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247B1 - 복수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갖는 가열장치 및 그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갖는 가열장치 및 그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247B1
KR100188247B1 KR1019940702963A KR19940702963A KR100188247B1 KR 100188247 B1 KR100188247 B1 KR 100188247B1 KR 1019940702963 A KR1019940702963 A KR 1019940702963A KR 19940702963 A KR19940702963 A KR 19940702963A KR 100188247 B1 KR100188247 B1 KR 100188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bustion
burner unit
heat storag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516A (ko
Inventor
쯔구히꼬 나까가와
요시유끼 나까니시
모또히로 히라따
고우시 구라모또
마사미쯔 오바시
요시오 아베
도시야스 유리
마모루 야기
쇼시찌로 다지마
가즈히로 고지마
Original Assignee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사까모또 가즈야
가부시끼가이샤 오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6192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93837A/ja
Application filed by 에모또 간지, 가와사끼 세이데쓰 가부시키가이샤, 사까모또 가즈야, 가부시끼가이샤 오또 filed Critical 에모또 간지
Publication of KR950700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3/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23C3/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chamber having an elongated tubular form, e.g. for a radiant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23D14/16Radiant burners using permeable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20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 F23D14/22Non-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on arrival at the combustion zone with separate air and gas feed ducts, e.g. with ducts running parallel or cross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6Preheating the combustion air or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combustion gas properties
    • F23N5/006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combustion gas properties the detector being sensitive to 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7/00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a stationary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contacted successively by each heat-exchange medium, e.g. using granular particles
    • F28D17/02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a stationary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contacted successively by each heat-exchange medium, e.g. using granular particles using rigid bodies, e.g. of por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 F23D2209/30Purg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00014Pilot 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ignition of main burners in furnaces or gas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1/00Pretreatment or prehandling
    • F23N2221/08Preheating th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Supply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Gas Burners (AREA)
  • Pre-Mixing And Non-Premixing Gas Burner (AREA)

Abstract

가열 장치가 연료 분출용 노즐과 연소용 공기의 공급 통로에 설치되는 축열체 등을 갖는 적어도 1쌍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다.
한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는 연료 차단 밸브 및 연료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료글 공급하는 한편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 동작하며, 다른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는 연소 폐기 가스를 통하게하여 축열 동작한다. 가열 장치의 동작 파라메터에 의존하여 연료 차단 밸브, 연료 변환 밸브 및 급-배기 변환 밸브의 동작이 제어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복수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갖는 가열장치 및 그 운전 방법
[기술의 분야]
본 발명은, 연료 분출용 노즐과 연소용 공기의 공급 통로에 설치되어진 축열체 등을 갖는 적어도 1쌍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가지며, 한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료 차단 밸브 및 연료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료를 공급하며, 또한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 동작하고, 다른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소 폐기 가스를 통하여 축열 동작하는 서로 변환하는 연소 방식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이용한 가열 장치 및 그 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이와 같은 가열 장치는 널리 알려진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2-254210호에 의한 폐열의 회수에 의해 열효율을 높이는 일이 가능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와 축열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 등을 갖춘 가열 장치의 연소 안정성이 비교적 간단한 수단으로 확보되도록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가열 장치의 열효율이 보다 높아질 수 있도록 한다. 그 위에 본 발명은, 열에 의해 손상하기 쉬운 부재가 고온의 연소 폐기 가스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한다.
거기에다 본 발명은, 가열 장치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 가운데에 축열체의 착탈이 간단하며, 그 일부만의 교환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소 폐기 가스를 외부에 배출하는 도관내에 연소 폐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1개의 센서가 설치되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열 장치에서는 각각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와 급-배기 교환 밸브와의 사이의 연소용 공기 공급용 공기 도관에 각각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되어져 있다.
연료 교환 밸브는 양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 부속하는 1개의 공통인 3방향 밸브로 이루어지며, 급-배기 교환 밸브가 양족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 각각 부속하는 2개의 3방향 밸브로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가열 장치를 구성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축열체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되어 있다. 세그먼트 자체가 축열체로 이루어지든지 또는 다수의 축열 소자가 세그먼트 모양 용기에 수용되는 일이 가능하다.
축열식 버너 유니트는 중심 버너와 파이로트 버너 등을 포함하며, 중심 버너의 버너 건(burner gun)내에 파이로트 버너 및 파이로트 버너의 점화겸 화염 검출용 전극이 설치되어져 있다.
상술한 가열 장치의 운전에 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축열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축열체에 열을 부여한 뒤의 폐기 가스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되는 이 폐기 가스 온도에 기초하여 연료 변환 밸브 및 급-배기 변환 밸브의 변환을 행하는 일이 제안된다.
거기에다 축열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서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 폐기 가스의 미연소 가스 농도를 특정한 주기로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미연소 가스의 농도가 특정의 하한치를 넘은 시점부터 특정의 판정용 주기내에 검출되는 미연소 가스 농도가 특정의 상한치를 넘어서 증대하면, 연소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의 연료 공급을 즉시 차단하고, 검출된 미연소 가스 농도가 상기의 상한치와 하한치와의 사이에 있으면 주기의 끝날때쯤에 경보를 발생하는 한편/또는 연소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 연료의 공급을 차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장치의 연소 폐기 가스의 산소 농도 측정치 또는 축열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서 열교환후 급-배기 변환 밸브에 도달하는 연소 폐기 가스의 산소 농도 측정치와, 급-배기 변환 밸브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연소 폐기 가스의 산소 농도 측정치를 비교하는 것이 제안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열장치에 사용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종단면도.
제2a도 내지 제2f도는 축열체의 여러 종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3도 및 제4도는 축열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제5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제8도 내지 제11도는 적어도 1쌍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갖는 가열장치의 4개의 실시예의 접속도.
제12도는 가열장치의 온도 및 가스 온도와 시간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13도는 가열장치의 다른 변형예의 접속도.
제14도는 가열장치의 변환 가스를 도시한 도면.
제15도는 연소 폐기 가스중의 Co농도의 제1시간적 변화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16도는 연소 폐기 가스중의 Co농도의 제3시간적 변화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17도는 연소 폐기 가스중의 제3시간적 패턴을 도시한 도면.
제18도는 연소 공기의 유량과 연소 중지 시간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제19도는 가열 장치의 다른 변형예의 접속도.
제20도는 가열 장치의 다른 연소 변환 시크스와 각 산소 센서의 산소 농도의 그래프.
