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005B1 - 좌표입력장치 및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 - Google Patents

좌표입력장치 및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005B1
KR0184005B1 KR1019910005748A KR910005748A KR0184005B1 KR 0184005 B1 KR0184005 B1 KR 0184005B1 KR 1019910005748 A KR1019910005748 A KR 1019910005748A KR 910005748 A KR910005748 A KR 910005748A KR 0184005 B1 KR0184005 B1 KR 018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lay
seal
table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896A (ko
Inventor
미유끼 마루사와
나에 야스하라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10018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63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ith hand-placed probe or plu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예를 들면 그림그리기 놀이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좌표입력장치에 있어서, 그림의 특징선이 요상(凹狀)으로 되고, 평활면에 밀착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착탈할 수 있는 시일재를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장착하고,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장착된 시일재의 요상의 특징선 또는 그 외형에 입력부재의 선단을 가이드시켜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함으로써, 레이아웃을 고려하면서 시일재를 붙일 수 있고, 자유로운 발상으로 그림그리기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그림의 특징선 또는 그 외형에 입력부재의 선단을 가이드시켜서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해서, 입력면에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는 좌표입력보조부재에 있어서, 그 외형이 입력면보다 작고, 그림의 특징선이 요상이 되고,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밀착하는 시일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거듭 사용해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좌표입력장치 및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원 발명이 적용된 그래픽콤퓨터의 평면도.
제3도 및 제 4도는 각각 본원 발명이 적용된 그래픽콤퓨터의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본원 발명이 적용된 그래픽콤퓨터의 블록도.
제6도는 본원 발명이 적용된 플레이시일의 평면도.
제7도 ~ 제10도는 본원 발명이 적용된 플레이시일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1도는 본원 발명이 적용된 플레이시일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12도는 본원 발명이 적용된 플레이시일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13도는 본원 발명이 적용된 플레이시일을 사용하여 동화를 작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모니터 10 : 태블릿
52 : 플레이시일 53 : 시일부재
55 : 요부
본원 발명은 예를 들면 아동이 그림그리기놀이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좌표입력장치 및 이 좌표입력장치를 사용하여 그림그리기놀이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예를 들면 그림그리기놀이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좌표입력장치에 있어서, 그림의 특징선이 요상(凹狀)으로 되고, 평활면에 밀착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착탈할 수 있는 시일부재를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장착하고, 상기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장착된 시일재의 요상의 특징선 또는 그 외형에 입력부재의 선단을 가이드시켜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함으로써, 레이아웃을 고려하면서 시일재를 붙일 수 있고, 자유로운 발상으로 그림그리기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그리의 특징선 또는 그 외형에 입력부재의 선단을 가이드시켜서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해서, 입력면에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는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에 있어서, 그 외형이 입력면보다 작고, 그림의 특징선이 요상이 되고,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밀착하는 시일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거듭 사용해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태블릿에 그림을 그리고, 이 태블릿에 그린 그림을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화상작성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상입력장치에서는 생각나는 대로 자유로이 그림을 그릴 수 있으므로, 아동이 그림그리기놀이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이와 같은 화상입력장치를 사용한 놀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동물의 그림이나 애니메이션의 등장인물 등의 그림이 인쇄된 부재를 준비하고, 이 부재에 그려진 그림을 덧그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원평1(1989)-219,820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원 출원에는 앞서 소정의 도형이 인쇄되어 있는 플레이카드를 태블릿의 묘화에리어에 장착하고, 이 플레이카드에 그려져 있는 도형을 덧그리기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플레이카드는 묘화에리어에 고정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자유로이 그림을 이동시켜, 레이아웃을 고려하면서 그림 그리기놀이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플레이카드에서는 카드가 태블릿에 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카드가 태블릿로부터 떠서 필압(筆壓)이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덧그리기 위한 그림이나 문자가 그려져 있는 부재를 시일형상으로 하고, 이 시일형상의 부재를 화상입력장치의 태블릿의 묘화에리어에 붙이고, 이 시일형상의 부재에 그려져 있는 도형을 덧그리기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시일형상의 부재로서는 덧그리기해도 잘 움직이지 않도록 태블릿의 묘화에리어에 확실하게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이 시일형상의 부재는 자유로운 발상으로 그림그리기놀이를 몇번이고 즐길 수 있도록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시일부재의 두께나 경도(硬度)는 아동의 필압으로 시일부재의 위로부터 덧그리거나 덧쓰기했을 때에도 태블릿에 확실하게 좌표가 입력되는 동시에, 그 외형을 덧그려서 그림을 그리는 경우에 원활한 가이드가 되도록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덧그리기 위한 시일로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접착제로 고정하는 시일에서는 거듭 사용하는 동안에 먼지 등이 부착하여 접착력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착탈할 수 있는 시일재를 사용하여 덧쓰거나 덧그리기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좌표입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블릿의 묘화에리어에 몇번이고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거듭 사용해도 접착력이 약화되지 않는 동시에, 입력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은 그림의 특징선이 요상으로 되고, 평활면에 밀착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착탈할 수 있는 시일재를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장착하고,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장착된 시일재의 요상의 특징선 또는 그 외형에 입력부재의 선단을 가이드시켜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한 좌표입력장치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그림의 특징선 또는 그 외현에 입력부재의 선단을 가이드시켜서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해서, 입력면에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는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로서, 그 외형이 입력면보다 작고, 그림의 특징선이 요상이 되고,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밀착하는 시일부재로 이루어지는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이다.
