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353B1 - 사진 필름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사진 필름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353B1
KR100188353B1 KR1019960003071A KR19960003071A KR100188353B1 KR 100188353 B1 KR100188353 B1 KR 100188353B1 KR 1019960003071 A KR1019960003071 A KR 1019960003071A KR 19960003071 A KR19960003071 A KR 19960003071A KR 100188353 B1 KR100188353 B1 KR 100188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ut
photographic film
processing apparatus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082A (ko
Inventor
고오지 세끼
요시유끼 야마지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2037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1991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031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173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6629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27369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96003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3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5/00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ed material
    • G03D15/04Cutting; Splicing
    • G03D15/043Cutting or splicing of filmstrips
    • G03D15/046Automatic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525Operation controlled by detector means responsive to work
    • Y10T83/533With photo-electric work-sens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복수의 사진 필름을 이음부재(13)로 연결하여 구성된 현상이 끝난 긴 필름(10b)을 처리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이 사진 필름 처리장치에서는, 제1반송부(40a)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긴 사진 필름을 짧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음부재의 영역이 검출되고, 주 절단장치(60)는 상기 검출된 영역에서 상기 긴 사진 필름을 짧게 하기 위해 절단한다.
상기 제1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긴 사진 필름(10b)은 노광을 위한 처리전에 상기 주 절단장치(60)에 의해 짧은 필름(10a)으로 절단되고, 이 절단된 짧은 필름을 노광용 처리장치(20, 30)로 반송하는 제2반송부(40b)가 더욱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음부재의 영역에서 사진 필름의 일부를 필름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부 절단장치(70)가 더욱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부재의 영역은, 더욱이 반송방향 하류측의 필름 폭내에 반송방향 상류측의 필름 선단폭이 들어가도록 커트된다.

Description

사진 필름의 처리장치
제1도는 자동 인화 노광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자동 인화 노광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4도는 스프라이스 테이프에 의해 길어진 사진 필름의 개략도이고,
제5도는 긴 필름 리더 영역의 개략도이고,
제6도는 받침통 하측부분의 사시도이고,
제7a도 및 제7b도는 반송경로 분기수단를 상세히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8a도 및 제8b도는 절단수단에 의한 사진 필름의 가공 형상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9도는 주·부 절단장치의 모식도이고,
제10a도 및 제l0b도는 부 절단장치의 개략도이고,
제11도 및 제12도는 받침통 하측부분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복수의 필름을 이음부재로 연결시켜 구성된 현상이 끝난 긴 사진 필름을 처리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는 촬영이 끝난 사진 필름을 자동 현상장치로 현상 처리하는 경우, 소형의 현상장치에 있어서는, 1 오더(order)마다 각기, 즉, 필름을 1통씩 각각 현상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필름을 1통씩 각각 현상 처리하는 데에는 능률이 저하되므로, 대형의 자동 현상장치에서는, 복수 오더의 촬영이 끝난 사진 필름의 단부끼리를 이음부재(스프라이스(splice)테이프 등)로 상호 연결하여 긴 사진 필름으로 만들고, 이 긴 사진 필름을 그대로 연속해서 현상 처리하여 롤상태로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롤 상태로 감겨진 현상이 끝난 긴 사진 필름을, 가령 자동 인화장치로 인화 처리하는 경우, 종래에는 긴 상태 그대로 인화 처리하면서 다시 롤 상태로 감고, 이 후, 절단장치에 의해 1오더마다 절단하고 있다.
그런데, 현상이 끝난 필름에는, 예를 들어 보통의 135 필름이라면, 각 화상의 커트 길이가 36mm의 풀 사이즈와 파노라마 사이즈가 있고, 커트 길이가 17mm인 하프 사이즈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자동 인화장치가, 모든 사이즈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면 문제가 없지만, 풀 사이즈와 파노라마 사이즈에서는 인화지의 크기가 다르고 그에 따라 사진 확대율도 변해야 하며 더욱이, 하프 사이즈에 이르러서는 사진 확대율에 더해서 인화지의 방향이 마음대로 뒤바뀌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자동 인화장치에 의한 대응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에서, 종래에는 긴 사진 필름 중에 특수한 파노라마 사이즈와 하프 사이즈의 필름이 존재할 경우, 긴 필름 그대로 특수한 파노라마 사이즈와 하프 사이즈의 필름을 건너뛰면서, 우선 풀 사이즈의 필름을 일단 인화 처리하여 롤 상태로 감고, 그 후 다시 건너 뛴 파노라마 사이즈 등의 필름을 인화 처리한 다음 1 오더마다 절단하고 있다.
또한, 1오더 중에 풀 사이즈와 파노라마 사이즈가 섞여 있는 필름에 있어서도 같은 모양으로 풀 사이즈 필름의 인화 처리가 완료된 후, 또 다시 인화 처리하다 그 후에 절단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에서는 복수의 필름을 이음부재로 연결하여 구성된 현상이 끝난 긴 필름에 대하여 현상 커트 길이가 반드시 일정하지 않음에 따라, 인화에서 절단까지의 각종 처리가 상당히 번잡하게 되어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상이 끝난 사진 필름이 복수의 필름을 이음부재로 연결하여 구성된 긴 필름이라도 다음 공정의 인화 처리 등의 각종 노광용 처리가 효율이 좋고 신속하게 이를 수 있도록 하는 사진 필름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사진 필름 처리장치는, 복수의 사진 필름을 이음부재로 연결하여 구성된 현상이 끝난 긴 필름을 발송하는 제1반송부와; 상기 긴 필름의 이음부재 영역을 검출하는 이음부재 검술수단과; 상기 제1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상기 긴 필름을 짧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음부재의 영역에서 상기 긴 사진 필름을 짤게 절단하는 주 절단장치와; 상기 주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짧은 필름을 노광용 처리장치로 반송하는 제2반송부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제1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긴 필름이 노광 처리 전에 상기 주 절단장치에 의해 짧은 필름으로 절단되고, 이 절단된 짧은 필름이 제2반송부에 의해 노광용 처리장치로 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긴 필름은 1오더 단위로 절단되어 짧은 필름으로 되고, 이 짧은 필름은 노광용 처리장치로 반송된다.