제21도는 화염 검출용 전극을 갖는 파이로트 버너의 축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22도는 가열 장치의 또다른 변형예의 접속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고 양호한 형태]
아래에 있어서 방열관(radiant tube)을 이용하는 가열 장치에 관해서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가열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에 있어서, 가열로내에 연장되는 방열관(2)의 단부에 연결되는 원통 모양 하우징(1)내에는 반경방향 간격을 두고 금속 또는 세라믹스로된 연소통(3)이 동심으로 설치되어지며, 그 둘레벽에 분포한 복수의구멍(4)을 가지며 그 선단은 앞이 가늘게 되어 노즐(5)을 형성하고 있다. 연소통(3)의 중심 축선을 따라 중심 버너(6)가 로벽을 관통하여 연소통(3)의 후부 범위에 개구하며 선단에 노즐(7)을 갖고 있다. 이 중심 버너(6)의 로 밖에 있는 선단에는 연료 접속부(8)를 거쳐서 연료, 예를들면 가스가 공급된다. 중심 버너(6) 외부에는 이것에 대하여 평행으로 파이로트 버너(9)가 연장되어 있다. 이 파이로트 버너(9)의 길이 대부분을 감싸는 공기 안내관(19)에는 냉각용 공기 접속구(20)을 거쳐서 항상 냉각용 공기가 공급된다. 방열관(2)의 후방에 연결돼 이것에 대해서 동축으로 로 외부에 연장되는 공기 안내통(10)은 연소용 공기 접속구(11)를 갖는 공기 공급실(12)에 개구되어 있다. 공기 공급실(12)내에는 온도 측정용 센서(50)가 있다. 중심 버너(6)와 공기 안내통(10)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 모양 공기 공급 통로(13)에는 축선을 따라서 복수의 고리 모양 축열체(14)가 설치되어져 있다. 구멍(4)을 갖는 연소통(3) 범위의 주위에는 반경 방향 간격을 두고 세라믹스제의 보호통(15)이 설치되어져 있다. 받침 금속 장식(16)을 거쳐서 후단의 범위를 원통 모양 하우징(1)내에 지지하는 이 연소통(3)의 후단을 폐쇄하는 단벽(17)에는 복수의 구멍(18)이 설치되어져 있다. 거기에다 단벽(17)은, 이것을 관통하는 중심 버너(6) 및 파이로트 버너(9)의 선단의 지지에도 도움이 된다.
제2a도에 도시한 것 같이 고리 모양의 축열체(14)는 예를들어 세라믹스로 되며, 약 1mm의 축선방향 가느다란 구멍을 다수 갖고 있다. 각 축열체(14)는 복수(도면에서는 4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며 가느다란 구멍이 막혔을 때 용이하게 교환 가능하다.
연소통(3)에 가까운 측에 있어서 고온에 노출되는 축열체(141)가 세라믹스로 되며, 연소통(3)에서 먼측에 있어서 저온에 노출되는 축열체(142)가 금속 바람직하게는 철망(mesh)으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세라믹스로 된 축열체(14)는 약 180°의 중심각을 갖는 2개의 세그먼트(14a)(제2b도) 또는 약 120°의 중심각을 갖는 3개의 세그먼트(14b)(제2c도) 또는 약 90°의 중심각을 갖는 4개의 세그먼트(14c)(제2d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d도에서 알 수 있듯이 파이로트 버너(9)의 존재하는 범위를 열어, 예를 들면 약90°의 중심각을 갖는 3개의 세그먼트(14c)를 설치하는 일이 가능하다. 이 경우 공기 안내관(19)을 세그먼트(14c)와 거의 같은 단면을 갖도록 구성하여 놓으면 이 공기 안내관(19)과 3개의 세그먼트(14c)에 의해 고리 모양의 공기 안내통로(13)가 채워지게 되며 이 안내 통로(13)를 통하는 기체의 쇼트 패스(short pass)가 방지된다.
제2e도에서는, 축열체(14)는 예를들어 120°의 중심각을 갖는 2개의 세그먼트로 되며 이것들의 사이에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부채 모양 단면의 자른홈(14X)을 형성하고 있다. 제2f도에 도시한 것 같이 축열체(14)의 단면에서 이것들의 자른 홈을 부채 모양의방해판(14Y)으로 막는것도 가능하다. 고리모양의 축열체(14)의 단면에 이와 같은 방해판(14X)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도에 도시하는 것 같이 이 세라믹스제 세그먼트(14C)와 같은 단면을 갖는 한편 양단벽에 예를들어, 직경 12mm의 다수의 가느다란 구멍(22)을 갖는 세그먼트 모양의 내열 강판제 케이스(21)는 예를들어 12mm의 직경으로 내열 강판제 케이스(21)와 같은 길이를 갖든지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여러개로 나뉜 중공의 세라믹스제 축열소자(23a)를 평행으로 수용한다. 복수 부분으로 구성되는 세라믹스제 축열소자(23a)의 길이방향의 구멍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내열강제 케이스(21)의 안에 유지판(33)을 넣는다. 또 12mm의 직경 및 12mm의 길이를 갖는 다수의 세라믹스제 축열소자(23b)를 케이스(21)내에 무작위로 수용하는 일도 가능하다.
또한 제4도에 도시한 것 같이, 양단으로 열린 세그먼트 모양 내열 강제 케이스(21')내에 축열 소자로서 복수의 오목 볼록판(24)을 축선 방향으로 삽입하는 일도 가능하다.
제5도에 도시되어진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서는 중심 버너(6)의 내부에 이것에 대하여 평행으로 파이로트 버너(9)가 연장되어 있다.
제6도에서 알 수 있듯이 파이로트 버너(9)는 중심 버너(6)의 버너 건(40)내에 중심 버너에 대해서 평행으로 설치되며, 그 선단(41)이 노즐(7)과 거의 같은 단면으로 끝나든지, 쇄선(41')으로 도시한 것 같이 노즐(7)에서 돌출하여 있다. 제7도에 도시되듯이, 파이로트 버너(9)의 선단(41)에서 후방으로 떨어진 곳의 중심 버너의 버너건(40)내에 파이로트 버너(9)의 버너관(42)에 있는 개구(43)에서 절연 애자(44)에 의해 절연하여 지지되는 점화겸 화염 검출용 핀 전극(45)이 버너관(42)내에 약간 돌출하여 있다. 이 전극(45)은, 애자(46)에 의해 절연되는 도체(47)를 거쳐서 외부에 인출되어 있다. 버너관(42)내에 동심으로 설치되어진 축선 방향에 연장한 파이로트 연료 공급관(48)의 선단은, 전극(45)의 앞에서 끝나고, 버너관(42)내에 지지되어 있다. 파이로트 버너(9)에 항상 파이로트 화염을 유지하기 위해 파이로트 연료 공급관(48)은 연료원에 접속되어져 있다. 파이로트 연료 공급관(48)과 버너관(42)과의 사이에 형성된 고리모양 공기 통로(49)도, 중심 버너(6)와는 별도로 공기원에 접속되어져 있다.
제8도는, 제1도 또는 제5도에 도시되는 것처럼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적어도 1쌍을 사용하는 가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축열식 버너 유니트(이하 버너 유니트라 칭함)는 부호 55, 55'로 도시되어져 있다.
