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652B1 -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652B1
KR100186652B1 KR1019960060423A KR19960060423A KR100186652B1 KR 100186652 B1 KR100186652 B1 KR 100186652B1 KR 1019960060423 A KR1019960060423 A KR 1019960060423A KR 19960060423 A KR19960060423 A KR 19960060423A KR 100186652 B1 KR100186652 B1 KR 100186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oor
front left
detection uni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1148A (ko
Inventor
장지덕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0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65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개방후 시트에 앉을 경우 승차위치에 따라 전방 좌우의 시트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승차를 용이하게 해 주도록 한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10)와, 도어개방에 따른 탑승객의 시트안착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12), 시트이동 자동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선택스위치(14), 상기 시트이동 자동제어모드의 설정시 상기 도어개폐감지부(10)와 인체감지부(12)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방 좌/우측 시트의 선택적인 전/후이동을 제어하는 마이컴(16), 상기 마이컴(16)의 제어하에 전방 좌/우측 시트모터(20,22)를 동작시켜 전방 좌/우측 시트를 선택적으로 전/후로 이동시키는 파워모듈(18)로 구성되어, 도어를 열고 승차할 때 적응적으로 시트가 전/후로 자동이동함으로써, 승차시 한결 편리하게 승차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
본 발명은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개방후 승차시 승차위치에 따라 적응적으로 전방 좌/우의 시트를 자동으로 전/후이동시키도록 된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실내에는 승객 한사람 한사람을 위하여 몸의 편안한 자세를 위해 운전석측과 조수석측 및 뒷좌석측에 시트가 갖추어지는데, 요즘에는 전방의 운전석측 시트와 조수석측 시트하부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조작자의 레버조작에 의해 그 가이드레일을 따라 시트를 전/후로 소정치 슬라이딩시키도록 하는 구조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시트가 채용된 차량에 승차할 경우 대부분 도어를 열고 탑승한 후 시트에 앉아 레버를 조작하여 시트를 전/후로 이동시켜 적정위치에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런데, 체격이 큰 사람이 승차할 때 시트가 전방에 위치해 있다면 그 시트에 앉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트에 앉은 후에 레버를 직접 조작하여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야 되는 번거러움이 발생된다. 그리고, 뒷좌석의 시트에 탑승할 때 전방의 시트의 후방으로 이동해 있는 상태라면 뒷좌석의 시트에 앉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도어개방후 시트에 앉을 경우 승차위치에 따라 전방 좌우의 시트위치를 자동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승차를 용이하게 해 주도록 한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와, 도어개방에 따른 탑승객의 시트안착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 시트이동 자동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선택스위치, 그 시트이동 자동제어모드의 설정시 상기 도어개폐감지부와 인체감지부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방 좌/우측 시트의 선택적인 전/후이동을 제어하는 마이컴, 그 마이컴의 제어하에 전방 좌/우측 시트모터를 동작시켜 전방 좌/우측 시트를 선택적으로 전/후로 이동시키는 파워모듈로 구성된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개폐감지부 및 인체감지부의 설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도어개폐감지부12: 인체감지부
14: 모드선택스위치16: 마이컴
18: 파워모듈20, 22: 시트모터
VR: 가변저항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어개폐감지부(10), 인체감지부(12), 모드선택스위치(14), 마이컴(16), 파워모듈(18), 시트모터(20,22)로 구성된다.
도어개폐감지부(10)는 도어(즉, 앞쪽 좌우측 도어 및 뒷쪽 좌우측 도어)의 열림(개방)과 닫힘(폐쇄)상태를 감지하는 바, 그 도어개폐감지부(10)는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어프레임의 내측의 소정부위와 그 도어프레임이 닫힐 때 맞닿게 되는 차체프레임의 대향면일측에 설치된 접촉스위치(10a,10b,10c,10d)로 구성될 수 있다.
인체감지부(12)는 차량실내에 갖추어진 시트상에 탑승객이 앉아 있는지를 감지하는 바, 그 인체감지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트의 내부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로드셀(load cell)과 같은 스위치(12a,12b,12c,12d)로 구성된다.
