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302B1 - 밀폐식 혼련기 - Google Patents

밀폐식 혼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302B1
KR0184302B1 KR1019970002123A KR19970002123A KR0184302B1 KR 0184302 B1 KR0184302 B1 KR 0184302B1 KR 1019970002123 A KR1019970002123 A KR 1019970002123A KR 19970002123 A KR19970002123 A KR 19970002123A KR 0184302 B1 KR0184302 B1 KR 0184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pressure
kneading
pneumatic
float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868A (ko
Inventor
가시로 우레시노
노리후미 야마다
고 다카쿠라
요시노리 구로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970058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 B29B7/283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e.g. viscosity control measuring data of the driving system, e.g. torque, speed,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29B7/183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having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of Banbu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2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 B29B7/2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feeding in mixers having more than one rotor and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s, e.g. with feeding plu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6Control arrangements for fluid-driven pr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28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actuating force
    • F15B11/03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actuating force by means of fluid-pressure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specific to the use of a compressible medium, e.g. air, steam
    • F15B11/072Combined pneumatic-hydraulic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F15B2211/7114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with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chambers of different actuators
    • F15B2211/7128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with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chambers of different actuators the chambers being connected in parall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Abstract

본발명의 밀폐식 혼련기는 구조의 콤팩트화, 메인테넌스의 용이화를 도모하면서 신뢰성을 높게하는것에 있다.
본발명은 혼련기본체(1)에 연달아 설치하고 피혼련물이 투입되는 호퍼(7)내를 승강 자유로된 플로우팅웨이트(9)를 갖는 밀폐식 혼련기에 있어서, 혼련기본체(1)에 연달아 설치하여 플로우팅웨이트(9)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13)를 설치하고, 혼련기본체(1)와는 별도로 설치하고, 유압측과 공압측과의 사이에서 압력변환하는 공유압변환기수단(3)을 설치함과 동시에 플로우팅웨이트(9)를 하강시키기위하여 유압실린더(13)의 유압측이 공유압변환기수단(3)의 유압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밀폐식 혼련기
본발명은 플로우팅웨이트의 작동부에 특징을 갖는 밀폐식 혼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밀폐식 혼련기로서는 일본 특개소 63-19207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종류의 밀폐식 혼련기는 도 4a 및 도 4b 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혼련기본체(100)에 연달아 설치된 호퍼(101)내에 승강 가능한 플로우팅웨이트(102)를 갖고, 이 플로우팅웨이트(102) 상부에 피스톤로드(103)를 사이에 에어쿠션 실린더(104)를 설치함과 동시에 호퍼(101) 외측에 쿠션실린더(104)와 함께 플로우팅웨이트(102)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105)를 고정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밀폐식 혼련기에 의한 피혼련물의 혼련은 피혼련물을 호퍼(101)의 투입구(106)로부터 투입하여 유압실린더(105)를 작동하는 것으로, 쿠션실린더(104)와 함께 플로우팅웨이트(102)를 하강시켜 호퍼(101)내의 피혼련물을 혼련기본체(100)의 혼련실(107)내로 밀어넣은후, 혼련실(107)내에 배치된 혼련용 로터(108)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피혼련물을 혼련하는 것이다. 이때 플로우팅웨이트(102)가 받는 반력은 에어쿠션실린더(103)내의 공기압의 존재에 의하여 피스톤로드(103)가 약간 상승하고, 실린더(104)내의 상하실간의 압력이 밸런스하는 것으로 완충적으로 받게되고, 플로우팅웨이트(102)의 움직임에 대하여 쿠션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밀폐식혼련기에 있어서는 플로우팅웨이트(102)(호퍼101)의 상부에 피스톤로드(103)를 사이에 에어쿠션실린더(104)를 설치하는 구조로하고 있으므로 밀폐식혼련기의 높이방향으로 일정치수를 필요로함과 동시에 유압실린더(105)나 에어쿠션실린더(104)가, 호퍼(101)내로 투입되는 피혼련물이나, 밀폐식혼련기에 존재하는 쓰레기, 먼지등의 주위환경에 오염될 염려가 있다.
또 에어쿠션실린더(104)가, 플로우팅웨이트(102)와 함께 승강되므로, 이 승강에 추종하여 작동압공기(에어)를 배급하기 위한 배관처리가 필요하게 되고, 그 배관의 메인테넌스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는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조의 콤팩트화, 메인테넌스의 용이화를 도모하면서 신뢰성이 높은 밀폐식혼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발명에 있어서, 밀폐식 혼련기의 구성과, 그의 상승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모식도,
도 2는 본발명에 있어서, 밀폐식 혼련기의 구성과, 그의 하강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모식도,
도 3은 본발명의 밀폐식 혼련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흐름도,
도 4는 종래기술의 밀폐식 혼련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혼련기본체 2 : 유압회로
3 : 공유압변환기 7 : 호퍼
9 : 플로우팅웨이트 11 : 스템
12 : 커넥팅 빔 13 : 유압실린더
14A : 실린더로드 30 : 유압보조회로
52 : 에어실린더 H : 유압실린더의 유압실(유압측)
K : 공유압변환기의 유압실(유압측)
L : 공유압변환기의 공압실(공압측)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에서는 청구항1에 있어서는 혼련기본체에 연달아 설치되어 피혼련물이 투입되는 호퍼내를 승강자유로이된 플로우팅웨이트를 갖는 밀폐식혼련기에 있어서, 상기 혼련기본체에 연달아 설치하여 상기 플로우팅웨이트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혼련기본체와는 별도의 위치로 유압측과 공압측과의 사이에서 압력 변환하는 공유압변환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플로우팅웨이트를 하강시키기 위한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측이 상기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공유압변환수단에 의하여 유압측으로 변환되는 공압측의 압력공급으로 플로우팅웨이트를 혼련기본체에 피혼련물을 밀어넣도록 하강시킬수가 있고, 또 플로우팅웨이트가 혼련기본체로부터 피혼련물을 사이에 반력을 받으면 그 반력이 유압으로서 공유압변환수단으로 되돌려져서, 공유압변환수단에 의하여 공압측으로 변환되는 것으로 완충적으로 받아 플로우팅웨이트의 쿠션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으로된다.