플레이시일(52)로서 평활면에 흡착되는 흡착성의 시일부재(53)가 사용된다.
이 때문에, 레이아웃을 고려하면서 평활면으로 된 태블릿(10)의 묘화영역(10a)의 자유로운 위치에 몇번이고 플레이시일(52)을 붙일 수 있고, 자유로운 발상으로 플레이시일(52)을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시일(52)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플레이시일(52)을 손으로 누름으로써 기인되는 오입력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플레이시일(52)을 사용하여 덧그리거나 덧씀으로써, 창조력이나 학습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놀이를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플레이시일의 위치를 몇번이고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동화(動畵)를 작성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a. 실시예의 구성의 설명
제 1도는 본 예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며, 이 제1도에 있어서, (1)은 그래픽콤퓨터,(2)는 비디오신호입력단자부착의 모니터이며, 그래픽콤퓨터(1)의 비디오신호출력단자(후술)와 그 모니터(2)의 비디오신호입력단자가 비디오케이블(3)로 접속된다.
그래픽콤퓨터(1)의 캐비넷은 상케이스(4) 및 하케이스(5)로 형성되며, 그 상케이스(4)의 우단에 전원스위치(6), 클리어버튼(7), 사운드버튼(50) 및 스피커를 덮는 방음부(9)가 배설되고, 그 상케이스(4)의 양단에 실행버튼(8A) 및 (8B)가 배설된다.
이들 전원스위치(6), 클리어버튼(7), 사운드버튼(50) 및 실행버튼(8A), (8B)은 각각 독립된 기계적인 스위치이다.
(11)은 플라스틱제의 부속펜이며, 기본적인 동작으로서는 그 실행버튼(8A) 또는 (8B)을 누른 상태에서 그 태블릿(10)상에 그 부속펜(11) 또는 손가락을 가볍게 대고 궤적을 그리면, 그 모니터(2)의 화면(2a)에 펜모양의 커서(21)가 표시되고, 이 커서(21)가 손가락 등의 궤적에 연동하여 움직여서 그 궤적이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클리어버튼(7)을 조작하면 그 화면(2a)의 화상이 전부 소거되어서 묘화모드 그대로 입력대기로 된다.
사운드버튼(50)을 1회 조작하면 그 태블릿(10)을 눌렀을 때 소정의 소리가 방음(防音) 되고, 사운드버튼(50)을 또 한번 조작하면 소리는 나오지 않게 된다.
그 태블릿(10)의 좌표입력면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묘화에리어(10a) 및 매뉴얼선택에리어(10c)로 구분되고, 그 묘화에리어(10a)중, ㄱ, ㄴ 기호로 에워싸인 소정피치로 검은 동그라미가 붙은 부분(사선부분)이 작화에리어(10b)이다.
이 작화에리어(10b)의 종횡비는 통상의 모니터의 화면의 종횡비(3 :4)에 맞추어져 있으며, 또 이 태블릿(10)의 입력좌표의 종방향(Y 방향)의 분해능과 횡방향(X 방향)의 분해능의 비인 픽셀비는 통상의 모니터의 화소에 픽셀비에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본 예에 의하면 그 작화에리어(10b)상에 정확한 원의 궤적을 그리면, 모니터(2)의 묘화(2a)에도 정확한 원의 화상이 표시되는 이익이 있다.
이 묘화에리어(10a)의 표면은 후술하는 플레이시일(52)을 착탈가능하게 하기 위해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또, 그 작화에리어(10b)를 손가락 등으로 눌렀을 때 방음되는 소리는 입력좌표(X,Y)의 X축에 따라 연속적으로 음량이 커지는 동시에, Y축에 따라 연속적으로 음계가 높아지도록 (최고 3옥타브 정도)되어 있다.
태블릿(10)의 메뉴선택에리어(10c)는 다시 색선택에리어(12)와 도구선택에리어(13)로 구분되며, 색선택에리어(12)의 상부의 상케이스(4)에는 12개의 둥근 구멍(14)이러이 뚫려 있으며, 도구 선택에리어(13)의 상부의 상케이스(4)에는 6개의 긴 구멍(15) ~ (20)이 뚫려 있다.
