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352B1 - 소터 - Google Patents

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352B1
KR100188352B1 KR1019960047377A KR19960047377A KR100188352B1 KR 100188352 B1 KR100188352 B1 KR 100188352B1 KR 1019960047377 A KR1019960047377 A KR 1019960047377A KR 19960047377 A KR19960047377 A KR 19960047377A KR 100188352 B1 KR100188352 B1 KR 100188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ember
receiving
posture
receiving plate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498A (ko
Inventor
겐지 도도키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간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777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81768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2720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177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72036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77102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간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간이치
Publication of KR970022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3/00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 B65H33/16Forming counted batches in delivery pile or stream of articles by depositing articles in batches on movin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8Bands, chains, or like moving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30Chains
    • B65H2404/31Chains with auxiliary handling means
    • B65H2404/311Blades, lugs, plates, paddles,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65H2405/352Means for moving support in closed lo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1/00Sheet feeding or delivering
    • Y10S271/903Traveling wicket for stack on edge

Abstract

받음판(22)을, 받음판 지지축(64)에 거의 평행한 요동 지지축(71)과, 요동지지축71에 대하여 요동이 가능한 복수의 받음판 구성부재(220a,220b)로 구성하고, 돌출하는 자세에서, 받음판 지지축(74)으로부터 이간(離間)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받음판 구성부재(220a,220b)를 자세를 유지하는 돌출 자세 유지기구를, 복수의 받음판 구성부재(220a,220b) 사이에 마련한다.

Description

소터
본 발명은, 분류물을 받아 드리는 복수의 받아 드림부재와, 구동수단에 의해 순환 구동되는 순환회동기구(예를 들면 체인)과, 이 순환회동 기구에 마련되는 복수의 받아드림부재 지지축을 갖추며, 받아드림부재 지지축에 받아드림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마련하고, 순환회동기구의 순환경로상에서, 받아드림부재를, 분류물을 받아드림이 가능한 돌출 자세와, 받아드림부재 지지축 주위의 요동에 의해 순환회동 기구측으로 근접되는 접힘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된 소터(sorter)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소터는, 각 받아드림부재는 단일의 판상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각 받아드림부재를 단일의 판상체로 구성하는 경우는, 접힘 자세에서, 다수의 받아드림부재의 전유 공간의 협소화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아드림부재가 순환하는 구성의 소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받아드림부재가 접힘 자세를 취하는 자세이며, 그 전유 공간을 가능한 작게 할 수 있는 소터를 얻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소터의 특징 구성은, 받아드림부재를 받아드림부재 지지축에 거의 평행한 요동 지지축과, 요동 지지축에 대하여 요동이 가능한 복수의 받아드림 구성부재로 구성함과 아울러, 특정의 상기 받아드림 구성부재를 상기 받아드림부재 지지축에 요동 가능하게 마련하고, 돌출 자세에서, 받아드림부재 지지축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복수의 받아드림부재를 자세 유지하는 돌출 자세 유지기구를, 복수의 받아드림부재 사이에 갖추고 있다.
이 구성의 소터에 있어서는, 소터는 순환 구동되는 것으로 이루어지지만, 그 경로 부위의 일부에서, 돌출하는 자세와 접힘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본원의 받아드림부재에 있어서는, 받아드림부재는 받아드림부재 지지축 주위를 회동한 후 자세를 취함과 동시에, 각 받아드림부재가 요동 지지축 주위로 요동하고, 접혀진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받아드림부재를 2부재로 구성하는 경우는, 제4도에 도시하는 마와 같이, 2개의 접힘 상태로 하며, 그 전유 공간을 작게 하기 위하여, 이 받아드림부재의 순환 경로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작게 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터의 특징 구성은, 받아드림부재가, 받아드림부재 지지축측의 기단측 받아드림부재와, 기단측 받아드림부재에 요동 지지축을 개재하여 요동 지지되는 선단측 받아드림부재로 구성된다.
이 구성의 받아드림부재는, 중요하게 단일 요동 지지축과 이것에 각각 접속되는 1쌍의 받아드림부재로 구성되며, 그 기단측 받아드림부재가 앞에 설명하고 있는 받아드림부재 지지축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받아드림부재는 가장 간단한 구성이며, 접힘 자세에서 전유 공간을 가능한 작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터의 특징 구성은, 받아드림부재의 순환 경로가 수직상하 방향의 받아드림부재 수직이동 경로부를 갖추며, 받아드림부재 지지축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 지지축으로 있으면서, 받아드림부재의 돌출 자세가, 받아드림 부재가 상기한 수평 지지축으로부터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한 자세로 있는 것으로 된다.
이 구성의 경우는, 받아드림부재는 수평축 주위를 회동하고, 돌출 자세로 있는 경사상측에 돌출된 자세로 유지되며, 분류물을 받아드린다. 따라서, 이 받아드림부재 상측으로 상방으로부터 분류물을 낙하 공급할 수 있으며, 중력을 살리면서 분류를 행하게 된다.
