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699B1 -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699B1
KR100186699B1 KR1019960018890A KR19960018890A KR100186699B1 KR 100186699 B1 KR100186699 B1 KR 100186699B1 KR 1019960018890 A KR1019960018890 A KR 1019960018890A KR 19960018890 A KR19960018890 A KR 19960018890A KR 100186699 B1 KR100186699 B1 KR 10018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engine
relay
vehicle
pump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282A (ko
Inventor
이종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1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699B1/ko
Publication of KR970075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82Control of electrical fuel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4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accident or emergency, e.g. deceleration, til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6Fuel or fuel supply system parameters
    • F02D2200/0602Fuel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연료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사고 발생시, 엔진연료공급 계통에 이상이 생겨 연료가 누출될 경우, 엔진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엔진의 연료압력을 감지하는 오일압력스위치(OP S/W)를 통해 제2릴레이(RY2) 작동시켜 연료펌프모터(3)의 구동을 정지 시킴으로써,차량의 화재 및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
제1도는 종래의 엔진연료공급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의 회로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그니션 스위치 2 : 연료탱크
3 : 연료펌프모터 4 : 배터리
5 : 엔진 RY1,RY2 : 제1,제2릴레이
ST : 스타트모드 ON : 온모드
OP S/W : 오일압력스위치 IGL : 이그니션 전원라인
본 발명은 차량 엔진의 연료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사고 발생시, 엔진연료공급 계통에 이상이 생겨 연료가 누출될 경우 연료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하여 이그니션 스위치(1)를 미도시된 스타트모드(ST)로 선택하여 시동을 건 다음 온모드(ON)로 작동시키면, 차량 연료탱크(2)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연료펌프모터(3)에 배터리(4)의 전원이 인가되고, 이에 의해 상기 연료펌프모터(3)가 작동하여 연료탱크(2)내의 연료를 연료공급라인(FL)을 통해 엔진(5)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운전자가 이그니션 스위치(1)를 작동하기만 하면 무조건 연료펌프모터(3)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엔진계통에 이상이 생겨(예를들어, 엔진 크랙(CRACK)등) 연료가 누출될 경우에도 상기 연료펌프모터(3)는 계속 작동하여 엔진(5)으로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상이 발생한 엔진계통으로 연료가 계속 공급됨으로서 엔진계통을 통해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게 되어, 차량의 전기적 장치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합선스파크 및 누전 등에 의해 차량 화재뿐만 아니라 인사사고까지 예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차량 충돌사고 발생시, 엔진계통에 이상이 생겨 연료가 누출될 경우, 연료펌프모터의 작도을 정지시켜 연료계통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연료누출로 인한 차량의 화재 및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일측이 접지된 릴레이 코일 타측이 이그니션 스위치의 스타프모드에 연결되고, 가동접점이 이그니션 전원라인에 연결되며, 고정접점이 연료펌프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제1릴레이와 ; 일측이 오일압력스위치 연결된 릴레이 코일 타측이 이그니션 전원라인에 연결되고, 가동접점이 상기 이그니션 전원라인에 연결되며, 고정접점이 연료펌프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압력스위치에 의해 구동되는 제2릴레이 및 ; 엔진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엔진의 연료압력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오일압력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의 회로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일측이 접지된 제1릴레이(RY1)의 코일(L) 타측이 이그니션 스위치(1)의 스타트모드(ST)에 연결되고, 제1릴레이(RY1)의 가동접점(a)이 이그니션 전원라인(IGL)에 연결되며, 제1릴레이(RY1)의 고정접점(b)이 연료펌프모터(3)에 연결된다.
또한, 일측이 오일압력스위치(OP S/W)에 연결된 제2릴레이(RY2)의 코일(L)타측이 이그니션 전원라인(IGL)에 연결되고, 제2릴레이(RY2)의 가동접점(C)이 상기 이그니션 전원라인(IGL)에 연결되며, 제2릴레이(RY2)의 고정접점(d)이 일측접지된 연료펌프모터(3)의 타측에 연결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SM은 스타터 모터를 나타낸 것이고, B+는 배터리 전원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차량시동시, 이그니션 스위치(1)를 스타트모드(ST)에 위치시키면, 배터리 전원(B+)이 스타터 모터(SM)에 인가되어 차량시동을 걸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릴레이(RY1)의 코일(L)에 배터리 전원(B+)이 인가되어 이 코일 (L)을 여자시켜 제1릴레이(RY1)의 가동접점(a)이 고정접점(b)에 붙게 된다.
이에 의해 차량시동시, 이그니션 전원라인(IGL)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차량 연료탱크(2)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연료펌프모터(3)를 작동시켜 연료탱크(2)내의 연료를 연료공급라인(FL)을 통해 엔진(5)으로 공급하게 된다.
