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893B1 - 흡수식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식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893B1
KR100188893B1 KR1019960036105A KR19960036105A KR100188893B1 KR 100188893 B1 KR100188893 B1 KR 100188893B1 KR 1019960036105 A KR1019960036105 A KR 1019960036105A KR 19960036105 A KR19960036105 A KR 19960036105A KR 100188893 B1 KR100188893 B1 KR 100188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outdoor unit
evaporator
refrigerant
temperature re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672A (ko
Inventor
시게루 요시무라
가쓰히토 이께다
Original Assignee
아니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니또 스스무,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아니또 스스무
Publication of KR970011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8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5/00Sorption refrigeration cycles or details thereof
    • F25B2315/001Crystallization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불시에 작동용 전력이 끊기지 않으며, 흡수액이 결정석출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한 흡수식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실외에 설치된 콘센트(49)에 장착한 전원플러그(41)를 실외기 전원코드(42)에 설치하고, 전원코드(19,29,39)에 의해 실외기(4)에서 실내기(1,2,3)로 AC-100V를 공급한다.

Description

흡수식 공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수식 냉난방장치의 외관도.
제2도는 상기 흡수식 냉난방장치의 시스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흡수식 냉난방장치의 원리도.
제4도는 상기 흡수식 냉난방장치를 냉방운전시킨 경우의 작동설명도.
제5도는 상기 흡수식 냉난방장치를 난방운전시킨 경우의 작동설명도.
제6도는 상기 흡수식 냉난방장치가 운전정지할 때에 있어서의 실외 제어기의 작동을 나타낸 플로차트.
제7도는 종래의 흡수식 냉난방장치를 나타낸 외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흡수식 냉난방장치(흡수식 공조장치) 1,2,3 : 실내기
4 : 실외기 5 : 흡수액 회로
6 : 응축기 7 : 흡수기
8 : 증발기 9 : 실외 제어기
11,12,13 : 실내 열교환기 12,22,32 : 유량조절밸브
13,23,33 : 실온설정기(공조설정수단) 15,25,35 : 실내 제어기
19,29,39 : 전원코드 40 : 냉각수 회로
41 : 전원플러그(전원 피공급수단) 43 : 냉각탑(실외 열교환기)
45 : 냉각수 펌프 46 : 흡수기 전열관
47 : 응축기 전열관 48 : 냉각수
49 : 콘센트(상용전원) 51 : 가스버너(가열원)
52 : 고온재생기 53 : 저온재생기
54 : 용액펌프 55 : 중농도흡수액
56 : 증기냉매 58 : 증기냉매
59 : 희석액(저농도흡수액) 71 : 냉온수펌프(냉수펌프)
72 : 냉온수(냉수) 82 : 증발기 전열관
111,211,311 : 송풍팬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흡수식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실외 열교환기, 흡수기 전열관 및 응축기 전열관을 차례로 환형상으로 접속하며 냉각수 펌프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회로와, 가열원에 의해서 저농도흡수액중의 냉매를 기화시켜 중농도흡수액과 증기냉매로 분리하는 고온재생기, 상기 고온재생기를 내포하며 상기 중농도흡수액을 고농도흡수액과 증기냉매로 분리하는 저온재생기, 상기 응축기 전열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재생기로부터 고온의 증기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기, 증발기 전열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병설되고 상기 흡수기 전열관을 설치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증기냉매를 상기 저온재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고농도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 및 흡수기내의 저농도흡수액을 상기 고온재생기로 되돌리는 용액펌프를 가지는 흡수액 회로와, 상기 증발기 전열관에 냉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냉수펌프와, 상기 냉각수 펌프, 상기 가열원 및 상기 냉수펌프를 제어하는 실외 제어기를 가지는 실외기(101)와; 송풍팬을 부설함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 전열관으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냉수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공조상태를 설정하는 공조설정수단과, 상기 실외 제어기와 쌍방향 통신을 함과 아울러 상기 공조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공조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기를 가지는 실내기(102);로 구성되며,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106)에 끼우기 위한 전원플러그(103)를 실내기 전원코드(104)에 설치한 흡수식 공조장치(B)가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제7도 참조).
이와 같은 흡수식 공조장치에서는, 냉방운전을 정지시킬 때에 고온재생기내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또한 흡수액의 결정석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희석운전을 실행시킬 필요가 있다.