그들 12개의 둥근 구멍(14)중의 태블릿(10)을 부속펜(11)으로 가볍게 찌름으로써, 12종류의 색(흑/청/녹/황/적/백 등)이 지정되며, 6개의 긴 구어(15) ~ (20)의 태블릿(10)을 가볍게 찌름으로써 각각 5종류의 도구(태선(太線), 극태선, 브러시, 지우개, 스탬프) 및 캔슬기능이 지정된다.
이들 12개의 둥근 구멍(14) 및 6개의 긴 구멍(15) ~ (20)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는 그 태블릿(10)에의 입력좌표에 의해서 식별된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색, 도구 및 캔슬기능의 지정도 입력좌표에 의해서 식별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기구부가 간략화되는 이익이 있다.
또한, 다른 제기능의 추가도 태블릿(10)의 메뉴선택에리어(10c)를 세분화 또는 확장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앞으로는 이들 12개의 둥근 구멍(14)을 각각 색선택버튼(14)이라고 부르며, 이들 6개의 긴 구멍(15) ~ (20)을 각각 태선버튼(15), 극태선버튼(16), 브러시버튼(17),지우개 버튼(18), 스탬프버튼(19), 캔슬버튼(20)이라고 부른다.
이들 버튼(15) ~ (20)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① 태선 버튼(15)······ 2*2도트의 굵은 선으로 자유곡선을 그린다.
② 극태선버튼(16)······6*6의 원주도트로 자유곡선을 그린다.
③ 브러시버튼(17)······모니터(2)의 화면(2a)내의 커서(21)가 브러시형상이 되고, 폐쇄영역에 지정된 색을 칠한다.
④ 지우개버튼(18)······모니터(2)의 화면(2a)내의 커서(21)가 지우개의 형상이 되고, 그린도형을 지운다.
⑤ 스탬프버튼(19)······16*16도트의 28종류의 스탬프중에서 선택한 패턴의 화상을 원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⑥ 캔슬버튼(20)······ 1수순전의 화면으로 복귀한다. 1수순이라 함은 실행버튼(8A)을 누르고 있는 동안에 행해진 공정을 말한다.
제1도예의 그래픽콤퓨터(1)의 내부는 제3도 및 제4도(제3도보다 확대되어 있음)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케이스(4)와 하케이스(5)와의 사이에 태블릿(10)을 포함한 감압식 위치검출장치(23) 및 프린트기판(22)을 끼워넣도록 하고, 하케이스(5)에는 전원으로서의 건전지 또는 충전식 전지 등을 수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5a)는 그 건전지의 커버이다.
단, 본 예의 그래픽콤퓨터(1)는 AC 전원 어댑터등을 전원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예의 감압식 위치검출장치(23)의 구조를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 있어서, 제1의 절연기판(24)상에 피치 Py로 세조(細條)전극(25)이 형성되고, 이 제1의 절연기판(24)상에 순차 감압도전고무로 이루어지는 제1의 감압도전시트(26), 도전판(27) 및 감압도전고무로 이루어진 제2의 감압도전시트(28) 및 저면에 피치 Px 로 세조전극(30)이 형성된 제2의 절연기판(29)이 겹쳐진다.
그리고, 이 제2의 절연기판(29)상에 태블릿(10)이 재치된다. 그들 도전판(27), 제2의 절연기판(29) 및 태블릿(10)에는 각각 가요성이 부여된다.
본 예의 입력좌표의 X 방향의 분해능은 Px, Y 방향의 분해능은 Py가 되고, Px : Py 는 통상의 모니터의 화면에 최소화소의 픽셀비와 동일하게 설정한다.
그 분해능 Px, Py 의 값은 예를 들면 0.3mm 정도이다.
그리고, 제2의 절연기판(29)의 횡방향의 일단측의 세조전극(30)이 스위치회로(31)를 통해서 접지되고, 타단측의 세조전극(30)이 스위치회로(32)를 통해서 전압 E1 의 직류전압원에 접속되며, 이들 세조전극(30)이 순차 동일저항치의 저항기(33)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제1의 절연기판(24)의 종방향의 일단측의 세조전극(25)이 스위치회로(34)를 통해서 접지되고, 타단측의 세조전극(25)이 스위치회로(35)를 통해서 전압 E2 의 직류전압원에 접속되며, 그들 세조전극(25)이 순차 동일저항치의 저항기(36)로 접속된다.
그 태블릿(10)의 어떤 위치를 누르면 그 부분의 감압도전시트(26) 및 (28)이 도통하기 때문에, 스위치회로의 한쌍(31),(32)을 폐쇄함으로써 도전판(27)에는 X 방향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압이 얻어지고, 스위치회로의 항쌍(34),(35)을 폐쇄함으로써 도전판(27)에는 Y 방향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압이 얻어진다.
