구를 형성한 것으로 토출구부의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켜 압축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린더의 주조시에 강판제조 밸브시트판을 주형내에 편입하고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주조에 의해 일체로 틀성형한 것으로 실린더의 주물을 제조할 때 밸브시트판을 실린더에 일체로 편입함으로써 접합력이 높고 고강도의 결합이 될뿐만 아니라 제조성이 양호하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얻을 수 있다.
이 밸브시트판은 0.5㎜ ~ 3㎜정도의 판두께의 강판으로 구성하면 주물로 형성한 토출구와는 다르고 토출구부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고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켜 압축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밸브시트판에 니켈(Ni)을 3중량% 이상 포함하는 강판 또는 판표면에 니켈도금을 실시한 강판으로 형성하면 주조시에 밸브시트판의 Ni 성분이 용출해서 친숙성이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고 실린더주물과 일체가 된 결합(융합)이 가능하게되고 실린더주물과 밸브시트판의 접합력을 향상시켜 고강도의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한 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다.
밸브시트판을 크롬(Cr) 10중량%(wt%)이상 포함한 스테인레스강판으로 구성하면 밸브시트판의 내열·내변형 강도가 크고 주조시의 밸브시트판의 변형이 극히 적어 대량생산에 적합한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정밀하게 제조할 수 있다.
밸브시트판을 L자형으로 접어 구부리고 이 L자형의 접어구부린 부분을 블레이드홈의 홈측벽 일부에 구성한 경우 밸브시트판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블레이드홈측에 접근시킬 수 있고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켜 압축휴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홈은 블레이드 슬라이딩 하중이 적은 홈측벽의 일부만을 밸브시트판으로 구성하고, 큰 블레이드 슬라이딩 하중이 작용하는 홈측벽은 내마모성이 뛰어난 주물재로 구성할 수 있어 블레이드의 슬라이딩 성능과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압축기 성능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실린더 내부둘레면을 구성하는 주물의 실린더체를 밸브시트판의 블레이드홈 반대측 부분과의 경계부를 바깥쪽으로 연장시킨 경계면과 상기 경계부를 통하는 실린더 내부 둘레면의 외부 접촉면과 일정한 각도로 교차 시키기 때문에 교차부분의 주물각도를 크게 취할 수 있고 경계부 부근에 있어서 주물과 밸브시트판의 결합강도가 향상하고 주물의 결함을 유효하고 확실하게 방지해서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양호한 품질의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얻을 수 있다.
실린더내에 형성되는 토출실과 압축실은 엷은 두께의 밸브시트판으로 나누어 지기 때문에 많은 용적량의 토출실을 형성할 수 있는 한편, 토출실은 실린더의 주조시에 성형되기 때문에 토출실을 형성하기 위한 다음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어 경제성이 양호하게 된다.
토출실에 실린더 축선과 거의 평행한 토출실 출구구멍은 형성이 용이하고 실린더의 표준화나 범용화가 가능하게 되어 대량생산에 적합한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다.
실린더내에 용적량이 많은 토출실을 형성하는 한편, 이 토출실에 토출된 압축냉매를 서브머플러실, 메인머플러실을 차례대로 지나 밀폐케이싱내로 안내하는 구성은 여러단계의 머플러작용에 의해 소음을 저감시키고 압력맥동을 평활화시켜 밀폐케이싱의 외부에 토출냉매의 압력맥동에 수반하는 소음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의 반경방향으로 토출실이 일체로 성형되고 이 토출실을 실린더 외측에서 챔버커버로 덮어 닫기 때문에 토출실의 용적을 충분하게 취할 수 있고 토출밸브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한편, 이 토출실로 토출냉매의 출력맥동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압축기의 운전소음을 대폭으로 저하 시킬 수 있다.
실린더 내부둘레면의 일부를 밸브시트판으로 구성해서 이 밸브시트판에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토출구부의 용적을 감소시키고 톱클리어런스가 작게 되기 때문에 압축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실을 덮는 챔버커버를 진동제어 강판 또는 흑연 입자의 큰 조각형상 흑연을 주성분으로 한 주물재료로 구성한 경우 토출냉매의 압력맥동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은 진동제어 강판성 또는 조각형상 흑연을 주성분으로 한 챔버커버를 통과할 때 대폭으로 감소되고 소음이나 진동이 경감된다.
이 챔버커버와 실린더의 접촉부에 탄력성이 있는 시일수단을 사이에 두고 챔버커버를 실린더에 탄성수단을 통해 고정했기 때문에 챔버커버를 실린더에 원터치로 장착시킬 수 있고 원터치로 장착해도 챔버커버로부터 토출냉매가 누설하는 것을 미연에 또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린더의 내부둘레면측에 개구하는 흡입구를 롤러피스톤의 회전방향(회전운동 방향)하류측의 흡입구 가장자리를 회전축과 거의 평행한 직선형상으로 하면 롤러피스톤에 의한 압축개시점을 앞당길 수 있고, 그 만큼 압축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의내부둘레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밸브시트판에 토출구를 형성하면 토출구부의 용적을 줄일 수 있고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압축효율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실린더의 흡입구는 롤러피스톤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했기 때문에 흡입파이프의 접속은 종래구조와 동일하게 해서 압축개시점을 빠리 할 수 있고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개의 회전식 압축기구를 칸막이판에 끼우고 밀폐케이싱내에 일체로 수용한 형식의 회전압축기의 경우라도, 양 실린더내에 토출실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양 실린더의 토출실 끼리를 연이어 통과시키기 때문에 실린더의 형상을 거의 또는 완전히 동일형상으로 할 수 있어 실린더의 규격화, 표준화, 범용화가 가능하게 되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값싼 회전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의 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의 한 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 회전압축기는 냉동쇼케이스 등의 냉동기계나 냉장고, 공기조화기 등에 구비되는 냉동사이클에 편입된다.