[희석운전의 일례]
실외 제어기는 가열원 및 냉수펌프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용액펌프 및 냉각수 펌프의 작동을 계속하여(약 9분간), 부분적으로 농축된 흡수액의 농도 균일화를 꾀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자들이 여러 가지 실험을 실시한 결과, 상기한 종래의 흡수식 공조장치(B)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희석운전이 실행되지 않음으로써 흡수액이 결정석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냉방운전을 정지시킬 경우에 사용자 중에는 운전정지스위치(105)를 사용하지 않고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106)에서 전원플러그(103)를 빼는 버릇을 가진 사람이 있다.
또 냉방운전중에, 실내기 전원코드(104)에 손발이나 청소용 용구가 걸리게 되면 실내에 설치된 콘센트(106)에서 전원플러그(103)가 빠짐으로써 냉방운전이 정지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시에 실외기에 작동용 전력의 공급이 끊기지 않도록 하여 흡수액이 결정석출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한 흡수식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1) 실외 열교환기, 흡수기 전열관 및 응축기 전열관을 차례로 환형상으로 접속하며 냉각수 펌프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회로와; 가열원에 의해서 저농도 흡수액중의 냉매를 기화시켜 중농도흡수액과 증기냉매로 분리하는 고온재생기, 상기 고온재생기를 내포하며 상기 중농도흡수액을 고농도흡수액과 증발냉매로 분리하는 저온재생기, 상기 응축기, 전열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재생기로부터 고온의 증기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기, 증발기 전열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병설되고 상기 흡수기 전열관을 설치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증기냉매를 상기 저온재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고농도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 및 상기 흡수기내의 저농도흡수액을 상기 고온재생기로 되돌리는 용액펌프를 가지는 흡수액 회로와; 상기 증발기 전열관에 냉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냉수펌프와; 상기 냉각수 펌프, 상기 가열원 및 상기 냉수펌프를 제어하는 실외 제어기;를 가지는 실외기와, 송풍팬을 부설함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 전열관으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냉수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공조상태를 설정하는 공조설정수단과; 상기 실외 제어기와 쌍방향 통신을 함과 아울러 상기 공조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공조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기;를 가지는 실내기로 구성되는 흡수식 공조장치에 있어서, 실외기 전원코드의 선단에 설치된 전원플러그를 실외에 설치된 상용전원의 콘센트에 장착하여 상기 실외기에 작동용 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실외기 전원코드의 후단측의 단자대에 실내기 전원코드를 접속하여 상기 실외기에서 실내기로 작동용 전력을 공급한다.
(2) 실외 열교환기, 흡수기 전열관 및 응축기 전열관을 차례로 환형상으로 접
속하며 냉각수 펌프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회로와; 가열원에 의해서 저농도 흡수액중의 냉매를 기화시켜 중농도흡수액과 증기냉매로 분리하는 고온재생기, 상기 고온재생기를 내포하며 상기 중농도흡수액을 고농도흡수액과 증발냉매로 분리하는 저온재생기, 상기 응축기 전열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재생기로부터 고온의 증기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기, 증발기 전열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병설되고 상기 흡수기 전열관을 설치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증기냉매를 상기 저온재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고농도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 및 상기 흡수내의 저농도흡수액을 상기 고온재생기로 되돌리는 용액펌프를 가지는 흡수액 회로와; 상기 증발기 전열관에 냉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냉수펌프와; 상기 냉각수 펌프, 상기 가열원 및 상기 냉수펌프를 제어하는 실외 제어기;를 가지는 실외기와, 송풍팬을 부설함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 전열관으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냉수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공조상태를 설정하는 공조설정수단과; 상기 실외 제어기와 쌍방향 통신을 함과 아울러 상기 공조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공조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기;를 가지는 실내기로 구성되는 흡수식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용전원의 전등선을 상기 실외길의 단자대에 직접 접속하여 상기 실외기에 작동용 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실외기의 단자대에 실내기 전원코드를 접속하여 상기 실외기에서 실내기로 작동용 전력을 공급한다.
[작용]
[상기한 (1), (2)의 구성에 대하여]
고온재생기는 가열원에 의해서 가열되므로, 저농도흡수액은 냉매가 기화되어 중농도흡수액과 증기냉매로 분리된다.
저온재생기는 중농도흡수액을 고농도흡수액과 증기냉매로 분리한다.
각 재생기에서 발생한 증기냉매가 응축기로 보내진다.
응축기 전열관을 흐르는 냉각수에 의해서 증기냉매가 응축되어 응축기내에 저류(貯溜)된다.