(37)은 좌표검출부이며, 이 좌표검출부(37)는 스위치회로의 한쌍(31), (32) 또는 (34), (35)을 교대로 폐쇄하는 동시에 도전판(27)에 발생한 전압을 홀드함으로써, 그 태블릿(10)의 입력좌표(X,Y)에 대응한 전압(Vx, Vy)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감압식의 태블릿(10)에 한하지 않고, 자왜형(滋歪形)의 태블릿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5도는 본 예의 그래픽콤퓨터(1)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며, 이 제5도에 있어서, (38)은 중앙처리유니트 (이하 CPU 라 함), (39)는 데이터버스, 어드레스버스 및 제어버스로 이루어진 CPU(38)의 시스템버스, (42)는 CPU(38)의 프로그램 및 후술하는 데모모드일 때의 화상데이터를 격납하는 ROM, (43) RAM 이며, 이들 ROM(42) 및 RAM(43)은 시스템버스(39)에 접속된다.
또, (40)은 아날로그/디지탈(A/D)변환부이며, CPU(38)는 좌표검출부(37)로부터 공급되는 입력좌표(X, Y)에 대응한 전압(Vx, Vy)을 그 A/D 변환부를 통해서 입력하고, 그 전압(Vx, Vy)이 태블릿(10)의 작화에리어(10b)내의 좌표(X,Y)에 대응할 때는 그 좌표(X,Y)가 RAM(43)에 기입된다.
한편, 그 전압(Vx, Vy)이 태블릿(10)의 메뉴선택에리어(10c)(제2도참조)에 대응할 때는 CPU(39)는 그 좌표 (X,Y)로부터 버튼(14), (15) ~ (20)의 어느 버튼이 눌렸는지를 식별하고, 이 식별된 버튼에 대응하는 섹데이터 또는 도구데이터를 RAM (43)에 기입한다.
그리고, 도구버튼(15) ~ (20)이 선택되었을 때는 CPU(38)는 그들 도구에 대응한 동작도 행한다.
또, (41)은 입출력(I/O)인터페이스회로(41)를 통해서 기계적인 스위치(제1도의 클리어버튼(7), 사운드버튼(57), 실행버튼(8A), (8B))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항상 감시한다.
(44)는 시스템버스(39)에 접속된 비디오프로세서(이하, V에 라함), (45)는 2프레임분(2페이지분)의 용량을 가진 비디오신호용 RAM(VRAM), (46)은 NTSC 엔코더이며, CPU(38)의 지령에 의거하여 그 VDP에(44)는 RAM(43)으로부터 입력좌표(X, Y)의 데이터 및 색데이터 등을 독출하고, VRAM(45)의 대응하는 번지에 컬러화상데이터를 기입하는 동시에, 그 VRAM(45)의 1프레임분의 컬러화상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독출하여 NTSC 엔코더 (46)에 공급한다.
그 NTSC 엔코더(46)는 공급되는 컬러화상데이터를 순차 복합영상신호 CV 로 변환하여 비디오신호출력 단자(47)에 공급한다.
본 예에서는 VRAM(45)에는 2페이지분의 기억용량이 있으므로, VDP에(44)는 어떤 수순에 있어서는 (1수순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실행버튼(8A) 또는 (8B)을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 행해지는 공정을 말함) 예를 들면 1페이지째의 영역에서 화상데이터를 기입 및 독출하고, 그 다음 수순에서는 그 1페이지째의 화상데이터를 전부 2페이지째의 영역으로 옮긴 후에, 그 2페이지째의 영역에서 화상데이터를 기입 및 독출한다.
그리고, 태블릿(10)의 도구선택에리어(13)의 캔슬버튼(20)이 눌렸을 때, CPU(38)가 VDP(44)에 캔슬의 코맨드를 발하면, 그 VDP(44)는 재차 VRAM(45)의 1페이지째의 영역의 화상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시에, 좌표입력이 있을 때에는 그 1페이지째의 영역에 화상데이터를 기입한다.
이것은 캔슬 버튼(20)의 조작에 의해서 모니터(2)의 화면(2a)의 화상이 1수순전의 화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묘화중에 잘못된 화상을 그린 경우에도 원터치로 원래의 화상으로 복귀되는 이익이 있다.
또, 제 5도에 있어서, (48)은 카운터, (49)는 알람회로, (5)은 방음부(9)(제1도 참조) 아래에 배치된 스피커이며, 카운터(48)는 CPU(38)의 클록펄스를 항상 계수하고 있으며, CPU(38)로부터의 클리어팰스에 의해서 수시 계수치를 클리어할 수 있다.
그리고, 카운터(48)에 있어서 계수치가 5분간분의 값에 달하면, 즉 5분간 CPU (38)로부터의 클리어펄스가 공급되지 않을 때는 카운터(48)는 CPU(38)에 알람신호 AL를 발한다. 통상의 묘화모드일 때는 CPU(38)는 그 알람신호 AL 에 응답하여 I/O 인터페이스회로(41)를 통해서 알람회로(49)에 알람동작 신호를 발한다.