2개의 버너 유니트(55, 55')는 가열로내에 연장된 방열관(2)의 양단에 접속되어 축열식 가열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양쪽의 버너(55, 55')의 연소용 공기 접속구에 각각 접속되는 공기도관(56, 56')은 급-배기 변환 밸브(57)에 의해 도관(58)을 거쳐서 공기원으로서의 공기 밀어넣는 팬(59)에, 또는 도관(60)을 거쳐서 배기 팬(61)에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버너 유니트(55, 55')의 연료 접속구에 각각 접속되는 연료도관(62, 62')은, 연료 변환 배르브(63)에 의해 연료 차단 밸브(65)를 갖는 도관(64)을 거쳐서 도시하지 않은 연료원으로서의 가스원에 접속 가능하다.
공기 도관(56, 56')에는 연소용 공기의 유량 조절 밸브(66, 66')가 각각 설치되어져 있다. 공기 도관(56, 56')에는 연소 폐기 가스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센서(67, 67')가 각각 설치되어져 있다. 공기도관(56, 56')에 있는 산소 센서(67, 67')는 각각 표시겸 경보기(68, 68')를 거쳐서 변환 개폐기(69)에 의해 제어 장치(70)에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다. 변환 개폐기(69)는 양 변환 밸브(57, 63)에 연동하여 변환되어지며 축열 동작하는 버너 유니트의 공기도관(56, 56')을 흐르는 방열 그을음 연소가스의 산소 농도에 관련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70)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70)는 산소 센서(67, 67')의 측정치와 일정치와의 편차에 대응해서 연소용 공기 유량 조절 밸브(66, 66')를 조작한다.
제8도에 있어서, 양변환 밸브(57, 63)가 도시한 변환 위치에 있으며 버너 유니트(55)가 연소 동작하여 버너 유니트(55')가 축열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연료 도관(62)을 거쳐서 버너 유니트(55)에 공급되어 중심 버너(6)의 노즐(7)에서 분출하는 연료는 마찬가지로 공기도관(56)에서 버너 유니트(55)에 공급되어 공기 공급 통로(13)에 있는 축열체(14)를 통해서 단벽(17)의 구멍(18)에서 연소통(3)내에 들어가는 1차 공기에 의해 파이로트 버너(9)의 화염을 거쳐서 착화되어 연소통(3)내에서 안정된 1차 연소를 행한다. 1차 연소 가스의 일부는 연소통(3)의 구멍(4)을 통해 연소통(3)과 보호통(15)과의 사이의 고리모양 공간에 분출하며, 공급 통로(13)에서 연소통(3)과 원통모양 하우징(1)과의 사이의 고리 모양 공간을 통해 공급되는 2차 공기에 의해 2차 연소되고, 이 1차 연소 가스를 포함한 2차 공기는 연소통(3)의 노즐(5)에서 분출하는 1차 연소 가스의 남은 것을 2차 연소 시킨다.
1차연소 및 2차 연소에 의해 생기는 연소 가스는 방열관(2)을 통해 가열로내에 방열하며 버너 유니트(55')의 축열체(14)에 거듭 방열하여 온도를 저하하고 연소 폐기 가스로서 공기 도관(56') 및 급-배기 변환 밸브(57)를 거쳐 배기팬(61)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변환 밸브(57, 63)가 변환되면, 예를들어 버너 유니트(55')가 연소 동작하며 버너 유니트(55)가 축열 동작한다. 축열체(14)의 열용량은 열 연소 가스 열량의 0.4배 이상으로 설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가열 장치에 있어서, 양쪽의 버너 유니트의 축열체의 형상 또는 축열 소자의 충진 상태에 차이가 있든지 또는 축열체의 가느다란 구멍에 막힘 손상 등이 있으면 축열체를 통한 연소용 공기의 압력 손실에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연소용 공기원에서 양쪽의 버너 유니트에 동일의 압력으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도 양쪽의 버너 유니트를 통한 연소용 공기의 유량이 변화하며 양쪽의 버너 유니트의 연소 조건에 차이가 생긴다. 예를들어 버너 유니트(55)의 축열체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이 그 정상적인 경우에 있어서 보다 크거나 공기 부족의 연소가 된 경우, 산소 센서(67')의 산소 농도 측정치가 크게 된다. 이 측정치가 일정치를 넘으면 제어 장치(70)에 의해 연소용 공기의 유량 조절 밸브(66)의 밸브 열림 정도가 조절되어 정상인 연소가 행해지도록 버너 유니트(55)의 공기 유량을 조절한다. 공기 유량 조절 밸브(66, 66')를 밸브 열림 정도 조절 범위내에서 제어하는 일이 불가능한 경우는 제어 장치(70)에 의해 경보를 발생하며 연료 차단 밸브(65)를 닫아서 연소 동작을 하는 버너 유니트(55)에의 연료 공급을 중지하고, 거기에다 축열체의 수명 또는 보수 및 교환 시기를 판정하는 일이 가능하다. 이것은, 버너 유니트(55')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뿐만 아니라 축열체에 의해 예열되는 연소용 공기의 압력 손실에 대응해서 방열관(2)내의 압력도 변화하기 때문에 방열관(2)내의 압력을 압력 센서(71)로 측정하며 이 압력 측정치에도 관계하여 제어 장치(70)에 의해 유량 조절 밸브(66, 66')를 제어하는 일이 가능하다.
제8도에서는 급-배기 변환 밸브(57)가 양쪽의 버너 유니트(55, 55')에 공통으로 부속되어 있지만, 제9도에 있어서는 2개의 급-배기 변환 밸브(72, 72')가 버너 유니트(55, 55')에 각각 부속되어 있다. 급-배기 변환 밸브(72, 72')는 연료 변환 밸브(63)와 마찬가지 구조이며, 3개의 포트(a, b, c 및 a', b', c')와 변환용 가동 밸브 부재(d, d') 등을 갖고 있다. 양쪽의 급-배기 변환 밸브(72, 72')의 포트(a, a')는 공기 도관(56, 56')에 각각 접속되며 그 포트(b, b')는 각각 전극 밸브(73, 73')를 갖는 부분 도관(74, 74')을 거쳐서 배기 팬(61)을 갖는 도관(60)에 접속되며 그 포트(c, c')는 각각 전극 밸브(75, 75')를 갖는 부분 도관(76, 76')을 거쳐서 공기를 넣는 팬(59)을 갖는 도관(58)에 접속되어 있다. 양쪽의 급-배기 변환 밸브(72, 72')는 제어 장치(70)에 의해 제어되는 공통의 서보 모터(77)에 의해 동시에 조작된다. 거기에다 연료 변환 밸브(63)도 제어 장치(70)에 의해 제어되는 서보 모터(78)에 의해 급-배기 변환 밸브(72, 72')에 동기하여 조작된다.