회전압축기(10)는 세로형태로 되어 있고 압축기케이스의 밀폐케이싱(11) 내부에는 전동기(12)와 이 전동기(12)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식 압축기구(13)가 각각 수용되어 있다. 전동기(12)는 밀폐케이싱(11)내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자(15)와 이 고정자(15)내에 수용되는 로터(16)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16)는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회전샤프트(17)와 일체로 구성되고 통전단자(18)를 경유해서 고정자(15)의 권선에 전력이 공급되면 회전구동된다.
회전샤프트(17)는 회전식 압축기구(13)의 메인베어링(20)과 서브베어링(21)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지지된다. 이 메인베어링(20)과 서브베어링(21)은 주물제의 실린더(22)를 상하방향으로 끼우도록 해서 부착하고, 실린더(22)를 관통하는 조임 볼트(23)를 사용해서 고정되어 있다. 실린더(22)는 밀폐케이싱(11)에 압입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된 서포트프레임(24)을 통해 밀폐케이싱(11)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회전식 압축기기(13)의 실린더(22)내에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실(25)이 형성되고 이 실린더실(25)에 롤러피스톤(26)이 수용되어 있다. 이 롤러피스톤(26)는 회전샤프트(17)의 크랭크부(17a)에 장착되고 회전샤프트(17)의 회전구동에 따라 실린더실(25)내를 구동하면서 편심회전하고 실린더실(25)내에 공급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작용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식 압축기기(13)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실(25)에 접속하는 블레이드홈(27)이 형성되고 이 블레이드홈(27)은 블레이드(28)가 부착되어 있다. 이 블레이드(28)의 후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용수철이 부착되고 이 용수철에 의해 실린더실(25)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실린더실(25)은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28)에 의해 흡입측과 압축측 챔버(25a, 25b)로 나누어진다. 상기 실린더(22)에는 블레이드홈(27)을 끼운 양측에 냉매를 흡입하는 흡입구(30)와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구(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30)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입파이프(32)를 통해 어큐뮬레이터(33)에 접속되어 있다. 이 어큐큘레이터(33)에 보내진 냉매는 기체와 액체로 분리되고 그 결과 가스냉매가 실린더실(25)의 흡입측 챔버(25a)에 흡입되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22)의 내부둘레면에 형성되는 흡입구(30)는 제5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롤러피스톤(26)의 축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롤러피스톤(26)의 축방향 하류측의 흡입구 가장자리(30a)를 회전샤프트(17)의 축선과 대략 평행한 직선형상으로 함으로써 롤러피스톤(26)에 의한 압축개시점을 △L 만큼 앞당길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원형의 흡입구에 비해 흡입단면적을 동일하게 한 경우에도 롤러피스톤(26)에 의한 압축개시점을 블레이드(28)측에 접근해서 앞당길 수 있고 그 만큼 압축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토출구(31)는 리드밸브로 이루어지는 역방지밸브를 구비한 토출밸브기구(35)를 통해 실린더(22)내에 형성된 토출실(36)에 연이어 통하고 압축측 챔버(25b)에 압축된 냉매가 소정의 압력을 초과하면 토출밸브기구가 열리고 압축냉매는 토출구(31)에서 토출실(36)로 보내진다. 챔버커버(37)는 토출실(36)을 덮는 것으로 실린더(22)의 외부둘레측에서 판용수철이나 코일용수철 등의 탄성누름수단(38)을 사용해서 실린더(22)의 걸어맞춤 돌기(22a)에 고정해서 설치되어 있다.
챔버커버(37)와 실린더(22)와의 접촉부에는 패킹 또는 고무재료 등으로 이루어진 탄력성을 가지는 시일수단(39)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 시일 수단(39)은 챔버커버(37) 또는 실린더(22)의 적어도 한쪽에 미리 장착해 두면 좋다.
챔버커버(37)는 소음이나 진동에 대해 감쇠특성이 큰 동판이나 실린더에 포함되는 흑연입자보다 형상이 큰 조각형상의 흑연을 주성분으로 한 주물재료로 구성하고 토출실(36)에 토출되는 토출냉매의 압력맥동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을 대폭으로 감쇠할 수 있다. 또한 챔버커버(37)는 탄력성있는 시일수단(39)을 통해 실린더(22)의 토출실(36)개구를 덮도록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소음이나 진동의 감쇠특성을 향상시키고 회전압축기의 운전소음이나 진동을 보다 한층 감소시킬 수 있다.