더욱이, 받아드림부재의 접힘 자세로부터 돌출 자세로의 자세 변경에 있어서도, 중력을 이용하며, 자세 변경을 행한다. 여기에서, 받아드림부재의 자중에 의해 자세 변경을 행하는 경우는, 변경 동작이 소극적인 충격 등을 수반하기 쉬우나, 상대 이동을 행하는 부재 사이에 저항수단을 마련하여 두면, 변경 동작의 가속화 등의 동작 변동이 일어나도, 이것을 흡수하여 안정된 동작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터 특징 구성은, 구동수단을 갖춘 소터 프레임에 받아드림부재 자세 설정캠이, 받아드림부재에 받아드림부재 자세 설정캠에 접촉 가능한 캠 접촉부가 각각 마련되며, 받아드림부재가 돌출 자세로 설정되는 받아드림부재 수직 이동경로 직전의 근처에서, 받아드림부재 지지축과 마주하며, 순환회동기구와는 반대측으로 위치되고 있다.
이 구성의 받아드림부재에 있어서는, 이 받아드림부재에 마련되어 있는 캠접촉부가, 소터 프레임측에 마련되어 있는 받아드림부재 자세 설정캠에 접촉하면서 받아드림부재 수직이동경로상의 상부 위치로 이동하여 온다. 그리고, 이 위치에 온 단계에서는, 받아드림부재 자세 설정캠에 의해, 받아드림부재의 중심이 받아드림부재 지지축과 마주하며, 받아드림부재 전체를 지지하는 순환회동기구와는, 반대측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받아드림부재는, 자중에 의해, 접힘 자세로부터 돌출 자세 측으로 받아드림부재 지지축 주위로 압박되며, 자동적으로 돌출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소터의 특징 구성은, 돌출 자세 유지기구가 복수의 받아드림 구성부재를 직선상 또는 구부림 상태로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다. 복수의 받아드림 구성부재를 어떻게 자세 유지를 하는 가는 다양한 변형예가 고려되지만, 특히 절곡상태로 하면, 받아드림부재에 재치되는 분류물의 양이 많고, 무거운 경우에 받아드림부재의 선단이 하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이하의 도면을 이용한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하게 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소터(sorter)를 갖춘 사진 인화장치의 전체 개략도.
제2도는 반송 컨베이어 근처의 사시도.
제3도은 제2도에서의 X-X선 단면도.
제4도는 소터의 횡단면도.
제5도는 소터 정상부 상세도.
제6도는 소터에 취부된 받음판 평면도.
제7도는 받음판의 측면도.
제8도는 받음판의 제2실시 형태.
제9도는 받음판의 제2실시 형태.
제10도는 받음판의 제3실시 형태.
제11도는 받음판의 제4실시 형태.
제12도는 받음판의 제5실시 형태.
제13도는 받음판의 제6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감광재료 정렬장치(1)를 갖춘 사진인화현상장치(2)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제3도는 인화노광부를, 4는 현상 처리부를 나타낸다. 인화노광부(3)의 구성은 공지의 것이므로 간단히 구성 요소의 명칭만을 나타낸다. (5)는 감광재료(50)를 롤상으로 감은 매거진이다. (6)은 커터, (7)은 반송용 흡착벨트, (8)은 광원, (9)는 미러터널, (10)은 네가마스크, (11)은 렌즈 유니트이다.
인화노광된 감광재료(50)는, 반송장치12로 화살표 방향을 경유하여, 분진장치(13)로 보내진다. 분진장치(13)는, 일직선상으로 보내어진 감광재료(50)를 3열의 지그재그상의 배열로 하측으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목적으로부터, 분진장치(13)은, 감광재료(50)를 분진하는 분진 유닛트(13a)와, 분진된 감광재료(50)를 반송방향으로 보내는 컨베이어(13b)로 구성되어 있다.
이 분진장치(13)에서, 감광재료(50)는 반송방향(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위상차를 갖는 3열의 지그재그 상태로 배열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분진 유닛트(13a)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보내진 감광재료(50)를 반송방향과는 직교하는 직각방향으로 위치를 비키는 이동대(도면생략)를 갖추고 있다.
상기한 분진장치(13)의 하측이 현상처리부(4)이다. 이 현상처리부(4)는, 현상처리액을 저류하는 현상처리탱크(14), 건조처리부(15), 감광재료 정렬장치(1)를, 감광재료의 반송방향을 따라서 갖추어져 있다.
상기한 현상처리탱크(14)는, 내부를 칸막이판(14a)로 몇 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구획내에는 현상 처리에 필요한 다른 종류의 현상처리액을 수납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감광재료(50)의 반송방향은, 각 구획으로 건너며, 순차 현상처리액내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건조처리부(15)는, 복수의 협지반송 롤러기구(16)(서로 당접하는 1쌍의 반송롤러로 구성된)를 반송경롤를 따라서 배치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이 경로의 일측부에 히터(17)를 마련하고, 반송경로를 감광재료(50)가 통과하는 사이에, 건조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건조재의 감광재료(50)는, 연결되어 있는 감광재료 정렬장치(1)로 보내어 넣어진다.