따라서, 1오더로 짧게 된 후, 노광용 처리장치로 도달되는 상기 파노라마 사이즈와 하프 사이즈와 같은 특수 화상 커트를 지닌 짧은 필름과, 특수 사이즈가 섞여 있는 짧은 필름을 일단 남겨 두고 풀 사이즈의 화상 커트를 지닌 짧은 필름을 노광용 처리장치에 반송하거나, 또는, 특수 사이즈의 화상 커트를 지닌 짧은 필름은 노광 처리 공정에서 제외하는 등의 적당한 조치를 실시한다.
이로 인해, 종래와 같이 풀 사이즈의 화상 커트를 지닌 필름을 노광용 처리장치에서 처리하면서 롤 상태로 감고 이 후, 다시 특수 사이즈의 필름등을 노광용 처리장치에서 처리하여 이 후에 1오더 마다 절단하는 등의 번잡한 처리가 회피되며, 전체적으로는 능률이 향상되어 노광용의 각종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노광용 처리장치가, 화상 커트 길이가 공통하는 풀 사이즈와 파노라마 사이즈에 대응 가능한 것이라면, 커트 길이가 다른 하프 사이즈의 필름을 제외하면 좋고, 풀 사이즈와 하프 사이즈에 대응 가능한 것이라면 파노라마 사이즈 것을 제외하면 좋다.
더욱, 긴 사진 필름의 중에 특수 사이즈의 필름이 존재하는 경우와 다른, 즉, 극단적인 노출오버와 노출언더 등에 의해 이후의 노광용 처리가 불가능한 필름이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관련된 필름을 남겨 두는 등의 적당한 처리를 실시하는 가능성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반송부와 상기 제2반송부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라인에 상기 필름을 롤 상태로 지지하는 루프 지지수단이 구비되면, 상기 주 절단장치에 의한 긴 사진 필름의 절단 처리와 노광용 처리장치에 의한 처리 사이에 시간차가 있어서도, 이 차이를 흡수 또는 해소하여 전체적으로 원활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주 절단장치의 상기 노광용 처리장치 측에, 상기 주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되어 떨어지는 필름 부분을 상기 제1반송부와 상기 제2반송부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라인에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설치하면, 절단시에 생기는 필름 조각을 자동적으로 필름 반송경로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절단된 필름의 불필요한 부분 등이 필름의 반송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반송부와 상기 제2반송부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라인에, 상기 필름이 상기 노광용 처리장치에 의한 처리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필름 적정 판별수단이 구비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이 끝난 긴 사진 필름 중에, 가령 특수한 길이의 화상 커트가 섞여 있는 경우와, 또는 극단적으로 노출오버의 화상 커트가 된 필름 등이 존재하는 등에 있어서, 오퍼레이터가 인위적으로 판별하지 않아도 상기 필름적정 판별수단이 판별하게 되어 판별 작업의 자동화에 의한 능률 향상과 판별의 신뢰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부적당한 화상 커트를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상기 필름 적정 판별수단에 의해 부적합하게 판별된 짧은 필름을 상기 노광용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 회피하는 처리 회피수단, 즉,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적합한 짧은 필름을 상기 반송라인에서 분기시키는 분기라인이 구비되면 좋다.
분기라인의 설치라고 하는 비교적 간단한 추가 구조로, 부적합한 사진 필름을 노광용 처리장치에 이르기 전에 자동적으로 없애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노광용 처리장치에 의한 공정이 원활하게 된다.
상기 배출수단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하나로, 상기 필름의 이음부재 영역에서 소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과 상기 긴 사진 필름의 선단에 접속된 필름 리더를 포함하여 대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으로 된 상기한 절단되어 떨어지는 필름 부분을 인도하는 배출 통로를 상기 반송라인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하고 있으며, 이 배출통로 도중에 상기 소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상기 대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의 진로를 변경하는 간막이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과 소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은, 상기 간막이 부재에서 진로를 변경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리더는 사진용 필름의 이음부재 영역에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보다 크게 된다는 것을 이용하여, 배출 통로의 도중에 간막이 부재를 설치하는 간소한 구성만으로, 상기 리더를 사진 필름의 접속 위치에서 절단한 조각과 구별하여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이 간막이 부재의 위치에 관하여, 상기 필름 리더의 선단이 상기 간막이 부재에 도달할 때까지는 상기 반송라인에 의해 지지 반송된다는 조건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배출 통로를 진행하는 리더는, 가령 진행 방향에 볼때에 가로 폭 방향에서의 위치 및 기울기를 규제시키게 되므로, 진행 방향에서 볼 때 가로 폭 방향의 위치가 위치 차이가 있거나, 또한, 진행 방향에서 볼 때 가로 폭 방향의 기울기가 차이를 보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리더의 구분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게 된다.
재사용되는 리더를, 폐기시켜 소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진 조각과 장소적으로 명확하게 구별한 상태에서 우선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간막이 부재의 바로 위측에 리더의 통과를 허용하는 분기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의 제거를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송라인과 상기 배출 통로의 교차 영역에 상기 사진 필름을 반송 안내하는 자세와, 상기 주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되어 떨어지는 필름의 부분을 상기 배출 통로 내로 안내하는 자세로 변경이 자유로운 가동 가이드를 설치하면 좋다.