실린더(22)의 토출실(36)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머플러실(40)에 통하는 토출실 출구구멍(41)이 뚫려 설치되어 있다. 이 서브머플러실(40)은 실린더(22)에 형성되는 연락구멍(43)을 통해 메인머플러실(44)에 연이어 통해져 있다. 이들 메인머플러실(44) 및 서브머플러실(40)은 메인베어링(20), 서브베어링(21), 베어링커버(45, 4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토출실 출구구멍(41) 및 연락구멍(43)은 실린더(22)의 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뚫어 설치된다. 각 베어링커버(45, 46)는 메인 베어링(20) 및 서브베어링(21)에 조임볼트(23) 등으로 함께 조여져 고정되어 있다.
메인머플러실(44)은 메인베어링(20)에 형성된 포트(47)를 통해 밀폐케이싱(11)내에 연이어 통해져 있다. 이와같이 실린더실(25)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구(31)로부터 토출밸브기구(35)를 통해 토출실(36)내에 토출된다. 토출된 냉매는 토출실 출구구멍(41)을 통해 서브머플러실(40)및 메인머플러실(44)에 차례로 안내되어 여러단계로 소음작용을 받으면서 냉매의 압력맥동을 평활화하고 밀폐케이싱(11)내에 도출되고 밀폐케이싱(11)의 정상부에 설치된 토출파이프(48)를 거쳐 회전압축기(10)의 외부에 토출된다.
그런데 회전식 압축기구(13)를 구성하는 실린더(22)나 메인베어링(20), 서브베어링(21)은 주조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이 중 실린더(22)는 밸브시트판(50)이 편입된 도시하지 않은 주형내에 용융금속을 흘러보내 주조하고 실린더(22)와 밸브시트판(50)을 일체화하고 밸브시트판 편입식으로 하고 있다.
밸브시트판(50)은 판두께가 0.5㎜ ~ 3㎜ 정도로 얇은 두께의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시트판(50)은 토출구(31)가 형성된다. 밸브시트판(50)을 구성하는 강판에는 니켈(Ni)성분이 3중량%(wt%)이상 포함되어 있다.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22)는 용융금속 즉 용탕은 그 온도(용탕온도)가 예를들면 약1450℃부근에서 주조되지만 밸브시트판(50)에 포함되는 니켈(Ni)이 주조시에 녹아 실린더재와 융합한다. 이 때문에 실린더(22)와 밸브시트판(50)의 접합부분은 하나로 합쳐져 고강도의 결합이 되고 기계적 및 물리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한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22)의 주조가 가능하게 된다.
밸브시트판(50)은 니켈(Ni)을 3wt%이상 포함시키는 대신에 밸브시트판(50)의 표면에 니켈(Ni)도금을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밸브시트판(50)을 편입해서 실린더(22)를 주조할 때에 Ni성분이 용출해서 실린더 재와의 융합화가 가능하고 실린더(22)와 밸브시트판(50)이 일체화된다.
밸브시트판(50)으로 융점이 약 1890℃의 크롬(Cr)을 10wt%이상 포함하는 스테인레스강판을 사용해도 좋다. 이 스테인레스강판을 밸브시트판(50)에 사용함으로써 실린더(22)의 주조시에 밸브시트판(50)의 열변형을 극히 작게 할 수 있고 밸브시트판(50)을 정밀하게 편입해서 일체화시킨 밸브시트 편입식 실린더의 대량생산에 적합한 것이 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홈(27)측에 위치하는 밸브시트판(50)은 L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지고 이 L자 형상의 접어 구부러진 부분이 블레이드홉(27)의 측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토출실(36)과 블레이드홈(27)과의 칸막이는 강도가 큰 밸브시트판(50)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토출구(31)를 블레이드(28)측에 접근시켜도 실린더(22)의 기계적·물리적 강도를 손상기키는 일이 없다. 또한 밸브시트판(50)은 얇은 두께이기 때문에 최대압축시에 압축용적을 형성하는 공간(톱클리어런스)을 감소시킬 수 있어 압축효율이 향상한다.
즉, 종래의 회전압축기와 같은 실린더(22)의 주물부에 토출구를 형성한 경우에 비해 톱클리어런스를 형성하는 토출구부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 기 때문에 예를 들면 회전압축기로 통상 사용되는 성적계수(COD)표시로 동일형태의 것보다 10%이상의 개선이 가능하게된다.
밸브시트 편입식 실린더(22)는 밸브시트판(50)이 실린더 내부둘레면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편입되고 밸브시트판(50)의 토출축(실린더 반경방향 바깥측)에 토출실(36)이 형성되기 때문에 실린더(22)에 형성되는 토출실(36)의 용적을 크게 할 수 있고 토출실(36)은 실린더(22) 외부둘레측이 개방되어 이 개구를 통해 토출밸브기구(35)가 삽입되고 토출실(36)내에 수용되어 고정부착 나사(51)등의 고정기구로 토출실에 고정된다.
토출밸브기구(35)의 일부로서 설치된 리드밸브는 토출구(31)를 개폐가능하게 덮는 밸브플레이트(52)와 이 밸브플에이트(52)와 개폐를 안내하는 밸브가이드(53)가 함께 고정되고 있다. 토출밸브기구(35)는 토출실(36)의 챔버커버(37)를 제거한 상태에서 밸브시트판(50)에 나사고정 등으로 간단하게조립할 수 있다.