이와같이, 플로우팅웨이트의 쿠션기능을 발휘시키는 공유압변환수단을 혼련기본체와는 별도의 위치로 설치하는 것으로 밀폐식혼련기의 높이방향의 치수를 낮게하고, 콤팩트한 구조로 할수있으므로 일체 반송이나, 시설등으로의 설치, 메인테넌스도 용이하게 행할수 있게된다.
또, 공유압변환수단을 혼련기본체와 별도의 위치로 설치하는 것으로 호퍼내에 투입되는 피혼련물이나, 밀폐식혼련기에 존재하는 쓰레기, 먼지등의 주위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은 유압실린더만으로 할 수가 있고, 동시에 플로우팅웨이트의 승강에 추종하는 배관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메인테넌스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은 혼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 공유압변환수단이, 유압과 공압과의 사이의 압력변환에 의하여 플로우팅웨이트의 쿠션기능등을 행하고 있으므로, 공압의 소비와 배출음을 없이하여 러닝코스트를 저감할수 있다.
여기서, 플로우팅웨이트를 하강하기 위하여 직접 유압실린더의 유압측으로 유압을 공급하는 것과, 공유압 변환수단의 유압측에서 공급되는 유압의 변환은 플로우팅웨이트의 하강거리이거나 유압실린더에 작용하는 유압을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하여 일정 거리 또는 일정유압에 도달한 시점에서 유압실린더의 유압측에 유압을 직접 공급하는 것으로서,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에서 공급되는 유압으로 변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청구항 2 에 있어서, 청구항 1 의 것에 상기 공유압변환수단의 공유측이 에어탱크를 통하여 공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플로우팅웨이트가 혼련기본체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유압으로서 공유압변환수단의 압력측으로 되돌려지면, 이 공압측이 승압하지만, 이 승압은 에어탱크에 의하여 흡수되어, 공유압변환수단의 공압측의 이상승압을 저감할수 있다.
청구항 3 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의 것에 상기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측과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보조회로의 각각에 변환 자유롭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써,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과 유압회로를 접속하는 것으로 플로우팅웨이트로 피혼련물을 혼련기본체에 밀어넣는 유압을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에 축압하여 초기상태로 할수있음과 동시에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과 유압실린더의 유압측를 접속하는 것으로 플로우팅웨이트의 쿠션기능을 발휘할수 있다.
청구항 4 에 있어서는 상기 플로우팅웨이트에 접속된 스템을 빔에 장치하고, 이 빔의 양단측에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접속하는 것으로, 상기 플로우팅웨이트가 상기 호퍼내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로이 되어 있다.
이로써, 유압실린더로 지지하는 부재가 플로우팅웨이트, 스템 및 빔이므로 혼련기본체나 호퍼의 강성의 저감을 도모할수 있으므로, 밀폐식혼련기 자체의 중량이나 제조코스트를 경감할수 있다.
또, 유압실린더가 스템 및 빔을 사이에 플로우팅웨이트에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이 유압실린더로부터의 오일빠짐이 호퍼로부터 혼련기 본체내에 들어가는 일이 없어진다.