알람회로(49)는 타이머, 발진기, 신세사이저 및 전력증폭기 등으로 구성하고, CPU(38)로부터의 알람동작지령에 응답하여 2분동안만 전환회로(58)를 통해서 스피커(50)에 소정의 음, 멜로디 또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신호를 공급한다.
이 카운터(48), 알람회로(49) 및 스피커(50)는 주로 사용자가 전원을 끊는 것을 잊었을 경우에 사용자에게 경고음을 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 좌표검출부(37)에서 생성되는 전압 Vy 이 전압제어발진기(VCO)(59) 및 가변이득증폭기(60)를 통해서 전환회로(58)에 공급되고, 그 좌표검출부(37)에서 생성되는 전압 Vy 이 가변이득증폭기(60)의 이득제어단자에 공급된다.
CPU(38)는 I/O 인터페이스회로(41)를 통해서 전환회로(58)의 전환을 행한다.
그리고, 사운드버튼(57)이 1회 조작되면 CPU(38)는 전환회로(58)를 전환하여 가변이득증폭기(60)의 출력신호를 스피커(50)에 공급하고, 사운드버튼(57)이 또 한번 조작되었을 때 또는 후술하는 알람동작을 행할 때는 CPU(38)는 알람회로(58)의 출력신호를 스피커(50)에 공급한다.
따라서, 사운드버튼(57)이 1회 조작되었을 때는 태블릿(10)이 있는 좌표(X,Y)가 눌리면, 값 X 및 값 Y에 각각 음량 및 음계(주파수)가 비례하여 변화하는 음이 스피커(50)로부터 방음된다.
단, 좌표치 X에 따라 음계가 변화하고, 좌표치(Y)에 따라 음량이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또, 작화에리어(10b)의 대각선에 따라 음계 등이 변화하도록 해도 된다.
b. 기본적인 동작의 설명
본 예의 그래픽콤퓨터(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그래픽콤퓨터(1)의 비디오신호출력단자와 모니터(2)의 비디오신호입력단자를 비디오케이블(3)로 접속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전원스위치(6)를 슬라이드하여 ON 측으로 설정하면, 모니터(2)의 화면(2a)에는 본 예의 그래픽콤퓨터(1)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데모표시가 소정시간 영출된다.
구체적으로는 그 화면(2a)에 커서로서의 펜이 표시되어서 소정의 그림을 그리거나, 커서로서의 지우개가 표시되어서 그 그림을 지우거나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사용방법을 알 수 있다.
데모표시의 프로그램은 ROM(42)에 기입되어 있으며, 색데이터, 도구데이터 및 일련의 입력좌표(X,Y)의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CPU(38)가 순차 그들 데이터를 독해하여 RAM(43)에 옮기는 동시에, VDP(44)가 그 RAM(43)의 데이터에 대응해는 화상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실제로 작업자가 테블릿(10)상에 궤적을 그리고 있을 때와 같은 형식으로 데모표시가 된다.
또, 이와 같이 하면 ROM(42)의 데모표시용의 프로그램의 용량은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그 데모표시의 도중에 사용자가 클리어버튼(7) 또는 사운드버튼(57)의 조작, 실행버튼(8A), (88)의 조작 또는 태블릿(10)에의 좌표입력(메뉴선택에리어(10c)를 포함)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본 예의 그래픽콤퓨터(1)의 동작은 묘화모드가 되고, 모니터(2)의 화면(2a)의 화상은 전부 소거되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대기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부속펜(11)또는 손가락 등으로 색버튼(14), 태선버튼(15)또는 극태선버튼(16)을 눌러 도구를 지정한 후에 실행버튼(8A)또는 (8B)을 누른 상태에서 작화에리어(10b)에 부속펜(11)을 가볍게 대어서 자유로이 궤적을 그림으로써, 지정된 색 및 굵기로 그 궤적과 완전히 비슷한 도형이 모니터(2)의 화면(2a)에 순차 커서(21)에 의해서 그려진다.
이 경우, 실행버튼(8A)또는 (8B)을 조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그 화면(2a)에서는 이미 그려진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커서(21)가 움직일 뿐이며, 실행버튼(8A) 또는 (8B)을 조작함으로써 비로소 그 커서(21)가 움직인 궤적이 화상으로서 남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그림그리기의 어떤 공정으로부터 다음 공정으로 옮길 때의 위치 결정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버튼(57)을 조작하여 소리가 나는 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태블릿(10)의 작화에리어(10b)상에서 손가락 등을 슬라이드하면 그 좌표(X,Y)에 따라 연속적으로 소리가 방음되므로, 사용자는 그 소리를 즐길 수도 있다. 이 경우, 좌표치 X 및 Y 에 비례하여 각각 음량 및 음계가 변화하므로, 사용자는 멜로디 등을 연주할 수도 있다.
