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987B1 -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987B1
KR0182987B1 KR1019960008070A KR19960008070A KR0182987B1 KR 0182987 B1 KR0182987 B1 KR 0182987B1 KR 1019960008070 A KR1019960008070 A KR 1019960008070A KR 19960008070 A KR19960008070 A KR 19960008070A KR 0182987 B1 KR0182987 B1 KR 018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cushion
neck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111A (ko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60008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987B1/ko
Publication of KR970065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96Central command actuator to selectively switch on or engage one of several special purpose circuits 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the back-rest having two or mor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자동차용 좌석조립체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자동차용에 적합한 좌석 조립체는, 좌석프레임과; 상기 좌석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가능하도록 연결된 좌석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과; 상기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과 연결되며, 좌석 목받이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좌석 목받이 쿠션의 하부측 후방부에서 목부분에 대한 지지를 변화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목받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좌석 목받이 프레임과; 상기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목받이 부재의 이동을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가짐으로써, 착석자에 대한 최적의 안락감을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자동차용 좌석에 사용.

Description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에 따라 일 실시예로써 제조된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의 구조도.
제2도는 2a, 2b, 및 2c로 이루어지며, 제1도의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를 각 동작모드에 따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제 1도의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를 동작모드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블록도.
제4도는 제 3도에 따른 제어장치의 제어동작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도.
본 발명은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석 착석자의 체형과 다양한 동작모드에 따라 최적의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자동차에 있어서의 좌석은, 금속재의 좌석 등받이 프레임, 금속재의 좌석 프레임, 그리고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과 좌석 프레임 위에 각각 고정상태로 장착되는 좌석 등받이 쿠션과 좌석쿠션을 포함하는 좌석 조립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의 하부는 상기 금속재의 좌석 프레임의 후방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좌석을 구성하는 좌석 조립체가 충분한 기계적인 강도를 갖도록 제조되는 것은 중요하지만, 그에 따라 금속을 과도하게 사용하면 재료비 및 차체의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좌석 조립체의 프레임 및 부재들은 속이 빈 형태의 관상 구조물로 제조되고 있다.
자동차의 성능 및 각종 주변기술의 진보에 따라, 좌석 착석자들은 보다 안전하고 최적의 안락감을 느낄 수 있는 좌석이 자동차에 장착되어지기를 더욱 더 요구하며 선호하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특히 승용 자동차에 있어서의 운전자용 좌석의 불편성과 좌석 등받이 쿠션 및 좌석쿠션간이 다양한 각도를 이룰 때의 착석 안락성에 대한 개선사항은 자주 언급되고 있다. 좌석 착석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의 고급형 승용 자동차에서는 좌석 착석자가 보다 안락감을 느낄 수 있게 좌석쿠션에 대해 좌석 등받이 쿠션이 기울어지는 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좌석 프레임에 대해 좌석 등받이 프레임이 선회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경사조정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사조정기구는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짐은 물론 이외에도 키의 선택조작에 의해 자동으로 하기 위하여 통상의 직류모터의 구동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동작하는 종래의 좌석은 경사조정 기구에 의해 경사각도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으나, 다양한 경사각도에 따라 좌석 착석자의 머리에서 다리부분에 이르기 까지의 지지를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되지 않았기 때문에 최적의 안락감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석 착석자들의 다양한 체형과 다양한 동작모드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좌석 등받이 쿠션 및 좌석 쿠션이 부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의 운전이나 승차 또는 수면은 좌석 착석자의 피로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좌석 착석자의 머리 아래에 있는 목 부분과 허리부분에 대한 지지 또는 받침을 종래에는 충분하게 하지 못하였으므로, 피로감의 가중은 물론 장시간 착석자의 관절 질환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종종 초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좌석 착석자의 체형과 다양한 동작모드에 따라 최적의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및 그 좌석 조립체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석 착석자들의 다양한 체형과 다양한 동작모드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좌석 등받이 쿠션 및 좌석쿠션이 부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될 수 있게 하는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석 착석자의 목 부분의 지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좌석 조립체의 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좌석 착석자의 목 부분 및 허리부분의 받침을 다양한 각도에서 최적으로 각기 독립되게 수행할 수 있는 좌석 조립체의 구동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좌석 조립체는, 제1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쿠션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착석에 대한 각도 제어용 전동기를 상기 좌석쿠션 하부의 내부공간에 장착하고 있는 관상의 좌석 프레임과;
상기 좌석 프레임과 연결되는 경사조정부를 통하여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각도 제어용 전동기의 구동에 따른 착석각을 형성하며, 제2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 등받이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의 하부측 후방부에서 허리부분에 대한 지지를 변화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허리받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를 장착하고 있는 좌석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제3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 어깨받이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어깨부분에 대한 지지 제어용 전동기의 구동에 응답하는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과;
상기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4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 목받이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좌석 목받이 쿠션의 하부측 후방부에서 목부분에 대한 지지를 변화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목받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를 수용하고 있는 좌석 목받이 프레임과;