(본발명의실시형태)
이하,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발명에 있어서 밀폐식혼련기의 구성과 그 상승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모식도, 도 2는 본발명에 있어서 밀폐식혼련기의 구성과 그 하강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모식도, 도 3은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의작동을 설명하기위한 작동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 밀폐식혼련기 X는, 혼련기본체(1), 혼련기본체(1)에 압유을 배급하는 유압회로(2), 혼련기본체(1)와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어 유압회로(2)에 유압보조회로(30)를 개재시켜 접속되는 공유압변환기(3)(공유압변환수단), 및 공유압변환기(3)에 접속되는 공압회로(4)를 주요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혼련기본체(1)는 그 아래쪽으로 도시하지 않는 드롭도어를 갖는 혼련실(5)내에 혼련용 로터(6,6)가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혼련실(5)의 상부에 호퍼(7)가 연결되어 있다. 호퍼(7)의 상단측에는 호퍼(7)내를 미끄럼 자유로운 플로우팅웨이트(9)가 배치되고, 플로우팅웨이트(9)는 호퍼(7)의 상단측의 가이드부시(10)를 미끄럼 자유로이 관통하여 연장되는 스템(11)(축부재)의 하단에 고정되어 있다. 스템(11)은 그 상단측이 커넥팅빔(12)을 개재시켜 호퍼(7)의 외측에 붙박이된 한쌍의 유압실린더(13, 13)의 실린더로드(14A, 14A)에 일체화되어 있다. 각 유압실린더(13, 13)는 그 실린더본체(14B, 14B)내를 미끄럼 자유로이된 실린더피스톤(14C, 14C)에 의하여 구획되는 2개의 유압실(H,I)을 갖고 있고, 이 실린더피스톤(14C, 14C)에 실린더로드(14A, 14A)가 연결되어 실린더본체(14C, 14C)에 대하여 진퇴자유로이 되어 있다. 이로써 플로우팅웨이트(9)는 각 유압실린더(13, 13)의 실린더로드(14A, 14A)를 진퇴하는 것으로, 혼련실(5)에 대하여 승강이동되게 되어있다. 또 혼련기본체(1)의 호퍼(7)에는 도시하지 않는 투입구로부터 피혼련물(원료)이 투입됨과 동시에 혼련실(5)의 혼련용 로터(6,6)에서 혼련된 피혼련물을 상기 드롭도어로부터 꺼내어진다. 15∼17은 승강되는 플로우팅웨이트(9)의 상한/하한의 이동을 감시하는 ON/OFF식의 리미트스위치이고, 각각이 플로우팅웨이트(9)의 커넥팅빔(12)에 접촉 자유로이 배치되어 있다. 18은 가이드부시(10)상에 설치된 댐퍼이다.
유압회로(2)는 유압탱크(T)로부터 작동유를 흡인하여 공급관로(20)에 토출하는 유압펌프(P)를 갖고, 이 유압펌프(P)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압유의 토출량(토출압력)은 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하여 제어된다. 공급관로(20)는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입력측 포트(21a)에 접속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드롭도어의 개폐등을 행하는 도시하지 않는 다른 유압기기등에도 접속되어 있다.
전자방향변환밸브(21)는 상기 입력축 포트(21a)외에 혼련기본체(1)의 각 유압실린더(13,13)에 접속되는 2개의 출력포트(21c, 21d)와, 유압탱크(T)에 접속되는 배출측포트(21b)를 갖고있고, 중립위치(B)(배출측포트(21b)와 각 출력측포트(21c, 21d)를 연통하는 위치), 변환위치(A)(입력측포트(21a)와 출력측포트(21d)를 연통하고, 배출측포트(21b)와 출력측포트(21c, 21d)를 연통하는 위치), 및 변환위치(C) (입력측포트(21a)와 출력측포트(21c)를 연통하고, 출력측포트(21d)와 배출측포트(21b)를 연통하는 위치)를 갖고, 각 솔레노이드(21A, 21B)를 여자, 또는 소자하는 것으로 각각의 위치(A∼C)로 변환가능하게되어 있다. 또,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출력측포트(21c)는 작동관로(22)를 통하여 각 유압실린더(13, 13)의 유압실(H,H)(유압측)에 출력측포트(21d)는 작동관로(23)를 통하여 각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I,I)에 접속되어 있다.
각 작동관로(22,23)에는 체크스로틀밸브(24)가 각각으로 배치되어 있고, 각 체크스로틀밸브(24,24)는 작동관로(22,23)중에 설치된 가변식 스로틀(24A)과, 각 작동관로(22,23)를 우회하는 우회관로(25)중에 설치된 체크밸브(24B)로 구성되고, 이 각 체크밸브(24B)는 전자방향변환밸브(21)로부터 각 유압실린더(13,13)측으로의 작동압유의 흐름을 허용하고, 그 역의 흐름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작동관로(22)에는 체크스로틀밸브(24)의 전자방향변환밸브(21)측 (상류측)에 파일롯체크밸브(26)와, 체크스로틀밸브(24)의 각 유압실린더(13,13)측 (하류측)에 릴리프밸브(27)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파일롯 체크밸브(26)는 통상시에 전자방향변환밸브(21)로부터 각 유압식실린더(13,13)측의 작동압유의 흐름을 허용하고, 그 역의 흐름을 규제하는 것이지만, 작동관로(23)로부터 분기하는 파일롯관로(27)로부터 도입되는 파일롯압에 의하여 유압식실린더(13,13)로부터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작동압유의 흐름을 허용하도록되어 있다. 릴리프밸브(27)는 통상시 밸브스프링(29)의 스프링힘으로 유압탱크(T)로부터 차단하는 위치로 되어있고, 작동관로(22)로부터 분기하는 파일롯 관로(30)로부터 도입되는 파일롯압이 밸브스프링(29)의 스프링힘보다 커지면, 작동관로(22)와 탱크(T)를 연통하여 각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H,H)(유압측)로 공급되는 작동압유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였을때에 유압탱크(T)로 배출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압회로(2)는 혼련기본체(1)와는 별도위치에 설치된 유압보조회로(30)를 개재시켜 공유압변환기(3)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보조회로(30)는 공급관로(20)로부터 분기하여 공유압변환수단(3)에 접속되는 유압도입관로(31)와, 이 유압도입관로(31)로부터 다시 분기하여 릴리프밸브(27)의 각 유압실린더(13,13)측 (하류측)에 위치하는 작동관로(22)에 접속되는 변환관로(32)를 갖고, 각 관로(31, 32)중에는 각각 전자방향변환밸브(33,34)가 배치되어 있다.