감광재료 정렬장치(1)내에 있어서 감광재료(50)의 반송게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현상, 건조처리를 받은 감광재료(50)를 받아들여 반송 콘베이어(18)측으로 보내는 반송로와, 이 반송 컨베이어(18)의 앞에 마련되어 감광재료(50)를, 예를들면, 필름 단위로서 받아들여지는 본원 독특한 구성의 소터(19)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서, 이 반송 컨베이어(18)는, 도2에서와 같이, 감광재료 정혈장치내의 반송로에 있어서 반송로 출구(20)와 소터(19)와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이며, 반송로 출구(20)로부터 배출되는 감광재료(50)의 배출방향A에 대하여 거의 직교한 이송경로(21)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반송 컨베이어(18)에 있어서는, 3열의 지그재그 상태로 보내져 오는 감광재료(50)를, 컨베이어 이동방향에서 컨베이어 상의 다른 위치로 각각 받으며, 소터(19)의 받아드림부재인 받음판(22)상으로 반송한다.
이하, 상기한 반송경로에 있어서 반송로 출구(20) 근처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송로는 앞에 설명한 1쌍의 협지롤러로 구성되는 협지반송롤러기구16을 감광재료(50)의 반송경로를 따라 갖추며, 그 최종단인 반송로 출구(20)에 협지반송롤러기구(16)보다 고 속의 배출협지롤러기구(23)를 갖추어 구성하고 있다.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반송롤러기구(16)를 구성하는 롤러(16a)는 감광재료(50)의 병렬방향B(반송 컨베이어의 배치방향)에 있어서 단일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배출협지롤러기구(23)는, 큰 직격의 구동롤러(24)와 이것에 접촉하며 회전하는 작은 직경의 피동롤러(25)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롤러(24)는, 원동축(26)측으로부터 프레임(26a)으로 지지되는 구성이며, 그 원동축(26)과 롤러축(27)과의 사이에, 치차구동전달기구(26b)를 갖추고 있다. 더욱이 치차구동전달기구(26b)의 종동측 기어(26c)와 구동롤러(24)의 롤러축(27)과의 사이에 소정치 이상의 회전 토오크에 대하여 롤러의 회전을 자유스럽게 하는 토오크 리미터(28)를 갖추고 있다.
이 토오크 리미터(28)는 소위 자분식(磁紛式)의 것이지만, 어떠한 구성의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기한 피동롤러(25)와 동축으로, 복수의 가이드 롤러(29)가 피동롤러(25)를 끼우도록 갖추어져 있으며, 이들 가이드 롤러(29)의 직격이 피동롤러(25)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반송로 출구(20)의 외측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반송 컨베이어(18)가 마련되며, 이것이 감광재료(50)의 배출에 수반하여 간헐 구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반송 컨베이어(18)는 풀리(30)에 연결된 구동부(도시생략)에 의해 간헐 구동된다. 31은 누름 롤러이다.
반송 컨베이어(18)의 하측에는 소터(19)가 마련되며, 이것에 감광재료(50)를 정렬하여 받는 복수단의 받음판(22)이 배치되어 있다. 이 받음판(22)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체인(22a)에 반송 컨베이어(18)와 접속하는 위치에서 대략 수평이 되도록 복수단 마련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1개의 필름마다에 각각 대응하는 감광재료(50)가, 단일 받음판(22)에 겹쳐쌓여 올라오면, 이 받음판(22)이 하측으로도 이동하며, 새로운 받음판(22)이, 반송 컨베이어(18)로부터 보내지는 감광재료(50)를 받아 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소터(19)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에 소터(19)의 횡단면을, 제5도에는 소터(19)의 상측부 상세를, 도6에 받음판(22) 근처의 평면도를, 더욱이, 제7도에 각각의 받음판(22) 측면도를 나타내었다.
이 소터(19)는, 소터 프레임(60)에 대하여 구동기구(도시생략)에 의해 회동 구동되는 구동축(61)에 체인 회전 구동용 스프로켓(62a)과, 이 스프로켓에 대응하는 종동측 스프로켓(62b)을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체인(22a)은 순환 구동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스프로켓(62a,62b)의 상하 연직방향에 배치된 구성으로부터, 받음판(22)의 순환경로는, 연직상하방향의 받음판 연직 이동경로부(101)를 갖추고 있다.