상기 제1, 2, 3, 4, 센싱소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각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체형과 다양한 동작모드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 및 좌석쿠션이 부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되게 하고, 상기 목받이 부재 및 허리받이 부재의 이동을 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싱소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각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체형과 다양한 동작모드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 및 좌석쿠션이 부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되게 하고, 상기 목받이 부재 및 허리받이 부재의 이동을 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좌석 조립체와 분리되어 연결되는 것이 구동제어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의 구성 및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를 동작모드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구동제어 방법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다음의 설명에서, 그러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항목들이 본 발명의 보다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예로서 자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들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이러한 상세한 항목들이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또한, 잘 알려진 기본적 기계요소 및 동작과 전기 및 전자적 기본소자들의 상세한 구조 및 동작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않기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1a, 1b로 이루어지는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일 실시예로써 제조된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의 구조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좌석 조립체는, 좌석 프레임 2와, 좌석 등받이 프레임 6과,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들 8, 10과, 및 좌석 목받이 프레임 12를 포함한다.
상기 좌석 프레임 2는 제1센싱소자 S1을 내장한 좌석쿠션 2'를 수용하기 위하여 사실상 사각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착석자의 착석에 대한 각도 제어용 전동기 M1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 6은 상기 각도 제어용 전동기 M1의 구동에 기구적으로 응답하여 상기 좌석 프레임 2에 대하여 선회가능하도록 상기 좌석 프레임 2의 후방부에 위치한 경사조정부 A1과 함께 연결되며, 제2센싱소자 S2를 내장한 좌석 등받이 쿠션 6'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 6'의 하부측 후방부에서 허리부분에 대한 지지를 변화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허리받이 부재 R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 M2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 8은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 6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제3센싱소자 S3를 내장한 좌석 어깨받이 쿠션 8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어깨부분에 대한 지지 제어용 전동기 M3의 회전력을 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착석자의 신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또 다른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 10은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 6 또는 상기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 8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제3센싱소자 S31을 내장한 좌석 어깨받이 쿠션 10'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어깨부분에 대한 지지 제어용 전동기 M4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좌석 목받이 프레임 12는 상기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 8,1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제4센싱소자 S4를 내장한 좌석 목받이 쿠션 12'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좌석 목받이 쿠션 12'의 하부측 후방부에서 목부분에 대한 지지를 변화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목받이 부재 R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 M5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좌석 조립체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는 제3도에 나타나 있으며, 이는 제어의 편의상 상기 좌석 조립체내 또는 이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연결된다.
예를 들면, 이의 위치는 도어의 내부 측면 또는 자동차내의 콘트롤 박스가 위치하는 곳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4센싱소자들 이외에도 제1도의 1a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쿠션에 내장된 센시소자 S21, S31들은 사안의 필요에 따라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센싱소자들은 각기 물리적인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반도체 압력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반도체 압력센서의 구조 및 동작원리는 일본국의 오무라외 다수에 의해 개시된 미국 특허번호 4,993,266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 사용된 센싱소자들은 상기 반도체 압력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압전현상을 이용한 센서 또는 타의 유사한 센서들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기들은 각기 인가되는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정 혹은 역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스테핑 모터를 이용한다.
제1도의 1b에 나타난 상기 프레임들은 중량의 경량화를 위해 대체적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를 가지며, 사각형의 구조 이외에도 원형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 구조의 금속재질을 사각형의 형태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설정되는 금형내에 원형의 자재를 넣은 후 원형내부로 고압수를 제공하여 사각형태로 변형가공하는 하이드로펌 가공법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1도에 도시된 각 프레임의 연결 및 구조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의 1b에서 참조부호 6으로 라벨링된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좌석 프레임 2의 후방부에서 상기 각도 제어용 전동기 M1에 부착된 소오스 기어 G1의 회전력을 받기 위해 샤프트에 고정된 기어 G2와, 상기 샤프트와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고정되는 두 개의 아암 B1,B2와, 상기 아암 B1, B2와 고정되게 연결된 대체로 사각등의 다양한 형태의 등받이 프레임부 6과,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한쌍의 베어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좌석 프레임 2와 연결되는 상기 경사 조정부 A1에 수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경사조정부 A1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부 6이 수동 또는 자동 선회시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선회의 종료시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완전히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을 통해 연장 돌출된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장착되는 도시되지 아니한 디스크 드럼과, 상기 디스크 드럼에 면접촉되어 슬라이딩하는 미도시의 회전 잠금 및 해제부를 가진다.