또, 메뉴선택에리어(10c)의 브러시버튼(17)을 누르면 그 커서(21)가 브러시의 형상이 되고, 작화에리어(10b)에서 부속펜(11) 등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이미 그려진 화상내에서 그 브러시형상의 커서가 움직인 근방에 있는 폐쇄된 도형(원, 4변형 등)의 내부에 지정된 색을 칠할 수도 있다.
또한, 메뉴선택에리어(10c)의 지우개버튼(18)을 눌러서 작화에리어(10b)에 부속펜(11) 등을 대어 누르면, 모니터(2)의 화면(2a)에는 이미 그려진 화상을 배경으로 하여 지우개 형상의 커서가 표시되고, 부속펜(11) 등을 이동시키면서 실행버튼(8A), (8B)을 누름으로써 이미 그려진 화상을 부분적으로 지워갈 수 있다.
단, 지나치게 지운 경우에는 메뉴선택에리어(10c)의 캔슬버튼(20)을 누름으로써 1수순전의 화면으로 되돌릴 수 있다.
그리고, 메뉴선택에리어(10c)의 스탬프버튼(19)을 누르면, 모니터(2)의 화면(2a)의 상부에 수종류의 스탬프도형이 표시되고, 예를 들면 그 스탬프도형내의 원하는 도형에 대응하는 테블릿(10)위를 누름으로써 그 도형이 커서로서 선택된다.
그리고, 태블릿(10)위에서 부속펜(11) 등을 슬라이드하면서 실행버튼(8A) 또는 (8B)을 누르면, 그 실행버튼(8A) 또는 (8B)을 누른 장소에 원하는 스탬프도형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스탬프도형은 이미 그린 그림위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의 그래픽콤퓨터(1)는 태블릿 (10)을 포함하는 감압식 위치검출장치(23), CPU(38), VDP(44), VRAM(45) 및 NTSC 엔코더(46) 등이 일체화되어 있으며, 비디오케이블(3)로 모니터(2)와 접속만 하면 용이하게 화상작성을 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성이 간략화되는 동시에 아동일지라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익이 있다.
따라서, 본 예의 시스템을 예를 들면 아동이 그림그리기놀이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c. 플레이시일에 대하여
그래픽콤퓨터(10)의 묘화에리어(10a)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되어 있는 플레이시일(52)을 착탈할 수 있게 장착할 수 있다.
이 플레이시일(52)을 사용하여 덧그리기나 여러 가지 놀이를 즐길 수 있다.
플레이시일(52)로서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질의 우레탄소재와 같이 평활면에 흡착되는 흡착성의 시일부재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플레이시일(52)의 평활면으로 된 태블릿(10)의 묘화에리어(10a)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부재는 표면을 다색인쇄할 수 있다.
시일부재(53)상에 보호막(54)이 라미네이트가공된다. 이 시일부재(53)의 두께는 아동의 필압으로 태블릿에 좌표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두께, 예를 들면 0.5mm ~ 0.7mm 정도가 된다.
플레이시일(52)의 외에지에 따라 스텝주(52B)가 형성되는 동시에, 플레이시일(52)에 그려진 그림의 주요한 윤곽선에 따라-요부(凹部)(55)가 형성된다.
또한, 이 요부(55)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54)이 라미네이트가공된 시일부재(53)위로부터 윤곽선부분을 프레스하여 형성하도록 해도 되며,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부(55)가 형성되는 윤곽선부분의 보호막(54)을 제거하도록 해도 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막(54)을 제거해 두면, 부속펜(11)을 사용하여 덧그리기했을 때의 그리는 기분을 스무스하게 할 수 있다.
또,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윤곽선부분의 보호막(54)의 양에지(56A) 및 (56B)를 볼록하게 돋구어 윤곽선부분의 중심에 요부(55)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장(塗裝)에 의해 윤곽선부분의 보호막(54)의 양에지(57A) 및 (57B)를 볼록하게 돋구어 윤곽선부분의 중심에 요부(55)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플레이시일(52)은 필요에 따라 그림의 소정부분이 착색된다. 이 착색에 의해 덧그리기한 그림을 착색하는 놀이를 할 수 있다. 또한, 이 플레이시일(52)전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일 필요는 없다. 이것은 어떻게 덧그리기했는가는 모니터(2)의 영출화면으로부터 알 수 있기 때문이다.
d. 플레이시일의 사용방법
이 플레이시일(52)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그래픽콤퓨터(10)의 묘화에리어(10a)는 평활면으로 되어 있으므로, 플레이시일(52)은 태블릿(10)의 묘화에리어(10a)중의 어느 영역에나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몇번이건 플에이시일(52)을 바꾸어 붙여도 접착력이 열화되지 않는다.