다음에, 체인(22a)과 분류물인 감광재료(50)를 받아 드리는 복수의 받음판(22)과의 취부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인(22a)에 갖추어지는 링크(63)에 대하여, 이것과 일체로 갖추어지는 링크 부속부재(67)에는, 받음판 지지축(64)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 받음판 지지축(64)에, 개별적으로 받음판(22)이 요동이 가능하게 수평 지지축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더욱, 본원의 소터(19)에 있어서는, 상기한 체인(22a)의 순환경로상에서, 받음판(22a)을, 분류물을 받아드림이 가능한 돌출 자세(제4도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받음판 연직 이동경로101a에 있어서의 받음판(22)이 취부되어 있는 자세)와, 받음판지지축(64) 주위의 요동에 의해 체인(22a) 측으로 근접되는 접음자세(제4도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받음판 연직 이동경로부101b에 있어서의 받음판이 취부되어 있는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돌출 자세는, 받음판(22)이 순환경로 상(65)를 넘어서, 소정길이만큼 순환 경로를 이동한 상태에서, 받음 기단측에 위치하는 받음판 지지부(66)(앞서 설명한 받음판 지지축64와 이것을 체인측으로 지지하는 각 링크(63)와 일체로 마련되는 링크부재67로 된다)로부터, 비스듬히 상측에 직선상으로 돌출한 자세이다.
이 자세의 하측으로부터의 지지는, 받음판 기단측에 마련된 제1접촉부(68)와 앞서 설명한 링크부속부재(67)에 마련되는 대응하는 제1접촉 지지부(69)와의 접촉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접음 자세의 자세 유지는, 받음판(22)의 받음판 지지축(64) 주위의 요동을 받음판 선단(70)과 소터 프레임(60)과의 접촉에 의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후속측의 받음판(22)에 의한 지지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원 독특한 받음판(2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받음판(22)은, 제6도,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수평 지지축으로서의 받음판 지지축(64)에 거의 평행한 요동 지지축(71)과, 이 요동 지지축(71)에 대하여 요동이 가능한 복수의 받음판 구성부재(220)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한 돌출 자세에서, 받음판 지지축(64)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복수의 받음판 구성부재(220)를 직선상으로 자세를 유지하는 돌출 자세 유지기구(72)를, 상기한 복수의 받음판 구성부재(220) 사이에 갖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시하는 받음판(22)에 있어서는, 이것이, 가장 간단한 구조인 2개의 굽힘 가능한 구조로 되며, 받음판 지지축(64)의 기단측 받음판 부재(220a)와, 기단측 받음판 부재(220a)에 요동 지지축(71)을 통하여 요동 지지되는 선단측 받음판 부재(220b)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받음판(22) 자체가 2개의 굽힘상태로 접힘 자세를 취하기 때문에, 도4에 있어서 우측의 받음판 연직 이동경로부(101b)(이 부위에서의 받음판22는 상승 이동한다)에 있어서, 체인 위치로부터 소터 프레임(60)까지의 거리를, 종래보다도 좁게 설정하여도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더욱이, 이들 선단측 받음판 부재(220b)와 기단측 받음판부재(220a)와의 사이에는, 앞의 제1접촉부(68)와 제1접촉 받음부(69)에 대응하여 돌출 자세 유지기구(72)로서의 제2접촉부(73)와 제2접촉 받음부(7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출 자세 유지기구(72)의 접촉으로, 돌출 자세에서 받음판(22)을 직선상의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받음판(22)이, 순환경로 상부(65)로부터 이동하여 돌출 자세를 취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 동작을 원활하게 행하도록 하기 위한 본원 독특한 구조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이 구조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4도,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터 프레임(60)에는 받음판 자세 설정캠(75)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제까지 설명한 받음판(22)에는, 이 받음판 자세 설정캠(75)에 접촉 가능한 캠 접촉부(76)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받음판 자세 설정캠(75)과 캠 접촉부(76)과의 역할은, 받음판(22)이 돌출 자세로 설정되는 이동경로 직전 근처에서, 받음판 자세 설정캠(75)에 대응하는 캠 접촉부(76)의 접촉으로, 받음판(22)의 중심을, 받음판 지지축(64)에 대응하여, 체인(22a)와는 반대측으로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제4도에 100으로 나타내는 좌측의 받음판 연직이동경로부1013(이 부위에서는 받음판은 하강한다)의 입구 부위에 있어서, 받음판지지축(64) 주위에 자중으로 요동 회전하며, 앞서 설명한 돌출 자세로의 자세 변경을, 원활하게, 빠르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구성의 소터(19)에 있어서는, 받음판(22)의 접음 자세로부터 돌출 자세로의 변경은, 순환 경로의 정상부 부근에서, 받음판(22)이 하강이동을 시작하는 부위의 부근에서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이제까지 설명한 받음판 지지축(64)과 받음판(22)과의 사이, 또는, 요동 지지축(71)과, 이 요동 지지축(71)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받음판 구성부재(220)(구체적으로는 선단측 받음판부재(220b)와의 사이에 있어서, 요동이 급격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제1접촉부(68)와 제1접촉 받음부(69), 및 제2접촉부(73)와 제2접촉 받음부(74)와의 어느 것이든지 혹은 양방이 접촉할 때까지, 자세 변경이 충격적으로 행하여지며, 각 부재(220a,220b)에 불필요한 충격이 더하여짐과 아울러, 현저한 경우는, 어느 부재(220a,220b)이 튕기어지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다. 따라서, 이 현상을 회피하기 위하여, 이하의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
즉, 받음판(22)의 상기한 접음 자세와 돌출 자세와의 자세 변경에 있어서, 이 자세 변경에 저항을 주는 저항수단이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더욱이 구체적으로는,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제까지 설명한 받음판 지지축(64), 링크부속부재(67)와 상기한 받음판(22)의 사이에, 제1저항수단으로서의 오링(77)이 마련되며, 받음판(22)에 마련되어 있는 요동 지지축(71)과 받음판 구성부재(220)(구체적으로는 선단측 받음판 부재(22Gb)과 기단측 받음판부재(220a)의 사이에, 제2저항수단으로서의 오링(78)이 마련되어 있다.
