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2122A -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2122A
KR19990062122A KR1019970082430A KR19970082430A KR19990062122A KR 19990062122 A KR19990062122 A KR 19990062122A KR 1019970082430 A KR1019970082430 A KR 1019970082430A KR 19970082430 A KR19970082430 A KR 19970082430A KR 19990062122 A KR19990062122 A KR 19990062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braking
train
relay
control device
rela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8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0611B1 (ko
Inventor
김진웅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101997008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6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62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6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의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열차가 정지상태일 때만 동작하는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로 차단기(2), 시한계전기(3), 역행/제동 제어기(4), 선두차 제어계전기 접점(5), 비상제동 강제완해스위치(7), 수동/자동모드 계전기 접점(8), 및 제동 제어장치(9)내의 비상제동 전자변(10)에, 열차가 정지했을 때만 단락 되는 정지속도 계전기(12) 및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코일에 의해 제어되는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접점(6)을 더 추가하여, 열차가 오직 정지 상태에서만 비상제동 강제완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본 발명은 열차의 비상제동 강제 완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차의 비상 상황 발생 또는 열차에 심각한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비상제동이 체결된다. 이때 비상제동의 원인을 해결하는 것이 불가능 할 경우, 비상제동 강제 완해스위치를 조작하여, 열차의 제동체결을 강제적으로 완해시키고 다음 역까지 또는 기지로 긴급 이동할 때에 필요한 제어기능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열차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는, 열차의 주행 또는 정지 상황에 관계없이, 비상제동 강제완해스위치를 누르면 DC 100V 전원이 제동 제어장치로 인가되어 비상제동을 강제로 완해하게 되어 있었다. 따라서, 열차가 주행중에 있을 때, 만약 비상제동 강제완해스위치가 눌러진다면 열차의 비상제동 상태에도 불구하고, 안전을 위한 열차의 비상제동 체결을 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비상제동 강제완해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및 정지속도 계전기를 사용하여, 열차가 항상 정지 상태일 때만 비상제동 강제완해 기능이 가능 하도록 한다.
도 1은 브레이크 제어회로중 비상제동 강제완해에 관련된 부분의 시퀀스도,
도 2는 열차 제어회로중에서, 상기 도 1의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접점의 동작과 관련된 부분의 시퀀스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레이크 제어회로중에서 비상제동 강제완해에 관련된 시퀀스회로,
2, 11 --- 회로 차단기, 3 --- 시한 계전기,
4 --- 역행/제동 제어기, 5, 5' --- 선두차 제어계전기 접점,
6, 6' ---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접점,
7, 7' --- 비상제동 강제완해스위치,
8 --- 수동/자동모드 계전기 접점, 9 --- 제동 제어장치,
10 --- 비상제동 전자변, 12 --- 정지속도 계전기,
13 ---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코일.
본 발명에 따른 비상제동 강제완해장치는, 브레이크 제어회로중에서 비상제동 강제완해에 관련된 회로 차단기(2), 시한계전기(3), 역행/제동 제어기(4), 선두차 제어계전기 접점(5),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6), 비상제동 강제완해스위치(7), 수동/자동모드 계전기 접점(8), 및 제동 제어장치(9)내의 비상제동 전자변(1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6)의 접점을 동작시키기 위해, 열차 제어회로중에서 회로차단기(11), 선두차 제어계전기 접점(5'), 비상제동 강제완해스위치(7'), 정지속도 계전기(12) 및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코일(13)을 더 구비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로 차단기(2)가 ON된 후, 운전자가 역행/제동 제어기(4)를 역행, 상용제동, 또는 타행의 위치중 어느 위치로 설정할 경우, 시한 계전기(3)가 단락되고, 역행/제동 제어기(4)가 단락된다. 여기에서 시한 계전기(3)는 열차 운전중 운전자가 역행/제동 제어기의 핸들을 놓은 경우, 일정 시간(약 10초 정도)이 지난 후에 비상제동이 가능하게 하는 계전기이다.
또한 열차의 선두차가 결정되면 선두차 제어계전기 접점(5)이 단락된다.
상기 조건이 만족된 가운데, 운전자가 열차 정지 상태에서 비상제동 강제완해스위치(7)를 누르면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접점(6)이 단락되고, 이 접점들을 통해, DC 100V 전원이 제동 제어장치내의 비상제동 전자변으로 입력되어 여자시킴으로서 비상제동을 강제적으로 완해시킨다. 이때 자동모드 계전기 접점(8)는 수동모드 운전 상태인 경우에만 단락되어 자동운전 모드에서는 비상제동 강제완해 기능이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접점(6)을 동작 시키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차가 정지 상태에서 선두차가 설정이 되면, 정지속도 계전기(열차가 0 ~ 2km내의 속도일 때 접점이 단락된다.) 접점이 단락된다. 이때 운전자가 비상제동 강제완해 스위치(7')를 누르게 되면,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코일(13)이 여자되어 도 1의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접점(6)을 단락시킨다.
만약에 열차가 움직이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비상제동 강제완해스위치(7')를 누른다면 정지속도 계전기(12)가 개방되어,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코일(13)이 소자되므로, 상기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접점(6)을 개방시켜 비상제동 강제완해를 불가능하게 한다.
종래에는 열차가 움직이는 조건하에서도 비상제동 강제완해가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을 통해 오직 열차의 정지 상태에서 모든 안전 조건을 확인한 후에, 열차의 비상제동을 강제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열차의 안전운행을 보다 강화시켰다.

