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0949Y1 -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0949Y1
KR200180949Y1 KR2019950049144U KR19950049144U KR200180949Y1 KR 200180949 Y1 KR200180949 Y1 KR 200180949Y1 KR 2019950049144 U KR2019950049144 U KR 2019950049144U KR 19950049144 U KR19950049144 U KR 19950049144U KR 200180949 Y1 KR200180949 Y1 KR 200180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vehicle
relay
clutch
haz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91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238U (ko
Inventor
박태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91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949Y1/ko
Publication of KR970041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2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고장등의 비상시에 차량을 도로상의 갓길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 엔진 크랭킹(KRANK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클러치 스위치(11)의 "온" 상태에서만 차량이 스타트 할수 있도록 하므로 엔진의 고장시 고장위치에서 차량을 움직일 수 없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들이 차량을 밀어 갓길등으로 이동시키므로 안전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키 스위치(10)의 스타트단자에 클러치 스위치(11)와 릴레이(12) 스위치를 병렬로 접속시키되, 상기 클러치 스위치(11)에 릴레이(12)코일을 접속시키고, 상기 릴레이(12)코일과 클러치 스위치(11)사이에 다이오드(15)를 설치한 하자드 스위치(14)를 설치하며, 상기 릴레이(12) 스위치에 스타트모터(13)를 접속하고, 상기 하자드 스위치(14)에 다이오드(15)와 병렬로 후레쉬(16)과 하자드램프(17)를 순차로 접속하여 엔진고장으로 인한 차량의 정차시 차량의 스타트모터(13)를 작동시켜 안전지대로 고장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어 차량의 고장으로 인한 교통의 방해를 방지하고, 신속하게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한 것임.

Description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 스위치 11 : 클러치 스위치
12 : 릴레이 13 : 스타트 모터
14 : 하자드 스위치 15 : 다이오드
16 : 후레쉬 17 : 하자드 램프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고장등의 비상시에 차량을 도로상의 갓길등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한 엔진 크랭킹(KRANKING)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종래에는 키 스위치(10)의 스타트단자에 클러치 스위치(11)와 릴레이(12)의 스위치를 병렬로 접속시키되, 상기 클러치 스위치(11)에 릴레이(12)의 코일과 접속시키고, 릴레이(12)스위치에 스타트 모터(13)를 접속 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북미의 승용차 법규에 의거하여 클러치 스위치(11)의 "온" 상태에서만 차량이 스타트 할수 있도록 하므로 엔진의 고장시 고장위치에서 차량을 움직일 수 없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들이 차량을 밀어 갓길등으로 이동시키므로 안전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엔진고장시 스타트모터에 전원을 공급하여 모터를 스타트 회전시켜 약간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 운전자가 사고차량을 도로의 갓길등으로 안전하게 이동시켜 안전사고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한 차량의 엔진 크랭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키 스위치(10)의 스타트단자에 순차로 접속된 클러치 스위치(11)와 릴레이(12) 코일 사이에 다이오드(15)를 설치한 하자드 스위치(14)를 접속하되, 상기 하자드 스위치에 후레쉬(14)와 하자드램프(17)를 상기 다이오드(15)와 병렬로 접속하여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특징으로 한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키 스위치(10)의 스타트단자에 클러치 스위치(11)와 릴레이(12) 스위치를 병렬로 접속시키되, 상기 클러치 스위치(11)에 릴레이(12)코일을 접속시키고, 상기 릴레이(12)코일과 클러치 스위치(11)사이에 다이오드(15)를 설치한 하자드 스위치(14)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릴레이(12) 스위치에 스타트모터(13)를 접속하고, 상기 하자드 스위치(14)에 다이오드(15)와 병렬로 후레쉬(16)과 하자드램프(17)를 순차로 접속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작동시 키 스위치(10)를 조작하여 상기 키 스위치(10)의 스타트단자에 전원을 인가한 상태에서 클러치 스위치(11)를 "온"시키면 릴레이(12)의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어 릴레이(12) 스위치가 "온"되어, 스타트 모터(13)를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하자드 스위치(14)의 접속라인에 다이오드(15)가 부착되어 클러치 스위치(11)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하자드 스위치(14)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고장시에는 클러치 스위치(11)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하자드 스위치(14)를 "온"시키면 후레쉬(6)와 하자드램프(17)에 전원이 인가되어 비상사태임을 주변 차량에 인지시킴과 동시에 다이오드(15)를 통하여 릴레이(12)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므로 릴레이(12) 스위치가 작동되고 따라서, 스타트모터(13)에 전원이 인가되어 차량이 약간의 이동거리(대략 10m정도)를 가질수 있어 운전자가 도로상의 고장차량을 갓길등의 안전지대로 이동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엔진고장으로 인한 차량의 정차시 차량의 스타트모터를 작동시켜 안전지대로 고장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어 차량이 고장으로 인한 교통의 방해를 방지하고, 신속하게 안전지대로 대피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Claims (1)

  1. 키 스위치의 스타트단자에 순차로 접속된 클러치 스위치와 릴레이 코일 사이에 다이오드를 설치한 하자드 스위치를 접속하되, 상기 하자드 스위치에 후레쉬와 하자드램프를 상기 다이오드와 병렬로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KR2019950049144U 1995-12-27 1995-12-27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KR200180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144U KR200180949Y1 (ko) 1995-12-27 1995-12-27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9144U KR200180949Y1 (ko) 1995-12-27 1995-12-27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238U KR970041238U (ko) 1997-07-29
KR200180949Y1 true KR200180949Y1 (ko) 2000-05-15

Family

ID=1943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9144U KR200180949Y1 (ko) 1995-12-27 1995-12-27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9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238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43033A1 (en) Vehicle safety warning control system
US3455410A (en) Passenger safety system for automobiles
KR200180949Y1 (ko)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US4074226A (en) Brake malfunction warning and indicating system for automobiles
US3214730A (en) Headlight reminder circuit
US2447736A (en) Electric lighting system
KR0126075Y1 (ko) 자동차 도난방지를 위한 가속페달 고정장치
GB2265679A (en) Vehicle immobilisation apparatus
KR100186699B1 (ko) 차량충돌시 엔진연료 공급 차단장치
KR100380614B1 (ko) 자동차의 자동 파킹장치
KR920007209Y1 (ko) 틸팅 캡 트럭의 캡 풀림 경고장치
WO2002032720A1 (en) Automatic emergency indicator for vehicles
JP3044739U (ja) 車両の盗難防止装置
KR0180354B1 (ko) 자동차의 주행중 시동 꺼짐 방지장치
GB2266612A (en) Vehicle safety system
KR0140299Y1 (ko) 자동차의 도난 사고 알림 장치
KR0153690B1 (ko) 자동차의 충돌시 안전장치
JP2956481B2 (ja) 車両の衝突ハザード点灯装置
KR0112743Y1 (ko) 자동차용 제동등 제어회로
KR0137571Y1 (ko) 자동차의 경고 표시등 고장 경보 장치
JPH075113Y2 (ja) 車両用エンジンの緊急停止装置
KR0118991Y1 (ko) 대형차량용 제동에 따른 후방점등장치
JP2000276682A (ja) 車両事故時における自動警報システム及び自動安全確保システム
KR970006294Y1 (ko) 자동차의 제동등화장치
KR19990062122A (ko)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