받음판(22)은, 받음판 지지축(64) 주위로 회동하며, 접음자세로부터 돌출 자세로의 자세 변경을 행하지만, 오링(77,78)을 마련하는 것으로 이 회동을 억제하고, 충격적인 회동, 바운딩 등을 수반한 회동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오링(77,78)에 의한 저항의 정도는, 이 회동을 바운드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로 허용하는 정도가 적절하다.
또, 받음판(220)이 2개의 접음 구성부재(220a,220b)로 되기 때문에, 단일부재로 받음판(22)이 구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충격, 바운드 등이 보다 일어나기 어렵다. 그렇지만, 자세 변경에 저항을 주는 오링(77,78)를 갖추고 있으면, 각 구성부재(220a,220b) 사이, 또는 받음판 지지축(64)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기단측 받음부재(220a)와 받음판 지지축(64)과의 사이에서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안정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저항수단을 각 부에 갖추는 것으로, 접음 자세로부터 돌출자세로 자세가 변경이 가능하게 구성하면서, 또 이 자세 변경을 층격없이, 혹은 부재의 바운드 없이 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감광재료 정렬장치(1)의 사용 상황에 관하여 설명한다.
감광재료(50)의 크기로서는, 표준적인 예를 들면 89mm-6인치폭까지의 것이 대상으로 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장치(1)로 보내어져 오는 감광재료(50)는, 제2도,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열의 지그재그 상으로 보내어져 온다.
반송 경로에 있어서는, 경로를 따라서 마련되어 있는 거의 동일 이송 속도의 복수개의 협지반송 롤러기구(16)에 의해 반송로 출구(20)까지 보내져 온다. 그리고, 감광재료(50)의 후단이 최종단의 협지반송 롤러기구(16)로부터 이탈된 시점에서, 배출협지 롤러기구(23)의 속도까지 가속되며, 고속으로 반송 컨베이어(18)측으로 배출된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출협지 롤러기구(23)를 구성하는 피동롤러(25)에 대하여 롤러의 양측 적당한 위치(이 위치는, 감광재료50를 그의 폭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는, 가이드 롤러(29)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재료(50)의 양단 가장자리 측은 약간 들어 올려져 통상으로 되어 보내어진다.
배출된 감광재료(50)는 반송 컨베이어(18)에서 배출방향과는 직각인 방향으로, 반송 컨베이어(18)의 간헐적인 동작으로 보내어지지만, 그때 3열의 지그재그상으로 배열되어 보내져 오는 감광재료(50)는, 각각 개별적으로, 배출과 반송 컨베이어(18)에 의한 받응판(22)까지의 반송 이동을 반복한다. 즉, 1매의 감광재료(50)가 반송 컨베이어(18) 상에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다음의 감광재료(50)는 배출협지 롤러기구(23)에 의한 배출이 완료되지 않는 위치에 보전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순차 배출되는 감광재료(50)를 반송 컨베이어(18)의 간헐 동작으로 받음판(22)에 차례로 적층하는 것에 의해, 감광재료(50)를 필름의 각 코마의 차례로 정렬되어 적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반송 컨베이어(18)의 간헐 동작의 타이밍 설정은, 고속으로 배출되는 감광재료(50)의 후단을 그의 그때마다 광검출기(미도시)로 검출하여, 후단이 통과한 후, 소정시간 후에 반송 컨베이어(18)를 구동하고, 감광재료(50)의 받음판(22)으로의 이동을 동일하게 광검출기(미도시)로 검출하여, 반송 컨베이어(18)의 정지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더욱이, 광검출기(미도시)에 의한 각 감광재료(50)의 후단을 검출한 신호에 의해 통과한 감광재료(50)의 매수를 카운트하여 제어회로(미도시)로 1매의 필름분의 매수를 확인하고, 1매의 필름분의 감광재료(50)의 매수가 전부 단일의 받음판(22)에 축적되면, 다음의 받음판(22)을 하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받음판(22)의 하강 이동은, 앞서 설명한 본원 독특한 구성에 의해, 원활하게 또, 빠르게, 층격 혹은 바운드 등을 수반하지 않도록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받음판(22)의 다양한 변형예에 대하여 제8도-제12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4도에 나타내는 제1실시 형태에서는, 받음판(22)은 비스듬히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돌출하고 잇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8도에서는, 받음판(22)의 제2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기단측 받음판부재(220a)와 선단측 받음판부재(220b)이 굽힘상태로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기단측 받음판부재(220a)는 받음판 지지축(64)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선단측 받음판부재(220b)는 요동 지지축(71)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받음판(22)에 재치되는 감광재료(50)의 수가 많게 된 경우에도, 받음판의 선단(70)이 아래측으로 됨이 어렵게 되는 효과가 있다.