토출실(36)은 실린더(22)의 주조시에 형성되기 때문에 다음 가공에 의해 성형되지 않고 이 토출실(36)의 존재에 따라 토출실 출구 구명(41)을 용이하게 뚫어 설치할 수 있다.
이와같이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22)는 밸브시트판(50)의 토출측에 큰 용적을 가지는 토출실(36)이 형성되고 이 토출실(36)은 토출실 출구구멍(41)을 제외하고 대략 밀폐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문에 토출실(36)은 머플러작용을 가지며 토출실(36)내에 발생하는 압축냉매의 압력맥동에 기인하는 소음을 토출실(36)내에서 막을 수 있고 회전압축기(10)외부에 소음맥동이 전달되는 것은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같은 형태의 회전압축기에서는 종래보다 소음레벨을 3㏈이상 감소시킬 수 있다.
밸브시트판(50)은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22)의 형상에 따라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 내부둘레면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접어 구부러진다. 즉 실린더 내부둘레면에 있어서 실린더체와 밸브시트판(50)과의 경계부를 A라고 했을 때 이 경계부 A에 이어지는 경계면 B는 경계부 A를 통과하는 실린더 내부둘레면의 외부접촉면 C를 각도α(제4도에서는 예각)를 만들고 있다. 이에 의해 실린더체와 밸브시트판(50)과의 결합강도를 경계부 A부근에서 향상시켜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실린더체의 떨어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양호한 품질의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시트판(50)을 미리 편입해서 실린더(22)를 주조하고 밸브시트판(50)에 토출구(31)를 형성해서 실린더 내부둘레면의 일부를 구성함으로써 토출구부의 톱클리어런스를 작게할 수 있다. 회전압축기(10)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실(25)내의 압력은 롤러피스톤(26)의 회전에 의해 압축측 챔버(25b)가 차례로 고압이 되고 블레이드(28)는 압축측 챔버(25b)에서 블레이드측면에 화살표 방향의 작용력(F)을 받는다. 블레이드(28)에 작용하는 힘(F)은 블레이드홈(27)의 2개소의 슬라이딩면(D)점 및 (E)점에서 주로 지지하게 되지만, 작용력(F)을 받는 블레이드홈(27)의 슬라이딩면은 내마모성에 뛰어난 주물재로 구성되고 밸브시트판(50)의 L자 형상의 접어 구부러진 부분은 블레이드(28)에서의 작용력(F)을 받지 않기 때문에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22)의 신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회전식 압축기구(13)에 밸브시트판을 편입해서 주조한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22)를 구비한 회전 압축기(10)는 압축기구(13)의 실린더실(25)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구(31)에서 토출밸브기구(35)를 통해 토출실(36)에 토출되지만 여기서 머플러작용을 받고 압력맥동이 경감된다.
제6도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나타낸 회전압축기(10A)는 회전식 압축기구(13A)의 실린더(22A)에 범용성을 갖게 한 것이고 다른 구성은 제1실시예와 같고 동일 부호를 달아 그 설명은 생략했다.
제6도에 나타낸 회전식 압축기구(13A)에 편입되는 실린더(22A)는 밸브시트(50)를 편입해서 주조한 밸브시트판 조립식 실린더인 점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나타낸 것과 다르지 않지만 이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22A)는 밸브시트판(50)을 편입해서 주조성형한 후 실린더(22)와의 토출실(36)을 실린더 축선방향으로 평행하게 관통하도록 토출실 출구구멍(41, 56)을 드릴 등으로 관통해서 뚫어 설치한 것이다.
토출실 출구구멍(41, 56)은 실린더(22)내에 형성되는 토출실(36)의 양측에 형성되고 이 토출실 출구구멍(41, 56)은 베어링(45, 46)에 형성되는 연통포트(57, 58)을 통해 메인머플러실(44)및 서브머플러실(40)에 각각 연이어 통과된다. 이 때 토출실(40)의 양측에 형성되는 토출실 출구구명(41, 56)의 구멍직경을 변화시키고 예를 들면 상측 출구구명(56)을 하측 출구구멍(41)보다 작게 해도 좋다.
이 경우 회전식 압축기구(13A)의 실린더실(25)에서 토출구(31)및 토출밸브기구(35)를 지나 토출실(36)에 토출된 고압냉매는 볼륨이 있는 토출실(36)내에 압력맥동이 완화되어 상측 및 하측의 토출실 출구구멍(56, 41)을 통해 메인머플러실(44) 및 서브머플러실(40)에 도입되어 각각 머플러작용을 받고 압력맥동을의 평활화하고 소음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이중 서브머플러실(40)에 도입된 냉매는 연락구멍(43)을 통해 메인머플러실(44)에 안내되고 이 메인머플러실(44)에 상측 토출실 출구구명(56)을 통과하는 냉매과 합류한 후 밀폐케이싱(11)내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회전압축기(10B)는 회전식 압축기구(13B, 13C)를 2대 편입한 트윈회전압축기이다. 양 회전식 압축기구(13B, 13C)의 실린더(22)간에 칸막이판(60)이 끼워져 장착되고 이 칸막이판 (60)을 끼워 상측 실린더(22)와 하측 실린더(22A)가 밀착된다. 칸막이판(60)은 출구포트(61)와 연결포트(62)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측의 회전식 압축기구(13B)의 실린더(22)에는 제2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와 같은 것이 사용되고 하측의 회전식 압축기구(13C)에는 제6도에 나타낸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와 같은 것이 사용된다. 즉, 상측의 실린더(22)에는 1개의 토출실 출구구멍(41)을 갖춘 것이 사용되고 하측의 실린더(22A)에는 2개의 토출실출구구멍(56, 41)을 구비한 것이지만 각각 사용된다.