응축기에서 증발기로 보내지는 액화냉매는 냉수가 흐르는 증발기 전열관에 닿아서 증발함과 아울러 냉수를 냉각한다.
냉각된 냉수가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함으로써 실내냉방이 이루어진다.
증발기에서 증발된 증기냉매는 저온재생기에서 보내지는 고농도흡수액에 흡수되며, 저농도흡수액이 되어 흡수기내에 저류된다. 흡수기내에 저류된 저농도흡수액은 용액펌프에 의해서 고온재생기로 되돌려진다.
실외 제어기는 흡수액이 흡수액 회로내를 안정하게 순환하도록 냉각수 펌프, 가열원 및 냉수펌프를 제어한다. 또, 실내 제어기는 실외 제어기와 쌍방향 통신을 함과 아울러 공조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공조상태가 되도록 송풍팬 및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한다.
또한, 실내기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의 실내 제어기가 각각 실외 제어기와 쌍방향 통신을 함과 아울러 각 실내 제어기의 공조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공조상태가 되도록 송풍팬 및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한다.
[발명의 효과]
[상기한 (1)의 구성에 대하여]
흡수식 공조장치는, 실외에 설치된 콘센트에 실외기 전원코드의 선단에 설치된 전원플러그를 장착하여 실외기에 작동용 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실외기 전원코드의 후단측의 단자대에 실내기 전원코드를 접속하여 실외기에서 실내기로 작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냉방운전을 정지시킬 경우에 운전정지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콘센트에서 전원플러그를 빼는 버릇이 있는 사용자라 할지라도 냉방운전을 정지시킬 때에 일부러 옥외로 나와 사용전원의 콘센트에 장착되어 있는 전원플러그를 빼는 일이 없다.
또, 냉방운전중에 실외기에서 실내기로 작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실내기 전원코드에 손발이나 청소용 용구가 걸리더라도 실외기에 공급되는 작동용 전력이 끊기지 않는다.
따라서, 냉방운전중이나 희석운전중에 실외기의 전원이 끊길 우려가 없으며, 실외기에는 항시 작동용 전력이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실외기에서 실행되는 운전정지시의 희석운전이 확실하게 수행되어 흡수액이 결정석출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2)의 구성에 대하여]
흡수식 공조장치는, 상용전원의 전등선을 실외기의 단자대에 직접 접속하여 실외기에 작동용 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실외기의 단자대에 실내기 전원코드를 접속하여 실외기에서 실내기로 작동용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냉방운전을 정지시킬 경우에 운전정지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콘센트에서 전원플러그를 빼는 버릇이 있는 사용자라 하더라도 냉방운전을 정지시킬 때에 일부러 옥외로 나가는 일이 없고, 또 옥외로 나간다 하더라도 전원플러그가 없기 때문에 전원플러그를 뺄 수 없다.
또, 냉방운전중에 실외기에서 실내기로 작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실내기 전원코드에 손발이나 청소용 용구가 걸리더라도 실외기에 공급되는 작동용 전력이 끊기지 않는다.
따라서, 냉방운전중이나 희석운전중에 실외기의 전원이 끊길 우려가 없으며, 실외기에는 항시 작동용 전력이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실외기에서 실행되는 운전정지시의 희석운전이 확실하게 수행되어 흡수액이 결정석출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제6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정용 흡수식 냉난방장치(A)는, 제1실내기(1)와 제2실내기(2)와 제3실내기(3), 그리고 옥외에 설치되는 실외기(4)로 구성되며, 전원플러그(41)가 실외기 전원코드(42)에 설치되어 있다.
제1실내기(1)는, 송풍팬(111)을 부설한 실내 열교환기(11)와, 냉온수(72)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12)와, 설정실온을 설정하는 실온설정기(13)와, 실온을 검출하는 실온서미스터(14)와, 실외 제어기(9)와 전원코드(19)를 통하여 쌍방향 통신을 함과 아울러 실온이 실온설정기(13)에 의해서 설정된 설정실온이 되도록 송풍팬(111) 및 유량조절밸브(12)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기(15)와, 연소램프(적색;16), 타이머램프(황색;17), 운전램프(녹색;18) 등을 가진다. 또한, 후단을 실외기(4)의 단자대(400)에 전기접속시킨 전원코드(19)의 선단은 커넥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제1 실내기(1)의 단자대(100)에 전기접속되어 있다.