만약, 상기 등받이 프레임부 6이 수동으로만 선회시 상기 경사조정부 A1은 디스트 드럼 및 회전 잠금 및 해제부를 가질 필요없이 통상의 경사조정기구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잠금 및 해제부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구동되어 잠금 및 해제동작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 6의 상기 허리받이 부재 R1은 상기 허리받이 부재 R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 M2의 샤프트에 직접적으로 고정된 대체로 타원형의 캠 C1, C2에 의해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 6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진행 또는 퇴진하여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 6'의 외관 형상을 변화시키며,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 6과 상기 허리받이 부재 R1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소자 예를 들면, 스프링 SP1, SP2에 의해 거의 영구적으로 상기 캠 C1, C2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캠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상기 좌석 목받이 프레임 12의 상기 목받이 부재 R2는 상기 목받이 부재 R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 M5의 샤프트에 직접적으로 고정된 대체로 타원형의 캠 C3, C4에 의해 상기 좌석 목받이 프레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왕복하여 상기 좌석 목받이 쿠션 12'의 외관을 변화시키며, 상기 좌석 목받이 프레임 12와 상기 목받이 부재 R2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송소자로서의 인장코일 스프링 SP3, SP4에 의해 거의 영구적으로 상기 캠 C3, C4에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캠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이 가능하다.
참조부호 8,10으로서 도시된 제 1,2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들은, 착석자의 신장에 따라 그 갯수가 가감된다. 상기 제1좌석 어깨받이 프레임 8은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 6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힌지축 20과, 상기 힌지축 20을 중심으로 어깨부분에 대한 지지 제어용 전동기 M3의 소오스 기어 G5,G6의 회전력을 각각 받는 한쌍의 반기어 21과, 상기 힌지축 20 및 상기 반기어 21을 수용하며 대체로 다양한 형태의 어깨받이 프레임부 8을 가진다.
상기 제2좌석 어깨받이 프레임 10은 상기 제1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 8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힌지축 20과, 상기 힌지축 20을 중심으로 어깨부분에 대한 지지 제어용 전동기 M4의 소오스 기어 G7, G8의 회전력을 각각 받는 한쌍의 반기어 21과, 상기 힌지축 20 및 상기 반기어 21을 수용하며 대체로 다양한 형태의 어깨받이 프레임부 10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 2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들은 서로 구조면에서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다만, 상기 좌석 목받이 프레임 12와 연결되는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은 좌우에 홀 H1을 가지는데, 이 홀 H1은 제1a도에서 도시된 좌우 볼받이 쿠션 12', 14'를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수용하기 위해 마련된 구멍이다.
2a, 2b, 및 2c로 이루어진 제2도에는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좌석 조립체가 자동차 내부의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뉘어지는 상태를 각기 다르게 나타내는 다양한 동작모드에 따라 측면도가 나타나 있다. 후술될 설명에서 동작구분의 편의상 필요시 상기 2a는 정상 동작모드, 2b는 휴식 동작모드, 및 2C는 수면 동작모드로서 각기 칭해질 것이다.
제3도에는 상기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를 동작모드별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3도의 상기 제어장치는 플로우챠트로서 나타난 제4도에 따른 구동제어 흐름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3도에 보여지는 상기 제어장치는, 제1도의 센싱소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일정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 20과, 착석자의 키조작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 40과, 인가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각 전동기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 120과, 프로그램 및 작업용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롬 60, 및 램 80과 상기 키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 20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각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모터 구동부 120에 상기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어부 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모터 구동부 120은 통상의 PMM8713 직접회로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100은 프로그램의 변경에 따라 동작제어의 변경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통상의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싱소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각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체형과 다양한 동작모드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 및 좌석쿠션이 부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되게 하고, 상기 목받이 부재 및 허리받이 부재의 이동을 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4도의 플로우를 수행한다.