이 경우 상측 실린더(22)와 하측 실린더(22A)는 모두 치수, 형상을 동일하게 하는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가 사용되고, 밸브시트판(50)을 미리 편입해서 주조한 실린더의 다음 가공을 바꾸는 것 만으로 실린더부품의 공용화, 공통화, 표준화가 도모된다.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주조에 의해 성형한 후 토출실 출구구멍을 1개 뚫어 설치하든가, 상하로 관통하도록 뚫어 설치하든가를 선택하는 것 만으로 상측 실린더(22) 또는 하측 실린더(22A)를 구성할 수 있다. 토출실 출구구멍을 뚫어 설치 하는 것은 토출실이 주조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다.
이 회전압축기는 2대의 압축기를 구비하고 있지만 작용은 제1실시예에 나타낸 것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회전압축기(10C)도 제7도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회전압축기구(13D, 13C)를 2대 편입한 트윈회전압축기이다. 이 회전압축기(10C)는 양 회전식 압축기구(13D, 13C)에 구비되는 실린더(22A, 22A)에 제6도에 나타낸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채용하고 2개의 토출실 출구구멍(56, 41)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즉 제6도에 나타낸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상측 실린더(22A)와 하측 실린더(22A)에 함께 채용하고 양 실린더(22A, 22A)사이에 칸막이판(60)을 끼워 장착한 것이다.
이 회전압축기(10C)도 2대의 압축기를 구비한 것이지만 작용은 제2실시예에 나타낸 것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7도 및 제8도에는 트윈타입의 회전압축기를 구비한 예를 설명했지만 반드시 2대로 한정되지 않고 3대 이상의 압축기를 구비해도 좋다. 또한 3대의 회전식 압축기구를 구비한 회전압축기를 여러단계의 압축구조로 구성해도 좋다. 예를들면 중앙의 회전식 압축기구로 제1단의 압축기를 구성하고 상하 양측의 회전식 압축기구로 제2단의 압축기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중앙의 회전식 압축기구로 압축도어 압축실에 토출된 토출냉매를 상하 양측의 회전식 압축기구의 흡입측으로 안내 시키도록 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는 세로형의 회전 압축기의 예를 설명했지만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압축기로 가로형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압축기는 실린더 내부둘레 면의 일부를 밸브시트판으로 구성하고 이 밸브시트판에 토출구를 형성했기 때문에 토출구부의 용적을 감소시킬 수 있고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켜 압축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린더의 주조시에 강판제 밸브시트판을 주형내에 편입시키고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주조에 의해 일체로 틀을 성형했기 때문에 실린더의 주물을 제조하기 전에 밸브시트판을 실린더에 일체로 편입함으로써 접합력이 높고 고강도의 결합이 될뿐만 아니라 제조성이 양호하고 대량생상에 적합한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얻을 수 있다.
이 밸브시트는 0.5㎜ ~ 3㎜정도의 판두께인 강판이면 주물로 형성한 토출구와는 다르고 토출구부의 용적을 작게 할 수 있고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켜 압축효율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밸브시트판에 니켈(Ni)을 3중량% 이상 포함하는 강판 또는 판표면에 니켈도금을 실시한 강판으로 형성하면 주조시에 밸브시트판의 Ni성분이 용출해서 친밀성이나 밀착성을 양호하게 하고 실린더주물과 일체가 된 결합(융합)이 가능하게 되고 실린더 주물과 밸브시트판의 접합력을 향상시키고 고강도의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다.
밸브시트판을 크롬(Cr)을 10중량%(wt%)이상 포함하는 스텐레스강판으로 구성하면 밸브시트판의 내열·내변형 강도가 크고, 주조의 밸브시트판의 변형이 극히 작고 대량생상에 적합한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높은 정밀도로 제조할 수 있다.
밸브시트판을 대략 L자형으로 접어 구부리고 이 L자형 접어 구부린 부분을 블레이드홈의 홈측벽의 일부로 구성했기 때문에 밸브시트판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블레이드홈측에 접근시킬 수 있고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키고 압축효율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블레이드홈은 블레이드 슬라이딩 하중이 작은 홈측벽의 일부만을 밸브시트판으로 구성하고 큰 블레이드 슬라이딩 하중이 작용하는 홈측벽은 내마모성이 뛰어난 주물재로 구성할 수 있고 블레이드의 슬라이딩 성능이나 신회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압축기 성능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실린더 내부둘레면을 구성하는 주물의 실린더체와 밸브시트판의 블레이드홈 반대측 부분과의 경계부로부터 외부쪽으로 연장시킨 경게면과 상기 경계부를 통과하는 실린더 내부둘레면의 외부 접촉면과 일정한 각도를 교차시키기 때문에 교차부분의 주물각도를 크게 취할 수 있고 경계부 근방에 있어서 주물과 밸브시트판의 결합강도가 향상하고 주물의 누락을 유효하고 또는 확실하게 방지해서 결합을 안정화시키고 양호한 품질의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얻을 수 있다.