Claims (2)

  1. 회로 차단기(2), 시한계전기(3), 역행/제동 제어기(4), 선두차 제어계전기 접점(5), 비상제동 강제완해스위치(7), 수동/자동모드 계전기 접점(8), 및 제동 제어장치(9)내의 비상제동 전자변(10)으로 구성된 열차의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두차 제어계전기 접점(5) 및 비상제동 강제완해스위치(7) 사이에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접점(6)을 더 추가하여 구성된 열차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접점(6)은, 열차가 정지했을 때만 단락 되는 정지속도 계전기(12) 및 바이패스 유지 계전기 코일에 의해 제어되어, 열차가 오직 정지 상태에 있을 때만 비상제동 강제완해를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KR1019970082430A 1997-12-31 1997-12-31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KR100250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430A KR100250611B1 (ko) 1997-12-31 1997-12-31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82430A KR100250611B1 (ko) 1997-12-31 1997-12-31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122A true KR19990062122A (ko) 1999-07-26
KR100250611B1 KR100250611B1 (ko) 2000-04-01

Family

ID=1953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82430A KR100250611B1 (ko) 1997-12-31 1997-12-31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6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937B1 (ko) * 2010-08-27 2012-06-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제동제어장치
CN110723128A (zh) * 2019-11-18 2020-01-24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紧急制动扩展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342B1 (ko) 2010-08-17 2011-09-16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비상제동장치
KR101452990B1 (ko) 2013-09-13 2014-10-22 부산교통공사 철도차량용 브레이크 강제완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937B1 (ko) * 2010-08-27 2012-06-13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제동제어장치
CN110723128A (zh) * 2019-11-18 2020-01-24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紧急制动扩展装置
CN110723128B (zh) * 2019-11-18 2024-05-10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城轨车辆紧急制动扩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0611B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599B1 (ko) 차량용 전자제어장치의 전원제어장치
CA2583545C (en) Failsafe electronic braking system for trains
KR20120032719A (ko) 철도차량의 추진제어회로
KR100250611B1 (ko) 비상제동 강제완해 제어장치
US4369428A (en) Parking brake warning system
KR0143671B1 (ko) 철도차량의 dmc 시스템
KR0157371B1 (ko) 중장비용 주차브레이크 보호장치
JPS6013203Y2 (ja) 車両用デッドマン制御装置
KR200179223Y1 (ko) 자동변속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시스템
KR100192358B1 (ko) 자동차의 역진제어장치
KR0117280Y1 (ko) 수동 변속기가 구비된 차량의 비상시 시동모터 구동회로
KR0179695B1 (ko) 주차브레이크 경보장치
KR200180949Y1 (ko) 차량의 엔진 크랭킹 장치
JPH0891753A (ja) エスカレータの制動装置
JP2569915Y2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安全解除装置
KR100212437B1 (ko) 자동차 브레이크 장치
KR200196345Y1 (ko) 자동차의 제동등 점등시스템
KR19980052422U (ko) 자동차의 주행 안전장치
KR100283328B1 (ko) 급정차시 비상 경고등 자동 점등 장치
KR100427876B1 (ko) 차량의 발진 제한장치
KR19980018081U (ko) 주차 브레이크 작동 경고장치
KR19990026618U (ko) 리타더 전원 제어 장치
KR19990032520A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자동 작동 장치
KR20080055395A (ko) 악셀 페달과 연계된 브레이크 등의 자동 제어장치
KR19980051389A (ko) 주차브레이크에 의한 브레이크램프 점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