전자방향변환밸브(33)는 연통위치(D)(유압펌프(P)와 공유압변환기(3)를 연통하는 위치)와, 차단위치(F)(유압펌프(P)와 공유압변환기(3)를 차단하는 위치)를 갖고, 솔레노이드(33A)의 여자로 연통위치(D)로, 그 소자로 차단위치(E)로 변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전자방향변환밸브(34)는 차단위치(F)(유압식실린더(13,13)와 공유압변환기(3)를 차단하는 위치)와, 연통위치(G)(유압식실린더(9,9)와 공유압변환기(3)를 연통하는 위치)를 갖고, 솔레노이드(34A)의 여자로 연통위치(G)에 그 소자로 차단위치(F)에 변환가능하게되어 있다. 더욱 35는 전자방향변환밸브(33)의 공유압변환기(3)측에 위치하는 유압도입관로(31)에 배치된 체크밸브로서 전자변환밸브(33)측에서 공유압변환기(3)측의 작동압유의 흐름을 허용하고, 그 역의 흐름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공유압변환기(3)는 그 본체(40)내에 소경공간(3A)과 대경공간(3B)이 기밀하게 구획되어 있고, 이들의 공간(3A, 3B)에 변환용 피스톤(41)이 배치되어 있다. 변환용 피스톤(41)은 각 공간(3A, 3B)에 걸쳐서 연장되는 피스톤로드(42)의 상단에 형성된 소경두부(43)를 소경공간(3A)내에 미끄럼자유로이 삽입하고, 하단에 형성된 대경두부(44)를 대경공간(3B)에 미끄럼 자유로이 삽입하여 본체(40)에 대하여 상하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변환용 피스톤(41)은 소경두부(43)와 본체(40)의 상단 사이에 유압실(K)(유압측)을 대경두부(44)와 본체(40)의 하단사이에 공압실(L)(공압측)을 각각 구획하여 있고, 유압실(K)에 유압보조회로(30)의 유압도입관로(31)가 접속되어 있다. 또, 변환용 피스톤(41)의 대경두부(44)에는 이 소경두부(43)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본체(40)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스트라이커(45)가 장치되어 있다. 46, 47은 변환용 피스톤(41)의 이동의 상한측과 하단측에 설치된 ON/OFF식의 리미트스위치로서, 변환용 피스톤(41)의 상하이동에 추종하여 이동하는 스트라이커(45)와의 접촉에 의하여 변환용 피스톤(41)의 이동의 상한/하한을 감시하는 것이다.
공압회로(4)는, 공유압변환기(3)의 공압실(L)(공압측)과 컴프레서(50)를 접속하는 공압도입관로(51)에는 소정 용량의 에어탱크(52)가 배치되어있다. 에어탱크(52)의 컴프레서(50)측에 위치하는 공압도입관로(51)에는 체크밸브(53), 감압밸브(54)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고, 이 체크밸브(53)는 컴프레서(50)로부터 공유압변환기(3)로의 작동압공기의 흐름을 허용하고, 그 역의 흐름을 규제하도록 되어있다. 감압밸브(54)는 이 감압밸브(54)와 체크밸브(53)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압도입관로(51)로부터 분기하는 파일롯관로(55)로부터 도입되는 파일롯압과 밸브스프링(54A)의 스프링힘과의 관계에 의하여 컴프레서(50)로부터 에어탱크(52)를 개재시켜 공유압변환기(3)의 공압실(L) (공압측)에 공급되는 작동압공기의 공압을 조정하는 것이다. 또, 에어탱크(52)에는 그 내부공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였을때에 작동압공기를 외부에 방출하기 위한 개폐밸브(56)와 안전밸브(57)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58은 공유압변환기(3)의 공압실(L)(공압측)내에 도입되는 작동압 공기의 공압을 감시하는 압력스위치, 59는 감압밸브(54)로부터 체크밸브(53)를 통과하는 작동압공기의 공압을 감시하는 입력계이다.
이와같이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X)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데, 다음에 이 밀폐식혼련기(X)의 작동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유압실린더(13,13)의 실린더로드(14A, 14A)는 웨이트(9)를 상한까지 시킨 위치까지 신장되어있고, 전자방향변환밸브(21)는 중간위치(B)에, 전자변환밸브(33,34)는 차단위치(E,F)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1) 피혼련물(원료)을 혼련하기 위하여, 도시하지 않는 투입구로부터 호퍼(7)내에 투입함과 동시에, 공압회로(4)의 컴프레서(50)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압공기를 감압밸브(55)로 소정 압력으로 조정하면서 에어탱크(52)를 통하여 공유압변환기(3)의 공압실(L)(공압측)로 도입하고, 유압회로(2)의 구동모터(M)를 구동하여 유압펌프(P)로부터 공급관로(20)에 작동압유를 토출시킴과 동시에 전자변환밸브(33)의 솔레노이드(33A)를 여자하여 연통위치(D)로 변환한다. 이 공급관로(20)로 토출된 작동압유는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입력측 포트(21a)로 도입되고, 또 유압도입관로(31)-전자변환밸브(33) 및 체크밸브(35)를 통하여 공유압변환기(3)의 유압실(K)(유압측)로 도입된다. 그리고, 공유압변환기(3)의 유압실(K)(유압측)로 도입된다. 그리고, 공유압변환기(3)의 유압실(K)(유압측)에 도입되는 작동압유로 변환용 피스톤(4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 유압실(K)(유압측)의 용적을 증가시켜, 공압실(L)의 용적을 감소시키면서 하측으로 이동하여 가고, 스트라이커(45)가 리미트스위치(47)에 접촉하여「ON」으로 되면, 전자변환밸브(33)의 솔레노이드(33A)를 소자하여 연통위치(D)로부터 차단위치(E)로 변환한다.