실린더내에 형성된 토출실과 압축실과는 얇은 두께의 밸브시트판으로 나눠지기 때문에 용적량이 많은 토출실을 형성할 수 있는 한편, 토출실은 실린리니더의 주물시에 성형되기 때문에 토출실을 형성하기 위한 다음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고 경제성이 양호해 진다.
토출실에 실린더 축선과 대략 평행한 토출실 출구구멍은 형성이 용이하게되고 실린더의 표준화나 범용화가 도모되고 대향생산에 적합한 경제적인 밸브시트판 편입식 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다.
실린더내에 용적량이 많은 토출실을 형성하는 한편 이 토출실에 토출된 압축냉매를 서브머플러실, 메인머플러실의 차례대로 밀폐케이싱내에 안내하는 구성은 여러단계의 머플러 작용에 의해 소음을 저감시키고 압력맥동을 평활화시키고 밀폐케이싱의 외부에 토출냉매의 압력맥동에 따른 소음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토출구의 반경 방향 외부쪽으로 토출실이 일체로 성형되고 이 토출실을 실린더 외부측에서 챔버커버로 덮어서 닫음으로써 토출실의 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토출밸브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한편 이 토출실에서 토출냉매의 압력맥동을 감쇠시킬 수 있고 압축기의 운전소음을 대폭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다.
실린더 내부둘레면의 일부를 밸브시트판으로 구성해서 이 밸브시트판에 토출구를 형성함으로써 토출구부의 용적을 감소시키고 톱클리어런스가 작게 되기 때문에 압축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토출실을 덮는 챔버커버를 진동제어 강판 또는 흑연입자가 큰 조각형상의 흑연을 주성분으로 한 주물재료로 구성한 경우 토출냉매의 출력맥동에 의한 소음이나 진동은 진동제어 강판성 또는 조각형상의 흑연을 주성분으로 한 챔버커버를 통과할 때 대폭으로 감쇠되고 소음이나 진동이 경감된다.
이 챔버커버와 실린더의 접촉부에 탄력성이 있는 시일수단을 개재시키고 챔버커버를 실린더에 탄성수단을 통해 고정했기 때문에 챔버커버를 실린더에 원터치로 장착시킬 수 있고 원터치로 장착해도 챔버커버로부터 토출냉매가 누설하는 것을 미연에 또는 확시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린더의 내부 둘레면측에 개구하는 흡입구를 롤러피스톤의 회전방향(전동방향) 하류측의 흡입구를 롤러피스톤의 회전방향(회전운동 방향)하류측의 흡입구 가장자리를 회전축과 대략 평행한 직선형상으로 하면 롤러피스톤에 의한 압축개시점을 빠르게 할 수 있고, 그 만큼 압축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실린더의 내부둘레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밸브구성판에 토출구를 형성하면 토출구부의 용적이 감소할 수 있고 톱클리어런스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압축효율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실린더의흡입구는 롤러피스톤의 축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각각 형성했기 때문에 흡입파이프의 접속은 종래 구조와 마찬가지로 해서 압축개시점을 빠르게 할 수 있고 압축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2개의 회전식 압축기를 칸막이판에 끼워 밀폐케이싱내에 일체적으로 수용한 형식의 회전압축기의 경우라도 양 실린더내 토출실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양 실린더의 토출실 끼리를 연이어 통하게 했기 때문에 실린더의 형상을 대부분, 또는 전부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고 실린더의 규격화, 표준호, 범용화를 도모할 수 있고 대량생산에 적합한 값싼 회전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9)

  1. 실린더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압축실을 형성한 회전식 압축기구를 밀폐케이싱내에 수용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둘레면에 토출구를 형성한 회전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 둘레면의 일부를 밸브시트판에 의해 구성하고 이 밸브시트판에 토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주조에의해 성형시키고, 이 실린더의 주조시에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밸브시트판을 편입시키고 밸브시트 편입식 실린더를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판을 0.5㎜ ~ 3㎜정도의 판두께인 강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판은 니켈(Ni)을 3중량% 이상을 포함하고 또는 판표면에 실시한 니켈(Ni)도금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판은 크롭(Cr)을 10중량% 이상 포함한 스텐레스 강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압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뻗어있는 블레이드홈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밸브시트판의 블레이드 홈측을 L자형상으로 접어구부리고 상기 L자형상의 접어 구부린 부분이 블레이드 홈의 홈측벽 일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부둘레면과 상기 밸브시트판의 블레이드홈 반대측 부분과의 경계부를 바깥쪽으로 연장시킨 경계면과 상기 경계부를 통과하는 실린더 내부둘레면의 외부접촉면과는 일정한 각도로 교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압축실과 연이어 통하는 토출실을 형성하고 이 토출실에 상기 토출구를 덮는 토출밸브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실에는 실린더 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된 토출실 출구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는 메인베어링 및 서브베어링을 구비하고, 이들 메인 베어링 및 서브베어링을 덮는 베어링 커버에 의해 메인 머플러실 및 서브머플러실을 각각 형성하는 한편, 상기 토출실을 상기 토출실 출구구멍을 통해 서브머플러실에 연이어 통하게 하고 이 서브머플러실과 메인머플러실을 연이어 통하게 한 연락구멍을 설치해서 메인머플러실을 밀폐케이싱내에연이어 통하게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11. 실린더를 구비하고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식 압축기구를 밀폐케이싱내에 수용하고 상기 실린더 내부둘레면에 토출구를 형성한 회전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는 토출구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토출실이 일체로성형되고 이 토출실을 실린더 바깥쪽에서 덮는 챔버커버로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회전 압축기.