모드선택스위치(14)는 운전자 또는 다른 탑승객에 의해 조작되어 도어개방에 따른 시트의 이동이 자동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시트이동 자동제어모드를 설정하는스위치로서, 운전석 전방의 인스트루트 패널상에 설치될 수 있다.
마이컴(16)은 그 시트이동 자동제어모드의 설정시 상기 도어개폐감지부(10)로부터의 신호 및 인체감지부(12)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방 좌/우측 시트의 전/후이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파워모듈(18)은 그 마이컴(16)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방 좌측 시트모터(20) 또는 전방 우측 시트모터(22)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전방 좌/우측 시트를 전/후이동시키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에서는 모드선택스위치(14)가 온(ON)되어 있어서 시트이동 자동제어모드가 선택된 상태라고 설정하고 설명한다.
일단, 앞좌측 도어가 열리게 되면(즉, 접촉스위치(10a)가 온된 상태) 마이컴(16)은 뒷좌측 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사람이 없을 경우(즉, 스위치(12c)가 오프된 상태)에는 파워모듈(18)을 제어하여 전방 좌측 시트모터(20)를 회전(예컨대, 정회전)시켜 전방 좌측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방 좌측시트에의 승차가 용이하도록 하는 반면, 사람이 있을 경우(즉, 스위치(12c)가 온된 상태)에는 전방 좌측시트의 이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앞우측 도어가 열리게 되면(즉, 접촉스위치(10b)가 온된 상태) 마이컴(16)은 뒷우측 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사람이 없을 경우(즉, 스위치(12d)가 오프된 상태)에는 파워모듈(18)을 제어하여 전방 우측 시트모터(22)를 회전(예컨대, 정회전)시켜 전방 우측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전방 우측시트에의 승차가 용이하도록 하는 반면, 사람이 있을 경우(즉, 스위치(12d)가 온된 상태)에는 전방 우측시트의 이동이 없도록 한다.
한편, 앞쪽 도어보다 뒷쪽 도어가 먼저 열리는 경우, 먼저 뒷좌측 도어가 열리게 되면(즉, 접촉스위치(10c)가 온된 상태) 마이컴(16)은 앞좌측 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사람이 없을 경우(즉, 스위치(12a)가 오프된 상태)에는 파워모듈(18)을 제어하여 전방 좌측 시트모터(20)를 회전(예컨대, 역회전)시켜 전방 좌측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뒷쪽 좌측시트에의 승차가 용이하도록 하는 반면, 사람이 있을 경우(즉, 스위치(12a)가 온된 상태)에는 전방 좌측시트의 이동이 없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뒷우측 도어가 열리게 되면(즉, 접촉스위치(10d)가 온된 상태) 마이컴(16)은 앞우측 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사람이 없을 경우(즉, 스위치(12b)가 오프된 상태)에는 파워모듈(18)을 제어하여 전방 우측 시트모터(22)를 회전(예컨대, 역회전)시켜 전방 우측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뒷쪽 우측시트에의 승차가 용이하도록 하는 반면, 사람이 있을 경우(즉, 스위치(12b)가 온된 상태)에는 전방 우측시트의 이동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앞 좌/우측 도어가 동시에 열리고 뒤 좌/우측 도어는 열리지 않을 경우(즉, 접촉스위치(10a,10b)가 온된 상태)에는 마이컴(16)은 뒷 좌/우측 시트에 사람이 앉아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사람이 없을 경우(즉, 스위치(12c,12d)가 오프된 상태)에는 파워모듈(18)을 제어하여 전방 좌측 및 우측 시트모터(20,22)를 회전(예컨대, 정회전)시켜 전방 좌측 및 우측시트를 후방으로 동시에 이동시킴으로써 전방 좌측 및 우측시트에의 승차가 용이하도록 하는 반면, 사람이 있을 경우(즉, 스위치(12c,12d)가 온된 상태)에는 전방 좌측 및 우측시트의 이동이 없도록 한다.
