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976B1 -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 Google Patents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976B1
KR0183976B1 KR1019900019309A KR900019309A KR0183976B1 KR 0183976 B1 KR0183976 B1 KR 0183976B1 KR 1019900019309 A KR1019900019309 A KR 1019900019309A KR 900019309 A KR900019309 A KR 900019309A KR 0183976 B1 KR0183976 B1 KR 018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gnetic
digital
analog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475A (ko
Inventor
유다까 소다
게이스께 후지와라
히로아끼 야다
사도루 세꼬
무네가스 후꾸야마
데쓰오 세끼야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10449A external-priority patent/JP28557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0451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71487A/ja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1001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8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7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transducing different track configurations or formats on the same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88Disposition of heads
    • G11B5/4893Disposition of heads relative to moving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Digital Magnetic Recording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n개의 디지탈데이터 기록트랙을 가지는 디지탈기록 자기테이프와, 소정의 폭의 가드밴드를 사이에 두고 제1의 아날로그기록트랙과, 제2의 아날로그기록트랙을 가지는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를 사용하고, 상기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의 재생시에는 상기 n개의 디지탈데이터기록트랙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n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에 의해 각 디지탈데이터기록트랙상의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아날로그 기록자기테이프의 재생시에는 상기 n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중 상기 제1 및 제2의 기록트랙에 대응하는 각각 복수의 m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로부터 공통의 출력을 내도록 드라이브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특히 고정헤드 시스템을 제공하며, 또한 이러한 시스템에 사용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1실시예에 따른 트랙과 헤드소자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3도와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제4a도와 제4b도는 자기테이프카세트의 사시적인 필드.
제5도는 자기헤드소자의 구성도.
제6도는 자기저항효과형 자기헤드소자의 단면도.
제7도는 자기저항효과형 자기헤드소자의 개략적인 회로도.
제8도는 저항-자기필드특성곡선도.
제11도는 자기헤드소자의 구성도.
제12도는 소거헤드소자와 자기헤드소자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종래 자기저항효과형 자기헤드의 회로도.
제14도는 종래 자기저항효과형 자기헤드를 설명하는데 이용되는 파형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카세트의 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릴허브구조의 평면도.
제17a도와 제17b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릴테이블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18도는 릴허브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19a도와 제19b도는 릴레이블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와 측면도.
제20도는 종래의 컴팩트카세트의 평면도.
제21도는 통상의 릴허브의 평면도.
제22a도는 제22b도는 통상의 릴테이블의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자성기판 12 : 절연층
13 : 바이어스도체 14 : 절연층
16 : 박막절연층 17, 18 : 자성층
19 : 비자성절연유지층 20 : 보호기판
21 : 비자성갭스페이서층 22 : 접촉면
24 : 전치증폭기 26 : 저주파차단캐패시터
27 : 승산회로 28 : 저역통과필터
30 : 구형파발생기 31 : 증폭기
67 : 자기테이프
본 발명은 재생 또는 기록/재생을 수행하는 고정헤드방식(S-DAT)의 디지탈오디오테이프레코더에 적용되어 통상적으로 아날로그기록테이프 예컨대 컴팩트카세트테이프를 재생할 수 있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 시스템과 이러한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는 테이프카세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탈기록오디오테이프레코더(DAT)의 개발과 보급이 현저하게 이루어져 있지만, 통상의 카셋트테이프 즉 컴팩트카세트오디오테이프가 이제까지 극도로 보급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이용자는 대량의 녹음된 컴팩트카셋트테이프를 보유하고 있고, 이에 따라 통상의 아날로그테이프레코더와 DAT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는 특히 포켓형등의 휴대용테이프레코더의 이용자에게 매우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S-DAT(stationary head digital audio tape recorder)는 하드웨어를 갖추고 있다. 멀티트랙(multitrack)헤드를 갖추고서 종래의 컴팩트카세트에 기록된 아날로그신호를 재생하거나 컴팩트카세트상에 아날로그신호를 기록하고, 또한 디지탈신호를 기록함과 더불어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되어 있거나, 디지탈과 아날로그 기록/재생에 대한 호환성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제 종래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플레이어와 레코더)과 동일한 구성 또는 하드웨어를 갖추고 있다.
이 경우, S-DAT에 대해 전용적으로 사용되는 카세트테이프는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날로그기록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제20도에 도시된 통상의 컴팩트카세트(B)와 동일한 규격에 따라 제조된다. 그러므로 특히 자기테이프(滋氣 tape; 121)가 주변에 감겨지는 제21도에 도시된 릴허브(reel hub; 22)는 통상의 컴팩트카세트(B)와 동이한 형태로 그 중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원통체(123)의 내벽상에 동일한 피치로 제공된 6개의 래칫(ratchet; 124)을 갖추고 있다. S-DAT의 테이프카세트장전부에 제공된 릴테이블(125)은 릴허브(122)의 형상과 조화된다.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테이블은 그 중심에 릴축(reel 軸; 126)을 갖추고 있으면서, 이 릴축(126)은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에서처럼 동일한 피치로 그 릴축(126)의 주변에 일체로 제공된 3개의 결합돌기부(127)를 갖추고 있다. 이 3개의 결합돌기부(127)는 S-DAT에 전용적으로 사용되는 테이프카세트가 S-DAT의 테이프카세트장전부에 장착되는 경우 또는 릴허브(122)가 릴테이블(125)상에 결합되는 경우에 릴허브(122)의 각 래칫(124)들사이에 형성된 요부(128)에 삽입된다.
또, 릴테이블(125)이 회전축(129)의 회전에 따라 일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릴테이블(125)의 결합돌기부(127)가 릴허브(122)의 래칫(124)에 결합되면서 릴허브(122)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이 릴허브(122)가 회전하게 되면 자기테이프(121)가 다른 릴허브(122)상에 감기게 되면서 헤드를 통과하여 주행어 예컨대 아날로그 및 디지탈재생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S-DAT 테이프카세트의 규격이 통상의 컴팩트카세트(B)와 동일하므로 S-DAT용 테이프카세트는 종래의 컴팩트카세트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된 마크(예컨대 검출구멍등)를 갖추고 있다.