제 11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동은 레이아웃을 고려하면서, 플레이시일(52A), (52B)을 묘화에리어(10a)만의 좋아하는 위치에 붙인다.
이와 같이 자유로운 위치에 플레이시일(52A),(52B)을 붙일 수 있으므로, 아동의 창조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시일(52A),(52B)의 외형이나 주요한 윤곽선을 부속펜(11)으로 덧그리면, 제 11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그림(60A), (60B)이 모니터(2)의 화면 (2a)상에 영출된다. 본 예에서는 플레이시일(52A), (52B)이 묘화에리어(10a)에 고정되므로, 플레이시일(52A),(52B)을 눌러 고정시키지 않고, 덧그리기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시일(52A), (52B)의 묘화의 색에 따라 착색할 수 있다.
또, 제11도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속펜(11)으로 작화에리어(10b)안에 직접 그림을 그려넣음으로써, 이 덧그린 그림(60A),(60B)에 부가하여 직접 그린 그림(61)을 영출할 수 있다.
또한, 이 플레이시일(52)을 사용하면 간단한 동화를 작성할 수 있다.
동화의 작성수순에 대해 설명한다.
동화를 작성하는 경우에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래픽콤퓨터(1)의 비디오신호출력단자가 VTR(71)의 비디오신호입력단자에 접속되고, VTR(71)의 비디오신호출력단자가 모니터(2)의 비디오입력단자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13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블릿(10)의 묘화에리어(10a)에 플레이시일(52C)을 장착하고, 이 플레이시일(52C)의 외형 및 윤곽선을 부속펜(11)으로 덧그려서, 모니터(2)의 화면(2a)상에 플레이시일(52C)의 덧그린 그림(62C)를 표시한다.
이와 동시에 부속펜(11)으로 작화에리어(10b)상에 배경화를 그리고, 이 배경화를 모니터(2)의 화면(2a)상에 표시한다.
이와 같은 화면이 그려지면 VTR(71)을 사용하여 이 화면을 수초간 기록한다.
다음에, 제13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블릿(10)의 묘화에리어(10a)의 플레이시일(52C)을 벗기고, 지우개표시에 의해 플레이시일(52C)의 덧그린 그림(62C)을 소거한다.
그리고, 제 13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시일(52C)을 다른 위치에 다시 붙이고, 플레이시일(52C)의 외형 및 윤곽선을 부속펜(11)으로 덧그려서, 모니터(2)의 화면(2a)상에 플레이시일(52C)의 덧그린 그림(62C)을 표시한다.
이 화면을 VTR(71)을 사용하여 이 화면을 수초간 기록한다.
그리고, 제13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블릿(10)의 묘화에리어(10a)의 플레이시일(52C)을 벗기고, 플레이시일(52C)의 덧그린 그림(62C)을 소거한다.
그리고, 제13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시일(52C)을 다시 다른 위치에 붙이고, 플레이시일(52C)의 외형 및 윤곽선을 부속펜(11)으로 덧그려서, 모니터(2)의 화면(2a)상에 플레이시일(52C)의 덧그린 그림(62C)을 표시한다.
이하, 같은 조작을 반복해 간다. 이와 같은 조작을 반복해 온 테이프를 재생해 보면 플레이시일(52C)의 덧그린 그림(62C)이 움직여 보인다.
또한, 문자를 쓴 플레이시일(52)을 사용하여 문자를 연습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시일(52)에 소정의 곡선을 인쇄해 두면, 음악놀이를 할 수 있다.
즉, 이 곡선이 인쇄된 플레이시일(52)을 묘화에리어(10a)에 붙이고, 사운드버튼(50)을 조작하여 소리가 나는 모드로 하여 그 곡선을 소정의 멜로디가 방음된다.
또한, 이 플레이시일(52)을 이용하여 퍼즐놀이나 도형덧그리기 놀이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시일(52)은 자유로운 위치에 착탈할 수 있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플레이시일(52)을 이용하면, 보다 고도의 창조성이 높고, 학습효과가 높은 놀이를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시일로서 평활면에 흡착되는 흡착성의 시일부재가 사용된다.
이 때문에, 자유로이 그림을 이동시켜 레이아웃을 고려하면서, 평활면으로 된 태블릿의 묘화에리어의 자유로운 위치에 몇번이건 플레이시일을 붙을 수 있다.
이 플레이시일은 접착제를 사용하고 있지 않으므로, 반복해서 사용해도 흡착력이 열화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자유로운 발상으로 플레이시일을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시일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플레이시일을 손으로 누름으로써 잘못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그림의 특징성에 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동이라도 덧그리기를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시일의 표면에 착색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레이시일의 표면의 마모가 적고, 펜이 잘 미끄러진다.
이 플레이시일을 사용하여 덧그리기를 행함으로써 창조력이나 학습효과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놀이를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플레이시일의 위치를 몇 번이건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동화를 작성할 수 있다.