  12. 제11항에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내부둘레면의 일부를 밸브시트판에 의해 구성하고 이 밸브시트판에 토출구를 형헝산 것을 특징으로 한느 회전 압축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커버를 진동제어 강판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압축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포함되는 흑연 입자보다 형상이 큰 조각형상의 흑연을 주성분으로 한 주물재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커버와 실린더의 접촉부에 탄력성을 가지는 시일 수단을 끼워 장착함고 동시에 챔버커버를 판용수철 등의 탄성누름수단을 사용하여 실린더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16. 실린더를 구비하고 ;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피스톤을 구비하며 ; 압축실이 형성되는 회전식 압축기구를 밀폐케이싱내에 수용하고 ; 상기 압축실에 접한 흡입구를 상기 실린더에 설치한 회전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적어도 롤러피스톤의 회전방향 하류측의 흡입구 가장자리가 회전 샤프트의 축선과 대략 평행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회전 압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내부둘레면의 일부를 구성하는 밸브시트판을 구비하고 이 밸브시트판에 토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압축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에 형성되는 흡입구는 상기 롤러피스톤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19. 실린더를 구비하고 ;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회전식 압축기구에 칸막이판을 끼우고 케이싱내에 일체적으로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구는 메인베어링 및 서브베어링을 구비하고 ; 상기 메인베어링 및 서브베어링을 덮는 베어링 커버에 의해 메인머플러실 및 서브머플러실이 각각 형성된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양 압축기구의 실린더내에 토출실을 각각 형성하고 2개의 실린더에 형성되는 토출실끼리를 연통구멍으로 상호 연이어 통하게하는 한편, 적어도 서브베어링측 실린더의 토출실을 토출실 출구 구멍을 통해 서브머플러실에 연이어 통하고 ; 상기 서브머풀러실을 연통구멍을 통해 메인머플러실에 연이어 통하며 ; 상기 메인머플러실을 밀폐케이싱내에 연이어 통하게 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KR1019950072254A 1994-12-28 1995-12-28 회전압축기 KR100188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790894 1994-12-28
JP94-327908 1994-12-28
JP4207695A JP3350276B2 (ja) 1994-12-28 1995-03-01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95-042076 1995-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816A KR960023816A (ko) 1996-07-20
KR100188998B1 true KR100188998B1 (ko) 1999-06-01

Family

ID=2638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72254A KR100188998B1 (ko) 1994-12-28 1995-12-28 회전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16017A (ko)
JP (1) JP3350276B2 (ko)
KR (1) KR100188998B1 (ko)
CN (1) CN1041342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39B1 (ko) 2006-07-03 2008-10-31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식 압축기와 이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 장치
KR101465867B1 (ko) * 2012-03-29 2014-11-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밀폐형 압축기 및 이것을 구비한 냉동 사이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2351A (en) * 1997-12-08 2000-03-28 Carrier Corporation Enhanced flow compressor discharge port entrance
JP2000337261A (ja) * 1999-05-26 2000-12-05 Funai Electric Co Ltd 圧縮機
US20050129558A1 (en) * 2003-12-15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ic compress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TWI344512B (en) * 2004-02-27 2011-07-01 Sanyo Electric Co Two-stage rotary compressor
CN100353072C (zh) * 2004-04-29 2007-12-05 李玉斌 集中吸气和集中排气的旋转式压缩机
US9267504B2 (en) 2010-08-30 2016-02-23 Hicor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CA2809945C (en) 2010-08-30 2018-10-16 Oscomp System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US9073527B2 (en) * 2011-03-31 2015-07-07 Haldex Brake Corporation Smooth bore dynamic center seal for spring brake actuator
CN104379937B (zh) * 2012-05-09 2017-12-22 三菱电机株式会社 密闭型压缩机和热泵装置
CN103573624B (zh) * 2013-10-31 2015-08-05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及制冷循环装置
CN103939355A (zh) * 2014-04-25 2014-07-23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压缩机排气装置及具有其的压缩机
CN104454548B (zh) * 2014-12-22 2017-02-01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CN104500497A (zh) * 2014-12-22 2015-04-08 常熟市董浜镇徐市盛峰液压配件厂 高可靠性油缸盖
CN105864037B (zh) * 2015-01-23 2018-10-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泵体结构及压缩机
CN104929933B (zh) * 2015-05-27 2017-10-10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CN104929934B (zh) * 2015-05-27 2017-03-22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
US10808969B2 (en) 2015-08-11 2020-10-20 Carrier Corporation Screw compressor economizer plenum for pulsation reduction
EP3334938A1 (en) 2015-08-11 2018-06-20 Carrier Corporation Refrigeration compressor fittings