이 짧은 필름을 반송하면서 처리할 때에 이음부재의 영역이 필름 반송시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 상기 이음부재의 영역에서 사진 필름의 일부를 필름의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부 절단장치가 추가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긴 사진 필름의 이음부재의 영역을 주 절단 장치에 의해 가령 1오더 마다 짧게 절단할 때에 상기 이음부재의 영역에 있어 필름의 폭방향으로도 부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후의 반송 과정에 있어서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이음부재의 폭방향으로 튀어나온 부분이 존재하게 되더라도 이것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긴 사진 필름의 이음부재 영역을 주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절단 위치가 고려될 수 있다. 즉, (1)반송방향 하류측의 필름에 상기 이음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남길 수 있도록 긴 사진 필름을 절단한다, (2)반송방향 상류측의 필름을 절단한다; (3)반송방향 하류측의 필름에 상기 이음부재의 전부를 남길 수 있도록 반송방향 하류측의 필름을 절단한다;
이와 같은 절단 위치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적어도 이음부재의 일부가 반송방향 하류측의 필름에 남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이남아진 이음부재에 그 필름에 관한 데이터를 구비하게 되면, 이후의 필름 처리에 있어서 유익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음부재에 구비된 필름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내용을 출력하는 판독장치가 필름 반송 라인 중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필름 데이터로는, 특히 이음부재에 인쇄되는 필름 특정용 바코드로 하는 것이 추천된다.
부 절단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하나에 있어, 상기 부 절단장치가 반송방향 하류측의 필름 폭내에 반송방향 상류측의 필름 선단폭이 머물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음부재의 영역을 컷트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송방향 상류측 필름의 선단은, 완전하게 반송방향 하류측의 필름 후단의 폭내에 머물기 때문에, 이후의 반송에 있어 필름이 짧아진 이후에도 이음부재에 의해 이어져 있는 반송방향 상류측의 필름 선단부가 반송의 장애가 되는 것이 확실히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있어, 상기 주 절단장치와 부 절단장치는 일체화되면, 부품과 제어의 공통화가 가능하게 되고, 저코스트화에 이점을 지닐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필요한 스페이스도 작아지게 되어 경제적으로도 이점이 있다.
이와 반대로, 종래의 장치에 장착되거나 옵션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부 절단장치는 상기 주 절단장치와는 별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대한 그 밖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이하 도면을 이용한 실시 형태의 설명에 의해 명확히 하도록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진 필름의 처리장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진 필름 처리장치를 적용한 자동 인화 노광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에는 후에 설명하게 되는 화상정보 판독장치(20)와 인화 노광장치(30)등이 내장되어 있으며, 릴(1)에 감져진 현상이 끝난 네가티브 사진 필름(10)의 화상 정보를 화상정보 판독장치(20)가 판독해서 디스플레이(2)에 표시하고 이 표시 내용에 기초하여 오퍼레이터가 키보드(3)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인화 노광장치(30)가 적정한 노광량으로 인화지에 노광하고, 그 후, 현상 등의 처리를 통해 최종적으로 완성된 프린트가 프린트 수납부(4)에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릴(1)에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이 끝난 복수의 오더 사진 필름(10)이 감겨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필름(10)은, 2개의 의미로서 정의되고 있는 바, 이것은 즉 고객에 와해 오더되어 현상 처리가 완료된 짧은 사진 필름(10a)과, 이들 1오더 단위의 짧은 사진 필름(10a)의 후단(11)과 다른 사진 필름(10a)의 선단(12)을 이음부재의 일례인 스프라이스 테이프(14)로 상호 순차적으로 연결해서 길어진 긴 사진 필름(l0b)이다.(제4도 참조)
이 긴 사진 필름(l0b)은, 필요에 따라서 노광 인화처리 전에 다시 1오더 단위로서 절단되며, 여기서 이 절단에 의해 짧아진 필름도 짧은 사진 필름(10a)이라고 정의한다.
아울러, 긴 사진 필름(l0b)의 선단에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리더(leader)(1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릴(1)이 장착된 축 부위에는, 사진 필름(10)의 느러짐을 잡아 주는 댄서(5)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이 릴(1)에서 노광용 처리장치의 일례인 화상정보 판독장치(20)와 인화 노광장치(30)측을 따라서는, 상기 릴(1)에 감겨진 사진 필름(10), 다시 말해 긴 필름(10)을 반송하는 필름 반송수단(4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필름 반송수단(40)은, 제1반송부(40a)와 제2반송부(40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반송부(40a)는, 펄스 모터(4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1구동롤러(42)와 이 제1구동롤러(42)에 맞대어 접하는 2개의 구동용 공전롤러(43), DC 모터(44)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2구동롤러(45)와 이 제2구동롤러(45)에 맞대어 접하는 구동용 공천롤러(46), 방향 변환용 공전롤러(47) 및 상호 맞대어 접한 한쌍의 공전롤러(48)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진 필름(10)을 화상정보 판독장치(20)측으로 반송하게 된다.
이 제1반송부의 반송라인 중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하게 되는 필름 절단수단(6)이 구비되어 있는 바, 여기서 상기 긴 필름(10b)은, 1오더 단위에 해당하는 짧은 필름(10a)으로 절단 분할되거나, 필름의 일부가 절단되기도 한다.