제2실내기(2)는, 송풍팬(211)을 부설한 실내 열교환기(21)와, 냉온수(72)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22)와, 설정실온을 설정하는 실온설정기(23)와, 실온을 검출하는 실온서미스터(24)와, 실외 제어기(9)와 전원코드(29)를 통하여 쌍방향 통신을 함과 아울러 실온이 실온설정기(23)에 의해서 설정된 설정실온이 되도록 송풍팬(211) 및 유량조절밸브(22)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기(25)와, 연소램프(적색;26), 타이머램프(황색;27), 운전램프(녹색;28) 등을 가진다. 또한, 후단을 실외기(4)의 단자대(400)에 전기접속시킨 전원코드(29)의 선단을 커넥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제2실내기(2)의 단자대(200)에 전기접속되어 있다.
제3실내기(3)는, 송풍팬(311)을 부설한 실내 열교환기(31)와, 냉온수(72)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32)와, 설정실온을 설정하는 실온설정기(33)와, 실온을 검출하는 실온서미스터(34)와, 실외 제어기(9)와 전원코드(39)를 통하여 쌍방향 통신을 함과 아울러 실온이 실온설정기(33)에 의해서 설정된 설정실온이 되도록 송풍팬(311) 및 유량조절밸브(32)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기(35)와, 연소램프(적색;36), 타이머램프(황색;37), 운전램프(녹색;38) 등을 가진다. 또한, 후단을 실외기(4)의 단자대(400)에 전기접속시킨 전원코드(39)의 선단은 커넥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제3실내기(3)의 단자대(300)에 전기접속되어 있다.
실외기(4)는 냉각수 회로(40)와, 가스버너(51), 고온재생기(52), 저온재생기(53), 응축기(6), 흡수기(7), 증발기(8), 용액펌프(54)를 가지는 흡수액 회로(5)와, 냉온수펌프(71)와, 실외 제어기(9)를 구비한다.
냉각수 회로(40)는, 냉각탑 팬(431)을 부설한 냉각탑(43)와, 냉각수탱크(44)와, 냉각수 펌프(45)와, 흡수기 전열관(46)과, 응축기 전열관(47)을 차례로 환형상으로 접속하여 구성되며, 냉방운전시(제4도 참조)에는 냉각수 펌프(45)(1230ℓ/h)를 작동하여 냉각수(48)를 순환시킨다.
냉각탑 팬(431)은, 교류콘덴서 모터(432)(100V - 소비전력 80W, 8μF, 1200rpm/60Hz)에 의해서 구동된다. 교류콘덴서 모터(432)는 트라이액(Triac)을 통하여 AC-100V에 전기접속되며, 온도센서(433)가 검출되는 냉각수(48)의 온도가 31.5℃로 유지되도록 실외 제어기(9)에 의해서 제어된다.
또한, 온도센서(433)는 냉각수 펌프(45)와 흡수기 전열관(46) 사이를 접속하는 냉각수관(461)에 설치되며, 흡수기 전열관(46)으로 공급되는 냉각수(48)의 온도를 검출한다.
난방운전시(제5도 참조)에는, 냉각수 회로(40)내의 냉각수(48)가 모두 빠지며 교류콘덴서 모터(432)에는 통전되지 않는다.
가스버너(51)는 분젠식이고, 가스전자밸브(511,512)와 가스비례밸브(513)가 연이어 설치된 가스관(514)에 의해서 가스가 공급되고, 연소용 팬(515)에 의해서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어 연소된다.
냉방운전시(비례제어시), 가스버너(51)는 실내 열교환기(11,21,31)에 공급되는 냉온수(72)의 평균수온이 7℃{냉온수서미스터(10,20,30)에 의해서 검출}가 되도록 가열량이 실외 제어기(9)에 의해서 비례제어(1500kcal∼4800kcal)된다.
고온재생기(52)는, 가스버너(51)에 의해서 가열되는 돔형상의 가열실(521), 그 상측에 세워설치된 취출통(522) 및 희석액(59)(본 실시예에서는 58%의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내의 냉매(물)를 분리시켜서 중농도흡수액(60%의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과 증기냉매(56)로 분리하는 분리통(523)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한, 가열실(521)에는 고온재생기(52)의 온도{희석액(59)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5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냉방운전시에는 냉난방절환밸브(81)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중농도흡수액(55)(165℃)은 중농도흡수액 배관(551)→고온열교환유로(552)→오리피스(553)가 설치된 중농도흡수액 배관(554)을 거쳐 저온재생기(53)의 상부로 보내진다.