이로써, 공유압변환기(3)는 유압펌프(P)로부터의 작동압유의 공급이 차단되므로 변환용 피스톤(41)이 하한까지 이동된 초기상태로 유지된다. 즉, 공압회로(2)의 컴프레서(50)로부터 에어탱크(52)를 통하여 공유압변환기(3)의 공압실(L)(공압측)로 도입되는 작동압공기는 소정 용적을 갖는 에어탱크(52)를 개재시켜 서서히 소정압력까지 상승되어 가지만, 공유압변환기(3)의 변환용 피스톤(41)이 초기상태로되면 각 전자변환밸브(33, 34)는 차단위치(E, F)로 되게되므로, 공유압변환기(3)는 공압실(L)의 작동압공기(공압)을 변환용 피스톤(41)을 개재시켜 유압실(K)의 작동압유(유압)로 압력변환하는일 없이 변환용 피스톤(41)을 상기 초기상태로 간직하는 것이다.
(2) 공유압변환기(3)를 상기 초기상태로하여, 소정시간을 경과시킨후, 전자방향변환밸브(21)를 변환위치(C)로 변환하면,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입력측포트(21a)에 도입되어 있는 작동압유가 전자방향밸브(21)의 출력측포트(21c)로부터 작동관로(22)의 파일롯 체크밸브(26) 및 체크스로틀밸브(24)를 통하여 각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H)(유압측)로 공급된다.
이로써 각 유압실린더(13,13)의 실린더로드(14A, 14A)는 유압실(H,H)(유압측)에 공급된 작동압유에 의하여 유압실(I,I)에 있는 작동압유를 작동관로(23)의 체크스로틀밸브(24)-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출력측포트(21d) 및 배출측포트(21b)를 통하여 유압탱크(T)로 되돌리면서 본체(40)내로 퇴피되어가고, 이 각 실린더로드(14A, 14A)의 퇴피에 추종하여 웨이트(9)도 호퍼(7)내에 투입된 피혼련물을 혼련실(5)에 밀어넣으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각 유압실린더(13,13)의 실린더로드(14A, 14A)(웨이트 9)가 하강하여가고, 커넥팅빔(12)이 리미트스위치(16,17)의 순으로 접촉하여「ON」으로되면,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솔레노이드(21B)를 소자하여 변환위치(C)로부터 중립위치(B)로 한다. 이로써, 각 유압실린더(13,13)의 실린더로드(14A, 14A)의 퇴피가 정지되므로 웨이트(9)의 하강도 정지되어, 혼련실(5)내에서의 피혼련물이 혼련가능한 상태로 한다.
(3) 그후, 전자변환밸브(34)의 솔레노이드(34A)를 여자하여 차단위치(F)로부터 연통위치(G)로 변환함과 동시에 혼련실(5)내에 배치된 혼련용로터(6,6)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공유압변환기(3)의 압력실(K)(유압측)은 전자변환밸브(34) - 변환관로(32) 및 작동관로(22)를 개재시켜 각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H,H)(유압측)에 연통되므로, 공유압변환기(3)의 공압실(L)(공압측)로 도입된 작동압 공기의 압력이 이 유압실(K)(유압측)에 도입된 작동압유의 압력에 이겨내서, 이 작동압공기의 압력과 작동압유의 압력과의 차이만큼 변환용 피스톤(41)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이 작동압 공기의 압력을 작동압유의 압력으로 압력변환한다.
그리고, 공유압변환기(3)의 압력실(K)(유압측)에 도입된 작동압유는 전자변환밸브(34)- 변환관로(32) 및 작동관로(22)를 통하여 각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H,H)(유압측)로 도입되므로, 각 유압실린더(13,13)의 실린더로드(14A, 14A)가 퇴피되어 웨이트(9)에 의하여 피혼련물(5)내로 밀어넣어 각 혼련용 로터(6,6)로 맞물려진다.
(4) 피혼련물을 각 혼련용 로터(6,6)에 맞물리면, 이 각 혼련용 로터(6,6)의 회전에 의하여 피혼련물의 일부를 혼련실(5)내로 유도하여 혼련한다. 이때 혼련용롤러(6,6)는 피혼련물의 일부를 혼련실(5)내로 유도함과 동시에 피혼련물의 다른부분을 혼련실(5) 밖으로 밀어올리도록 회전함으로, 피혼련물의 밀어올림에 의한 반력으로 웨이트(9)가 약간 상승한다.
