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685B1 - 비드 자수장치 및 자수방법 - Google Patents

비드 자수장치 및 자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685B1
KR0184685B1 KR1019930703991A KR930703991A KR0184685B1 KR 0184685 B1 KR0184685 B1 KR 0184685B1 KR 1019930703991 A KR1019930703991 A KR 1019930703991A KR 930703991 A KR930703991 A KR 930703991A KR 0184685 B1 KR0184685 B1 KR 0184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beads
needle
fabric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리하라 아키라
Original Assignee
구리하라 아키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리하라 아키라 filed Critical 구리하라 아키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6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12Rigi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ornments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을 자수하는데 사용되는 자수장치를 이용하여 천에 비드를 재봉질할 수 있는 자동 비드 자수방법과, 자수장치와 함께 이용하여 상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과 장치는 연속 비드 스트링을 이용하고, 이 스트링은 다수의 비드들(14,16,19)의 축심 구멍의 방향으로 분리가능한 연결부(15,18)를 배열한 다수의 비드들을 이루어지고 천(26)의 전면에 세트된다. 이 비드 스트링의 끝에 있는 비드는 바늘(27)이 비드(14,16,19)의 축심 구멍을 통과할 때 구부러지고 연결부(15,18)에서 분리되어 비드 스트링에서 떨어져 천(26)에 재봉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비드 자수장치 및 자수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천을 자수하는데 사용되는 자수장치를 이용하여 천에 비드(bead)를 재봉질할 수 있는 자동 비드 자수방법과,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자수장치와 같이 사용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장식용 비드는 유리, 세라믹, 금속,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런 비드는 의복의 장식으로서 천에 자수된다. 이런 자수를 할 때, 비드는 자수용 손바늘을 사용하여 하나씩 천에 재봉된다.
한편, 비드 이외의 의복 장식에 관해서는, 평판형의 장식품을 천에 재봉하는 방법이 일본국 특허출원공고 제 45-16985호(미국특허 제 3,390,65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평판형 장식품을 천에 재봉하는 것이고, 비드같이 원통형 물체는 자수할 수 없다.
또, 천에 직각으로 바늘을 왕복운동시켜 자수를 하는 멀티-헤드형 자수기와, (멀티-헤드형 자수기를 확장하여 형성된) 사이즈 15 야드 이상의 셔틀형 자수기가 실용화되어 있고 잘 알려져 있다(미국특허 2,030,495 및 3,062,163 참조).
종래의 손바느질을 사용하는 비드 자수법의 경우에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런 방법으로는 생산성이 극히 떨어진다. 이 방법으로는 비드를 자수한 의복 등의 제품의 마무리가 지체되므로, 납기가 지연되는 문제가 생긴다. 이런 납기 지연은 패션이 급격히 변화하는 의류업계에선 극히 중요한 문제이다.
또, 손바느질을 이용한 비드 자수법에서는, 자수의 질과 모양이 일정하지 않고 재봉된 부착물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비드를 재봉하는 자수 실이 느슨해지거나 끊어져서 상당량의 비드를 잃어버릴 수도 있다. 그 결과, 제품의 품질에 문제가 생긴다.
또, 종래의 자수기로는 자수 실에 비드를 꿴채 자수를 하기 때문에, 자수공정 자체를 자동화할 수 없다.
[발명의 개요]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비추어, 본 발명은 종래의 자수장치를 비드 자수기구에 연결하여 천에 비드를 자동으로 자수할 수 있는 비드 자수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천의 표면에 대해 왕복운동을 하는 바늘을 사용해 연속 비드 스트링에서 분리된 비드를 천에 부착하는 비드 자수방법을 채택한다. 쉽게 분리가능한 연결부에 다수의 비드를 부착하여 연속 비드스트링을 만든다. 연속 비드 스트링의 각각의 비드에는 축심으로 구멍이 뚫려있고, 상기 연결부는 비드의 축심 구멍 방향을 따라 거의 선형으로 비드를 배열하도록 형성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순서도.
제2(a), 2(b), 2(c)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각 다른 비드 스트링의 사시도.
제3(a), 3(b), 3(c)도는 각각 제2(a)도에 도시된 비드 스트링의 평면도, 단면도.
제4(a), 4(b), 4(c)도는 각각 제2(b)도에 도시된 비드 스트링의 평면도, 단면도, 정면도.
제5(a), 5(b), 5(c)도는 각각 제2(c)도에 도시된 비드 스트링의 평면도, 단면도, 정면도.