제8도에 나타내는 구성의 경우, 돌출 자세 유지기구(72)는 제9도와 같이 된다.
제2접촉 받음부(74) 또는 제2접촉부(73)의 경사 각도를 변환하는 것으로서, 선단측 받음부재(220b)의 돌출방향을 변환시킬 수 있다. 또, 제1접촉 받음부(69)의 경사각도 또는 제1접촉부(68)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으로서, 기단측 받음부재(220a)의 돌출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
제10도에 나타내는 받음판(22)의 제3실시 형태에서는, 기단측 받음부재(220a)와 선단측 받음부재(220b)의 어느 것이 경사져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여기에서, 선단측 받읍부재(220b)의 상방이 보가 상측으로(보다 큰 경사 각도를 갖고) 돌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단측 받음부재(220a)와 선단측 받음부재(220b)가 굽힘상태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제11도는 받음판(22)의 제4실시 형태이다. 여기에서는, 받음판(22)의 감광재료(50)의 재치면이 오목면이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제3실시 형태의 구조의 것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오목면의 곡률은 받음판(22)의 돌출 길이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제8도, 제10도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서는, 받음판(22)의 돌출 자세가 절곡되는 위치는, 요동 지지축(71)의 위치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2도의 제5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측 받음부재(220b) 자신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도 좋다.
그밖에 기단측 받음부재(220a)를 직선 상태로 돌출하고, 선단측 받음판부재(220b)을 만곡상태로 돌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제13도에 의해 제6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받음판(22)의 바운드의 발생을 제어하기 위해, 더욱이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오링을 사용하고 있지만, 충격 흡수성인 소재를 이용하여 바운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받음판(22)을 구성하는 받음판 구성부재(220)를 층격 흡수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소재의 예로서는, 에러스토마가 권장되며, 열경화성 에러스토마와 열가소성 에러스토마가 있다.
열경화성 에러스토마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우레탄, 각종 고무, 탄성 에폭시 수지가 있으며, 열가소성 에러스토마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층격 흡수성 ABS, SBS 폴리우레탄이 천거된다.
에러스토마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받음판(2) 전체를 에러스토마로 형성하여도 좋지만, 부분적으로 필요개소만을 에러스토마로 형성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접촉부(68)와 제1접촉 받음부(69), 및 제2접촉부(73)과 제2접촉 받음부(74)가 접촉할 때에, 충격이 발생하는 것이므로 이들 부분만을 에러스토마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받음판 구성부재(220)를 2증 형성(2색 형성)으로 제조하지만, 제1접촉부(68)(제2접촉부73, 제2접촉 받음부(74)도 동일)의 부분도, 그 이외의 부분으로 나누어 접착등으로 일체화하면 좋다.
또, 받음판 구성부재(220a,220b)의 내측 일측에만, 예를 들면 기단측 받음판 부재(220a)만을 에러스토마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받음판 지지부(66) 만을 에러스토마로 형성하여도 좋다. 더욱더 받음판 지지부(66)의 내측 제1접촉 받음부(69)만을 에러스토마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받음판(22)을 2부재로 구성한 것이지만, 이 부재의 수는 임의이다. 부재수가 증가하는 만큼, 체인으로부터 소터 프레임 벽면까지의 거리를 짧게 설정하기 쉽다.
(2)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저항수단으로서, 오링을 채용한 것이만, 이것은 동작시 저항을 주는 댐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3) 더욱이,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저항수단과 제2저항수단를 마련하는 것이지만, 그들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도 좋다.
(4) 더욱이, 받음판을 단일부재로 구성하는 경우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따라 제1저항수단만을 마련하는 것은 당연하다.
(5) 더욱이, 저항수단의 취부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한 예와 같이, 축과 받음판 구성부재 사이에 설치할 뿐만 아니라, 받음판 구성부재와 소터 프레임사이 더욱더는, 소터 프레임과 일체로 마련되는 어떤 부재 사이에 마련하여도 좋다.
자세 변경이 충격적으로 일어나지 않도록 간섭 기능을 수행하는 기구 구성으로 하면 좋다.