그리고, 웨이트(9)가 약간 상승하면, 이 상승에 추종하여 스템(11)-커넥팅빔(12)을 개재시켜 각 유압실린더(13,13)의 실린더로드(14A, 14A)도 약간 신장되고, 이 실린더로드(14A, 14A)의 신장에 의하여 각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H,H)(유압측)에 도입된 작동압유가 작동관로(22) - 변환관로(32) 및 전자변환밸브(34)를 개재시켜 공유압변환기(3)의 유압실(K)(유압측)로 되돌려진다. 이로써, 공유압변환기(3)의 유압실(K)(유압측)로 되돌려진 작동압유의 압력과, 공압실(L)(공압측)의 작동압공기의 압력의 차이만큼 변환용 피스톤(41)을 하측으로 약간 이동시키도록 이 작동압유의 압력을 작동압공기의 압력으로 압력변환하는 것으로 완충적으로 받아져서 웨이트(9)의 쿠션기능을 발휘시킨다. 이때, 변환용 피스톤(41)이 아래측으로 약간 이동되면, 공유압변환기(3)의 공압실(L)(공압측)의 용적이 감소하여 승압하는 것으로 되지만, 작동압 공기가 공압도입관로(51)를 통하여 공압실(L)(공압측)보다 큰 용적을 갖는 에어탱크(52)로 되돌려지는 것으로 승압저감된다.
이와같이 공유압변환기(3)의 유압실(K)(유압측)으로 도입되는 작동압유와 공압실(L)(공압측)로 도입되는 작동압공기의 상호간에서 압력변환함으로써, 웨이트(9)의 쿠션기능을 발휘하면서, 공유압변환기(3)의 변환용 피스톤(41)을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피혼련물을 서서히 혼련실(5)내로 유도하여 각 혼련용로터(6,6)의 회전에 의하여 혼련하는 것이다.
(5) 그후, 혼련실(5)내에서의 각 혼련기 로터(6,6)의 회전에 의한 피혼련물의 혼련이 종료하여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솔레노이드(21A)를 여자하여 중립위치(B)로부터 변환위치(A)로 변환하면,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입력측포트(21a)로 도입되어 있는 작동압유가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출력측포트(21d)로부터 작동관로(23)의 체크스로틀밸브(24)를 통하여 각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I,I)로 공급된다.
뒤이어, 각 유압실린더(13,13)의 실린더로드(14A, 14A)는 유압실(I,I)에 공급된 작동압유에 의하여 유압실(H,H)에 있는 작동압유를 작동관로(22)의 체크스로틀밸브(24) - 파일롯관로(28)로부터 도입되는 파일롯압으로 열린 상태로된 파일롯 체크밸브(26) -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출력측포트(21d) 및 배출측포트(21b)를 통하여 유압탱크(T)로 되돌리면서 본체(40) 밖으로 신장되어가고, 각 실린더로드(14A)의 신장에 추종하여 웨이트(9)도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각 유압실린더(13,13)의 실린더로드(14A, 14A)(웨이트9)가 상승하고 커넥팅빔(12)이 리미트스위치(15)에 접촉하여「ON」으로되면, 전자방향변환밸브(21)의 솔레노이드(21A)를 소자하여 변환위치(A)로부터 중립위치(B)로 한다. 이로써, 각 유압실린더(13,13)의 실린더로드(14A, 14A)의 신장이 정지되므로 웨이트(9)의 상승도 정지된다.
(6) 그후, 혼련실(5)내에서 혼련된 혼련물을 상기 드롭도어로부터 꺼내고, 다시 혼련하기 위하여 상기(1) 내지 (5) 기재의 작동을 반복함으로서 행해지는 것이다.
더욱,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에 있어서는 웨이트(9)를 승강시키는 수단으로서 스템(11) 및 커넥팅빔(12)을 개재시켜 일체화된 한쌍의 유압실린더(13,13)로 행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일의 유압실린더(13)의 실린더로드(14A) 선단에 웨이트(9)를 고정하여, 이 실린더로드(14A)의 신장에 의하여 웨이트(9)를 혼련실(5)측으로 하강시키고, 퇴피에 의하여 웨이트(9)를 혼련실(5)측에서 상승시키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또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에 있어서, 공유압변환기(3)는 변환용 피스톤(41)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유압실(K)과, 공압실(L)을 구획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변환용 피스톤(41)을 가로방향(상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유압실(K)(유압측)과 공압실(L)(공압측)을 구획하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도 좋다.
더욱,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에 있어서는 유압회로(2), 유압보조회로(30) 및 공압회로(4)는 일예를 표시하는 것으로, 다른 어떠한 회로 구성으로한 것이라도좋고, 또 공압회로(4)의 공압도입관로(51)에 에어탱크(52)를 배치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웨이트(9)의 쿠션 기능에 있어서, 공유압변환기(3)의 변환용 피스톤(41)이 아래측으로 약간 이동되었을때에 공압실(L)의 승압을 허용할수 있으면, 에어탱크(52)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에 있어서는 피혼련물을 각 혼련용 모터(6,6)의 맞물리는 타이프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맞물리지 않는 타이프의 밀폐식혼련기에 적용한 것이라도 좋다.