상기한 S-DAT에 전용되는 테이프카세트는 종래의 컴팩트카세트(B)와 동일한 규격이므로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에 장전될 수 있다. 그러나, S-DAT테이프카세트가 디지탈신호로 기록된 경우 디지탈신호는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에 의해 재생될 수 없다. 따라서, 일반사용자는 지각없이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에 S-DAT테이프카세트를 장전하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테이프카세트로부터 S-DAT테이프카세트를 구별하기 위해 일반 사용자는 라벨상에 식별마크를 부여하게되지만, 최종적으로 테이프카세트를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에 장전하여 재생하려고 하므로 테이프카세트의 사용시 혼동을 일으키게 된다. 또, 디지탈과 아날로그기록/재생에 대한 호환성의 개념이 일반사용자에 의해 아직 충분히 인식되지 않고 있으므로 S-DAT테이프카세트가 컴팩트카세트로 혼동될 수 있고, 이 경우 S-DAT는 재생될 수 없어 불량으로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최소한 단일의 테이프레코더로 아날로그기록테이프와 디지탈기록테이프를 양자 모두 호환성 있게 재생할 수 있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디지탈 및 아날로그기록/재생에 대한 호환성을 용이하게 알 수있도록 S-DAT테이프카세트의 사용시 일반 사용자가 혼동을 방지할 수 있는 테이프카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n개의 디지탈데이터, 기록트랙을 가지는 디지탈기록 자기테이프와, 소정의 폭의 가드밴드를 사이에 두고 제1의 아날로그기록트랙과, 제2의 아날로그기록트랙을 가지는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를 사용하고, 상기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의 재생시에는 상기 n개의 디지탈데이터기록트랙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n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에 의해 각 디지탈데이터기록트랙상의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아날로그 기록자기테이프의 재생시에는 상기 n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중 상기 제1 및 제2의 기록트랙에 대응하는 각각 복수의 m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로부터 공통의 출력을 내도록 드라이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특히 고정헤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생자기헤드소자가 자기저항효과자기감지부를 가지는 자기저항효과형 재생자기헤드소자로 이루어지고, 이 자기헤드소자에 의한 상기 아날로그 기록자기테이프에 대한 재생시에는 상기 자기저항효과자기감지부에 고주파바이어스자장을 인가하고, 상기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에 대한 재생시에는 상기 자기저항효과자기감지부에 DC바이어스자장을 인가하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자기테이프의 폭방향으로 2분할된 일반부(一半部)를 타반부에 대하여 이 자기테이프의 일방향으로의 주행과 타방향으로의 주행에 의해 상기 각 반부의 재생을 행하도록 이루어진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와,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를 사용하고, 상기 일방향으로의 주행에 관하여 상기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에서는 일반부에, 상기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에서는 상기 타반부에 각각 기록부를 가지고, 상기 타방향으로의 주행에 관하여 상기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에서는 상기 타반부에, 상기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에서는 상기 일반부에 각각 기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자기테이프의 폭방향으로 2분할된 일반부와 타반부에 대하여, 이 자기테이프의 일방향으로의 주행과 타방향으로의 주행에 의해 재생되도록 이루어진 아날로그자기테이프와 디지탈자기테이프를 사용하고, 상기 자기테이프의 폭방향으로 2분할된 각 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아날로그재생자기헤드와, 디지탈재생용의 복수의 디지탈데이터트랙에 대응하는 재생자기헤드소자로 이루어진 디지탈재생자기헤드에 의해 아날로그기록의 재생과 디지탈기록의 재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통상의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와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를 단일의 장치로 재생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중심에 릴축을 가지고, 이 릴축과 일체로 릴축 주변에 결합돌기부를 가지는 릴테이블의 상기 결합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를 가지고, 상기 릴축의 관통을 저지하는 차단부를 가지는 릴허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프카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통상의 릴테이블(125)의 릴축(126)주변에 제공된 결합돌기부(127)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106)가 제공됨과 더불어 삽입되지 않도록 릴축(126)을 차단하기 위해 차단부(105,107)가 제공되므로 이 카세트는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이 릴테이블(126)에 장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사용자는 디지탈 및 아날로그기록/재생(예컨대 S-DAT)에 대한 호환성을 갖는 레코더용 테이프카세트가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에 사용될 수 없음을 쉽게 알수 있음에 따라 테이프카세트 사용시 혼동이 초래되지 않게 된다. 또, 일반사용자는 상기 호환성의 개념 즉 S-DAT등에서는 디지탈과 아날로그기록/재생에 대한 호환성이 있는 반면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은 디지탈기록/재생에 대한 호환성이 없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정헤드테이프 DAT 즉 S-DAT를 채용하고,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는 예컨대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와 동일한 규격 즉 컴팩트카세트형식을 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기테이프와 자기헤드소자사이의 위치관계는 제1도와 제2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고,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은 다수 즉 n개의 디지탈데이터기록트랙(TD1,TD2,TD3,...)