제6도는 제2(c)도에 도시된 비드 스트링의 제조법의 일례를 보여주는 설명도.
제7(a)-7(h)도는 본 발명의 자수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공정.
제8도는 본 발명의 비드 자수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자수장치의 동작 단계를 보여주는 도.
제10도는 그 다음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그 다음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12도는 그 다음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그 다음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비드 자수장치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
제15도는 제14도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측면도.
제17도는 제14도의 17-17선 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을 응용한 자수장치에 사용되는 바늘대의 일부분의 정면도.
제19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장치의 구동기구의 측면도.
제20도는 제19도의 정면도.
제21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되는 전기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제22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23도는 그 다음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24도는 그 다음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25도는 그 다음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26도는 그 다음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27도는 그 다음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설명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1 단계로, 본 발명에 쓰이는 연속 비드 스트링을 준비한다. 본 발명의 비드 자수법에 사용되는 연속 비드 스트링의 실례를 제2(a), 2(b), 2(c)도에 도시하였다. 이 도면들에는 원통형 비드를 예시하였다.
제2(a), 2(b), 2(c)도에 도시된 실례의 평면도, 단면도, 정면도가 각각 제3, 4, 5(a), 5(b), 5(c)도에 도시되었다. 또, 본 발명의 비드는 도면에 도시된 원통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측선상으로 구멍이 뚫린 형태를 비롯하여 단면이 언형이나 다변형(육각, 사각, 기타 다변형)인 비드에도 이용될 수 있다.
제2(a)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미리 별개의 원통형으로 절단된 다수의 유리 비드들(14)을 폭 1mm의 아세테이트 필름으로 구성된 가느다란 투명테이프(15)에 접착제로 접착한다. 각각의 비드는 이 테이프(1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테이프(15)의 접착강도는 비드 자수작업중에 쉽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이다.
제2(b)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비드(16)는 외경이 2.5-3mm이고 내경이 1.5-2mm인 가느다란 관(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됨)을 4mm 간격으로 절개부(17)에서 절개하여 형성된다. 이들 절개부(17)는 연결부(18)는 그대로 놔둔채 관의 일부분을 단면방향으로 커터로 절단하여 형성된다. 이 연결부(18)는 테이프(15)와 마찬가지로 비드 자수중에 쉽게 끊어질 정도의 연결강도를 갖는다.
제2(c)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벨트를 말아서 튜브형태로 만들고, 제2(b)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튜브의 연결부(18)를 제외하고는 절개부(17)를 형성하여 각각의 비드(19)를 형성한다. 이들 연결부(18)의 강도도 비드를 자수하는 동안 쉽게 끊어질 정도이다.
제6도는 제2(c)도에 도시된 형태의 연속 비드 스트링을 제작하는 방법의 실례를 보여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고 비교적 고온에서 견디면서도 열가소성을 갖는 테이프(20)를 성형 롤러(21)를 이용하여 외경이 약 2.5mm이고 내경이 약 2mm인 길고 가느다란 관으로 만든다. 상기 형상은 히터(22)에 의해 고정된다. 커터(23)를 사용해 이 관에 절개부(17)들을 형성한다. 그 결과, 연속 비드 스트링(25)이 형성되고, 이 스트링(25)을 릴(24)에 감는다. 이런 플라스틱 필름을 성형/가공하여 비드 스트링을 제작할 경우에는, 필름을 관 형태로 만들기 전에 이 필름에 (열전사 인쇄법 등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인쇄와 (알루미늄 증착법 등을 이용한) 가공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 접층법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필름들을 비교적 쉽게 제조할 수 있고, 이런 필름을 이용해 여러 색상의 비드 스트링들을 제조할 수 있다.
각 비드의 중앙 구멍의 축선방향과 일치되게 비드 스트링의 연결부(18)를 직선형으로 정렬한다. 그 이유는, 각각의 비드를 이하 설명하는 것과 같이 일정한 방향으로 굽히는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 비드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기만 하면, 연결부(18)를 반드시 직선형으로 배치할 필요는 없다.
제1도에 따른 2 단계로, 널리 알려진 형태의 자수장치에 연속 비드 스트링을 세팅한다. 이 경우에,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되겠지만, 먼저 본 발명의 비드 자수장치를 설치하고 이 장치에 다음과 같이 연속 비드 스트링을 세트한다. 제7(a)도는 연속 비드 스트링(25)의 세트 상태를 보여준다. 각각의 연속 비드 스트링(25)의 연결부(18)가 자수할 천(26)을 마주보도록 비드 스트링(25)을 세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수장치의 바늘(27)은 대응 숄더인 누름편(28)과 함께 천(26)에 직각 방향으로 왕복운동 한다.