저온재생기(53)는 고온재생기(52)를 내포하며, 냉방운전시에는 고온재생기(52)로부터 보내지는 중농도흡수액(55)을 고농도흡수액(57)(62%의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과 증기냉매(58)로 분리한다. 또, 난방운전시에는 중농도흡수액(55)이 저온재생기(53)로 공급되지 않는다.
응축기(6)에는, 난방운전시에 오리피스(61)가 설치된 증기냉매 배관(62)을 통하여 고온재생기(52)로부터 고온의 증기냉매(56)가 공급되나, 냉각수(48)가 응축기 전열관(47)내를 흐르지 않기 때문에 응축되지 않는다.
냉방운전시에는 고온재생기(52)와 저온재생기(53)에서 증기냉매(56,58)가 응축기(6)로 보내지며, 증기냉매(56,58)는 코일형상의 응축기 전열관(47)을 흐르는 냉각수(48)에 의해서 냉각되어 액화되고, 액화냉매(물)(63)는 응축기(6)의 저부에 저류된다.
또한, 승온(37.5℃)된 냉각수(48)는 냉각탑(43)에서 냉각(31.5℃)된다.
증발기(8)는 코일형상의 증발기 전열관(82)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난방운전시에는 냉난방절환밸브(81)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중농도흡수액 배관(551){냉난방 절환밸브(81)}→난방배관(83)을 통하여 고온의 중농도흡수액(55)이 증발기(8)로 공급된다. 또, 동시에 응축기(6)로부터는 고온의 증기냉매가 난방배관(83){냉매밸브(84)}을 통하여 공급된다.
냉방운전시에 냉매밸브(84)가 개방되면, 액화냉매(63)는 난방배관(83){냉매밸브(84)}→산포기(85)를 통하여 증발기 전열관(82)에 산포되며, 증발기(8)내는 대략 진공상태(약 6.5mmHg)이기 때문에, 액화냉매(63)는 증발기 전열관(82)내를 흐르는 냉온수(72)로부터 기화열을 빼앗아 증발한다. 그리고, 냉각된 냉온수(72)는 실내에 설치된 실내 열교환기(11,21,31)를 통과하여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최대능력시, 흡열 4340kcal/h)되어 승온하고, 승온된 냉온수(72)는 다시 증발기 전열관(82)을 통과하여 냉각된다.
흡수기 전열관(46)이 설치된 흡수기(7)는 증발기(8)와 병설되며, 그 상부가 증발기(8)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냉방운전시에는 증발기(8)에서 증발된 증기냉매(86)가 상부를 통하여 흡수기(7)내로 진입하고, 저온재생기(53)→고농도흡수액 배관(571)→저온열교환유로(572)→고농도흡수액 배관(573)→산포기(574)를 통하여 흡수기 전열관(46)위로 산포되는 고농도흡수액(57)에 흡수되어 저농도로 된 희석액(59)이 흡수기(7)의 저부에 저류된다. 또, 난방운전시에는 증발기(8)로부터의 고온의 냉매가 공급된다.
용액펌프(54)는 AC-100V에서 동작하는 3상DC브러시리스 모터(정격출력 200W, 소비전력 250W)이다. 이 용액펌프(54)에는 홀소자(hall device)(541)가 부착되며, 실외 제어기(9)에 의해서 피드백 제어된다. 또한, 냉온수(72)의 유량제어에 있어서는, 냉온수 펌프(71)와 용액펌프(54)를 한 대의 탠덤(tandem)펌프로 구성하여도 된다.
흡수기(7)의 저부에 저류된 희석액(59)(난방운전시에는 흡수액)은 희석액 배관(591)→용액펌프(54)(최대유량 100ℓ/h)→희석액 배관(592)→저온열교환유로(593)→고온열교환유로(594)→희석액 배관(595)을 통하여 고온재생기(52)의 가열실(521)로 보내진다.
실외 제어기(9)는 운전스위치(도시생략), 냉온수서미스터(10,20,30), 실온서미스터(14,24,34), 온도센서(433,52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이하의 피제어부재를 제어한다.
피제어부재 : 가스전자밸브(511,512), 가스비례밸브(513), 냉온수 펌프(71), 용액 펌프(54), 교류콘덴서 모터(432), 냉매밸브(84), 냉난방절환밸브(81), 냉각수 펌프(45), 연소램프(16,26,36)(적색), 타이머램프(17,27,37)(황색), 운전램프(18,28,38)(녹색) 또한, 연소램프(16,26,36)는 가스버너(51)가 연소중일 때에 점등하는 램프이고, 타이머램프(17,27,37)는 타이머가 동작중일 때에 점등하는 램프이고, 운전램프(18,28,38)는 운전중에 점등하는 램프이다.