제 10도에 도시한 것 같이 연료 변환 밸브(63) 및 양쪽의 급-배기 변환 밸브(72, 72')의 가동 밸브 부재를 서로 결합하여 공통인 서보 모터(79)에 의해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9도 및 제10도의 구성은 제8도의 구성에 대하여 연소 동작하는 버너 유니트에 공급되는 공기가 축열 동작하는 버너 유니트에서 배기 팬(61)에 의해 흡인되는 연소 폐기 가스에 혼입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제11도에 있어서는 연료도관(62, 62')은 각각 전자 밸브(90, 90')를 갖는 도관(91, 91')을 거쳐서 질소 가스원에 접속되어 있다.
공기 도관(62, 62') 또는 버너 유니트(55, 55')의 공기 공급실(12)내에는 온도 센서(50, 50')가 설치되어지며 각각 온도 표시겸 경보기(92, 92')를 거쳐서 변환 개폐기(93)에 의해 제어 장치(70)에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변환 개폐기(93)는 양 변환 밸브(57, 63)에 운동하여 변환되어 축열 동작하는 버너 유니트의 공기 공급실 또는 공기 도관을 흐르는 방열 그을음 연소 폐기 가스의 온도에 관계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70)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70)는 온도 센서(50, 50')의 출력 신호에 응해서 연료 변환 밸브(63)의 조작용 서보 모터(78)에의 조작 압력의 급배를 제어하는 전자 밸브(94) 및 급-배기 변환 밸브(57)의 조작용 서보 모터(78)에의 액압의 급배를 제어하는 전자 밸브(94) 및 급-배기 변환밸브(57)의 조작용 서보 모터(78)에의 액압의 급배를 제어하는 전자 밸브(95)를 부가한다. 제어 장치(70)는 또한 연료 차단 밸브(65) 및 전자 밸브(90, 90')도 제어한다.
제11도에 있어서 연료 차단 밸브(65)가 개방 위치에 있으며 변환 밸브(57, 63)가 도시한 변환 위치에 있어서 버너 유니트(55)가 연소 동작하여 버너 유니트(25')가 축열 동작하는 것이 된다.
버너 유니트(55)에서 나오는 연소 가스는 방열관(2)을 통할 경우 방열하며, 버너 유니트(55')의 축열체(14)에 또 방열하여 온도를 저하한다. 온도 센서(50')로 측정되는 이 연소 폐기 가스의 온도의 측정치가 목표 하한 아래이면 그대로 동작을 속행하며 폐기 가스의 측정치가 목표 상한치를 초과하면 제어 장치(70)를 거쳐서 변환 밸브(57, 63)가 변환되어, 이번은 버너 유니트(55')가 연소 동작하여 버너 유니트(55)가 축열 동작한다.
이렇게 해서 배출되는 연소 폐기 가스의 온도에 응해서 연소 동작과 축열 동작과의 변환을 행하기 때문에 연소 폐기 가스의 폐열 충분히 회수하여 가열 장치 전체의 열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예를들면, 축열체에의 방열후 배출되는 연소 폐기 가스의 온도 측정치의 목표 상한치를 350℃로 하며 목표 하한치는 150℃로 하면, 축열 동작하는 버너 유니트의 동작 시간은 60초로서 열효율은 약 80%가 된다. 또, 목표 상한치를 250℃로 하고 목표 하한치를 150℃로 하면 축열 동작하는 버너 유니트의 동작 시간은 약 40초로서 열효율은 85%이상이 된다. 목표 하한치를 연소 폐기 가스의 이슬점 이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이슬점은 연소 폐기 가스중의 SO3의 농도에 관계하여 변화하지만 130~150℃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뿐만 아니라 가열로내의 재료 온도와 로 온도를 급속히 내리는 경우에 있어서 제12도에 도시하는 것 같이 공급되는 연료의 량을 감소시키든지 또는 연료를 차단하면서 축열체에 방열한 후의 폐기 가스 온도(Tg)의 측정치가 배기측의 부재 예를들어 급-배기 변환 밸브와 배기 팬의 내열온도 450℃의 상한치(Tgmax)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동작 시간을 연장하는 것이 좋다. 여기에서 파선은 종래의 변환에 의한 폐기 가스 온도(Tg)의 변화를 시간(t)에 관하여 도시하며 실선은 본 발명에 의해 동작 시간을 연장한 경우의 폐기 가스 온도(Tg)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렇게하여 급-배가 변환 밸브와 배기 팬을 손상하는 일 없이 실선으로 도시한 것처럼 로온도(Tf)를 종래의 운전(파선)에 의한 것보다 급속히 내리는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별도의 제어 상태에서는 온도 센서(50, 50')로 측정되는 폐기 가스 온도에 관계해서 연료 차단 밸브(65)가 폐쇄되며 이 연료 차단 밸브(65)의 폐쇄부터 특정의 시간후 연료 차단 밸브(65) 및 급-배기 변환 밸브(57)가 변환되며, 이것들의 변환 밸브(63, 67)의 변환부터 특정의 시간후 연료차단 밸브(65)가 열린다.
연소 폐기 가스의 온도가 특정의 상한치를 초과하면 연료 차단 밸브(65)가 폐쇄되며, 따라서 가열 장치의 운전이 중지되기 때문에 고온의 폐기 가스에 노출되는 부재가 과열에 대해서 보호되며 그 수명이 증대한다.
버너 유니트의 연소 동작과 축열 동작과의 사이의 변환중의 과도 상태에 있어서는 제어가 중단되며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제어만 행해진다.
축열 동작하는 버너 유니트(55, 55')의 연료 도관(62, 62')에 전자 밸브(90, 90')를 갖는 도관(91, 91')을 거쳐서 질소 가스를 공급하여 연료 도관(62, 62')을 정화(purge)하면 연소 동작의 경우에 있어서의 역화(逆火)가 회피된다.
연료 가스 차단 밸브(65)의 폐쇄에서 개방까지의 기간에 양쪽의 연료도관(62, 62')을 질소 가스로 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3도에 있어서 급-배기 변환 밸브(57)부터 배기 팬(61)에 이르는 폐기 가스 도관(60)에는 연소 폐기 가스 중의 미연소 가스 농도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산소 센서 및 미연소 가스 농도 연소 분석계(96)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 미연소 가스 농도 연속 분석계(96)는 표시겸 경보기(97)를 거쳐서 제어 장치(7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70)는 미연소 가스 농도 연속 분석계(96)의 출력 신호에 대응해서 연료 차단 밸브(65)를 조작한다.
변환 밸브(57, 63)가 도시한 변환 위치에 있으며, 버너 유니트(55)가 연소 동작하며 버너 유니트(55')가 축열 동작하게 된다.