3 단계로, 연속 비드 스트링의 세팅을 끝내면, 자수장치를 작동시켜 자수작업을 시작한다. 각 바늘(27)을 제7(a)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 천(26)에 자수 실(29)을 바느질한다. 각 바늘(27)의 왕복경로에 대해 화살표 B 방향인 자수방향으로 천(26)을 이동시킨다. 이때, 각 바늘(27)의 자수 실(29)이 천(26)의 표면사라면, 천(26)의 반대쪽의 배면사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4 단계로, 비드 바느질을 시작하라는 명령에 따라 비드의 자수를 시작한다. 그 뒤, 5 단계에서, 바늘(27)의 구동기구(들)와 비드 자수 기구를 연계하는 연계수단을 가동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늘(27)의 작용에 의해 비드를 자수한다.
첫째, 6 단계로 각각의 바늘(27)이 제7(b)도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후퇴될 때 각 비드 스트링(25)의 선단 비드(25a)가 화살표 D 방향으로 휘어진다. 이 경우, 선단 비드(25a)는 대응 연결부(18)를 중심으로 휘어져 천(26)에 직각으로 된다. 이것은 비드의 중앙 구멍으로 바늘(27)을 삽입할 수 있도록 비드의 후단부를 개방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비드안으로 바늘(27)을 안내하기에 충분한 개구가 형성되기만 하면 굳이 비드를 직각으로 구부릴 필요는 없다.
각 바늘(27)의 후퇴와 연동하여, 7 단계로 각각의 비드 스트링(25)이, 제7(c)도의 화살표 E로 나타낸대로, 대응 바늘(27)의 왕복로(90)를 향해 1 피치(1 비드의 길이)씩 이송딘다. 그 결과, 각 비드 스트링(25)의 선단 비드(25a)가 대응 바늘(27)의 왕복로(90)상에 배치된다. 6 단계의 굽힘동작과 7 단계의 이송동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늘(27)의 후퇴와 연계되어 행해지지만, 각 동작의 순서는 뒤바뀌어도 좋다.
다음에, 8 단계로, 바늘(27)이 제7(d)도의 화살표 F 방향으로 전진되어 대응 선단 비드(25a)에 삽입된다.
9단계로, 바늘(27)이 전진하면, 제7(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 선단 비드(25a)가 누름편에 걸려 연속 비드 스트링(25)에서 끊어진다.
이어서, 10 단계로, 바늘(27)이 후퇴되고, 제7(f)도에 도시된대로, 선단 비드(25a)의 선단부가 천(26)에 바느질된다.
또, 11 단계로, 제7(g)도의 화살표 0 방향으로, 즉 바늘(27)이 종전 위치로 복귀되도록 천(26)이 움직인다. 그 결과, 제7(g)도에 도시된대로 비드(25a)가 실(29)에 꿰어진다.
비드(25a)가 꿰어지면, 12 단계로, 제7(h)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늘(27)이 1회 왕복되어, 비드(25a)의 후단부가 재봉질된다. 13 단계에서, 한 개의 비이드를 재봉질 하는 것이 끝난다.
다음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드 자수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널리 알려진 종래의 자수장치에 장착되는 비드 자수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비드 자수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기존에 널리 알려진 셔틀형 자수장치에 바늘대(30)를 장치한다. 여러개의 바늘(27)을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의 대응 누름편(28)과 함께 볼트(69)로 바늘대(30)에 체결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비드 자수기구(33)를 각 바늘(27)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이런 비드 자수기구(33)는 소정 간격으로 판(31)에 설치된 브래킷(32)의 체결구(57)에 의해 자수장치의 정지부(도시안됨)에 고정된다. 각각의 바늘(27)로 비드 스트링(25)을 안내하는 안내관(44)을 판(31)에 고정한다. 브래킷(32)에는 3개의 축, 즉 제1. 제2, 제3 축(34, 35, 40)을 장착한다. 제1축(34)에는 육각 롤러(36)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다. 이들 육각 롤러(36)에 비드 스트링(25)을 감으면 절개부(17)가 벌어진다(제2도 참조). 제2축(35)에는 비드를 이송하는 스프로킷 휠(37)을 장착하고, 이 축(35)을 래칫(38)을 거쳐 공기 실린더(39)에 연결하여 1 피치씩 일방향으로 간헐 구동한다.