차량시동이 걸려 이그니션 스위치(1)가 상기 스타트 모드(ST)에서 온모드(ON)로 회귀되면, 제1릴레이(RY1)의 코일(L)은 소자상태가 되고 이에 의해 제1릴레이(RY1)의 가동접점(a)이 고정접점(b)에서 떨어지게 되어 연료펌프모터(3)로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그러나 상기 엔진(5)에는 연료의 압력이 적정수준에 도달되어 엔진(5)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오일압력스위치(OP S/W)는 오프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제2릴레이(RY2)의 코일(L)은 소자상태가 되고, 따라서 제2릴레이(RY2)의 가동접점(C)은 고정접점(d)에 붙게 되어, 이그니션 전원라인(IGL)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어 연료펌프모터(3)를 작동시켜 연료탱크(2)내의 연료를 연료공급라인(FL)을 통해 엔진(5)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료를 엔진(5)에 공급하는 도중, 차량의 충돌이 발생하여 엔진(5)에서 연료가 누출되면, 상기 엔진(5)에는 연료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어(5)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오일압력스위치(OP S/W)는 온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제2릴레이(RY2)의 코일(L)은 여자상태가 되고, 따라서 제2릴레이(RY2)의 가동접점(c)은 고정접점(d)에서 떨어지게 되어, 이그니션 전원라인(IGL)을 통한 전원은 연료펌프모터(3)에 인가되지 못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연료펌프모터(3)는 작동은 멈추게 된다.
따라서, 연료탱크(2)내의 연료는 엔진(5)으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각 릴레이는 코일의 여자 또는 소자상태일 때 접점의 온/오프가 상호 반대가 되도록 설치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충돌사고 발생시, 엔진계통에 이상이 생겨
연료가 누출될 경우, 연료펌프모터의 작동을 정지시켜 연료계통으로 연료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차량의 화재 및 인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출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이 접지된 릴레이 코일(L) 타측이 이그니션 스위치(1)의 스타트모드(ST)에 연결되고, 가동접점(a)이 이그니션 전원라인(IGL)에 연결되며, 고정접점(b)이 연료펌프모터(3)에 연결되어,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1)에 의해 작동되는 제1릴레이(RY1)와; 일측이 오일압력스위치(OP S/W)에 연결된 릴레이 코일(L)타측이 이그니션 전원라인(IGL)에 연결되고, 가동접점(c)이 상기 이그니션 전원라인(IGL)에 연결되며, 고정접점(d)이 연료펌프모터(3)에 연결되어, 상기 오일압력스위치(OP S/W)에 의해 구동되는 제2릴레이(RY2) 및 ; 엔진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엔진(5)의 연료압력을 감지하여 작동하는 오일압력스위치(OP S/W)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
KR1019960018890A 1996-05-31 1996-05-31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 KR10018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890A KR100186699B1 (ko) 1996-05-31 1996-05-31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890A KR100186699B1 (ko) 1996-05-31 1996-05-31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282A KR970075282A (ko) 1997-12-10
KR100186699B1 true KR100186699B1 (ko) 1999-03-20

Family

ID=1946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890A KR100186699B1 (ko) 1996-05-31 1996-05-31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6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77192A1 (de) * 2011-06-08 2012-12-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nellen und sicheren Ansteuern von Kraftstoffpump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77192A1 (de) * 2011-06-08 2012-12-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nellen und sicheren Ansteuern von Kraftstoffpumpen
US9470164B2 (en) 2011-06-08 2016-10-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rocess and system for the rapid and safe activation of fuel pum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282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2620A (en) Fuel level monitoring engine control and vehicle theft inhibiting device
KR100186699B1 (ko)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
KR0161181B1 (ko) 자동차 연료공급 차단장치
KR100264597B1 (ko) 자동차의 안전 시스템 제어 방법
KR20010001107U (ko) 자동변속 자동차의 급발진 제어장치
KR200180949Y1 (ko)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JP2002364505A (ja) 車両用エンジン保護装置
KR200161436Y1 (ko) 자동차의 가스 자동 차단장치
KR0130614Y1 (ko) 비상시 재시동 방지장치
JPS58122335A (ja) 内燃機関の異常時自動停止装置
KR100221967B1 (ko) 자동차 엔진 룸내에 부착된 시동장치
KR0158138B1 (ko) 크랭크각 센서 고장 진단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48744A (ko) 전자제어유닛의 자기 진단시 엔진의 시동을 방지하는 장치
JPS6239266B2 (ko)
KR0139018Y1 (ko) 자동차의 연료펌프 차단장치
KR100283326B1 (ko) 연료 주입시 자동 시동 오프장치
KR0184440B1 (ko)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유출 감지장치
JP2844414B2 (ja) エンジン停止装置
KR19990022734U (ko) 차량충돌시연료공급차단제어장치
KR100224166B1 (ko) 연료캡 미장착시 시동불등 및 경고장치
KR100412033B1 (ko) Lpg 차량의 lpg 스위치 보호장치 및 그 방법
KR0162072B1 (ko) 차량충돌시 연료의 자동귀환장치
KR0148390B1 (ko) 자동차용 엔진의 교착상태시 동작전원 차단장치
KR20000026147A (ko) 차량의 연료 공급 차단 장치
KR20070062470A (ko) 연료누출 전기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