또한, 앞좌측 도어 및 뒤우측 도어가 열리는 상태에서 앞우측 시트 및 뒤좌측 시트상에 승객이 없는 경우는 상술한 동작원리에 의거한 동작이 행해져서 앞좌측 시트는 후방으로, 앞우측 시트는 전방으로 이동되는 반면에, 앞우측 도어 및 뒤좌측 도어가 열리는 상태에서 앞좌측 시트 및 뒤우측 시트상에 승객이 없는 경우에도 역시 상술한 동작원리에 의거한 동작이 행해져서 앞좌측 시트는 전방으로, 앞우측 시트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를 열고 승차할 때 적응적으로 시트가 전/후로 자동이동함으로써, 승차시 한결 편리하게 승차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는 도어개폐감지부(10)와, 도어개방에 따른 탑승객의 시트안착을 감지하는 인체감지부(12), 시트이동 자동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선택스위치(14), 상기 시트이동 자동제어모드의 설정시 상기 도어개폐감지부(10)와 인체감지부(12)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방 좌/우측 시트의 선택적인 전/후이동을 제어하는 마이컴(16), 상기 마이컴(16)의 제어하에 전방 좌/우측 시트모터(20,22)를 동작시켜 전방 좌/우측 시트를 선택적으로 전/후로 이동시키는 파워모듈(1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
KR1019960060423A 1996-11-30 1996-11-30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 KR100186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423A KR100186652B1 (ko) 1996-11-30 1996-11-30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423A KR100186652B1 (ko) 1996-11-30 1996-11-30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148A KR19980041148A (ko) 1998-08-17
KR100186652B1 true KR100186652B1 (ko) 1999-04-01

Family

ID=1948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423A KR100186652B1 (ko) 1996-11-30 1996-11-30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65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403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 자동이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59273B1 (ko) * 2006-05-29 2008-09-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승, 하차 연동 운전자 편의 장치
KR20150001042A (ko) * 2013-06-26 2015-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탑승자 승하차 편의를 위한 차량 시트 위치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987Y1 (ko) 2021-03-05 2022-10-06 주식회사 케이씨모터스 차량용 풋 레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3403A (ko) * 2002-09-11 2004-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시트 자동이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59273B1 (ko) * 2006-05-29 2008-09-2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의 승, 하차 연동 운전자 편의 장치
KR20150001042A (ko) * 2013-06-26 2015-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탑승자 승하차 편의를 위한 차량 시트 위치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6658B1 (ko) * 2013-06-26 2020-08-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탑승자 승하차 편의를 위한 차량 시트 위치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148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46379B2 (ja) シフトチェンジ連動の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JPS6121843A (ja) 乗員用備品自動復元装置
EP1393965B1 (en) Seat control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0186652B1 (ko) 도어개방감응형 시트이동 제어장치
EP3037613B1 (en) Power window device
JP2844248B2 (ja) パワー回転シート制御方法およびパワー回転シート制御装置
JP4722046B2 (ja) シート及びその方法
JPH06211077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JP2848050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H02256531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H02256530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589107B2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サポート制御方法およびサイドサポート装置
JPH05338482A (ja) パワーシートのモータ制御方法およびモータ制御装置
JPH06135270A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KR0152196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시트 간격 조정장치
KR19990007137U (ko) 자동차용 파워 시트 장치
JPS6118529A (ja) 車両用乗降補助装置
KR20030088899A (ko) 차량 시트 좌우 이동 장치
JPH08246748A (ja) 車両窓の電動開閉装置
KR19980027661A (ko) 자동차용 시트의 위치 조정장치
JPS6294433A (ja) 車両用回転シ−トの駆動制御装置
KR0137331Y1 (ko) 측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차량 시트
JPS6141633A (ja) 車両における乗員用シ−トの運動制御装置
JPS62194946A (ja) 車両用シ−トの位置調整装置
JP2645578B2 (ja) 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