제3축(40)에는 링크(41)를 통해 레버(42)를 연결한다. 이들 레버(42)는 판(31)에 고정된 지지점(9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 각 레버(42)의 선단에 핀(43)을 장착한다. 축(40)은 공기 실린더(45)에 연결하여 왕복회전운동을 하게 한다.
참고번호 51은 자수장치에 사용되는 자카드 펀치 테이프이다. 자수될 천을 설치하는 틀(도시안됨)의 수평 수직운동, 즉 X, Y 방향의 이동은 테이프(51)에 천공된 프로그램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므로, 원하는 자수모양이 자동적으로 재봉질된다. 비드 자수 개시 명령은 펀칭에 의해 펀치 테이프(51)에 프로그램된다. 바늘(27)을 설치한 바늘대(30)의 화살표 A 방향의 왕복운동은 캠(46)으로 조절한다. 이 캠(46)에는 시간조절 돌출부(47,48)가 형성되어 있고, 스위치들(49,50)을 이 돌출부에 마주보게 설치한다. 이런 구조에 의해, 각 스위치(49,50)가 바늘(27)의 왕복운동 타이밍에 의해 원하는 주기로 작동된다.
펀치 테이프(51)에 천공된 비드 자수 개시 명령이 스위치(52)에 의해 탐지된다. 이 명령이 탐지되면, 스위치(49,50)의 출력이 AND 회로(53,54)를 통해 공기실린더(39,45)의 구동회로(55,56)로 보내진다. 그 결과, 비드 자수기구(33)의 각 축(35,40)이 바늘(27)과 연동되어 회전한다.
이하, 제9-13도를 참조하여 이상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9도는 비드 자수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비드 스트링(25)을 세트한 상태를 보여준다. 각각의 비드스트링(25)을 육각 롤러들(36)중의 하나에 감아서 비드들 사이의 틈새를 벌어지게 한다. 인접한 스프로킷 휠(37)의 각각의 핀이 하나씩 틈새(92)로 들어간다. 이어서, 비드 스트링(25)의 연결부(18)를 천(26)을 향하게 한채, 비드 스트링(25)을 대응 안내관(44) 안으로 안내한다. 이렇게 하면, 바늘대(30)의 왕복운동에 의해 천(26)을 자수할 준비가 완료된다.
펀치 테이프(51)의 비드 자수 개시 명령이 탐지되면,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축(35)이 1 피치씩 회전한다. 그 결과, 스프로킷 휠(37)이 회전하여, 각각의 비드 스트링(25)이 1 피치씩 이송된다. 따라서, 비드 스트링(25)의 선단 비드(25a)가 안내관(44)의 끝에서 나와 대응 바늘(27)의 왕복로(90)로 이동한다.
다음에, 제11도에 도시된 것처럼, 축(40)을 구동시켜 링크(41)를 통해 레버(41)를 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레버(42)상의 선단 핀(43)이 선단 비드(25a)를 화살표 D 방향으로 밀어준다.
이어서,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27)이 전진하여 선단 비드(25a) 안으로 들어간다. 그와 동시에, 레버(42)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핀(43)이 안내관(44)에서 멀어진다.
또, 화살표 F 방향으로 바늘대(30)를 전진시키면,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편(28)이 선단 비드(25a)를 밀어서 선단 스트링 (25)으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다음 동작들은 제 7(f)-7(h)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비드 자수장치의 제2실시예의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제14, 15, 16도에 도시하였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도 기존의 비드 자수장치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에 자수 구멍들을 뚫는데 사용하는 드릴 베이스(80)에 브래킷(32)의 체결구(57)를 고정한다.
브래킷(32)에는 베어링(6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축(60)을 장착한다. 축(61)도 브래킷(32)에 장착하고, 이 축(61)에 장착된 육각 롤러들(61a)에 비드 스트링(25)을 감는다.
브래킷(32)에 판(31)을 체결한다. 이 판(31)에 바늘과 같은 간격으로 홈을 파고,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홈에 안내관(44)을 점용접한다. 슬리브 베어링(85)을 사이에 두고 안내관(44)안에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을 삽입하여,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이 자유롭게 미끄러지게 한다. 이들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에 비드 스트링(25)을 삽입한다. 제18도는 바늘대(30)의 정면도이다. 바늘(27)과 누름편(28)을 볼트로 바늘대(30)에 장착한다.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60)에 칼라(62)를 달고, 각각의 칼라(62)에는 링크(41)를 통해 레버(42)를 연결한다. 제1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각의 레버(42)에 2개의 핀(66,67)을 장착한다. 각각의 핀(66,67)은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에 체결된 관(68)의 양단에 걸린다.