(6) 충격 흡수성이 있는 소재로서는 에러스토마 이외의 급속이어도 좋다.
(7) 받음판 지지축과 요동 지지축과는 독립된 부재가 아니고, 다른 부재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요동 지지축은 받음판 구성부재와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지지축은 축부재만은 아니며 축심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Claims (10)

  1. 분류물을 받아드리는 복수의 받아드림부재와; 구동수단에 의해 순환 구동되는 순환회동기구: 이 순환회동기구에 대하여 제1 축심주위에 요동 가능하게 상기한 받아드림부재를 마련하며, 상기한 순환회동기구의 요동경로상에서, 상기한 받아드림부재를, 상기한 분류물을 받아드림이 가능한 돌출 자세와, 상기한 제1축심 주위의 요동으로 상기한 순환회동기구측으로 근접되는 접힘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이 자유롭게 구성하는 소터에 있어서,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를, 상기한 제1축심에 거의 평행한 제2축심에 대하여 요동이 자유로운 복수의 받아드림 구성부재(220a,220b)로 구성함과 아울러, 특정한 상기한 받아드림 구성부재(220a)를 상기한 제1축심에 요동이 자유롭게 마련하며; 상기한 복수의 받아드림 구성부재(220a,220b) 사이에 설치하고, 또, 상기한 돌출 자세에서, 상기한 복수의 받아드림 구성부재(220a,220b)를 소정의 자세로 유지하는 돌출 자세 유지기구(72)를 포함하는 소터.
  2. 분류물을 받아드리는 복수의 받아드림부재와; 구동수단에 의해 순환 구동되는 순환회동기구와; 상기한 순환회동기구에 마련되는 복수의 받아드림부재 지지축; 이 받아드림 지지축에 상기한 받아드림 부재를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며, 상기한 받아드림 부재는, 상기한 순환회동 기구의 순환경로상에서, 상기한 분류물을 받아 드림이 가능한 돌출 자세와, 상기한 받음판 지지축 주위의 요동으로 상기한 순환회동 기구측으로 근접되는 접힘 자세와의 사이에서, 자세 변경이 자유롭게 구성되는 소터에 있어서,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를, 상기한 받아드림 부재 지지축(64)에 거의 평행한 요동 지지축(71)과, 상기한 요동 지지축(71)에 대하여 요동이 자유로운 복수의 받아드림 구성부재(220a,220b)로 구성하며; 특정의 상기한 받아드림 구성부재(220a)를 상기한 받아드림부재 지지축(64)에 요동이 자유롭게 하며; 상기한 복수의 받아드림 구성부재(220a,220b) 사이에 마련하며, 또, 상기한 돌출 자세에서, 상기한 받아드림 부재 지지축(64)으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상기한 복수의 받아드림 구성부재(220a,220b)를 자세 유지하는 돌출 자세 유지기구(72)를 포함하는 소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받아드림 부재(22)가, 상기한 받아드림 부재 지지축(64) 측의 기단측 받아드림부재(220a)와, 상기한 기단측 받아드림 부재(220a)에 상기한 요동 지지축(71)을 통하여 요동 지지되는 선단측 받아드림부재(220b)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한 받아드림부재 지지축(64)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 지지축임과 아울러,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의 돌출 자세가,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가 상기한 수평 지지축으로부터 경사겨 상방향으로 돌출하는 자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수단을 갖춘 소터 프레임(60)에 받아드림부재 자세 설정캠(75)이,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에 상기한 받아드림부재 자세 설정캠(75)에 접촉이 자유로운 캠 접촉부(76)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가 상기한 돌출 자세로 설정되는 받아드림부재 연직 이동경로 직전 근처에서, 상기한 받아드림부재 자세 설정캠(75)에 대하는 상기한 캠 접촉부(76)의 접촉으로,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의 중심이, 상기한 받아드림부재 지지축(64)에 대하여, 상기한 순환회동기구와 반대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한 돌출 자세 유지기구(72)는, 상기한 기단측 받아드림부재(220a)에 마련된 접촉 받음부(74)와, 상기한 선단측 받아드림부재(220b)에 마련된 접촉부(7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의 상기한 접힘 자세와 돌출자세와의 자세 변경에서, 자세 변경에 저항을 주는 저항수단(77,78)을 더 포함하는 소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한 저항수단(77)이,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와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를 지지하는 부재(67) 사이에 마련되는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한 저항수단(78)이,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0a)와 상기한 받아드림 구성부재(220b)를 지지하는 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오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돌출 자세에 있어서,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와 받아드림부재 지지부(66)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한 받아드림부재(22)와 상기한 받아드림부재 지지부(66)의 내부 적어도 일측이 층격 흡수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터.