을 갖춘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ID : 제1도참조)와, 일정한 폭(WGB)의 가드밴드(2)가 사이에 제공된 제1 아날로그기록트랙(TA1)과 제2아날로그기록트랙(TA2)을 갖춘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를 사용하여 n개의 디지탈데이터기록트랙(TD1,TD2,TD3,...)에 각각 대향되는 n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h1,h2,h3)를 구동시킴에 의해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ID)로부터 신호를 재생하고, 공통출력이 m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로부터 생성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기록트랙에 대향되는 n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h1,h2,h3,...)의 n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중 다수 m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를 구동시킴에 의해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를 재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자기헤드소자(h1,h2,h3,...)가 자기저항효과 자기감지부(MR1,MR2,MR3,...)를 갖춘 자기저항효과형 재생자기헤드소자로 구성되는 회로예로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에 따르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을 제공하게 되고, 이 경우 시스템은 자기헤드소자(h1,h2,h3,...)에 의해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상에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자기저항효과자기감지부(MR1,MR2,MR3,...)에 고주파 바이어스자계를 인가하고, 자기헤드소자(h1,h2,h3,...)에 의해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상에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자기저항효과 자기감지부(MR1,MR2,MR3)에 DC바이어스자계를 인가하고, 디디탈기록자기테이프(1D)상에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 자기저항효과 자기감지부(MR1,MR2,MR3,..)에 DC바이어스자계를 인가하는 스위칭수단(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4a도에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와 테이프카세트(4A)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제4b도에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1D)용 테이프카세트(4D)가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일측절반부(1A1,1D1)와 다른측절반부(1A2,1D2)로 분할되어 각 절반부가 재생될 수 있도록 화살표 a로 표시된 일측방향과 화살표 b로 표시된 다른측방향으로 주행되고, 일측방향 a로의 이송시 소위 A면으로 불리는 기록영역이 아날로그 기록자기테이프의 일측 절반부(1A2)와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의 다른측 절반부(1A2)에 포함되는 한편, 다른측 방향 b로의 주행시 소위 B면이라 칭해지는 기록영역이 아날로그자기테이프(1A)의 다른측 절반부(1A2)와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1D)의 일측 절반부(1D1)에 포함되는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D)를 사용하는 아날로그/디지탈재생시스템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에서 일측절반부(1A1,1D1)와 다른측 절반부(1A2,1D2)로 분할되어 재생되어지도록 일측방향 a와 다른측방향 b로 이송되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1A)의 각 절반부에 대향되게 배치된 아날로그재생자기헤드소자(H1,H2)와 테이프(1A)가 반대적인 절반부들을 갖는 테이프(1D)의 다수의 디지탈테이터트랙과 대향되게 배치된 디지탈재생자기헤드소자(h1,h2,h3,...)로 구성된 디지탈재생자기헤드에 의해 아날로그기록영역과 디지탈기록영역이 재생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르면, 신호장치 즉 테이프레코더가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뿐만아니라 이제까지 폭넓게 사용되는 아날로그기록컴팩트카세트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의 1실시예에 대해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n트랙, 이 실시예에서는 7개의 디지탈데이터기록트랙(TD1~TD7)과 예컨대 1개의 신호기록트랙(TD8)이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1D)상에 형성되고, 이 트랙(TD1~TD7)에 대향되는 자기헤드소자(h1~h7)와 자기헤드소자(h8)가 제공된다. 이들 n=7자기헤드소자(h1~h7)중 2조의 m 예컨대 3개의 자기헤드소자(h1~h3, h5~h7)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기록자기헤드테이프(1A)의 좌챈널과 우챈널신호기록트랙 즉 제1 및 제2 아날로그기록트랙(TA1,TA2)에 대향되고,이들 헤드소자를 구동 또는 동작시킴에 의해 각조의 소자(h1~h3,h5~h7)로부터 출력(out1,out2)이 발생된다. 즉, 2조의 3자기헤드소자가 각각 예컨대 통상의 컴팩트카세트의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에서의 제1 및 제2 아날로그기록트랙(TA1,TA2)에 대향되고, 3개의 인접하는 자기헤드소자(h1~h3)가 트랙(TA1)에 대향되며, 다음의 자기헤드소자(h4)가 가드밴드(2)에 대향되고, 후속하는 3개의 인접하는 헤드소자(h5~h7)가 다른트랙(TA2)에 대향된다. 이 경우 통상의 컴팩트카세트의 아날로그 기록자기테이프상의 트랙(TA1,TA2)은 0.61mm의 폭(W)을 가지게 되고, 이들 트랙(TA1,TA2)사이의 가드밴드(2)는 0.325mm의 폭(WGB)을 가지게 되며, 모든 자기헤드소자(h1~h8)특히 자기헤드소자(h1~h7)는 트랙(TA1,TA2)상에서 동일한 폭(TW)예컨대 TW= 160 ㎛ 의 트랙을 형성하게 되므로 그 트랙사이에서 누화가 없게 된다. 또 자기헤드소자(h1~h3)와 자기헤드소자(h5~h7)사이의 간격(B1)은 65 ㎛로 선정되고, 가드밴드(2)내의 소자(h4)와 아날로그오디오트랙의 대향에지 사이의 간격(B2)는82.5㎛로 선정된다.
큐(cue)신호기록트랙(TD8)에 대한 자기헤드소자(h8)는 테이프(1D)의 중심부-0측상의 가드밴드에 대향된다.
이들 자기헤드소자는 재생뿐만아니라 예컨대 디지탈기록을 위한 인덕티브형(inductive 形)헤드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재생만을 위해 이들 헤드소자는 자기저항효과를 갖는 자기감지부로 구성되는 MR형 자기헤드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자기저항효과 자기헤드소자는 제6도에 그 일예의 단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바, 즉 예컨대 Ni-Zn계 페라이트 또는 Mn-Zn계 페라이트로 구성된 자성기판(11) 상에서 이 기판(11)이 도전성을 갖는 경우 SiO2등과 같은 절연층(12)을 매개해서 후술하는 자기저항효과자기감지부에 대해 바이어스자계를 제공하는 전류가 흐르게 되는 벤드형상의 도전막으로 형성된 바이어스도체(13)가 형성된다. 이 도체(13)상에는 절연층(14)을 매개해서 예컨대 Ni-Fe계 합금 또는 Ni-Co계 합금으로 이루어진 자기저항효과 자성박막으로 이루어진 자기감지부(MR)가 형성된다.