전원플러그(41)는 실외기 전원코드(42)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옥외에 설치된 콘센트(49)에서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급전판(411)을 콘센트(49)의 구멍에 삽입한 후, 나사끼움식의 커버(412)를 콘센트(49)에 나사끼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어서, 냉방운전중에 있는 흡수식 냉난방장치(A)가 냉방운전을 정지할 때에 있어서의 실외 제어기(9)의 마이크로컴퓨터의 작동을 제6도에 나타낸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스텝S1에서 증발기온도가 1℃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1℃이하인 경우(YES)에는 스텝S3로 이행하고, 1℃를 넘는 경우(NO)에는 스텝S2로 이행한다.
스텝S2에서 증발기온도가 3℃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3℃이하인 경우 (YES)에는 스텝S4로 이행하고, 3℃미만인 경우(NO)에는 스텝S1으로 되돌아간다.
스텝S3에서 냉매밸브(84)를 열고 스텝S5로 이행한다.
스텝S4에서 냉매밸브(84)를 열고 스텝S5로 이행한다.
스텝S5에서 어느 실내기의 운전스위치가 오프(OFF)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오프된 경우(YES)에는 스텝S6으로 이행하고, 오프되지 않은 경우(NO)에는 스텝S1으로 되돌아가 냉방운전을 계속한다.
스텝S6에서 가스전자밸브(511,512)를 닫어 가스버너(51)를 소화시키고, 스텝S7로 이행한다. 스텝S7에서 냉매밸브(84)를 개방상태로 유지하고 스텝S8로 이행한다. 스텝S8에서 후술하는 희석운전을 약 9분간 실행한다.
스텝S9에서 「고온재생기(52)의 온도≤110℃」인지{온도센서(520)가 110℃ 이하의 온도를 검출) 아닌지를 판별하고, 110℃이하인 경우(YES)에는 스텝S10으로 이행하고 110℃를 넘는 경우에는 스텝S8로 되돌아가 상기 희석운전을 계속한다.
스텝S10에서 냉매밸브(84)를 닫고, 연소용 팬(515), 용액펌프(54), 냉각수 펌프(45) 및 냉각탑 팬(431)의 작동을 정지하여 희석운전을 종료한다.
[희석운전]
송풍팬(111,211,311)의 작동을 정지하고, 연소용 팬(515), 용액 펌프(54), 냉각수 펌프(45) 및 냉각탑 팬(432)의 작동을 계속한다.
따라서, 응축기(6)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화냉매(63)가 신속하게 증발기(8)를 거쳐 흡수기(7)로 보내지고, 흡수기(7)내의 저농도흡수액이 고온재생기(52)로 되돌려져서 고온재생기(52)내의 흡수액이 희석된다. 또, 희석된 고온재생기(52)내의 흡수액은 중농도흡수액 배관(551)→고온열교환유로(552)→오리피스(553)가 설치된 중농도흡수액 배관(554)을 거쳐 저온재생기(53)로 보내지므로 저온재생기(53)내의 흡수액이 희석된다.
또한, 희석운전중에 냉각수 펌프(45) 및 냉각탑 팬(431)의 작동을 계속하는 이유는 냉매를 신속하게 냉각시키기 위해서이다. 또, 희석운전중에 연소용 팬(515)의 작동을 계속하는 이유는 가스버너(51)를 신속하게 냉각시키기 위해서이다. 또한, 희석운72에 냉온수 펌프(71), 송풍팬(111,211,311)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이유는 냉온수(27)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기{증발기(8)내에서의 증발을 방지)} 위해서이다.
[희석운전을 하는 이유]
냉방운전의 정지지시에 따라서 가스버너(51)가 소화되지만, 고온재생기(52)가 가열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잉여열에 의해서 증기냉매(56,58)의 생성이 촉진되어 고온재생기(52) 및 저온재생기(53)내에서 분리가 진행되므로 부분적으로 흡수액{고온재생기(52), 저온재생기(53), 흡수기(7)내의 흡수액}의 농도가 높아져서 결정석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므로, 냉방운전의 정지지시가 개시되면, 실외 제어기(9){실내 제어기(15,25,35)}는 가스전자밸브(511,512)를 닫아 가스버너(51)를 소화시키고, 냉온수 펌프(71), 송풍팬(111,211,311)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냉매밸브(84)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용액 펌프(54), 냉각수 펌프(45), 냉각탑 팬(431)의 작동을 계속하는 희석운전을 한다.