더욱,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에 있어서는 공유압변환기(3)를 혼련기본체(1)와 별도의 위치에 설치한 것을 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압실린더(13)나 플로우팅웨이트(9)의 승강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혼련기본체(1)에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에 있어서는 플로우팅웨이트(9)를 하강하기 위하여 유압회로(2)로부터 직접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H,H)로 유압을 공급하는 것과, 공유압변환기(3)의 유압실(K)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의 변환은 플로우팅웨이트(9)의 하강거리나 각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I)에 작용하는 유압을 검출수단(리미트스위치(16, 17) 및 압력센서 등)에 의하여 검출하여 플로우팅웨이트(9)가 일정거리만큼 하강하고, 또는 각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I,I)이 일정압력의 도달한 시점에서 유압실린더(13,13)의 유압실(H,H)에 유압회로(2)로부터 직접공급하는 것으로부터, 공유압변환기(3)의 유압실(K)로부터 공급되는 유압으로 변환하는(전자방향변환밸브(21)를 중립위치(B), 전자변환밸브(33)를 차단위치(E), 전자변환밸브(34)를 연통위치(G)로 변환하는)것이라도 좋다.
이와같이 본발명의 밀폐식혼련기에 의하면,
청구항 1에서는 공유압변환수단에 의하여 유압측에 변환되는 공압측의 압력공급으로 플로우팅웨이트를 혼련기본체에 피혼련물을 밀어넣도록 하강시킬수가 있고, 또 플로우팅웨이트가 혼련기본체로부터 피혼련물을 개재시켜 반력을 받으면 그 반력이 유압으로서 공유압 변환수단으로 되돌려져 공유압변환수단에 의하여 공압측으로 변환된 것으로 완충적으로 받아, 플로우팅웨이트의 쿠션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으로 된다.
이와같이 플로우팅웨이트의 쿠션기능을 발휘시키는 공유압변환수단을 혼련기 본체와는 별도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밀폐식혼련기의 높이방향의 치수를 낮게하여 콤팩트한 구조로 할수 있으므로 일체 반송이나, 시설등으로의 설치, 메인테넌스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공유압 변환수단을 혼련기본체와는 별도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으로, 호퍼내에 투입되는 피혼련물이나, 밀폐식혼련기에 존재하는 쓰레기, 먼지등의 주위환경에 영향을 받는 것은 유압실린더만으로 할 수가 있고, 동시에 플로우팅웨이트의 승강에 추종하는 배관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메인테넌스 용이로 신뢰성이 높은 혼련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 공유압변환수단이 유압과 공압사이의 압력변환에 의하여 플로우팅웨이트의 쿠션기능등을 행하고 있으므로 공압의 소비와 배출음을 없이하여, 러닝코스트를 저감할수 있다.
청구항 2에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플로우팅웨이트가 혼련기본체로부터의 반력을 받아, 유압으로서 공유압변환수단의 압력측으로 되돌려지면, 이 공압측이 승압하게 되지만, 이 승압은 에어탱크에 의하여 흡수되어 공유압 변환수단의 공압측의 이상 승압을 저감할수 있다.
청구항 3에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과 유압회로를 접속하는 것으로 플로우팅웨이트로 피혼련물을 혼련기본체에 밀어넣는 유압을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에 축압하여 초기상태로 할수있음과 동시에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과 유압실린더의 유압측를 접속하는 것으로 플로우팅웨이트의 쿠션기능을 발휘할수 있다.
청구항 4에서는 청구항 1의 효과에 더하여, 유압실린더로 지지하는 부재가 플로우팅웨이트, 스템 및 빔이므로 혼련기본체나 호퍼의 강성의 저감을 도모할수 있으므로 밀폐식혼련기 자체의 중량이나 제조코스트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유압실린더가 스템 및 빔을 개재시켜 플로우팅웨이트에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이 유압실린더로부터의 오일 빠짐이 호퍼로부터 혼련기 본체내에 들어가는 일이 없어진다.

Claims (4)

  1. 혼련기본체에 연달아 설치되어 피혼련물이 투입되는 호퍼내를 승강자유로이된 플로우팅웨이트를 갖는 밀폐식혼련기에 있어서,
    상기 혼련기본체에 연달아 설치하여 상기 플로우팅웨이트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설치하고,
    상기 혼련기본체는 별도의 위치에 유압측과 공압측사이에서 압력변환하는 공유압변환수단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플로우팅웨이트를 하강시키기 위한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측이 상기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밀폐식혼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압 변환수단의 공압측이 에어탱크를 통하여 공압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혼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압변환수단의 유압측은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측과,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보조회로의 각각에 변환이 자유로이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혼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팅웨이트에 접속하는 스템을 빔에 장치하고, 이 빔의 양단측에 유압실린더의 로드를 접속하는 것으로 상기 플로우팅웨이트가 상기 호퍼내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식혼련기.