이 자기감지부(MR)상에는 박막절연층(16)을 매개해서 대향되는 단부가 바이어스도체(13)와 자기감지부(MR)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예컨대 MO 퍼멀로이(permalloy)로 이루어져 자기회로의 일부인 자기코어로 되는 1쌍의 자성층(17,18)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11)에 대해서는 비자성절연유지층(19)을 매개해서 보호기판(20)이 접합된다. 또 자성층(17)과 기판(11)의 전단사이에는 예컨대 절연층(16)으로 이루어지면서 필요한 두께를 갖는 비자성갭스페이서층(21)이 개재됨에 따라, 전면의 자기갭(g)이 형성된다. 이어 기판(11)의 전단면, 갭스페이서층(21), 자성층(17), 절연유지층(19) 및 보호기판(20)이 연마되어 자기기록매체와 접촉되는 접촉면(22)을 형성하게 된다. 또 자성기판과 함께 자기갭(g)을 구성하는 자성층(17)의 후단과 다른 자성층(18)의 전단은 절연층(16)의 하층인 자기감지부(MR)를 통과하도록 절연층(16)상에 형성되고, 자성층에 대향되는 단부사이에는 불연속부(23)가 형성된다. 또 상기 자성층(17)의 후단과 자성층(18)의 전단은 자기저항효과자기감지부(MR)의 양측에서 절연층(16)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지만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자성층(17,18)사이의 불연속부(23)는 자기감지부(MR)에 의해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기판(11)-자기갭(g)-자성층(17)-자기감지부(MR)-자성층(18)-기판(11)에 의한 폐쇄자기로를 이루는 자기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이 자기저항효과 자기헤드구조의 자기헤드소자(h1~h8)는 동일한 기판(11)상 또는 동일한 기판(11)상의 비자성체를 매개해서 동시에 병렬적으로 형성되고, 헤드소자(h1~h8)의 바이어스도체(13)는 헤드소자(h1~h8)에 공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자기저항 효과자기헤드에서 자기기록매체와 접촉된 전면자기갭(g)으로부터 신호자속이 흐름에 따라 자기회로의 자기감지부(MR)의 저항 값이 이 신호자속이나 외부자계에 의해 변화된다. 따라서, 이 저항변화는 자기감지부(MR)에서의 검출전류의 흐름에 의해 이 자기감지부(MR)를 지나는 전압변화로서 검출되므로 자기테이프상의 기록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자기감지부(MR)를 자기센서로서 선형적이면서 고감도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자기감지부(MR)를 자기적으로 바이어스할 필요가 있는 바, 이 바이어스 자계는 바이어스도체(13)내의 전류의 흐름에 의해 생성되는 자계와 자기감지부(MR)에 흐르는 검출전류에 의해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자계가 포함된다. 이러한 종류의 MR형 자기헤드장치는 제2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어스도체(13)에 일정한 DC전류(iB)의 흐름에 의해 자계가 자기감지부(MR)에 인가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소정의 검출전류(iMR)가 바이어스자계(H8~1B) 즉 바이어스도체(13)내의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된 자계 또는 자기감지부(MR)내에 검출전류가 흐름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로 공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자기테이프로부터의 신호자계(HS)가 공급되고, 이 신호자계(HS)에 기인하는 저항변화를 기초로하여 자기감지부(MR)를 지나는 전압 즉 A위치에서의 전위변화가 증폭기(24)에 의해 증폭되어 출력단자(25)에 공급되어 검출된다. (26)은 저주파차단캐패시터이다.
제8도는 이 자기감지부(MR)의 자계(H)와 저항값(R)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동작특성곡선도로서, 이 제8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계(H)의 절대값이 작은 범위(-HBR~+HBR)에서, 이 곡선은 최대 2차곡선이지만 MR자성박막의 중앙부분의 자화가 자기회로방향으로 포화되기 시작함에 따라 2차곡선으로부터 일정한 값(Rmin)에 점진적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에 따라 MR자기박막의 최대값(Rmax)가 전류방향에서 모두 자화된다. 이러한 동작특성곡선에서 2차곡선의 특성부분에서 바이어스자계(H8)가 공급되고, 이 상태에서 신호자계가 제8도의 참조부호 27로 표시된 자기테이프로부터 공급된다. 또 신호출력은 제8도의 참조부호 28로 표시된 저항변화에 의해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아날로그신호의 재생시 즉 신호자계가 기록아날로그신호로부터 공급되는 경우에도 2차고주파왜곡은 신호자계가 클 수록 크게 증가한다.
또, 제2도에 도시된 MR형 자기헤드장치의 A위치 전위는 자기저항효과형 자기감지부의 저항의 고정분과 가변분의 합성저항에 의해 결정된다. 이 경우 고정분은 총 저항의 약 98%이면서 큰 온도의존성을 갖는다. 위치(A)에서의 전위의 온도드리프트(溫度 drift)는 아날로그재생시에는 통지효과를 갖기에 충분하도록 크게 된다.
MR자기헤드에서 아날로그재생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컨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출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182503/1985호에 기재된 자기저항효과 헤드장치가 소개되어 있는 바, 이 헤드장치에 대해 제13도의 회로구성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제13도에서 제7도와 대응되는 동일한 소자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하면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이 경우, 바이어스도체(13)에 고주파수(FC)의 AC바이어스전류(iA)가 흐르게 됨에 따라 DC자계에 중첩되는 고주파자계가 발생되어 자기감지부(MR)에 공급된다. 여기서, AC바이어스전류(iA)의 파형, 그에 따른 AC자계의 파형은 사인파, 구형파 또는 다른 파형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AC바이어스전계는 DC바이어스자계상에 중첩되므로 주파수(fc)의 AC신호는 자기감지부(MR)를 가로질러서 발생되거나 위치(A)에서 발생된다.
이 AC신호출력은 캐패시터(26)와 주파수(fc)의 성분을 통과시키는 전치증폭기(24)를 매개해서 승산회로(27)에 공급되어 이 신호(X)는 주파수(fc)의 AC신호(Y)에 의해 승산된다. (28)은 저역통과필터이다.
따라서, 자기테이프로부터의 신호자계(HS)에 따른 신호출력이 출력단자(35)에 출력되고, 이 경우 출력단자(35)의 최종출력이 예컨대 0~40KHz의 대역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경우, AC전류(iA)의 주파수(fc)는 그 3배나 최대주파수이상 또는 예컨대 fc = 140KHz로 선정된다.
제14a도는 자기감지부(MR)의 자계-저항특성곡선을 나타낸 도면으로, 자기감지부(MR)에 구형파 AC자계(HB(t))와 신호자계(HS(t))의 중첩자계가 공급되는 경우 자기감지부(MR)는 제14c도에 도시된 출력전압(V(t))을 발생하게 된다. 승산회로(27)는 이 출력전압(V(t))을 제14d도에 도시된 구형파 AC전류에 의해 승산하게 되고, 저역통과필터(28)는 제14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4d도에 도시된 신호자계(HS(t))에 대응하는 신호출력(VO(t))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자기헤드장치는 양호한 선형성과 왜곡이 작은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면서, 온도드리프트가 작고, 슬라이드잡음이 작으며, 유효트랙폭이 크면서 트랙폭이 작고, 캐패시터의 용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 다이나믹레인지를 저감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 어느 경우에는 자기회로의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기헤드소자((h1~h8)가 MR형 자기헤드소자로 구성되는 경우 디지탈기록의 재생은 출력직선성, 온도드리프트 및 슬라이드잡음에 관한 문제가 없이 수행될 수 있지만, 자기헤드소자의 일부가 제2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기록의 재생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문제들이 초래되어 해결이 요망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도의 구성이나 스위칭수단(3)이 제공된 제13도의 구성이 디지탈기록테이프(1A)에 의해 재생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자기헤드소자(h)에 대해 사용된다. 제3도에서 제7도와 제13도에 대응하는 동일한 소자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하면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제3도에서 SW는 DC바이어스원(40)과 AC바이어스를 바이어스도체(13)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스위치로서, 도시된예에서는 필요한 주파수(fc)에 대한 구형파발생기(30)가 제공되어 이 구형파발생기(30)에서 발생된 펄스를 증폭기(31)를 매개해서 공통의 바이어스도체(13)에 AC원으로서 스위치(SW)의 절환에 의해 공급하게 된다.