따라서, 응축기(6)내에 저류되어 있는 액화냉매(63)가 신속하게 증발기(8)를 거쳐 흡수기(7)로 보내지고, 흡수기(7)내의 저농도흡수액이 고온재생기(52)로 되돌려져서 고온재생기(52)내의 흡수액이 희석된다. 또, 희석된 고온재생기(52)내의 흡수액은 중농도흡수액 배관(551)→고온열교환유로(552)→오리피스(553)가 설치된 중농도흡수액 배관(554)을 거쳐 저온재생기(53)로 보내지므로 저온재생기(53)의 흡수액이 희석된다.
이와 같은 희석운전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고농도로 된 흡수액{고온재생기(52), 저온재생기(53), 흡수기(7)내의 흡수액}의 농도분포가 신속하게 평균화되므로 흡수액의 결정석출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흡수식 냉난방장치(A)는 이하의 이점을 가진다.
(a) 흡수식 냉난방장치(A)는 실외에 설치된 콘센트(49)에 장착되는 전원플러그(41)를 실외기(4)의 실외기 전원코드(42)에 설치하고, 전원코드(19,29,39)에 의하여 실외기(4)에서 실내기(1,2,3)로 AC-100V를 공급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게으른 사용자(냉방운전을 정지시킬 경우에 운전정지스위치(106)를 사용하지 않고 콘센트(106)에서 전원플러그(103)를 빼는 버릇이 있는 사용자)가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빼고자 하더라도 전원플러그가 실내에 없기 때문에 실내기(1,2,3)나 실외기(4)의 전원이 끊기지 않는다. 또한, 일부러 옥외로 나가 실외에 설치된 콘센트(49)에서 전원플러그(41)를 빼는 일은 생각할 수 없다.
또, 냉방운전중에, 전원코드(19,29,39)에 손발이나 청소용 용구가 걸리더라도 전원코드(19,29,39)가 실내기(1,2,3)의 단자내(100,200,300) 및 실외기(4)의 단자내(400)에 직접 전기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등을 사용한 경우와 같이 전원플러그가 빠지는 일이 없어 실내기(1,2,3)로의 전원(AC-100V)이 끊기는 일이 없다.
따라서, 냉방운전중이나 희석운전중에 실외기(4)의 전원이 끊어져서 희석운전이 실행되지 않음으로써 흡수액이 결정석출되거나, 실내기(1,2,3)의 전원이 끊어져서 쌍방향 통신이 도중에 단절됨으로써 실내기(1,2,3)에서의 운전지시가 실외기(4)로 전달되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b) 옥외에 설치된 콘센트(49)와 실외기 전원코드(42)의 전원플러그(41)는, 급전판(411)을 콘센트(49)의 구멍에 삽입한 후, 나사끼움식의 커버(412)를 콘센트(49)에 나사끼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콘센트(49)에서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이들이나 개, 고양이 등이 건드린다 하더라도 전원플러그(41)가 콘센트(49)에서 쉽게 빠지지 않는다.
따라서, 냉방운전중이나 희석운전중에 실외기(4), 실내기(1,2,3)의 전원이 끊어질 우려가 없으며, 냉방운전이 정지되거나 흡수액이 결정석출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전원플러그(41)를 옥외에 설치된 콘센트(49)에 장착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상용전원의 전등선을 실외기(4)의 단자내(400)에 직접 접속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단자내(400)가 전원 피공급수단에 상당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열원으로서 가스버너를 채용하였으나, 다른 가열원으로서, 예를 들면 전기히터를 채용하여도 된다.

Claims (2)

  1. 실외 열교환기, 흡수기 전열관 및 응축기 전열관을 차례로 환형상으로 접속하며 냉각수 펌프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회로와; 가열원에 의해서 저농도흡수액중의 냉매를 기화시켜 중농도흡수액과 증기냉매로 분리하는 고온 재생기, 상기 고온재생기를 내포하며 상기 중농도흡수액을 고농도흡수액과 증발냉매로 분리하는 저온재생기, 상기 응축기 전열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재생기로부터 고온의 증기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기, 증발기 전열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병설되고 상기 흡수기 전열관을 설치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증기냉매를 상기 저온재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고농도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 및 상기 흡수기내의 저농도흡수액을 상기 고온재생기로 되돌리는 용액펌프를 가지는 흡수액 회로와; 상기 증발기 전열관에 냉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냉수펌프와; 상기 냉각수 펌프, 상기 가열원 및 상기 냉수펌프를 제어하는 실외제어기;를 가지는 실외기와, 송풍팬을 부설함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 전열관으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냉수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공조상태를 설정하는 공조설정수단과; 상기 실외 제어기와 쌍방향 통신을 함과 아울러 상기 공조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공조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기;를 가지는 실내기로 구성되는 흡수식 공조장치에 있어서, 실외기 전원코드의 선단에 설치된 전원플러그를 실외에 설치된 상용전원의 콘센트에 장착하여 상기 실외기에 작동용 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실외기 전원코드의 후단측의 단자대에 실내기 전원코드를 접속하여 상기 실외기에서 실내기로 작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장치.