버너 유니트(55)에서 나오는 고온의 연소 가스는 방열관(2)을 통할 경우 방열하며 버너 유니트(55')의 축열체(14)에 또 방열하여 온도를 저하하며, 공기 도관(56') 및 급-배기 변환 밸브(57)를 거쳐 배기 팬(61)에 의해 외부에 배출된다. 변환 밸브(57, 63)가 변환되어지면, 이번은 버너 유니트(55')가 연소 동작하여 버너 유니트(55)가 축열 동작한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이 변환의 경우 연료 차단 밸브가 단시간 닫혀 있기 때문에, 연료 공급이 차단되며, 연료 휴지가 행해진다.(제14도 참조).
제15도는 미연소 가스로서의 Co의 농도 측정치가 후술하는 특정 하한치(관리 하한)보다 큰 것이 확인된 뒤, 예를들면 30sec의 판정 주기에 걸쳐서 3sec마다 센서(96)에 의해 측정되는 Co농도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검출되는 Co농도가 예를들어, 5% Co농도의 폭발 한계보다 낮은 곳에 있는 1% Co농도의 특정 상한치(관리 상한)를 넘어서 증대하면 실화(失火), 불완전 연소 또는 연료 변환 밸브의 밀봉성이 심각하게 저하된 것으로 판정되어 연료 차단 밸브(65)가 제어 장치(70)에 의해 즉시 닫혀져서 연료의 공급이 차단된다.
제16도에 도시한 것 같이 판정 주기에 걸쳐서 검출되는 Co농도가 관리 상한과 Co의 누설없이 기준이 되는 0.005%(50ppm)의 측정 하한치(관리하한)와의 사이 범위에서 변동하면 판정 주기의 끝나는 시점에 있어서 연료 변환 밸브(63)의 밀봉성이 가볍게 저하된 것으로 판정되어 표시겸 경보 장치(97)에서 연료 변환 밸브의 고장을 나타내는 경보가 발생함과 함깨 연료 차단 밸브(65)가 제어 장치(70)에 의해 닫혀지며 연료의 공급이 차단된다.
제17도에 도시하는 것 같이 검출되는 Co농도가 판정을 실시해야 하는 기준치 아래 관리 하한의 치를 취하면 연료 차단 밸브(65)가 닫혀서 연소 중지 시간중에 연소용 공기에 의한 연소 폐기 가스의 치환이 부족하다고 판정되어 연소중지 시간이 미소한 부가시간(△T)만 연장되어 샘플링 개시의 시점에 복귀한다.
제18도는, 연소용 공기의 유량에 관해서 이론 연소 중지 시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연소 시간의 이론치(TK(sec))는, 전술한 연소폐기 가스 치환 공간의 치(VGT(Nm))와 연소 공기 유량(VAR(Nm3/h))과의 비로서 다음식 TK=VGT x 3600/VAR로 나타나며, VGT가 일정한데, 쌍곡선으로 된다. 이 연소 중지시간(TK)에 미소 부가시간(△T) 예를들어, 0.5초가 가산되어 변환의 경우에 있어서의 실제 연료 중지 시간 따라서 연료 차단 밸브(65)의 차단시간 STK-TK + △T로 된다.
뿐만 아니라 양쪽의 변환 밸브(57, 63) 및 연료 차단 밸브(65)에 리미트 스위치 또는 근접 스위치와 같은 위치를 센서(101, 102, 103)가 설치되며 이물질에 의해 밸브 자체가 중간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게 된 것을 이상으로 판단하여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일이 가능하다.
제13도의 변형으로서의 제19도에 있어서 공기도관(62, 62') 및 급-배기 변환 밸브(57)에서 배기 팬(61)에 이르는 폐기 가스 도관(60)에는 연소 폐기 가스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 센서(105, 105', 96)가 각각 설치되어져 있다. 공기 도관(62, 62')에 있는 산소 센서(105, 105')는, 각각 표시겸 경보 장치(106, 106')를 거쳐서 변환 개폐기(107)에 의해 제어 장치(70)에 선택적으로 접속 가능하다. 폐기 가스 도관(60)에 있는 산소 센서(96)도 전술한 것 같이 표시겸 경보기(97)를 거쳐서 제어 장치(70)에 접속되어 있다. 변환 걔폐기(107)는 양 변환 밸브(57, 63)에 연동하여 변환되어지고 축열 동작하는 버너 유니트의 공기도관(56, 56')을 흐르는 방열을 마친 연소 폐기 가스의 미연소 가스 농도 즉, 산소 농도에 관계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70)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70)는 산소 센서(105, 105')의 측정치와 산소 센서(96)의 측정치와의 차에 응해서 연료 차단 밸브(65)를 조작한다.
급-배기 변환 밸브(57)에 누설이 없으면 산소 센서(96)의 산소 농도 측정치와 산소 센서(105, 105')의 산소 농도 측정치의 차이가 현저하게 작다. 그러나 급-배기 변환 밸브(57)의 밀봉성이 저하하여 그 공기측에서 연소 폐기 가스 측에 공기가 누설하며, 누설량이 크게되면 제20도에 있어서 산소 센서(105, 105')의 측정치와 산소 센서(96)의 측정치와의 차이가 크게되며, 이 차이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표시겸 경보기(97)가 경보를 발생하든지 또는 제어 장치(70)에 의해 연료 차단 밸브(65)가 조작되어 연소 동작하는 버너 유니트에의 연료 공급을 차단한다. 그것에 의해 가열 장치 전체의 운전을 중지하여 급-배기 변환 밸브(57)를 수리하는 일이 가능하다.
연료 차단 밸브(65)의 동작과 양쪽의 변환 밸브(57, 63)의 동작과의 사이의 시간 간격을 연소용 공기의 유량에 관계하여 변화하는 것이 좋다. 그것에 의해 효율이 개선된다.
거기에다 복수쌍의 버너 유니트(55, 55')의 동작 변환을 특정의 시간 간격으로 차례로 행하는 것도 좋다. 그것에 의해 가열 장치내의 온도 변동과 연료 도관(62, 62')내에 있어서의 연료 압력 변동이 작게 유지된다.
연료 차단 밸브(65) 및 양쪽의 변환 밸브(57, 63)의 변환이 순간적으로가 아닌 서서히 행해지며 따라서 연료 및 공기의 공급 및 폐기 가스의 배출이 서서히 행해지면 미연소 가스 성분의 발생이 줄어든다.