제19,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드 자수기구(33) 각각에 공기실린더(71)를 연결한다. 이들 공기실린더(71) 각각의 피스톤로드(72)는 축(74)을 통해 링크 레버(73)에 연결된다. 이 링크 레버(73)는 축(60)에 연결된다. 그 결과, 공기실린더(71)의 피스톤로드(72)가 화살표 I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 축(60)의 대응 링크 레버(73)에 의해 화살표 J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제21도는 본 실시예의 전기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바늘대(30)를 구동하는데는 축(75)을 이용한다. 이 축(75)에 연결된 캠(46)의 형상에 따라 바늘대(30)가 왕복운동을 수행한다. 이 축(75)에는 스위치 캠(76)을 장치하고, 또 이 스위치 캠에 의해 작동되도록 스위치(77)를 장치한다. 자수 실을 이용한 자수과정에서 비드 재봉위치에 도달하면, 전술한 펀치 테이프(51)에 형성된 프로그램 데이터에 따라 핀(95)을 통해 비드 자수 개시 명령이 스위치(52)에서 탐지된다. 여기서, 스위치(77)가 작동되면, 릴레이(96)가 가동되어 접점(RS11,RS12)이 작동된다. 이들은 그 전에 작동된 스위치(52)와 함께 작용하여 또다른 릴레이(98)를 작동시킨다. 그 결과, 릴레이(98)의 접점들(RS31,RS32)이 작동된다. 접점(RS31)은 릴레이(98)를 작동상태로 유지하고 또 솔레노이드(78)를 통해 공기밸브(79)를 작동시킨다. 그 결과, 공기실린더(71)가 구동되어 축(60)을 회전시킨다. 축(75)이 제2회전상태로 들어갈 때, 스위치(52)는 이미 복귀되어 있다. 스위치(77)가 캠(76)에 의해 재작동되면, 릴레이(96)가 작동된다. 따라서, 릴레이(96)의 접점들(RS11,RS12)이 작동하여 릴레이(97)를 작동시킨다. 릴레이(97)가 작동하면, 릴레이(97)의 접점(RS21)이 작동되어 릴레이(98)의 자기유지가 해제되고 더 이상 작동되지 않는다. 이어서, 릴레이(98)의 접점들(RS31, RS32)이 원위치로 돌아가면 공기밸브(79)도 복귀한다. 그 결과, 공기실린더(71)가 역동작하여 축(60)을 역회전시킨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의 동작을 제22-2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동작은 사실상 제1도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7도의 동작과 동일하다. 제22도는 비드 스트링(25)을 세트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비드 스트링(25)의 연결부가 천(26)을 향하게 한채 비드 스트링을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에 삽입한다.
각 비드 스트링(25)의 선단 비드(25a)를 대응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의 끝에서 나오게한다. 비드 자수 개시 명령에 따라, 바늘대(30)가 후퇴하면서 축(60)이 제23도의 화살표 K 방향으로 구동되어, 링크(41)가 화살표 L 방향으로 밀리면, 레버(42)가 화살표 M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레버(42) 끝에 있는 핀(43)이 대응 선단 비드(25a)를 천쪽으로 구부린다. 이때, 레버(42)의 핀(67)은 대응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에 장치된 관(68)과 맞닿아, 레버(4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 후, 바늘대(30)가 후퇴하는 동안 칼라(62)가 더 회전하면, 레버(42)는 제24도의 화살표 P 방향으로 링크(41)와 평행하게 관(68)과 함께 움직이는데, 이는 레버(42)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레버(42)는 지지점(100)에서 관(68)에 연결되어 회전이 자유롭다.
그 결과,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이 안내관(44)을 통해 바늘쪽으로 미끄러지고, 각 비드 스트링(25)의 선단 비드(25a)가 대응 바늘(27)의 왕복로상에 배치된다. 이런 동작의 결과, 각각의 비드 스트링(25)은 화살표 N 방향으로 1 피치씩 이송된다.
다음에, 제2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27)이 전진하여 선단 비드(25a)안으로 들어가고, 누름편(25)이 선단 비드(25a)를 밀어서 비드 스트링(25)에서 분리시킨다. 그 뒤, 제2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27)이 후퇴하면서 축(60)이 화살표 Q방향으로 역회전한다. 따라서, 링크(41)는 화살표 R 방향으로 당겨지고, 레버(42)는 회살표 S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레버(42) 끝의 핀(43)이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의 선단으로부터 멀어진다. 이어서, 레버(42)의 핀(69)이 대응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에 장치된 관(68)에 맞닿아, 레버(42)의 회전을 중단시킨다.