  2. 실외 열교환기, 흡수기 전열관 및 응축기 전열관을 차례로 환형상으로 접속하며 냉각수 펌프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회로와; 가열원에 의해서 저농도흡수액중의 냉매를 기화시켜 중농도흡수액과 증기냉매로 분리하는 고온재생기, 상기 고온재생기를 내포하며 상기 중농도흡수액을 고농도흡수액과 증발냉매로 분리하는 저온재생기, 상기 응축기 전열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각 재생기로부터 고온의 증기냉매가 공급되는 응축기, 증발기 전열관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응축기에서 액화된 액화냉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병설되고 상기 흡수기 전열관을 설치하여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된 증기냉매를 상기 저온재생기로부터 공급되는 고농도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 및 상기 흡수기내의 저농도흡수액을 상기 고온재생기로 되돌리는 용액펌프를 가지는 흡수액 회로와; 상기 증발기 전열관에 냉수를 흐르게 하기 위한 냉수펌프와; 상기 냉각수 펌프, 상기 가열원 및 상기 냉수펌프를 제어하는 실외제어기;를 가지는 실외기와, 송풍팬을 부설함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 전열관으로부터 냉수가 공급되는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냉수의 통과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와; 공조상태를 설정하는 공조설정수단과; 상기 실외 제어기와 쌍방향 통신을 함과 아울러 상기 공조설정수단에 의해서 설정된 공조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풍팬 및 상기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실내 제어기;를 가지는 실내기로 구성되는 흡수식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용전원의 전등선을 상기 실외기의 단자내에 직접 접속하여 상기 실외기에 작동용 전력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실외기의 단자내에 실내기 전원코드를 접속하여 상기 실외기에서 실내기로 작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공조장치.
KR1019960036105A 1995-08-29 1996-08-28 흡수식 공조장치 KR100188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061295 1995-08-29
JP95-220612 1995-08-29
JP95-306182 1995-11-24
JP7306182A JP2997197B2 (ja) 1995-08-29 1995-11-24 吸収式空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672A KR970011672A (ko) 1997-03-27
KR100188893B1 true KR100188893B1 (ko) 1999-06-01

Family

ID=2652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105A KR100188893B1 (ko) 1995-08-29 1996-08-28 흡수식 공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97197B2 (ko)
KR (1) KR100188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450B1 (ko) 2003-12-17 2011-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적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26578A (ja) 1997-05-16
KR970011672A (ko) 1997-03-27
JP2997197B2 (ja) 200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893B1 (ko) 흡수식 공조장치
JP3056987B2 (ja) 吸収式冷房装置
JP2954513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3728122B2 (ja) 吸収式空調装置の制御装置
KR100234681B1 (ko) 흡수식 공조장치의 운전제어 방법
JPH09126524A (ja) 空調装置
JP3241624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2977466B2 (ja) 吸収式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193750B1 (ko) 흡수식 냉방장치
JP2994250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3056990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3920979B2 (ja) 吸収式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3660493B2 (ja) 吸収式冷凍装置の制御装置
JP3920997B2 (ja) 吸収式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3728121B2 (ja) 吸収式空調装置の制御装置
JP2954519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2003042588A (ja) 吸収式冷暖房機
JP3308795B2 (ja) 吸収式空調装置
JP3372662B2 (ja) 吸収式冷凍サイクル装置
JP3157436B2 (ja) 吸収式空調装置
KR200366284Y1 (ko) 급탕공급기능을 갖는 흡수식 냉난방 시스템
JP3130465B2 (ja) 吸収式空調装置
KR100306035B1 (ko) 흡수식공조장치
JP3886641B2 (ja) 二重効用型の吸収式冷凍装置
JP2898202B2 (ja) 吸収式冷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