상기 반송수단(40)의 제2반송부(40b)는, 필름 절단수단(6)에 의해 짧아진 사진 필름(10a)을 화상정보 판독장치(20)에 까지 반송하는 것으로서, 제3구동롤러(49a)와 구동용 회전롤러(49b)와 한쌍의 공전롤러(49c)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송수단(40)의 반송라인 중에는 센서군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에는 예를 들어 상기 제1구동롤러(42)보다 반송방향 위측에는 사진 필름(10)의 존재를 검출하는 필름 검출센서(81)가, 또한 상기 제1구동롤러(42)보다 반송방향 아래쪽에는 스프라이스 테이프(13)에 의해 연결된 사진 필름(10)의 이음영역, 다시 말해 후단(11)또는 선단(12)혹은 스프라이스 테이프(13)를 검출하는 이음부 검출수단으로서의 단부 검출센서(8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양 검출센서(81, 82)는 발광기와 수광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 검출센서(82)보다도 반송방향 아래측으로, 또한, 필름 절단수단(6)보다도 반송방향 위측으로는, 각 오더의 사진 필름(10)이 인화 노광장치(30)에 의해 처리가 적합한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필름 적정 판별수단의 일 실시 형태로서 화상 커트 판별수단(8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화상커트 판별수단(83)은, 발광기와 수광기로 되는 2개의 화상커트 검출센서(83a, 83b)로 이루어져 사진 필름(10)을 투과한 수광량에 근거해서 필름 화상의 커트를 검출하고, 사진 필름(10)의 각 화상 커트 길이를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트 에지 검출 신호에 근거해서, 각 오더의 화상 커트 피치를 측정함과 동시에, 화상 커트의 폭 방향 길이를 측정하여 각 화상 커트가 풀 사이즈인가 파노라마 사이즈인가 아니면 하프 사이즈인가를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필름 절단수단(6)보다도 반송방향 아래측에는, 필름 절단수단(6)에 의해 절단되어 떨어지는 리더(15)와 스프라이스 테이프(13)의 주변부 등을 반송 라인에서 이탈시키기 위한 배출수단(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수단(7)은, 반송 경로의 하방에 설치된 받침통(50)과 이 받침통(50i의 개구부에 위치되고 또한, 필름이 통과하는 스릿트를 보유하여 접동이 가능한 가이드부재(50a)및 이 가이드부재(50a)을 접동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도시되지 않음)로 구성되어, 제2도의 실선과 같이 필름(10)의 반송 라인을 따라 위치되어 필름(10)을 반송 안내하는 상태와, 점선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필름(10)의 반송 라인에 교차하는 상태로 되어 필름의 조각을 상기 받침통(50)에 안내하는 상태로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받침통(50)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장방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반송라인의 하방으로는 단면이 사각형인 배출통로(51)가 형성 된다.
리더(15)의 진행방향에서 보는 상기 배출통로(51)의 가로 폭은, 낙하하는 리더(15)의 자세가 실질적으로 변화되지 않도록 리더(15)의 가로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넓게 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리더(15)는, 필름(10)보다 폭이 크지만, 필름(10)과 같은 폭의 리더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배출통로(51)의 도중에는, 뒤에 설명되는 필름(10)의 스프라이스 테이프(13)부근이 짤라져서 떨어지는 조각의 통과는 가능하지만, 리더(15)는 통과되지 앉도록 하기 위해 간막이 부재(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막이 부재(52)는, 필름(10)의 반송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판상부재로서, 필름(10)반송 라인의 가로 폭 방향 중앙부 바로 아래측에 세로 방향 자세로 설치되어 있다.
리더(15)와 접촉되는 간막이 부재(53)의 상단부 형상은, 제6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만곡 상태로 들어가 있으며, 또한 그 만곡 최하점이 뒤에 설명하는 개구(53)측에 지지되어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원할히 리더(15)를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간막이 부재(52)의 바로 상측에는 리더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구(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통(50)은, 상기 개구(53)의 약간 상측을 중심으로 2개로 분할되어 있는데, 하측부분이 상측부분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롭다. 이에 따라 하측부분에 모여진 조각편의 폐기가 간단하게 된다.
상기 배출수단(7)보다도 반송방향의 아래측에는, 루프탱크(8)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루프탱크(8)의 내부는 사진 필름(10)을 루프 형태로 수납 지지하는 루프지지 공간부(8a)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루프탱크(8)의 개구부에는 개폐가 자유로운 가이드(8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는 도시되지 않은 DC 모터에 의해 개폐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루프탱크(8)보다도 반송방향의 아래측, 또한 상기 제2구동롤러(45)보다도 반송방향의 아래측에는, 사진 필름(10)의 선단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발광기와 수광기로 구성되는 선단 검출센서(84)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선단 검출센서(84)보다도 더욱 반송방향의 아래측에는, 상기 화상 커트 판별수단(83)에 의해 부적하게 판별된 1오더 분의 사진 필름(10)을 화상 판단장치(70)와 인화 노광장치(30)에 의해 처리, 회피하는 처리 회피 수단으로서 반송경로 분기수단(9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경로 분기수단(90)는, 부적하게 판별된 1오더 분의 사진 필름(10)을 반송수단(40)의 제2반송부(40b)로부터 분기해서 반송하기 위한 것으로, 제7a, 제7b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수단(40)의 반송라인 위쪽으로 설치된 몸체에, 상방으로 경사지게 향하는 분기라인으로서 실통(實通)경로가 형성되고, 이 실통경로(91)내에 설치된 축(92)에는 경로 변경부재(93)가 요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경로 변경부재(93)가 솔레노이드(94)에 의해 용접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실통경로(91)의 종단 부위에는, DC 모터(95)로 회전 구동되는 제4구동롤러(96)가 설치되고, 이 제4구동롤러(96)에는 상기 축(92)에 연결된 구동용 공전롤러(97)가 맞대어져 있어, 상기 실통경로(91) 내로 진입해 들어온 사진 필름(10)을 강제적으로 반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실통경로(91)의 반송방향 상측과 하측에는, 사진 필름(10)의 후단부를 검출하는 제1후단 검출센서(85)와 제2후단 검출센서(86)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반송경로 분기수단(90)보다도 반송방향의 아래측에는, 상기한 화상정보 판독장치(20)와 인화 노광장치(3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화상정보 판독장치(20)와 인화 노광장치(30)는, 통상인 구성으로서 화상정보 판독장치(20)는 미러터널(22), 촬상장치(23)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화 노광장치(3)는, 노광램프(31), 조광필터(32), 미러터널(33), 광학계(34), 셔터(35)등으로 되어 사진 필름(10)의 화상을 확대해서 인화지(9)상에 인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름 절단수단(6)은, 제8a도에서와 같이, 스프라이스 테이트(13)를 반송방향 앞쪽의 필름(10a)후단(11)에 남길 수 있도록 반송방향 뒤쪽 필름(10a)의 선단 부위를 절단선 k로 절단하는 주 절단장치(60)와 더불어, 제8b도에서와 같이, 스프라이스 테이프(13)의 양단부에 있어 반송방향 앞쪽의 필름(10a)후단(11)과 반송방향 뒤쪽의 필름(10a)선단(12)를 원호상의 절단선 m으로 절단하는 부 절단장치(70)를 구비하고 있다.