축(60)이 더 회전하면, 링크(41)가 움직이면서 관(68)을 통해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이 제27도의 화살표 T 방향으로 더 당겨지는데, 이는 레버(42)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결과, 비드 스트링(25)의 그 다음 비드(25b)가 선단 비드로 되고 대응 비드 스트링 안내관(65)의 선단에서 삐져나온다. 이런 동작과 함께, 비드 재봉작업이 제7도와 같이 실행된다.
제2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수평으로 배치된 천(26)을 자수하는 싱글-헤드형이나 멀티-헤드형 자수장치(81)에 본 발명의 비드 자수 기구(33)를 부착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브래킷의 장착 형태를 변화시키면, 본 발명의 비드 자수 기구를 형태와 크기가 다양한 여러 가지 자수기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자수 실을 이용하는 자수과정에서 원통형이나 다변형 비드를 소정 위치에서 자동적으로 재봉질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비드 자수 기구는 기존의 자수기에 쉽게 부착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자수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그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드 자수법과 장치를 이용하면 종래의 손재봉 기술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높은 신뢰성을 갖고 원하는대로 안정되게 비드의 자수모양을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품질과 생산성은 크게 향상시키면서도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 품질과 생산성의 향상과 함께, 제조시간이 단축된다. 그러므로, 작업장에서 아무리 원거리라도 제품 납기가 안정되고 단축될 수 있다. 그 결과, 급격하게 변하는 경향이 있는 의복 패션을 적시에 맞출 수 있다.

Claims (10)

  1. 천(26)에 비드를 자수하는 방법으로서; 천(26)의 표면에 대해 왕복운동하여 이 천(26)에 실을 재봉하는 실꿴 바늘(27)을 하나 이상 구비한 자수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축선상으로 정렬된 구멍이 각각 관통되어 있고 분리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비드들(14,16)로 이루어진 연속 비드 스트링을 하나 이상 제공하는 단계; 상기 천(26)의 표면에 상기 비드들(14,16)을 하나씩 재봉하기에 적합한 배열로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들을 상기 자수장치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의 선단 비드(14,16)를 상기 실꿴 바늘(27)에 반복적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바늘에 연결된 선단 비드(14,16)와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 사이의 연결부(15,18)를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된 선단 비드(14,16)를 상기 천(26)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드 자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계, 절단단계 및 부착단계가,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의 선단 비드(14,16)를 상기 연결부(15,18)를 중심으로 굽히는 단계;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의 선단 비드(14,16)의 축심 구멍이 상기 하나 이상의 바늘(27)의 왕복로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을 이송하는 단계; 상기 바늘(26)을 상기 선단 비드(14,16)의 축심 구멍안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천(26)을 향해 상기 선단 비드(14,16)를 강제로 전진시켜 상기 연결부(15,18)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선단 비드(14,16)의 선단부 근처의 상기 실을 상기 천(26)에 박는 단계; 상기 바늘(27)을 상기 비드(14,16)에서 후퇴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된 비드가 상기 천(26)의 표면에 적당히 배향되도록 상기 바늘(27)에 대해 상기 천(26)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선단 비드(14,16)를 상기 천의 표면에 배향한 뒤 상기 선단 비드(14,16)의 후단부 근처의 실을 상기 천(26)에 재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수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이 애초에 벨트형 재료(15)에 다수의 비드를 접착하여서 형성되는 비드 자수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연속 비드 스트링이 관형 재료의 일부분을 연속 비드들(16) 사이의 연결부(18)로서 그대로 둔채 관형 재료의 단면에 절개부(17)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비드 자수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연속 비드 스트링 형성단계가, 기다란 벨트형 재료(20)를 관형태로 권상하는 단계(21); 및 상기 관형 재료의 일부분을 연속 비드들(19,25) 사이의 연결부(18)로서 그대로 둔채 이 관형재료의 단면에 절개부(23)를 형성하여 각각의 비드(19,25)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드 자수방법.