KR1019970002123A 1996-01-31 1997-01-25 밀폐식 혼련기 KR0184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8874 1996-01-31
JP08038874A JP3137894B2 (ja) 1996-01-31 1996-01-31 密閉式混練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868A KR970058868A (ko) 1997-08-12
KR0184302B1 true KR0184302B1 (ko) 1999-05-15

Family

ID=1253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123A KR0184302B1 (ko) 1996-01-31 1997-01-25 밀폐식 혼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83983A (ko)
JP (1) JP3137894B2 (ko)
KR (1) KR0184302B1 (ko)
CN (1) CN1076214C (ko)
DE (1) DE19703421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444B1 (ko) * 2013-02-27 2015-02-12 (주) 화승소재 카본 마스터 배치 생산공정 시스템의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9327A1 (en) * 2001-02-19 2002-10-31 Antonio Proni Closed mixer working process with stroke-control ram
US20040035206A1 (en) * 2002-03-26 2004-02-26 Ward Paul A. Microelectromechanical sensors having reduced signal bias err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817748B2 (en) * 2002-11-05 2004-11-1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for evaluating and controlling a mixing process
JP4236963B2 (ja) * 2003-03-12 2009-03-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密閉式混練機
KR100569681B1 (ko) * 2003-11-17 2006-04-10 주식회사 코오롱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CN100563807C (zh) * 2005-03-02 2009-12-02 株式会社神户制钢所 搅拌机及搅拌控制方法
JP5031282B2 (ja) * 2005-07-26 2012-09-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密閉式混練機
US8047701B2 (en) 2005-07-26 2011-11-01 Kobe Steel, Ltd. Batch mixer
US8911139B2 (en) * 2009-01-13 2014-12-16 Kobe Steel, Ltd. Internal batch mixer with alarm
JP5322731B2 (ja) * 2009-03-30 2013-10-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密閉型混練機
CN102133781A (zh) * 2011-01-06 2011-07-27 泗阳宝源塑胶材料有限公司 涤纶纤维着色母粒生产失重式计量工艺及装置
JP5791303B2 (ja) * 2011-02-16 2015-10-07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混練装置
JP5791545B2 (ja) * 2012-02-28 2015-10-07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混練機
DE102017212387A1 (de) * 2017-07-19 2019-01-24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autschukmischung
IT201800010390A1 (it) 2018-11-16 2020-05-16 Diego Furlan Dispositivo medico monouso per la medicazione di lesioni della pelle di un paziente e relativi procedimenti di preparazione e utilizzazione
WO2021115638A1 (de) * 2019-12-13 2021-06-17 Robert Bosch Gmbh Hydraulische einrichtung zur betätigung eines stempels eines innenmischers, und darauf bezogenes verfahren
DE202021101662U1 (de) * 2021-03-29 2021-04-12 Harburg-Freudenberger Maschinenbau Gmbh Antrieb für eine Mischvorrichtung mit Beschickungsschach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1706A (en) * 1943-11-16 1944-06-20 Robinson Thomas Apparatus for treating plastic material in a controlled atmosphere
US3057008A (en) * 1958-02-26 1962-10-09 Krauss Maffei Ag Batch type kneading and mixing machine for rubber and plastic materials
JPS6319207A (ja) * 1986-07-11 1988-01-27 Mitsubishi Heavy Ind Ltd 密閉式混練機
JPS6319206A (ja) * 1986-07-11 1988-01-27 Mitsubishi Heavy Ind Ltd 密閉式混練機
US4877328A (en) * 1988-04-12 1989-10-31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Internal mixer
GB2231503B (en) * 1989-03-01 1993-01-13 Farrel Ltd Mixing machines
JPH0775659B2 (ja) * 1989-06-13 1995-08-16 鈴鹿エンヂニヤリング株式会社 密閉加圧混練機
US4953984A (en) * 1989-07-24 1990-09-04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Overload preventing system for kneading machine
JP3062374B2 (ja) * 1993-07-06 2000-07-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バッチ式ミキサー
IT1269896B (it) * 1994-03-22 1997-04-16 Pomini Spa Apparecchiatura a cilindri contrapposti per l'azionamento dell'asta diun elemento pressore (di mescole in lavorazione) in macchine di tipo intern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444B1 (ko) * 2013-02-27 2015-02-12 (주) 화승소재 카본 마스터 배치 생산공정 시스템의 혼합장치 및 혼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03421A1 (de) 1997-11-06
JP3137894B2 (ja) 2001-02-26
JPH09206581A (ja) 1997-08-12
KR970058868A (ko) 1997-08-12
CN1163794A (zh) 1997-11-05
US5783983A (en) 1998-07-21
CN1076214C (zh) 2001-12-19
DE19703421C2 (de) 200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302B1 (ko) 밀폐식 혼련기
KR100785577B1 (ko) 배치 믹서
JPH04262072A (ja) 水圧モータ制御装置
US9702383B2 (en) Actuator
JP2007054824A (ja) 密閉式混練機
KR100303012B1 (ko) 유압엘리베이터장치
SE511396C2 (sv) Dämpanordning för en hydraulcylinder
CA2419737A1 (en) Hydraulic elevator with an accumulator
KR930002780B1 (ko) 유체제어변
KR100331984B1 (ko) 유압동조장치 및 유압리프트
JP2006234144A (ja) 圧力補償弁を備えた流量制御弁
JPH09122999A (ja) 二重シリンダー駆動用油圧回路
WO1995005546A1 (fr) Vanne distributrice d'ecoulement pour circuit hydraulique
JP2002106507A (ja) 液圧アクチュエータの流量制御装置
KR200417575Y1 (ko) 유압공구용 유압공급장치
JPH0755031A (ja) 流量応援用方向制御弁
KR100692381B1 (ko) 유압공구용 유압공급장치
JPH066246Y2 (ja) 油圧エレベータ用油圧ジャッキの流量制御装置
JPH09100802A (ja) 弁駆動装置
CN101356394B (zh) 转换阀
US5660530A (en) Pump system for biasing seals of a centrifugal pump
CN2709690Y (zh) 变频液压电梯液压系统中的集成阀
CN1271338C (zh) 变频液压电梯用集成阀
JP2000007292A (ja) 昇降装置
JP3650161B2 (ja) 圧力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