US10941776B2 (en) 2015-10-02 2021-03-09 Carrier Corporation Screw compressor resonator arrays
CN105736377A (zh) * 2016-04-11 2016-07-06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压缩机结构
CN107366622B (zh) * 2017-06-30 2020-06-19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压缩机的盖封件和盖封组件、压缩机
CN107355385A (zh) * 2017-08-31 2017-11-17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双排气压缩组件及旋转式压缩机
CN111749892A (zh) * 2019-03-29 2020-10-09 上海海立电器有限公司 一种转子式压缩机
CN111255693A (zh) * 2020-03-02 2020-06-09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气缸组件、压缩机和空调器
CN111720318B (zh) * 2020-06-29 2021-11-23 安徽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压缩机构和具有它的压缩机
CN112145417B (zh) * 2020-07-24 2023-04-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压缩机和空调器
CN112412786B (zh) * 2020-10-26 2022-12-3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高效压缩机排气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936A (en) * 1897-03-02 Rotary pump
US1603983A (en) * 1926-10-19 Compressor
US1780614A (en) * 1927-12-23 1930-11-04 Calvin M Bolster Pump
US1901417A (en) * 1930-10-20 1933-03-14 J P Devine Mfg Company Pump
FR804023A (fr) * 1936-01-28 1936-10-14 Pompe rotative aspirante et foulante pour toutes applications
DE895298C (de) * 1943-12-11 1953-11-02 Siemens Ag Rollkolbenverdichter
DE825692C (de) * 1948-10-02 1952-01-24 Siemens Schuckertwerke A G Drehkolbenverdichter, insbesondere fuer Kaeltemaschinen
JPS5413005A (en) * 1977-06-30 1979-01-31 Toshiba Corp Sintered vane for rotary compressor
US4219314A (en) * 1979-01-22 1980-08-26 Thermo King Corporation Rolling piston rotary compressor
US4373882A (en) * 1981-01-30 1983-02-15 General Electric Company Discharge valve assembly for compressor
JPS57206790A (en) * 1981-06-15 1982-12-18 Mitsubishi Heavy Ind Ltd Rolling-piston type compressor
JPS5888487A (ja) * 1981-11-24 1983-05-26 Toshiba Corp ロ−タリ−コンプレツサ
JPS58200094A (ja) * 1982-05-19 1983-11-21 Hitachi Ltd 可動翼型圧縮機
JPS6165973A (ja) * 1984-09-06 1986-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圧縮機の冷媒吐出弁装置
JPS6220186A (ja) * 1985-07-19 1987-01-28 Nec Corp 磁気ヘツド保持機構
JPH0684756B2 (ja) * 1986-07-01 1994-10-26 日本ピストンリング株式会社 ロータリーコンプレッサ
DE3769468D1 (de) * 1987-03-11 1991-05-23 Leybold Ag Zweiwellenmaschine.
BR8805216A (pt) * 1988-10-04 1990-05-22 Brasil Compressores Sa Sistema de descarga para compressor rotativo de pistao rolante
US4955797A (en) * 1989-02-15 1990-09-11 Tecumseh Products Company Valve indexing for a compressor
JPH03260392A (ja) * 1990-03-09 1991-11-20 Sanyo Electric Co Ltd 回転圧縮機
JPH05157087A (ja) * 1991-12-02 1993-06-22 Daikin Ind Ltd 密閉形圧縮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39B1 (ko) 2006-07-03 2008-10-31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회전식 압축기와 이를 사용한 냉동 사이클 장치
KR101465867B1 (ko) * 2012-03-29 2014-11-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밀폐형 압축기 및 이것을 구비한 냉동 사이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350276B2 (ja) 2002-11-25
US5616017A (en) 1997-04-01
CN1133400A (zh) 1996-10-16
JPH08232877A (ja) 1996-09-10
CN1041342C (zh) 1998-12-23
KR960023816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998B1 (ko) 회전압축기
US7563080B2 (en) Rotary compressor
US7802972B2 (en) Rotary type compressor
US5342183A (en) Scroll compressor with discharge diffuser
US20030133819A1 (en) Scroll compressor with vapor injection
KR0144150B1 (ko) 스크롤형 압축기
KR100590504B1 (ko) 선회베인 압축기의 용량가변장치
KR100860687B1 (ko) 압축기
EP0683321B1 (en) Swinging rotary compressor
EP0361421A2 (en) Low pressure container type rolling piston compressor
US7344366B2 (en) Hermetic compressor having a high pressure chamber
JP376426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4595942B2 (ja) 圧縮機
JPH08277788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KR100504912B1 (ko) 압축기의 내부압력조절밸브
JP3416790B2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H08240189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JP3940808B2 (ja) 圧縮機
JP2006170213A5 (ko)
US6912871B2 (en) Structure for reducing refrigerant flow loss in compressor
JPH08193584A (ja) ロータリ式圧縮機
KR100195956B1 (ko) 왕복식 압축기의 압축기구부 구조
JP2006170213A (ja) 回転式流体機械
JPH11315793A (ja) ロータリコンプレッサ
KR200154001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냉매충진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