이경우 자기헤드소자(h1~h8)의 자기감지부(MR1~MR8)는 각각 캐패시터(26)와 증폭기(24)를 매개해서 출력단자(251~258)에 접속된다.
그리고, 각 조의 헤드소자(h1~h3,h5~h7)의 증폭기(24)의 출력단이 각각 공통으로 절환스위치(SWH1,SWH2)에 접속된다. 이 절환스위치(SWH1,SWKH2)는 각각 승산회로(27H1,27H2)와 저역통과필터(28H1,28H2)를 매개해서 출력단자(35H1,35H2)에 접속된다.
구형파발생기(30)로부터의 구형파는 승산회로(27H1,27H2)에 공급되어 절환스위치(SWH1,SWH2)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승산되고, 이 승산된 출력은 필터(28H1,28H2)에 공급된다. 또한 제3도에는 아날로그/디지탈스위칭수단(3)이 도시되어 있는 바, 아날로그재생모드에서 스위치(SW)는 AC공급부로 변환되어 구형파발생기(30)가 동작하게 되고, 또 절환스위치(SWH1,SWKH2)가 승산회로(27H1,27H2)로 변경된다. 따라서, 출력단자(35H1,35H2)로부터 제13도와 제1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기헤드소자(h1~h3,h5~h7)의 자기감지부(MR1~MR3,MR5~MR7)의 출력이 발생된다. 디지탈재생모드에서 스위치(SW)는 DC바이어스원(40)측 위치로 변경되고, 구형파발생기(30)등이 동작을 정지하게 됨과 더불어 절환스위치(SWH1,SWH2)가 개방된다. 따라서, 자기헤드소자(h1~h8)로부터의 신호가 제7도를 참조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출력단자(251~258)로부터 발생된다.
또, 마찬가지로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57012/1986호에 개시된 자기저항효과 자기헤드장치가 제안되어 있는 바, 이 헤드장치에 따르면, 제13도와 제3도의 승산회로(27H1,27H2)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33H1,33H2)를 갖추고 있는 위상절환회로(34)로 대체되어 있다. 이 제9도에서 제3도에 대응하는 동일한 소자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하면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 경우, 아날로그재생모드와 디지탈재생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제어회로(32)는 디지탈재생기 DC전원(40)측 위치로 절환되도록 제어하게 되어 구형파발생기(30)가 동작을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헤드소자(h1~h8)로부터의 출력이 출력단자(251~258)에서 발생된다. 또 아날로그재생모드에서 스위칭(SW)는 증폭기(31)측 위치로 변경되어, 구형파발생기(30)가 동작하게 됨과 더불어 위상절환회로(34)가 동작하게 된다. 즉, 증폭기(14)로부터의 출력과 이 증폭기의 출력이 공급되는 인버터(33)로부터의 반전출력이 구형파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치(SWH1,SWH2)에 의해 저역통과필터(28H1,28H2)에 절환공급된다. 따라서 신호자계(HS)에 따른 신호출력이 출력단자(35H1,35H2)에서 발생된다.
또,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54005/1986호에 개시된 또다른 자기저항효과형 자기헤드장치가 제안되어 있는 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9도의 인버터(33H1,33H2)가 증폭기(24)로부터의 구형파신호를 샘플링하여 유지하기 위한 샘플-홀드회로(41H1,41H2)로 대체되고, 이 샘플-홀드회로(41H1,41H2)의 출력을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42H1,43H2)와, 이 A/D변환기(42H1,42H2)로부터의 디지탈신호가 공급되는 디지털필터(43H1,43H2)가 제공된다. 이 디지탈필터(43H1,43H2)는 신호자계에 대응하는 하나 걸러의 샘플에서 부호반전된 평활디지탈신호를 출력단자(35H1,35H2)에 공급할 수 있다. 이 펄스신호는 펄스발생기(44)로부터의 펄스신호를 기초로 형성되어 2배주파수(2fc)의 펄스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구형파발생기(30)로부터의 구형파신호와 동기된다. 제10도에서 제3도와 제9도와 대응되는 동일한 소자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기된다. 이 경우에도 아날로그재생모드가 디지탈재생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제어회로(32)는 디지탈재생시 스위치(SW)가 DC전원(40)측 위치로 변경되도록 제어하여 구형파발생기(30)가 정지되도록 함과 더불어 스위치(SWH1,SWH2)가 개방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자기헤드소자(h1~h8)로부터의 출력이 출력단자(251~258)로부터 발생된다.
상기 예에서는 자기헤드소자(h1~h8)가 자기저항효과형 자기헤드소자로 형성되어 있지만, 인덕티브형의 예컨대 박막형 자기헤드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에서는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가 자기헤드소자(h1~h8) 즉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의 트랙(TD1~TD8)에 대향되는 2조의 3개의 자기헤드소자(h1~h3,h5~h7)에 의해 재생된다. 실제, 디지탈형태로 기록되는 최소파장은 1㎛ 또는 그 이하이므로 디지탈자기헤드소자의 갭길이는 0.3~0.4㎛ 로 되도록 선정되는 반면, 아날로그 자기헤드의 갭길이는 기록파장길이에 비해 0.8~1㎛ 가 바람직하게 된다. 아날로그재생모드에서 작은 갭길이의 디지탈자기헤드소자가 사용됨과 더불어 헤드소자(h1~h3)와 헤드소자(h5~h7)사이에 필요한 간격이 요구되므로 재생효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재생효율의 저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자기기록테이프(1A)와 디지탈자기기록테이프(1D)의 각각을 재생하는데 적합한 갭길이, 특성 및 트랙폭을 갖춘 다른 자기헤드소자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에 따르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레코더는 디지탈재생을 위한 자기헤드소자(h1~h8) 이외에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의 제1 및 제2 아날로그기록자기트랙(TA1,TA2)에 대향되는 아날로그재생을 위한 제1 및 제2자기헤드소자(H1,H2)를 갖추고 있다.