KR1019960047377A 1995-10-25 1996-10-22 소터 KR100188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77797 1995-10-25
JP27779795 1995-10-25
JP7277798A JP2817681B2 (ja) 1995-10-25 1995-10-25 ソータ
JP95-277798 1995-10-25
JP96-272036 1996-10-15
JP8272035A JP2817729B2 (ja) 1995-10-25 1996-10-15 ソータ
JP27203696A JP2877102B2 (ja) 1996-10-15 1996-10-15 ソータ
JP96-272035 1996-10-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498A KR970022498A (ko) 1997-05-28
KR100188352B1 true KR100188352B1 (ko) 1999-06-01

Family

ID=27478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7377A KR100188352B1 (ko) 1995-10-25 1996-10-22 소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34670A (ko)
EP (1) EP0770570B1 (ko)
KR (1) KR100188352B1 (ko)
CN (1) CN1088851C (ko)
DE (1) DE69604036T2 (ko)
HK (1) HK1002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9070B1 (fr) * 1997-01-31 1999-04-23 Neopost Ind Dispositif de transport de documents
US6378861B1 (en) 1999-11-19 2002-04-30 Bell & Howell Mail And Messaging Technologies Company Right angle stager apparatus and method
ATE527194T1 (de) * 2004-05-05 2011-10-15 Hunkeler Ag Stapelvorrichtung
EP2138439B1 (de) * 2008-05-23 2015-05-20 Ferag AG Vorrichtung zum Stapeln von flächigen Produkten, insbesondere Druckereiprodukten
JP4674344B2 (ja) * 2008-08-26 2011-04-20 伊東電機株式会社 搬送物昇降装置
GB201106704D0 (en) * 2011-04-21 2011-06-01 Ishida Europ Ltd Conveyor system
GB2533283B (en) * 2014-12-10 2018-03-21 Dresscode Systems Ltd An article dispensing apparatus
CN110642065A (zh) * 2019-08-14 2020-01-03 霍山县雁江印务有限公司 一种高效堆码装置
FR3121921B1 (fr) * 2021-04-16 2023-03-31 Synerlink Système de chargement et déchargement de plaques dans une machine traitant des récipient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572A (en) * 1891-12-22 diebold
US899854A (en) * 1908-02-10 1908-09-29 George W Younkman Freight-conveyer.
US3012653A (en) * 1958-12-15 1961-12-12 Ralph E Schramm Shelf attachment for vending machines
US3245518A (en) * 1962-06-07 1966-04-12 Automatic Canteen Co Belt with integrally molded teeth and vanes
US4274624A (en) * 1978-10-30 1981-06-23 Canon Kabushiki Kaisha Dual-mode sheet sorting apparatus
FI59070C (fi) * 1979-11-16 1981-06-10 Rysti & Co Ab Sorteringsfoerfarande och -anlaeggning foer traevirke
DE3277116D1 (en) * 1981-07-01 1987-10-08 Harris Graphics Corp Stacker-tyer
US4730721A (en) * 1984-07-02 1988-03-15 Demaiter Leon J Tobacco harvester
SE468354B (sv) * 1988-09-15 1992-12-21 Wamag Idab Ab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mellanlagring av en stroem av tidningar e 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009A (zh) 1997-09-10
EP0770570A2 (en) 1997-05-02
EP0770570A3 (en) 1998-02-25
CN1088851C (zh) 2002-08-07
DE69604036T2 (de) 2000-02-17
EP0770570B1 (en) 1999-09-01
HK1002773A1 (en) 1998-09-18
KR970022498A (ko) 1997-05-28
DE69604036D1 (de) 1999-10-07
US5934670A (en) 199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7224A (en) Conveying and aligning apparatus suitable for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s
KR100188352B1 (ko) 소터
KR0169519B1 (ko) 감광재료 정렬장치
GB2209405A (en) Automatic photographic paper treating apparatus
JP4918128B2 (ja) 用紙ガイドおよび用紙搬送装置、並びにその用紙搬送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4640604A (en) Electrostatic photographic copying machine provided with a movable sorter
JP3714447B2 (ja) 感光材料排出装置
JP2929947B2 (ja) オーダ仕分機のプリント検出装置
JP2877102B2 (ja) ソータ
JP2817681B2 (ja) ソータ
JP2817729B2 (ja) ソータ
JP3407788B2 (ja) 写真処理装置
JPH01231758A (ja) シート後処理装置
JPH0481192B2 (ko)
JPH11352665A (ja) 現像処理装置
US5735519A (en) Photosensitive-material conveying apparatus
JP2003307829A (ja) 感光材料分別装置
JP2586382Y2 (ja) シート材集積装置
JP2594466B2 (ja) 仕上り印画分配装置
JPS5836311Y2 (ja) 海苔「ず」取卸装置
JPS6283981A (ja) 画像形成機の用紙仕分け装置
JPH06289568A (ja) リーダストッカおよびリーダストック装置
JPH07291512A (ja) 感光材料の分類搬送装置
JPS6032862B2 (ja) 複写機用ソーター装置
JPH05142742A (ja) 感光材料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