  6. 천(26)의 표면에 대해 왕복운동하면서 비드(25)를 자수하는 바늘(27)을 갖춘 형식의 자수장치에 있어서: 축심에 구멍이 뚫려있는 각각의 비드(25)를 서로 연결한 연속 스트링을 제공하기 위한 연속 비드 스트링 전진수단(34,36);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의 선단 비드(25)를 상기 바늘(27)의 왕복로와 일치되게 배향하는 수단(40-44);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으로부터 상기 선단 비드(25)를 절단하는 수단(28); 및 상기 절단된 선단 비드(25)를 적절히 배열하여 상기 천(26)에 부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 수단이, 상기 바늘의 왕복로를 향해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을 안내하는 안내수단(44); 상기 안내수단(44)을 따라 한번에 하나의 비드씩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을 이송하는 이송수단(36); 상기 바늘(27)의 왕복로와 상기 비드의 축심 구멍이 일치하도록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의 선단 비드를 구부리는 선단 비드 굽힘수단(40-43); 및 상기 이송수단(35)과 상기 선단 비드 굽힘수단(40-43)을 상기 바늘(27)의 왕복운동에 연계시키는 연계수단(35,40,50-56):을 더 포함하는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이 상기 바늘(27)의 누름편(28)으로 구성되고, 상기 누름편(28)은 상기 바늘(27)이 전진할 때 상기 비드(25)를 밀어서 상기 연결부(18)에서 강제로 분리시키는 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이, 상기 선단 비드의 선단부 부근의 실을 상기 천에 부착하는 수단(27,30,51): 상기 바늘(27)을 상기 분리된 비드로부터 후퇴시키는 수단(27,30,51): 상기 분리된 비드가 상기 천(26)에 적절히 배향되도록 상기 바늘(27)에 대해 상기 천(26)을 이동시키는 수단(51): 및 상기 선단 비드를 상기 천(26)의 표면에 배향한 뒤 그 선단 비드의 후단부 부근의 실을 상기 천(26)에 재봉질하는 수단(27,30,51):을 더 포함하는 장치.
  10. 다수의 비드들이 표면에 자수되는 천(26)으로서: 상기 천(26)의 표면에 대해 왕복운동하는 실꿴 바늘(27)이 하나 이상 구비된 자수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쉽게 분리가능한 연결부(15,18)에 의해 다수의 비드들(14,18)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연속 비드 스트링을 하나 이상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연속 비드 스트링을 상기 자수장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의 선단 비드(25)를 상기 연결부(15,18)를 중심으로 구부리는 단계: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의 선단 비드(25)의 축심 구멍이 상기 하나 이상의 바늘(27)의 황복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을 이송하는 단계; 상기 선단 비드(25)의 축심 구멍안으로 상기 바늘(27)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바늘(27)을 상기 선단 비드(25)에 삽입한채 상기 연속 비드 스트링에서 상기 선단 비드(25)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선단 비드(25)의 선단부 부근의 실을 상기 천(26)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바늘(27)을 상기 비드(25)에서 후퇴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된 비드(25)가 상기 천(26)에 적절히 배향되도록 상기 바늘(27)에 대해 상기 천(26)을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드(25)를 상기 천의 표면에 적절히 배향한 뒤에 상기 분리된 비드(25)의 후단부 부근의 실을 상기 천(26)에 재봉하는 단계:에 따라 구성된 비드 자수천.
KR1019930703991A 1991-06-24 1991-09-18 비드 자수장치 및 자수방법 KR01846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52031A JPH06104950B2 (ja) 1991-06-24 1991-06-24 ビーズ刺しゅう方法および装置
JP91-152031 1991-06-24
PCT/US1991/006792 WO1993000468A1 (en) 1991-06-24 1991-09-18 A method and apparatus for embroidering bea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4685B1 true KR0184685B1 (ko) 1999-05-01

Family

ID=1553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991A KR0184685B1 (ko) 1991-06-24 1991-09-18 비드 자수장치 및 자수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599836B1 (ko)
JP (1) JPH06104950B2 (ko)
KR (1) KR0184685B1 (ko)
AT (1) ATE151128T1 (ko)
AU (1) AU663059B2 (ko)
BR (1) BR9107312A (ko)
CA (1) CA2110277A1 (ko)
DE (1) DE69125503T2 (ko)
DK (1) DK0599836T3 (ko)
ES (1) ES2103005T3 (ko)
GR (1) GR3023675T3 (ko)
HK (1) HK1000290A1 (ko)
SG (1) SG49304A1 (ko)
WO (1) WO1993000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555A (ja) * 1994-10-26 1996-05-14 Akira Kurihara ビーズ
CH691241A5 (de) * 2000-02-04 2001-05-31 Al Askari Raad Schublade für ein Laufwerk für optische Speicherplatten.
ES2195984T3 (es) * 2000-11-17 2003-12-16 Franz Lasser Ag Cabezal para lentejuelas.