한편, 제4a도와 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와 테이프카세트(4A,4B)의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1D)가 제공되고, 각 자기테이프(1A,1D)는 폭방향에 대해 일측 절반부(1A1,1D1)와 다른측 절반부(1A2,1D2)를 갖추고 있다. 이 자기테이프(1A,1D)가 사용되어 화살표 a방향과 화살표 b방향으로 주행됨에 따라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와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1D)의 각 절반부가 재생된다. 그리고, 일측방향 a로 주행되는 경우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와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는 각각 그 상부 즉 일측 절반부(1A1)에 기록영역을 갖추고 있고, 다른측방향 b로 주행되는 경우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와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1D)는 각각 그 상부 즉 다른측 절반부(1A2)와 일측절반부(1D1)에 소위 A면과 B면으로 칭해지는 기록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날로그재생자기헤드소자(H1,H2)와 디지탈재생자기헤드소자(h1~h8)는 상기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카세트(4A) 또는 디지탈기록테이프카세트(4D)가 테이프레코더에 장전되는 경우 테이프(1D,1A)의 일측 절반부(1A1,1D1)에 대향되고, 테이프가 화살표 a방향으로 주행되는 경우 예컨대 소위 A면이 재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카세트(4A)가 장전되어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1A)가 재생되는 경우 자기헤드소자(H1,H2)가 동작되고, 카세트(4D)가 장전되어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4A)가 재생되는 경우 자기헤드소자(h1~h8)가 동작된다. 이 경우,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기헤드소자(h1~h8또는 H1,H2)에 결합된 회로는 성전력화를 위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 시스템에서 테이프카세트(4A,4D)의 다른 절반부(1A2,1D2)가 재생되는 경우 테이프카세트(4A,4D)가 뒤집혀서 장전되고, 테이프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b방향으로 주행된다. 소위 오토리버스(autoreverse)동작에 대해서는 자기헤드소자(H1,H2; h1~h8)가 반전된다.
또, 아날로그재생자기헤드소자(H1,H2)와 디지탈재생자기헤드소자(h1~h8)는 벌크형(bulk-typek) 인덕티브헤드로 구성된다. 이 경우 헤드소자(H1,H2)는 헤드회전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종래의 자기헤드에서와 같이 충분한 공간을 가지게 된다. 만일 다수의 극히 미소한 자기헤드소자(h1~h2)가 예컨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열로 배열되도록 테이프주행에 대해 매 하나 거르는 위치로 시프트되면, 각 열의 인접한 소자는 매 다른 트랙에 대향되게 간격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권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걸러의 소자의 위치천이에 기인하는 지연은 디지탈신호처리에 의해 보정될 수 있으므로 하등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만일 소위 터널소거부(50)의 소거헤드소자(51)가 헤드소자(h1~h8)의 사이와 헤드소자의 양 외측상에 제공되어 트랙(TD1,TD8)에 대해 과도기록(over writing)이 일어나는 경우, 임의의 과도기록은 큐신호트랙(TD8)상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자기헤드소자(h1~h8)가 재생을 위해 전용되는 경우 그 자기헤드소자(h1~h8)는 디지탈기록 및 재생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또 다른 디지탈기록헤드소자가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테이프카세트의 1실시예에 대해 제2도와 제15도 내지 제19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5도는 S-DAT에 전용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카세트의 평면도이다.
이 테이프카세트(A)는 통상의 오디오카세트 즉 컴팩트카세트와 동일한 규격 및 구성을 가지면서, 자기테이프(102)와 테이프를 감거나 되감기 위해 회전하는 릴허브(103) 및 도시되지 않은 가이드로울러, 가이드폴(giode pole) 및 실드판(shield plate)을 수용하고 있다. 릴허브(103)상에 감겨진 자기테이프(102)는 가이드로울러, 가이드폴, 실드판을 매개해서 주행되어 후술하는 카세트레코터의 헤드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카세트레코더는 S-DAT와 같은 고정헤드시스템으로서 디지탈과 아날로그기록/재생을 위한 호환성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큐헤드(h8)를 포함하여 8개의 헤드(h1~h8)를 갖추고 있으면서 R챈널, L챈널의 아날로그트랙(TA1,TA2)에 대해 다수의 헤드(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헤드)가 배치되어 있고, 헤드 이외의 다른 하드웨어는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자기테이프(102)가 디지탈신호로 기록되는 경우 큐헤드(h8)를 제외한 7개의 헤드(h1~h7)가 7개의 멀티트랙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에 의해 기록된 컴팩트테이프가 재생되는 경우 각 3개의 헤드(h5~h7,h1~h3)가 R챈널, L챈널상의 아날로그트랙(TA1,TA2)을 독출 또는 재생하는데 사용된다.