Claims (2)

  1. 그림의 특징선이 요상(凹狀)으로 되고, 평활면에 밀착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착탈할 수 있는 시일재를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장착하고, 상기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장착된 시일재의 상기 요상의 특징선 또는 그 외형에 입력부재의 선단을 가이드시켜서,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한 좌표입력장치.
  2. 그림의 특징선 또는 그 외형에 입력부재의 선단을 가이드시켜서 정보를 입력시키기 위해서, 입력면에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는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로서, 그 외형이 상기 입력면보다 작고, 그림의 특징선이 요상으로 되고, 평활면으로 된 입력면에 밀착하는 시일부재로 이루어지는 좌표입력보조부재.
KR1019910005748A 1990-04-27 1991-04-11 좌표입력장치 및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 KR0184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73990A JP2797642B2 (ja) 1990-04-27 1990-04-27 座標入力装置及び座標情報入力補助部材
JP90-114,739 1990-04-27
JP90-114739 1990-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896A KR910018896A (ko) 1991-11-30
KR0184005B1 true KR0184005B1 (ko) 1999-05-15

Family

ID=1464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748A KR0184005B1 (ko) 1990-04-27 1991-04-11 좌표입력장치 및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455147A1 (ko)
JP (1) JP2797642B2 (ko)
KR (1) KR0184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0085B2 (ja) 1991-11-21 2000-12-25 株式会社セガ 電子装置及び情報担体
DE4320683C2 (de) * 1992-06-22 1995-11-30 Toshiba Kawasaki Kk Tragbares Informationsverarbeitungsgerät
US5739814A (en) * 1992-09-28 1998-04-14 Sega Enterprises Information storage system and book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user specification
CN1041791C (zh) * 1993-03-01 1999-01-27 颜怀玮 母乳化婴幼奶粉产品及制造方法
US5604517A (en) * 1994-01-14 1997-02-18 Binney & Smith Inc. Electronic drawing device
JPH11196341A (ja) * 1997-12-29 1999-07-21 Shinsedai Kk 家庭用テレビ装置用描画装置
US6585554B1 (en) 2000-02-11 2003-07-01 Mattel, Inc. Musical drawing assembly
US7668375B2 (en) * 2003-09-26 2010-02-23 Khomo Malome T Method of employing a chirographic stylus
US8036465B2 (en) 2003-09-26 2011-10-11 Khomo Malome T Method of text interaction using chirographic techniques
FR2881987B1 (fr) * 2005-02-11 2007-05-04 Walter Totino Dispositif reutilisable pour reproduire manuellement un sujet sur un support
JP4876718B2 (ja) * 2006-05-31 2012-0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ペーパー記録装置
GB2507336B (en) * 2012-10-26 2014-11-19 Sanjay Bansal Learning aid
CN109584658B (zh) * 2019-02-01 2020-05-19 广州弘宏教育科技有限公司 基于图像处理的在线教学方法、电子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5534A (en) * 1987-06-02 1988-12-14 Rosemary Louise Mackay Miller Kit for mural decoration
DE3804640A1 (de) * 1988-02-15 1989-09-07 Baumann Heinz W Dipl Ing Fh Digitalisier-anzeige-table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896A (ko) 1991-11-30
JPH0411275A (ja) 1992-01-16
EP0455147A1 (en) 1991-11-06
JP2797642B2 (ja) 1998-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806B1 (ko) 화상 작성장치
EP0414565B1 (en) Portable graphic computer apparatus
KR0184005B1 (ko) 좌표입력장치 및 좌표정보입력보조부재
US4899137A (en) Arrangement for the input and processing of characters and/or graphic patterns
JP3223580B2 (ja) 画像作成装置
KR100242151B1 (ko) 화상작성장치
US5501601A (en) Educational drawing toy with sound-generating function
EP0229637A3 (en) Electronic blackboard apparatus
CN105667136A (zh) 多功能交互式智能多媒体电子黑板技术
CA2501897A1 (en) Rapid input device
KR930005804B1 (ko) 화상 작성장치
KR930005837B1 (ko) 화상 작성장치
JPH1083244A (ja) 画像作成装置及び画像作成方法
KR930005805B1 (ko) 화상 작성장치 및 덧그리기용의 시트
JPH04328623A (ja) 画像作成装置の入力装置
JPH04326112A (ja) 画像作成装置の入力装置
JPH07295739A (ja) 指示装置および映像編集装置
JPH04111627U (ja) 座標情報入力補助部材
JPH09198222A (ja) ワープロ装置
JPH0689138A (ja) 入力装置
JP2004147998A (ja) 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ラ
JPS5580169A (en) Conversation unit used commonly as desk calculator
JPH05342319A (ja) 画像作成装置
JP2001265263A (ja) 表示装置
JPH04118781A (ja) 画像作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