긴 필름(10)에 대하여 주 절단장치(60)와 부 절단장치(70)의 실행 순서는, 양자의 배치 등의 제약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 순서를 한정하고 있지 않지만, 제6도에 도시된 예는 부 절단장치(70)에 의한 절단이 주 절단장치(60)에 의한 절단보다 먼저 실행된 케이스이다.
제9도에서 모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 절단장치(60)는, 필름 반송 라인을 횡단하도록 구비되어 승강 가능한 상측 커터(61)와 필름 반송라인 상에 고정된 하측 커터(62)을 구비하여, 상측 커터(61)가 하측 커터(62)로 하강하는 것이 의해 제8a도에 도시된 절단선 k로 필름을 절단하고, 또한 리더(15)를 짤라 버리기 위하여 제5도에 도시된 절단선 j선으로도 필름을 절단한다.
부 절단장치(70)도 필름 반송 라인의 양측에 구비된 좌우 한쌍의 승강 가능한 상측 커터(71a, 71b)와, 필름 반송라인 상에 고정된 좌우 한쌍의 하측 커터(77a, 72b)을 구비하여, 상측 커터(71a, 71b)가 각기 하측 커터(72a, 72b)에 하강하는 것에 의해, 제8b도에 도시된 절단선 m으로 필름 양측을 원호상으로 절단한다.
이 절단 크기는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 필름(10a)의 후단 폭과 뒤쪽 필름(10a)의 선단이 폭이 어긋나 이어진 경우에도(그 최대 어긋난 양은 경험으로 추측할 수 있다)상기 부 절단장치(70)와 주 절단장치(60)에 의해 절단 처리되면 이 절단 처리에 의해 스프라이스 테이프(13)에 이어진 후단(12)의 폭이 앞쪽 필름(10a)의 폭 내에 머물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인 상기 부 절단장치(70)의 구조는, 제10a, l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커터(71a, 71b)를 설치하고 있는 승강대(73)와, 이 승강대(73)에 고정된 승강핀(74)과, 이 승강핀(74)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측 종동캠(75)및 하측 종동캠(76)과, 상기 상측 종동캠(75)와 하측 종동캠(76) 사이에 설치되는 편심캠(77)과, 이 편심캠(77)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78)와, 상기 승강대(73)의 지지와 승강핀(74)의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프레임(79)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즉, 상기 편심캠(77)의 회전에 따른 상기 상측 종동캠(75)또는 하측 종동캠(76)혹은 얀측 모두의 접촉을 통해서 프레임(79)에 대해 승강핀(74), 결과적으로는 상측 커터(71a, 71b)를 상승시키고 반대로 하강시킨다.
상기 편심캠(77)의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으로 모터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측 커터(71a, 71b)을 상승 ·하강하는 왕복운동을 형성할 수 있지만, 이러한 승강 메카니즘 자체는 공지의 기술에 속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주 절단장치(60)의 구조도 전술한 부 절단장치와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를 지니게 되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론, 승강기구의 구조는 다른 공지의 각종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그 구조를 한정하고 있지 않다
상기 주 절단장치(60)와 부 절단장치(70)를 일체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기 하측 커터(62, 72)를 일측에 형성하거나, 편심캠의 형상을 바꾸어 모터(78)를 겸용하는 것으도 가능하며, 이것은 코스트 절감에 유리하다.
상기한 절단수단에 의해, 긴 필름(l0b)을 1오더 단위마다 절단해서 짧은 필름(10a)으로 분할하는 경우, 제8a도에서와 같이, 스프라이스 테이프(13)가 반송방향 앞쪽의 필름(10a)에 남겨진 채로 되고 있는데, 이것은, 스프라이스 테이프(13)에는 그 필름(10)을 특정하기 위한 ID 정보, 바람직하게는 바코드(14)가 인쇄되어 있는 경우, 이후 그 필름(10a)의 처리에 있어서 그 정보를 이용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자동 인화 노광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현상이 끝난 긴 필름(l0b)이 감긴 릴(1)을 장착하고, 긴 사진 필름(l0b)의 선단부 혹은 선단부에 장착된 리더를 댄서(5)에 걸어서 필름 반송수단(4)의 경로내에 삽입한다.