제1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허브(103)는 원통체(104)상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폴(105)을 갖추고 있는데, 이 6개의 폴(105)은 통상의 릴허브(122; 제21도참조)의 래칫(124)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피치로 배열된다. 그리고, 통상의 릴허브(12)의 래칫(124)사이의 요부(128)에 대응하는 부분에 구멍 즉 절결부(106)가 배설된다. 즉, 절결부(106)는 통상의 릴테이블(제2도참조)의 릴축(126)주위의 결합돌기부(127)에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6개의 폴(105)은 릴허브(103)의 중심부에 접속되고, 이 접속부(7)와 6개의 폴(105)은 통상의 릴테이블(125; 제22도참조)의 릴축(126)에 결합되지 않도록 카세트를 차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허브(103)는 상기한 구성을 갖고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S-DAT테이프카세트유지부상에 장착된 각 릴테이블(110)은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11)의 상부면으로 돌출되도록 제공된 다수(이도면에서는 3)의 돌출부(112)를 갖추고 있다. 이 돌출부(112)의 직경은 릴허브(103)이 절결부(106)의 개구폭보다 작고, 또 돌출부(112)는 테이프카세트(A)가 S-DAT의 테이프카세트유지부상에 장전된 경우 또는 릴허브(103)가 릴테이블(110)상에 결합되는 경우 3개의 돌출부(112)가 제16도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릴허브(103)의 6개의 절결부(106)중 3개의 절결부에 등간격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각 3개의 돌출부는 통상의 릴허브(122; 제21도참조)의 요부(128)에도 삽입될 수 있다. 릴테이블(110)이 회전축(113)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돌출부(112)와 폴(105)이 결합되어 릴허브(103)가 회전된다. 따라서, 릴허브(103)상에 감겨진 자기테이프(102)는 릴허브(103)가 회전됨에 따라 헤드를 연속적으로 주행하게 되므로 디지탈/아날로그기록재생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테이프카세트(A)는 특히 릴허브(103)에서 통상의 릴테이블(125; 제22도참조)의 릴축(126)주위에 제공된 결합돌기부(127)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106)가 제공됨과 더불어, 6개의 폴(105)과 접속부(107)가 결합되지 않도록 릴축(126)을 차단하도록 제공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 이 카세트가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의 릴테이블(125)에 장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S-DAT테이프카세트(A)가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에 오장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일반이용자는 S-DAT테이프카세트(A)가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와 통상의 컴팩트카세트의 사용시 혼동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 일반이용자는 호환성의 관점 즉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이 디지탈기록/재생에 대한 호환성을 갖지 않는 반면 S-DAT는 디지탈과 아날로그기록/재생에 대한 호환성을 갖고 있음에 따라 S-DAT가 폭넓게 사용되는 것이 촉진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릴허브(103)는 각각 종래의 컴팩트카세트의 릴허브와는 달리 릴허브(103)의 중심부에 연장되는 6개의 폴(105)을 갖추고 있음으로 S-DAT카세트는 통상의 컴팩트카세트로부터 일견에 구별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릴테이블(110)이 기판(111)상에 각 허브에 대해 등간격으로 제공된 3개의 돌출부(112)를 가지므로 본 실시예의 릴허브(103)는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는 바, 즉 돌출부는 각 릴허브(103)의 절결부(106)에 삽입될 수 있고, 종래의 컴팩트카세트(B; 제21도 참조)의 릴허브(122)는 돌출부에 결합될 수 있는 바, 즉 돌출부는 요부(128)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관련되면서 이 릴테이블(110)을 갖추고 있는 S-DAT는 S-DAT테이프카세트뿐만 아니라 종래의 컴팩트카세트를 수용할 수 있다. 만일 테이프카세트의 보관 및 관리에 사용되는 카세트케이스의 테이프스톱퍼가 릴테이블(110)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면, S-DAT테이프카세트와 종래의 컴팩트카세트는 상호 구별되게 독립적으로 보관, 관리될 수 있다.
또, 제1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멍(115)이 접속부(107) 즉 릴허브(103)의 중심부에 제공되어 6개의 폴(105)이 상호 접속됨과 더불어,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멍(115)에 삽입되어지는 돌출부(116)가 각 릴테이블(110)의 기판(111)의 중심부에 제공되면, 릴허브(103)는 릴테이블(110)상에 더욱 유효하게 안착된다.
3개의 돌출부(112)가 각 릴테이블의 기판(111)상에 제공되는 반면 단일의 돌출부가 제공될 수 있거나 2, 4, 5 또는 6개의 돌출부가 릴테이블상에서 릴허브(103)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임의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시스템은 아날로그와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를 호환적으로 재생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컴팩트카세트를 재생할 수 있는 디지탈 테이프레코더 특히 휴대가능한 포켓형 테이프레코더에도 적용될 수 있어 큰 잇점을 갖게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테이프카세트에 따르면, 릴허브는 각각 통상의 각 릴테이블의 결합돌기부에 대향되게 제공되는 절결부를 갖추고 있고, 이 릴테이블은 그 중심부에 릴축을 갖추고 있으면서 그 릴축주변에 일체로 제공된 결합돌기부 및 절결부에 삽입되고, 릴축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를 갖추고 있으므로, 이 테이프카세트가 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 시스템에 장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음에 따라 디지탈과 아날로그기록/재생에 대한 호환성(예컨대 S-DAT)을 갖는 형태의 테이프레코더와 호환성이 없는 형태(통상의 아날로그카세트시스템)에 대해 이 카세트테이프를 혼동없이 장착시킬 수 있고, 또 일반이용자가 호환성의 관점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Claims (5)

  1. 복수 n개의 디지탈데이터 기록트랙을 가지는 디지탈기록 자기테이프와, 소정의 폭의 가드밴드를 사이에 두고 제1의 아날로그기록트랙과, 제2의 아날로그기록트랙을 가지는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를 사용하고, 상기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의 재생시에는 상기 n개의 디지탈데이터기록트랙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n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에 의해 각 디지탈데이터기록트랙상의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아날로그 기록자기테이프의 재생시에는 상기 n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중 상기 제1 및 제2의 기록트랙에 대응하는 각각 복수의 m개의 재생자기헤드소자로부터 공통의 출력을 내도록 드라이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자기헤드 소자가 자기저항효과자기감지부를 가지고 자기저항효과형 재생자기헤드소자로 이루어지고, 이 자기헤드소자에 의한 상기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에 대한 재생시에는 상기 자기저항효과자기감지부에 고주파바이어스자장을 인가하고, 상기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에 대한 재생시에는 상기 자기저항효과자기감지부에 DC 바이어스자장을 인가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3. 각각 자기테이프의 폭방향으로 2분할된 일반부(一半部)를 타반부에 대하여, 이 자기테이프의 일방향으로의 주행과 타방향으로의 주행에 의해 상기 각 반부의 재생을 행하도록 이루어진 아날로그기록자기테이프와,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를 사용하고, 상기 일방향으로의 주행에 관하여 상기 아날로그 기록자기테이프에서는일반부에, 상기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에서는 상기 타반부에 각각 기록부를 가지고, 상기 타방향으로의 주행에 관하여 상기 아날로그 기록자기테이프에서는 상기 타반부에, 상기 디지탈기록자기테이프에서는 상기 일반부에 각각 기록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4. 각각 자기테이프의 폭방향으로 2분할된 일반부와 타반부에 대하여, 이 자기테이프의 일방향으로의 주행과 타방향으로의 주행에 의해 재생되도록 이루어진 아날로그자기테이프와 디지탈자기테이프를 사용하고, 상기 자기테이프의 폭방향으로 2분할 된 각 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아날로그재생자기헤드와, 디지탈재생용의 복수의 디지탈데이터트랙에 대응하는 재생자기헤드소자로 이루어진 디지탈재생자기헤드에 의해 아날로그기록의 재생과 디지탈기록의 재생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5. 중심에 릴축을 가지고, 이 릴축과 일체로 릴축 주변에 결합돌기부를 가지고 릴테이블의 상기 결합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절결부를 가지고, 상기 릴축의 관통을 저지하는 차단부를 가지는 릴허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하는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KR1019900019309A 1989-11-29 1990-11-28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KR01839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310451 1989-11-29
JP1310449A JP2855723B2 (ja) 1989-11-29 1989-11-29 磁気テープ再生装置
JP31045189A JPH03171487A (ja) 1989-11-29 1989-11-29 テープカセット
JP89-310449 1989-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475A KR910010475A (ko) 1991-06-29
KR0183976B1 true KR0183976B1 (ko) 1999-04-15

Family

ID=26566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309A KR0183976B1 (ko) 1989-11-29 1990-11-28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13342A (ko)
EP (1) EP0430265B1 (ko)
KR (1) KR0183976B1 (ko)
AT (1) ATE132997T1 (ko)
CA (1) CA2030885C (ko)
DE (1) DE6902476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901712A (nl) * 1989-01-30 1990-08-16 Philips Nv Longitudinaal magneetband recording systeem alsmede een magneetbandapparaat geschikt voor toepassing in het systeem alsmede een magneetkop geschikt voor toepassing in het magneetbandapparaat.