TWI364469B (en) * 2005-09-14 2012-05-21 Lasser Ag Embroidery machine
CH704138A1 (de) * 2010-11-19 2012-05-31 Laesser Ag Vorrichtung zum Bereithalten von Verzierungsmaterialien,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solchen Vorrichtung.
CN107475930B (zh) * 2017-09-30 2023-03-14 朱月眉 一种绣珠下料装置
CN107687053B (zh) * 2017-09-30 2023-01-10 朱月眉 一种刺绣机的换色机构
CN108166181B (zh) * 2017-12-13 2024-02-27 诸暨冠翔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珠子送料装置及绣花机
CN108179560B (zh) * 2018-03-15 2023-07-25 田岛刺绣机械(中国)有限公司 一种刺绣装置
RU188689U1 (ru) * 2018-10-30 2019-04-22 Борис Федорович Светлов Коллектор для набора бисера на нить
CN109778453A (zh) * 2019-03-25 2019-05-21 浙江冠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选珠装置
CN110117878A (zh) * 2019-04-11 2019-08-13 诸暨冠翔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可更换不同珠子的珠子绣装置及绣花机
CN113186671B (zh) * 2020-05-14 2022-11-01 浙江信胜科技股份有限公司 可实现堵珠检测的双色珠绣机
CN112941749A (zh) * 2021-02-01 2021-06-11 卜斌斌 一种新型刺绣机用搓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651A (en) * 1891-11-24 George h
US1550778A (en) * 1923-09-15 1925-08-25 Firm Vogtlandische Maschinenfa Device for working a bead-carrying thread on multiple-needle embroidery machines
US3390650A (en) * 1965-10-27 1968-07-02 Arnold G. Ochsner Decorating attachment for embroidery machine
US4807546A (en) * 1987-12-04 1989-02-28 Sequins Of Distinction, Inc. Sequin application apparatus for shuttle embroidery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25503D1 (de) 1997-05-07
EP0599836B1 (en) 1997-04-02
AU8747591A (en) 1993-01-25
BR9107312A (pt) 1995-03-07
HK1000290A1 (en) 1998-02-20
ES2103005T3 (es) 1997-08-16
ATE151128T1 (de) 1997-04-15
WO1993000468A1 (en) 1993-01-07
EP0599836A4 (en) 1994-09-14
DE69125503T2 (de) 1997-10-02
DK0599836T3 (da) 1997-09-22
SG49304A1 (en) 1998-05-18
JPH05321122A (ja) 1993-12-07
EP0599836A1 (en) 1994-06-08
AU663059B2 (en) 1995-09-28
GR3023675T3 (en) 1997-09-30
JPH06104950B2 (ja) 1994-12-21
CA2110277A1 (en) 199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685B1 (ko) 비드 자수장치 및 자수방법
US5154130A (en) Multi-needle double lock chain stitch tack, jump and thread trimming quilting method and apparatus
EP1709230B1 (en) Automatic multi-function multi-needle sewingmachine and relative sewing method
EP2300653B1 (en) Sewing or looping head, particularly for automated closing of tubular knitted articles at an axial end thereof
US3390650A (en) Decorating attachment for embroidery machine
US54819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mbroidering beads
EP079296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eam from raveling in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US5333565A (en) Thread cutting via reciprocating arm with pockets and a trimming plate
JP3535353B2 (ja) 縫い目ほつれ防止方法及び装置
EP0219971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applique machines
US48542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protective strip to end of slide fastener
US4803935A (en) Beltloop forming and transfer method and apparatus
US5123365A (en) Taped chaining thread sewing device
KR100186838B1 (ko) 2중 스텝 스티치 재봉틀에서 재봉초기에 바늘의 실단부를 단축시키는 방법 및 장치
JPH08103583A (ja) ニット製品縫製用ミシン装置
JP7496039B2 (ja) 固定部材、ミシン、及び縫製方法
US5582122A (en) Feed system for a sewing machine
WO2005024109A1 (en) Device to automatically change the thread in a needle in textile machines, relative method and textile machine adopting said thread-change device
GB1559563A (en) Apparatus for affixing slide fastner elements to fabrics
JP2000107481A (ja) 縁かがり縫いミシンの空環縫い込み装置
JPS5910235B2 (ja) 編物のかがり方法及びその装置
JPS603515B2 (ja) ミシンの縫い制御装置
CA1177027A (en) Automated placket shirt machine
JPS599189B2 (ja) ミシンの布制御装置
CZ301876B6 (cs) Zpusob a zarízení pro strojové šití švu s dvounitnými retízkovými ste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