필름 검출센서(81)가 긴 사진 필름(l0b)의 존재를 검출하면, 펄스 모터(41)가 작동해서 제1구동롤러(42)를 회전 구동시켜 긴 사진 필름(l0b)을 반송함에 동시에 배출기구(7)의 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가이드 부재(50a)을 구동시켜 제2도의 점선 같은 상태로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단부 검출센서(82)가 긴 사진 필름(l0b)의 연접(連接) 단부를 검출하면, 주 절단장치(60)가 작동하여 긴 사진 필름(l0b)의 선단부와 리더(15)등의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하게 되고, 이 때에 긴 사진 필름(l0b)의 선단부와 리더(15)는, 가이드 부재(50a)에 안내되어 하방으로 매달리게 되므로 절단된 불필요한 부분은 받침통(50)내로 낙하하게 된다.
이 후, 가이드 부재(50a)가 제2도의 실선과 같이 도시된 상태로 회전되어 선단부를 절단한 긴 사진 필름(l0b)은, 가이드 부재(50a)의 스릿트 내를 통과하여 제2구동롤러(45)에까지 이르게 되고, 이 제2구동롤러(45)에 의해 구동 반송되어 선단 검출센서(84)에 까지 이르게 된다.
상기 선단 검출센서(84)가 긴 사진 필름(l0b)의 선단을 검출하면, DC 모터(44)가 정지해서 구동롤러(45)의 회전 구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루프탱크(8)의 루프 가이드(8b)가 제2도의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까지 움직여서 루프탱크(8)의 개구부를 닫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1구동롤러(42)는 회전 구동하여 긴 사진 필름(l0b)을 반송시켜 보내게 되므로, 제3도에서와 같이, 긴 사진 필름(l0b)은, 하방으로 매달려서 루프지지 공간부(8a)에 내에서 루프를 형성한다.
그리고, 단부 검출센서(82)가 다음의 연접부를 검출하면, 그 검출 결과에 근거해서, 제1구동롤러(42)의 회전이 정지함과 동시에, 먼저 부 절단장치(70)가 작동하여 필름의 스프라이스 테이프(13)앙단부를 제8b도의 절단선 m으로 커트하고 더욱이, 소정의 거리만큼 제1구동롤러(42)를 회전시킨 후, 주 절단장치(60)를 작동하여 필름을 제8a도의 절단선 k로 절단한다.
이에 의해 긴 사진 필름(10b)으로부터, 대응하는 스프라이스 테이프(13)을 부착한 채로 1오더의 사진 필름(10a)이 짤려지게 된다.
이 스프라이스 테이프(13)에 인쇄되어 있는 바코드(14)는, 반송 라인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된 바코드 판독센서(87)에 의해 판독되고, 이후의 필름 처리 과정에 이용된다.
다시 제2구동롤러(45)가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이 1오더의 사진 필름(10a)이 반송되고, 이 사진 필름(10a)의 후단이 선단 검출센서(84)로부터 벗어나면, 루프탱크(8)의 루프 가이드(8b)가 닫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긴 사진 필름(10b)로부터 짤려진 1오더의 사진 필름(10a)은, 이미 화상 커트 판별수단에 의해 인화 노광장치(30)에 의한 처리로 적합한지의 여부가 판별되고 있다.
즉, 이 사진 필름(10a)의 화상 커트가 상기 자동 인화장치의 인화 노광장치(30)에 적합한 풀 사이즈 또는 파노라마 사이즈인가, 아니면 부적합 하프 사이즈인가가 판별되고 있으며, 이 인화 노광장치(30)에 적합한 사이즈이면, 다음의 화상정보 판독장치(20)로 반송되어 필요한 정보가 판독되어 디스플레이(2)로 표시되고, 그 후, 인화 노광장치(30)에 의해 인화지(9)에 인화 노광된다.
그리고, 이 사진 필름(10a)의 후단이 제2후단 검출센서(86)를 통과한 시점에서, 다시 제1구동롤러(4B)가 회전 구동하여 같은 동작을 되풀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사진 필름(10a)의 화상 커트가 인화 노광장치(30)에 부적합한 사이즈이면, 솔레노이드(94)의 작동에 의해 경로 변경부재(93)가 구동되어 이 경로 변경부재(93)의 안내에 의해 사진 필름(10a)이 실통경로(91) 내로 진입하고, DC 모터(95)의 작동에 의한 제4구동롤러(96)의 회전 구동에 의해, 반송 경로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사진 필름(10a)의 후단이 제1후단 검출센서(85)를 통과한 시점에서 제1구동롤러(42)가 회전 구동하여 같은 동작을 되풀이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노광용 처리장치의 예로서 화상정보 판독장치(20)와 인화 노광장치(30)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 노광용 처리장치로서는 사진 필름의 화상을 인화지에 노광하여 인화하기 위한 필요한 모든 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도 있다.