NL9001203A (nl) * 1989-12-18 1991-07-16 Philips Nv Systeem voor het opnemen/weergeven van signalen op in cassettes ondergebrachte magneetband.
JPH0589405A (ja) * 1991-09-30 1993-04-09 Pioneer Electron Corp デイジタル記録再生方式
KR100292588B1 (ko) * 1992-05-12 2001-06-15 이데이 노부유끼 자기기록재생장치및그방법
US5392170A (en) * 1992-09-22 1995-02-21 Tandberg Data A/S Magnetic tape storage unit with improved ability to read data by using a set of multiple read elements
TW235361B (ko) * 1992-11-13 1994-12-01 Philips Electronics Nv
JP2923161B2 (ja) * 1993-03-12 1999-07-26 シャープ株式会社 磁気テープ再生装置
US5903704A (en) * 1994-08-26 1999-05-11 Hitachi, Ltd. Apparatus for selectively recording and reproducing received analog and digital signals
SG34287A1 (en) 1994-10-28 1996-12-06 Hitachi Ltd Input-output circuit recording apparatus and reproduction apparatus for digital video signal
JPH08279250A (ja) * 1995-04-04 1996-10-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とディジタル信号書き換え方法及びfm音声信号/ディジタル信号記録兼用ドラム装置とディジタル信号磁気記録再生装置
US6163644A (en) * 1995-04-27 2000-12-19 Hitachi,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or reproducing digital signal
EP1128673A3 (en) * 2000-02-23 2006-05-10 THOMSON multimedia Video apparatus, notably video recorders, and processes for use in said video apparatus
US7656601B1 (en) * 2006-10-31 2010-02-02 Marvell International Ltd. Current biasing circuit to reduce MR common mode voltage jumping for MR resistance measuremen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9703A (en) * 1978-06-20 1981-03-31 Emi Limited Magneto resistive magnetic transducers
US4525755A (en) * 1979-07-19 1985-06-25 Norwood Industries, Inc. Apparatus for recording and playing back magnetic tape cassettes and the like
US4309729A (en) * 1980-06-16 1982-01-05 Kice Warren B Magnetic tape cassette reproducing and/or recording system
JPS5864608A (ja) * 1981-10-15 1983-04-18 Victor Co Of Japan Ltd デイ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式
JPS5979403A (ja) * 1982-10-29 1984-05-08 Sony Corp テ−プレコ−ダ
US4703378A (en) * 1984-03-01 1987-10-27 Sony Corporation Magnetic transducer head utilizing magnetoresistance effect
JPS60195706A (ja) * 1984-03-16 1985-10-04 Victor Co Of Japan Ltd デイジタル信号再生装置
US4752840A (en) * 1985-06-25 1988-06-21 Sharp Kabushiki Kaisha Multitrack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2545885B2 (ja) * 1987-10-16 1996-10-23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NL8901712A (nl) * 1989-01-30 1990-08-16 Philips Nv Longitudinaal magneetband recording systeem alsmede een magneetbandapparaat geschikt voor toepassing in het systeem alsmede een magneetkop geschikt voor toepassing in het magneetbandappara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30265A2 (en) 1991-06-05
CA2030885A1 (en) 1991-05-30
CA2030885C (en) 2000-11-07
US5313342A (en) 1994-05-17
DE69024764D1 (de) 1996-02-22
DE69024764T2 (de) 1996-08-14
ATE132997T1 (de) 1996-01-15
EP0430265A3 (en) 1992-10-21
EP0430265B1 (en) 1996-01-10
KR910010475A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976B1 (ko) 아날로그/디지탈호환재생시스템
KR910000791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2003016609A (ja) 磁気ヘッド及び磁気ディスク装置
JP3551099B2 (ja) 磁気テープ装置用薄膜磁気ヘッド
JPS5963005A (ja) 磁気記録方式
JPS59101004A (ja) 録画再生装置
JP2002100009A (ja) 磁気抵抗効果型磁気ヘッド
US4672495A (en) Thin-film magnetic head
JPS61227209A (ja) 磁気ヘツド
EP0372420A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agnetoresistive head for use therewith
JPS6289201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5398146A (en) Reset cassette with electromagnetic means for restoring the desired magnetization direction in a magnetoresistive head of a system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ignals
US6563675B1 (en) Magnetic head unit
JP2855723B2 (ja) 磁気テープ再生装置
US4636899A (en) Method and magnetic head assembly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control signals
JP2545680Y2 (ja) 磁気テープ記録及び/又は再生システム
JP2006031770A (ja) 磁気ヘッド装置および磁気再生装置
JPS60182008A (ja) 薄膜磁気ヘツド
JPS63285718A (ja) 磁気抵抗効果型薄膜磁気ヘッド
JPH03260906A (ja) 磁気抵抗効果型再生ヘッド
JPS6029913A (ja) 磁気ヘツド
JPH02208807A (ja) 垂直記録再生用磁気ヘッド
JPS5888823A (ja) 磁気抵抗効果型磁気ヘツド
JPH10143803A (ja) 磁気ディスク装置
JPH07320378A (ja) 両面型磁気ヘッ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