파이로트 버너(9)에 있어서의 파이로트 화염을 검출하기 위해 제21도에 도시한 것 같이 파이로트 버너(9)는 그 선단에서 떨어진 장소에서 버너관(125)에 있는 개구(126)에서, 애자(127)에 의해 절연되어 지지되는 점화겸 화염 검출용 핀 전극(128)이 버너관(125)내에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 전극(128)과 버너관(125)과의 사이에는 점화를 위해 예를들면, 6000V의 고전압이 걸리지만 그것을 위한 수단은 도시되지 않았다. 전극(128)은 파이로트 화염 검출 전극으로서도 도움이 되며, 도체(129)를 거쳐 증폭기(130)에 접속되어 있다. 버너관(125)내에 같은 중심으로 설치되어진 축선 방향에 연장된 파이로트 연료 공급관(131)의 선단은 전극(128)보다 앞에서 끝나며, 구멍(132)을 갖는 프랜지(133)에 의해 버너관(125)내에 지지되어 있다. 파이로트 버너(9)에 항상 파이로트 화염을 유지하기 위해 파이로트 연료 공급관(131)은 접속구(134)를 거쳐서 연료, 예를들면 도시가스 또는 LPG를 공급한다. 파이로트 연료 공급관(131)과 버너관(125)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고리모양 공기 통로(135)도 접속구(136)를 거쳐서 중심 버너(6)와는 별도의 공기원에 접속되어 있다.
제22도에 있어서 버너 유니트(55, 55')의 파이로트 화염 검출 전극에 각각 접속되는 증폭기(130, 130')는 제어 장치(10)에 접속되어 있다. 파이로트 버너(9)에 파이로트 화염이 존재할때에만 연료 차단 밸브(65)가 열리고, 연소를 행하는 버너 유니트에의 연료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버너 유니트(55, 55')의 적어도 한쪽의 파이로트 버너(9)에 파이로트 화염이 존재하지 않으면(失火), 연료 차단 밸브(65)가 닫혀져서 연료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 경우, 화염이 검출되는 버너 유니트에만 연소 동작을 위해 연료가 공급되도록 연료 차단 밸브(65)가 제어 장치(70)에 의해 제어되며, 공기는 급-배기 변환 밸브(57)를 거쳐서 양쪽의 버너 유니트(55, 55')에 주기적으로 상호 공급된다.
한쪽의 버너 유니트(55 및 55')에 있어서 불이 꺼졌을 경우, 연료 차단 밸브(65)를 닫아서 양쪽의 버너 유니트(55,55')에의 연료의 공급을 중단하는 일도 가능하다.
거기에다 이 경우 공기 차단 밸브(180)에 의해 양쪽의 버너 유니트(55 및 55')의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중단하는 일도 가능하다.

Claims (29)

  1. 연료 분출용 노즐과 연소용 공기의 공급 통로에 설치되는 축열체를 갖는 적어도 1쌍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포함하며, 한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료 차단 밸브 및 연료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료를 공급하며, 또한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 동작하며, 다른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소 폐기 가스를 통하게하여 축열 동작하는, 상호 변환 연소 방식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이용한 가열 장치에 있어서,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소 폐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도관내에 연소 폐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1개 이상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2. 연료 분출용 노즐과 연료용 공기의 공급 통로에 설치되는 축열체 등을 갖는 적어도 1상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포함하며, 한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료 차단 밸브 및 연료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료를 공급하며, 또한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 동작하며, 다른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소 폐기 가스를 통하게하여 축열 동작하는, 상호 변환 연소 방식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이용한 가열 장치에 있어서, 연소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도관에 있는 유량 조절 밸브가, 축열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서 급-배기 변환 밸브에 도달하는 연소 폐기 가스의 산소 농도 측정치 및, 또는 버너에서 축열식의 사이에서의 압력 측정치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3. 연료 분출용 노즐과 연료용 공기의 공급 통로에 설치되는 축열체 등을 갖는 적어도 1상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포함하며, 한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료 차단 밸브 및 연료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료를 공급하며, 또한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 동작하며, 다른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소 폐기 가스를 통하게하여 축열 동작하는, 상호 변환 연소 방식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이용한 가열 장치에 있어서, 연료 변환 밸브가 양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 공통으로 부속하는 1개의 3방향 밸브로 이루어지며, 급-배기 변환 밸브가 양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 각각 부속하는 2개의 3방향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연료 변환 밸브와 급-배기 변환 밸브가 동기하여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5. 연료 분출용 노즐과 연소용 공기의 공급 통로에 설치되는 축열체 등을 갖는 적어도 1상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포함하며, 한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료 차단 밸브 및 연료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료를 공급하며, 또한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 동작하며, 다른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소 폐기 가스를 통하게하여 축열 동작하는, 상호 변환 연소 방식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이용한 가열 장치에 있어서, 양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와 급-배기 변환 밸브와의 사이의 도관에 각각 유량 조절 밸브가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6. 연료 분출용 노즐과 연소용 공기의 공급 통로에 설치되는 축열체 등을 갖는 적어도 1쌍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포함하며, 한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료 차단 밸브 및 연료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료를 공급하며, 또한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 동작하며, 다른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소 폐기 가스를 통하게하여 축열 동작하는, 상호 교환 연소 방식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이용한 가열 장치에 있어서, 연소 폐기 가스의 유입측에 있는 축열체가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축열체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축열체가 철망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8. 연료 분출용 노즐과 연소용 공기의 공급 통로에 설치되는 축열체 등을 갖는 적어도 1쌍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포함하며, 한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료 차단 밸브 및 연료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료를 공급하며, 또한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여 연소 동작하며, 다른 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연소 폐기 가스를 통하게하여 축열 동작하는 상호 변환 연소 방식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이용한 가열 장치에 있어서, 축열체의 열용량이 연소폐기 가스의 열량의 0.4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9. 원통 형상 하우징내에 반경 방향 간격을 두고 같은 중심으로 설치되는 한편 가장자리 벽에 분포하여 복수의 구멍을 갖는 연소통과, 이 연소통의 중심 축선에 따라서 연장된 위에 연소통의 후부 범위에 개구하는 연료 분출용 노즐을 갖는 중심 버너와, 중심 버너와 원통형상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연소용 공기의 공급 통로에 설치되어진 적어도 1개의 축열체를 포함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 있어서, 축열체가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가열 장치에 사용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
  10. 제9항에 있어서, 연소통이 세라믹스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
  11. 제9항에 있어서, 다수의 축열 소자가 세그먼트 형상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
  12. 제1항에 있어서, 제9항 내지 제11항에 기재된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방열관의 양단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심 버너의 버너건 내에 파이로트 버너 및 파이로트 버너의 점화겸 화염 검출용 핀 전극이 설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