또한, 필름 적정 판별수단의 예로서는, 화상커트 판별수단(83)을 도시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극단적인 노출오버와 노출언더 등에 의해 다음 행정의 화상정보 판독장치(20)와 인화 노광장치(30)로 반송되지 않은 필름도 존재하게 되므로, 이러한 종류의 필름이 아닌가를 판별하는 장치를 설치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필름 적정 판별수단으로서는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처리 회피수단의 예로서 반송 경로 분기수단(90)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인화 노광장치(30)에 부적합한 사진 필름(10)에 경우에 이 사진 필름(10)에 대해서 인화 노광 처리를 실시하지 않도록 적당한 처리를 실시하겠끔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상커트 판별수단(일)으로서는, 상시 실시예에 도시된 화상커트 검출센서(83a, 83b)이외에, 사진 필름(10)의 측면부에 설치된 노치를 검출하는 노치 검출센서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노치 검출센서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각 오더의 화상커트 피치를 측정하고, 이 측정결과 등에 의해서 그 화상커트가 파노라마 사이즈인가, 흑은 하프 사이즈인가를 판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처리 회피수단으로서, 그것 전용의 반송경로 분기수단(90)을 설치한 것을 보이고 있지만, 필름의 불필요한 부분 등을 반송 경로로부터 이탈시키는 배출수단(50)에 처리 회퍼수단을 겸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화상커트 판별수단(83)에 의해서 부적합하게 판별된 사진 필름(10)을 가이드 부재(50a)의 구동에 의해 하방의 받침통(50)으로 낙하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받침통(50)내에 있어서, 사진 필름(10)과 필름의 불필요한 부분 등을 구분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배출통로(51)에 있어서 리더(15)의 진로를 변경하는 간막이부재(52)를 한 장의 판상부재로서 형성하고 있지만, 봉상으로 형성하던가, 아니면 스프라이스 테이프(13)의 영역이 절단된 필름편의 통과를 허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격자상으로 형성하는 등, 각 형상은 각기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배출통로(51)의 개구(53)하단부가 간막이부재(52)에 있어 개구(53)측단부의 상단부와 같은 높이를 지니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제11도에서와 같이, 간막이부재(52)에 있어 개구(52)의 측단부 상단부 높이가, 배출통로(51)의 개구(53)하단부보다 높이 되도록 형성하여, 리더(15)의 선단이 개구(53)의 하단부에 걸치도록 되어 원활히 배출되는 구성도 양호하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 간막이부재(52)는, 필름(10)의 반송 라인의 가로폭 방향 중앙부의 바로 아래(제12도에 있어 일점쇄선상의 위치)에 세로 방향 자세로 설치되어 있지만, 제12도에서와 같이, 일점쇄선의 위치로부터 설정거리 W만큼 측방으로 이동된 위치로 설치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스프라이스 테이프(13)의 영역이 절단된 필름편이 수평자세로 낙하해서 간막이부재(52)의 상단부에 접할 때에 필름편은 좌우 비대칭으로 지지되는 것에 의해, 원활히 경사 자세로 되어 배출통로(51)를 낙하하여 간다.
즉, 스프라이스 테이프(13)의 영역이 절단된 필름편이 간막이부재(52)의 설치 장소를 원활하게 통과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1)

  1. 복수의 사진 필름을 이음부재로 연결하여 구성된 현상이 끝난 긴 필름을 처리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긴 사진 필름(10b)을 반송하는 제1반송부(40a)와; 상기 긴 사진 필름의 이음부재 영역을 검출하는 이음부 검출수단(82)과, 상기 제1반송부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긴 사진 필름을 짧게 하기 위하여 상기 이음부재(13)의 영역에서 상기 긴 사진 필름을 짧도록 절단하는 주 절단장치(60)를 구비하고, 상기 제1반송부(40a)에 의해 반송되는 긴 사진 필름(IGb)은, 노광을 위한 처리 전에 상기 주 절단장치(60)에 의해 짧은 필름(10a)으로 절단되고, 이 절단된 짧은 필름을 노광용 처리장치(20, 30)로 반송하는 제2반송부(40b)를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송부와 상기 제2반송부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라인에 상기 필름을 루프상으로 지지하는 루프 지지수단(8)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절단장치의 상기 노광용 처리장치 측에, 상기 주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되어 떨어진 부분을 상기 제1반송부(40a)와 상기 제2반송부(40b)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라인으로부터 배출시키는 배출수단(7)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송부와 상기 제2반송부에 의해 형성되는 반송 라인에, 상기 필름이 상기 노광용 처리장치에 의한 처리에 적합한 여부를 판별하는 필름 적정 판별수단(83)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적정 판별수단은, 사진 필름을 투과한 광의 수광량에 근거해서 필름 화상의 커트를 검출하여 사진 필름의 각 화상의 커트 길이를 판별하는 화상 커트 판별 기능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적정 판별수단에 의해 부적합하게 판별된 짧은 필름을 상기 노광용 처리장치에 의해 처리, 회피하는 처리 회피수단(9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피수단은, 상기 부적합한 짧은 필름을 상기 반송 라인으로부터 분기시키는 분기라인(91)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필름 이음부재 영역에서 소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과 상기 긴 필름의 선단에 접속된 필름 리더를 포함하여 대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절단되어 떨어지는 필름 부분을 인도하는 상기 반송라인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배출통로(5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배출통로의 도중에, 상기 소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의 통과를 허용하고 또한, 상기 대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의 진로를 변경하는 간막이부재(57)가 설치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은, 상기 필름 리더의 선단이 상기 간막이부재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반송 라인에 의해지지 반송될 수 있도록 상기 간막이부재의 위치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 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를 형성하는 측벽에 있어 상기 간막이부재의 바로 위측에 상기 대형으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조각의 통과를 허용하는 분기개구(5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라인과 상기 배출통로의 교차 영역에 상기 사진용 필름을 반송 안내하는 자세와, 상기 주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되어 떨어진 필름 부분을 상기 배출통로 내로 안내하는 자세로 자세 변경이 자유로운 가동 가이드(50a)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의 영역에서 사진 필름의 일부를 필름 폭 방향으로 절단하는 부 절단장치(70)가 더욱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절단장치는, 상기 반송방향 하류측 필름에 상기 이음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남기도록 상기 긴 사진 필름을 절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절단장치는, 상기 반송방향 상류측의 필름을 절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절단장치는, 상기 반송방향 하류측의 필름에 상기 이음부재의 전부를 남기도록 상기 반송방향 상류측의 필름을 절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 절단장치는, 반송방향 하류측 필름의 폭 내에 반송방향 상류측 필름의 선단폭이 머물도록 상기 이음부재의 영역을 커트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절단장치와 상기 부 절단장치는 일체화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절단장치와 상기 부 절단장치는 개별 몸체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짧아진 필름에 남겨진 이음부재에는 그 필름에 관한 데이터가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재에 구비된 필름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내용을 출력하는 판독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데이터는, 상기 이음부재에 인쇄된 필름 특정 바코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필름 처리장치.