  14. 제9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열체가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자름홈 또는 단면의 일부를 씌우는 방해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
  15. 축열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축열체에 방열한 뒤의 연소 폐기 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며, 측정되는 폐기 가스 온도에 기초하여 연료 차단 밸브의 폐쇄 또는 연료 변환 밸브 및 급-배기 변환 밸브의 변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16. 연료 차단 밸브의 폐쇄 시점에 대하여 특정의 시간 늦음을 갖고 연료 변환 밸브 및 급-배기 변환 밸브의 변환을 행하며, 양쪽의 변환 밸브의 변환 시점에 대하여 일정의 시간 늦음을 갖고 연료 차단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17. 폐기 가스의 온도가 가열 장치의 열 영향을 받는 부재의 내열 온도의 특정 상한치 이하일 때, 연료 변환 밸브 및 급-배기 변환 밸브의 변환을 행하며, 폐기 가스의 온도가 상한치를 초과할 때, 연료 차단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18. 연료 차단 밸브의 개방 시점에 대하여 특정의 시간 늦음을 갖고 연료 및 연소용 공기의 유량 및 폐기 가스의 압력 제어를 시작하며, 연료 차단 밸브 및 양쪽의 변환 밸브의 동작중에는 연료 및 연소용 공기의 유량과 폐기 가스의 압력 제어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19. 축열 동작하고 있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와 연료 변환 밸브와의 사이의 접속 도관에 질소 가스를 공급하여 남아있는 연료를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20. 연료 차단 밸브의 폐쇄후 및 개방전에 연소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 및 축열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와 연료 변환 밸브와의 사이의 접속 도관에 질소 가스를 공급하여 남아있는 연료를 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21. 축열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서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외부에 배출되는 연소 폐기 가스의 미연소 가스 농도 예를들면 Co 농도를 특정의 주기로 연속적으로 검출하며, 미연소 가스 농도의 측정치가 특정의 하한치를 넘은 시점에서 특정의 판정 주기내에 검출되는 미연소 가스 농도가 특정의 상한치를 넘어 증대할 경우, 연소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연료 공급을 즉시 차단하며, 또한 검출되는 미연소 가스 농도가 특정의 상한치와 특정의 하한치와의 사이에 있는 경우 판정 주기의 끝나는 시점에 경보를 발하며 또한, 연소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의 공급을 차단하며, 검출되는 미연소 가스 농도가 하한치 이하인 경우, 연료 차단 밸브 및 양쪽의 변환 밸브의 동작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22. 연료 차단 밸브, 연료 변환 밸브 및 급-배기 변환 밸브의 적어도 1개의 이상의 경우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23. 축열 동작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서 급-배기 변환 밸브에 도달하는 연소 폐기 가스중의 남아있는 산소 농도 또는 미연소 가스 농도의 측정치와, 급-배기 변환 밸브를 거쳐서 외부에 배출하는 연소 폐기 가스 중의 남은 산소 농도 또는 가스 농도의 측정치와를 비교하며, 양쪽의 측정치의 차이가 특정의 치를 초과하면 연료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시간 늦음의 치를 연소용 공기의 유량에 응해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25. 복수쌍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변환을 시간적으로 전후로하여 행하며 일정의 쌍수 이상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가 동시에 변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26. 연료 차단 밸브가 연료 변환 밸브 및 급-배기 변환 밸브를 특정의 속도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27. 쌍을 이루는 양족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화염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며, 화염이 검출된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만 연소 동작을 위한 연료를 공급하도록 연료 차단 밸브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28. 쌍을 이루는 양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화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연료 차단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29. 쌍을 이루는 양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화염을 연속적으로 검출하며, 한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화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화염이 검출되는 축열식 버너 유니트에만 연소 동작을 위해 연료를 공급하도록 연료 차단 밸브를 걔폐하며, 또는, 양쪽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의 화염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연료 차단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8항 및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된 가열 장치의 운전 방법.
KR1019940702963A 1992-12-25 1993-12-24 복수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갖는 가열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01882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361925A JPH06193837A (ja) 1992-12-25 1992-12-25 蓄熱式ラジアントチユーブバーナ
JP92-361926 1992-12-25
JP9431792 1992-12-25
JP92-94317 1992-12-25
JP36192692 1992-12-25
JP9431892 1992-12-25
JP92-361925 1992-12-25
JP92-94318 1992-12-25
JP93-79984 1993-03-02
JP93-79985 1993-03-02
JP7998493 1993-03-02
JP7998593 1993-03-02
JP10000693 1993-03-22
JP93-100006 1993-03-22
JP93-108680 1993-03-31
JP93-73088 1993-03-31
JP93-108684 1993-03-31
JP7308893 1993-03-31
JP10868493 1993-03-31
JP10868093 1993-03-31
PCT/JP1993/001875 WO1994015149A1 (fr) 1992-12-25 1993-12-24 Radiateur comprenant plusieurs bruleurs a accumulation de chaleur et mode de fonctionn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516A KR950700516A (ko) 1995-01-16
KR100188247B1 true KR100188247B1 (ko) 1999-06-01

Family

ID=2758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963A KR100188247B1 (ko) 1992-12-25 1993-12-24 복수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갖는 가열장치 및 그 운전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20534A (ko)
EP (5) EP0628769B1 (ko)
JP (1) JP3673860B2 (ko)
KR (1) KR100188247B1 (ko)
AU (1) AU675325B2 (ko)
CA (1) CA2129230C (ko)
DE (1) DE69329021T2 (ko)
WO (1) WO19940151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442U1 (ru) * 2020-10-13 2020-12-15 Евгений Николаевич Коптяев Теплообменник
WO2023017895A1 (ko) * 2021-08-11 2023-02-16 오영한 폐 태양광 패널을 자원화하는 가수분해 챔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38094B (en) * 1996-05-22 1998-08-11 Toyota Motor Co Ltd Method and device of burning control of an oxygen sensor
JP3175588B2 (ja) * 1996-05-22 2001-06-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吐出構造
FR2771798B1 (fr) 1997-12-02 1999-12-31 Air Liquide Bruleur oxy-combustible
JP2002089835A (ja) * 2000-09-13 2002-03-27 Nkk Corp 蓄熱式燃焼バーナ用蓄熱体
DE10217524B4 (de) * 2002-04-19 2005-10-13 WS - Wärmeprozesstechnik GmbH Brenner mit seitlichem Austritt zur flammenlosen Oxidation
US20070209653A1 (en) * 2003-03-06 2007-09-13 Exhausto, Inc. Pressure Controller for a Mechanical Draft System
DE10324299B3 (de) * 2003-05-21 2004-12-23 Aichelin Entwicklungszentrum Und Aggregatebau Gesellschaft 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r Dichtheit eines von einem Gasbrenner befeuerten Strahlrohres