KR1019960003071A 1995-02-08 1996-02-08 사진 필름의 처리장치 KR1001883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20376 1995-02-08
JP02037695A JP3199154B2 (ja) 1995-02-08 1995-02-08 写真フイルムの処理装置
JP22031895A JP3317383B2 (ja) 1995-08-29 1995-08-29 写真用フィルム処理装置
JP95-220318 1995-08-29
JP31662995A JP3327369B2 (ja) 1995-12-05 1995-12-05 写真フイルムの処理装置
JP95-316629 1995-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082A KR960032082A (ko) 1996-09-17
KR100188353B1 true KR100188353B1 (ko) 1999-06-01

Family

ID=2728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071A KR100188353B1 (ko) 1995-02-08 1996-02-08 사진 필름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56451A (ko)
EP (1) EP0726496B1 (ko)
KR (1) KR100188353B1 (ko)
CN (1) CN1088207C (ko)
CA (1) CA2169007C (ko)
DE (1) DE6963297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6743B2 (ja) * 1999-10-08 2004-06-14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処理装置
US7110019B2 (en) * 2000-10-20 2006-09-19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ading apparatus
ES2260279T3 (es) * 2001-08-29 2006-11-01 Tesa Ag Cinta adhesiva detectable por medio de una maquina.
JP4135582B2 (ja) * 2003-07-10 2008-08-20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画像プリントシステム
CN108061999A (zh) * 2018-01-05 2018-05-22 岑耀棠 一种影像科用医学x光胶片自动洗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9832A (en) * 1971-04-16 1972-10-24 Eastman Kodak Co Control circuit for automating the operation of a film cutter or like apparatus
DE2614038A1 (de) * 1976-04-01 1977-10-06 Agfa Gevaert Ag Vorrichtung zum schneiden von bandfoermigem material
JPS5852218B2 (ja) * 1980-02-01 1983-11-21 株式会社 東京光音 現像、乾燥済み長尺ネガフイルムの自動仕分け巻取り装置
US5281993A (en) * 1987-02-20 1994-01-25 Gretag Imaging, Inc. Photofinishing apparatus and method
DE68929295T2 (de) * 1988-01-08 2001-08-23 Fuji Photo Film Co., Ltd. Verfahren zur Farbfilmanalyse
US5029313A (en) * 1988-10-07 1991-07-02 Eastman Kodak Company Photofinishing apparatus with film information exchange system using dedicated magnetic tracks on film
US5032707A (en) * 1989-02-08 1991-07-16 Standard Manufacturing Bagless film handling system
JPH02235061A (ja) * 1989-03-09 1990-09-18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処理装置
JPH04125554A (ja) * 1990-09-17 1992-04-27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収納用パトローネ及びフイルム接合方法
JPH04142539A (ja) * 1990-10-03 1992-05-15 Fuji Photo Film Co Ltd フイルムプロセサ
JPH04367843A (ja) * 1991-06-17 1992-12-21 Fuji Photo Film Co Ltd 写真処理システム用プリンタ
US5473402A (en) * 1993-12-22 1995-12-05 Eastman Kodak Company Film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69007A1 (en) 1996-08-09
US6056451A (en) 2000-05-02
DE69632972T2 (de) 2005-07-21
DE69632972D1 (de) 2004-09-02
CN1168988A (zh) 1997-12-31
CA2169007C (en) 2000-08-01
EP0726496A1 (en) 1996-08-14
CN1088207C (zh) 2002-07-24
EP0726496B1 (en) 2004-07-28
KR960032082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35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raming slides in a framing apparatus
KR100188353B1 (ko) 사진 필름의 처리장치
US5432586A (en)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and automatic cutter
US5870173A (en) Processing apparatus for film
US5257065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exposed photographic films through and beyond a developing unit
JP3407784B2 (ja) 写真処理装置
JP2943602B2 (ja) 写真処理装置
JPH09160213A (ja) 写真フイルムの処理装置
JP3199154B2 (ja) 写真フイルムの処理装置
JP3317383B2 (ja) 写真用フィルム処理装置
JP3144219B2 (ja) 写真処理装置
JP2656392B2 (ja) 写真焼付方法
US20060114319A1 (en) Film autoloader and image reading apparatus
EP0646843A1 (en) Method and means for separating leader from film in photographic processing machine
EP0764881A1 (en) Apparatus for recovering film containers
JP3373657B2 (ja) 写真フィルム搬送装置
EP0829763A1 (en) Photographic processing apparatus
JP2000214540A (ja) フィルムシ―トの処理装置
JP2005140923A (ja) フィルム搬送監視装置
JPH0611818A (ja) フィルム長検査装置
JPH11109519A (ja) ノッチャー装置
JPH04289841A (ja) 写真フィルムの画像コマサイズ判定方法及びその判定装置
JP2000214570A (ja) フィルムシ―トの処理装置
JPH05341396A (ja) 印画紙送り方法及び装置
JP2000305183A (ja) オーダー区切り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