US20070169513A1 (en) * 2004-06-03 2007-07-26 Yan Zhao Glass Sheet Heating Surface
CZ302827B6 (cs) * 2005-06-14 2011-11-30 Kalousek@Zdenek Regeneracní horákový systém
DE102006015529A1 (de) * 2006-03-31 2007-10-04 Alstom Technology Ltd. Brennersystem mit gestufter Brennstoff-Eindüsung
US20090117503A1 (en) * 2007-11-07 2009-05-07 Cain Bruce E Burner Control
JP5233260B2 (ja) * 2007-12-05 2013-07-10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ガス炉の点火制御方法および点火制御装置
JP4801185B2 (ja) * 2009-04-21 2011-10-26 中外炉工業株式会社 蓄熱式燃焼装置
JP5256169B2 (ja) * 2009-10-30 2013-08-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加熱炉の燃焼監視装置および燃焼監視方法並びに燃焼制御システム
FR2977004A1 (fr) * 2011-06-27 2012-12-28 Cmi Thermline Services Dispositif et procede de gestion d'imbrules pour bruleurs regeneratifs, bruleur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JP5849615B2 (ja) * 2011-10-31 2016-01-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ラジアントチューブ炉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9995481B2 (en) 2011-12-20 2018-06-12 Eclips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ual mode burner yielding low NOx emission
US9891083B2 (en) * 2016-01-08 2018-02-13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obe tip for air data probe
CN106642125A (zh) * 2016-12-05 2017-05-10 北京神雾环境能源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蓄热式辐射管的温度控制方法及装置
US20190086078A1 (en) * 2017-09-18 2019-03-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Gas burner assembly for a cooktop appliance
CN109404960B (zh) * 2018-10-30 2019-10-01 中煤科工集团重庆研究院有限公司 立式多床rto钟形温区梯度对称性控制方法
GB2582744B (en) * 2019-03-26 2023-08-23 John Zink Co Llc A flame detection and igni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5357A (en) * 1958-01-23 1962-01-02 United States Steel Corp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n open hearth furnace
US3404965A (en) * 1964-11-13 1968-10-08 Benjamin P. Shiller Fume combustion apparatus
US4355973A (en) * 1981-02-17 1982-10-26 Caterpillar Tractor Co. Radiant heating apparatus
JPS5855614A (ja) * 1981-09-30 1983-04-02 Nippon Steel Corp ラジアントチユ−ブバ−ナ単体空燃比制御方法
JPH061122B2 (ja) * 1984-06-06 1994-01-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吸引式ラジアントチユ−ブバ−ナ−炉の最適燃焼制御方法
GB8507993D0 (en) * 1985-03-27 1985-05-01 Hotwork Ltd Furnace heating
JPS61243219A (ja) * 1985-04-18 1986-10-29 Kawasaki Steel Corp ラジアントチユ−ブバ−ナの燃焼制御方法
JPH0330683Y2 (ko) * 1985-06-14 1991-06-28
US5049064A (en) * 1987-08-06 1991-09-17 Brian Wills Burner with regenerative bed
GB2214625B (en) * 1987-12-24 1992-01-02 British Steel Plc Regenerative burner system
JP2647485B2 (ja) * 1988-04-06 1997-08-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薄肉缶の底部構造
JPH0438990Y2 (ko) * 1988-04-07 1992-09-11
JPH0227325A (ja) * 1988-07-15 1990-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波長変換装置
JPH0645146Y2 (ja) * 1988-09-07 1994-11-16 川崎製鉄株式会社 パイロットバーナ
JPH0653265B2 (ja) * 1988-12-28 1994-07-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外板の塗装方法
JP2703011B2 (ja) * 1988-12-28 1998-01-26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ラジアントチューブ
JPH0635885B2 (ja) * 1989-03-27 1994-05-11 日本ファーネス工業株式会社 蓄熱式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
US4942832A (en) * 1989-05-04 1990-07-24 Bloom Engineering Company,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NOx emissions by vitiation
DE3920039A1 (de) * 1989-06-20 1991-01-03 Haarmann & Reim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tuerlichem vanillin
US5188804A (en) * 1989-12-26 1993-02-23 The Air Preheater Company, Inc. Regenerative bed incine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H0428276A (ja) * 1990-05-23 1992-01-30 Mitsubishi Electric Corp 狭帯域レーザー装置
ES2064538T3 (es) * 1990-06-29 1995-02-01 Wuenning Joachim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combustion de combustible en un recinto de combustion.
JPH0428276U (ko) * 1990-06-29 1992-03-06
JP2873392B2 (ja) * 1990-08-06 1999-03-24 東芝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ー
JP2873080B2 (ja) * 1990-11-08 1999-03-2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用ガラス母材の製造装置
JPH04222316A (ja) * 1990-12-26 1992-08-12 Nippon Steel Corp 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の燃焼制御方法
JPH04316919A (ja) * 1991-04-15 1992-11-09 Nippon Steel Corp 燃焼炉の点火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1442U1 (ru) * 2020-10-13 2020-12-15 Евгений Николаевич Коптяев Теплообменник
WO2023017895A1 (ko) * 2021-08-11 2023-02-16 오영한 폐 태양광 패널을 자원화하는 가수분해 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73860B2 (ja) 2005-07-20
EP0628769A1 (en) 1994-12-14
KR950700516A (ko) 1995-01-16
EP1243851A3 (en) 2002-11-06
EP1243852A3 (en) 2002-11-06
DE69329021T2 (de) 2000-11-16
EP1243853A3 (en) 2002-11-06
US5520534A (en) 1996-05-28
EP1243853A2 (en) 2002-09-25
AU675325B2 (en) 1997-01-30
EP1243852A2 (en) 2002-09-25
EP1243851A2 (en) 2002-09-25
AU6809094A (en) 1994-07-19
EP0995949A2 (en) 2000-04-26
EP0628769B1 (en) 2000-07-12
EP0628769A4 (en) 1997-09-03
DE69329021D1 (de) 2000-08-17
EP0995949A3 (en) 2000-11-08
CA2129230C (en) 2000-07-25
WO1994015149A1 (fr) 199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247B1 (ko) 복수의 축열식 버너 유니트를 갖는 가열장치 및 그 운전방법
EP0809075B1 (en) Control apparatus for regenerative combustion
CA1240256A (en) Burner with ignition device
AU648163B2 (en) Thermoelectric sensor
EP0809072B1 (en) Structure for supply of fuel and pilot air
JP5458834B2 (ja) 多燃料用バーナ装置
JP2011112345A (ja) 多燃料用バーナ装置
JP3858767B2 (ja) ガスバーナー
RU2141604C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тепловым режимом агрегата
KR950013964B1 (ko) 사전혼합식 및 화염조절식 가스버너
JPH07208734A (ja) 火炎検出システム
JPH06257724A (ja) 蓄熱式バ−ナ
KR100758416B1 (ko) 화염검지를 위한 보조점화장치
RU2118753C1 (ru) Инжекционная горелка
RU5011U1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JP3314636B2 (ja) 蓄熱燃焼装置
CN110878940A (zh) 碳电极或阴极焙烧炉用带自动配风、打火及火检的燃烧器
JPH07103435A (ja) 蓄熱式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の燃焼方法
JPH0861621A (ja) 燃焼装置
JPH05203538A (ja) 熱機関の加熱装置
JP2003314823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