제4도를 참조하면, 각 단계들이 401-409참조부호로서 라벨링되어 나타나 있다. 여기서, 제401-406단계는 트레이닝 과정하의 제어동작이며, 제 407-409단계는 실행 과정하의 제어동작이다. 먼저, 트레이닝 과정하의 제어동작부터 설명한다. 제 401단계에서, 상기 제3도의 제어부 100은 내부의 각종 레지스터 및 센싱 데이터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제 402단계의 트레이닝 과정하에서, 상기 제어부100은 제403단계를 수행한다. 제 403단계는 정상 동작모드, 휴식 동작모드, 및 수면 동작모드의 각각에 대한 제어용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 100은 상기 전동기들로 일정한 스텝단위로 회전시키는 제어신호를 각기 차례로 인가하고 상기 센싱소자들로부터 각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404 및 4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00은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이전에 설정된 데이터를 대응하게 비교하고 불일치시 최종적으로 트레이닝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용 보정 데이터로서 갱신 및 저장한다. 제406단계는 트레이닝의 종료를 가리키는 키 데이터의 입력에 응답하는 단계이다.
제407단계의 실행과정하에서, 상기 제어부 100은 상기 정상동작모드, 휴식 동작모드, 및 수면 동작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된 제어용 보정 데이터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동기들을 회전시키는 제408단계를 수행한다. 제409단계는 전원의 오프에 대응하여 동작이 중단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실행과정의 동작은 최종적으로 트레이닝된 데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정해지나. 프로그램을 달리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 및 좌석쿠션이 부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게 하고, 상기 목받이 부재 및 허리받이 부재의 이동을 적응적으로 각기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좌석 착석자의 체형과 다양한 동작모드에 따라 최적의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응적으로 좌석 등받이 쿠션 및 좌석쿠션이 부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될 수 있게 함은 물론, 좌석 척석자의 목 부분의 지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좌석 착석자의 목 부분 및 허리부분의 받침을 다양한 각도에서 최적으로 각기 독립되게 수행할 수 있는 정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도면을 중심으로 예를 들어 설명되고 한정되었지만, 그 동일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변화와 변형이 가능함은 본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사안이 허용하는 한 상기 조립체의 각종 구성 및 형태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 제어장치의 구동 제어 수순 및 방법을 변경 또는 변화시킬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승용자동차의 좌석 조립체의 있어서:제1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쿠션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착석에 대한 각도 제어용 전동기를 상기 좌석쿠션 하부의 내부공간에 장착하고 있는 관상의 좌석 프레임과:상기 좌석 프레임과 연결되는 경사조정부를 통하여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각도 제어용 전동기의 구동에 따른 착석각을 형성하며, 제2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 등받이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의 하부측 후방부에서 허리부분에 대한 지지를 변화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허리받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를 장착하고 있는 좌석등받이 프레임과;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가능하게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제3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 어깨받이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어깨부분에 대한 지지 제어용 전동기의 구동에 응답하는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과;상기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4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 목받이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좌석 목받이 쿠션의 하부측 후방부에서 목부분에 대한 지지를 변화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목받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를 수용하고 있는 좌석 목받이 프레임과;상기 제1, 2, 3, 4센싱소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각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체형과 다양한 동작모드에 대하여 적응적으로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 및 좌석쿠션이 부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되게 하고, 상기 목받이 부재 및 허리받이 부재의 이동을 각기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동기들은 각기 인가되는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정 혹은 역방향의 회전력을 발하는 스테핑 모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좌석프레임의 후방부에서 상기 각도 제어용 전동기의 회전력을 받기 위해 샤프트에 고정된 기어와, 상기 샤프트와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고정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과 고정적으로 연결된 등받이 프레임부와,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링은 상기 경사조정부에 수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상기 경사조정부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부가 수동 또는 자동 선회시 상기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선회의 종료시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완전히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을 통해 연장 돌출된 상기 샤프트의 양단에 장착되는 디스크 드럼과, 상기 디스크 드럼에 면접촉되어 슬라이딩하는 회전 잠금 및 해제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의 상기 허리받이 부재는, 상기 허리받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의 샤프트에 고정된 타원형의 캠에 의해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왕복하여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의 외관을 변화시키며,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허리받이 부재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소자에 의해 상기 캠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좌석 목받이 프레임의 상기 목받이 부재는,상기 목받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의 샤프트에 고정된 타원형의 캠에 의해 상기 좌석 목받이 프레임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왕복하여 상기 좌석 목받이 쿠션의 외관을 변화시키며, 상기 좌석 목받이 프레임과 상기 목받이 부재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성소자에 의해 상기 캠에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조립체.
  6.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센싱소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적 신호를 일정한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센서 인터페이스부와, 착석자의 키조작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와, 인가되는 구동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각 전동기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부와, 프로그램 및 작업용 메모리를 가지며 상기 키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센서 인터페이스부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각 전동기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상기 모터 구동부에 상기 구동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콘트롤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조립체.
  7. 제1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쿠션을 수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가지며, 착석에 대한 각도 제어용 전동기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좌석 프레임과; 상기 각도 제어용 전동기의 구동에 응답되며, 제2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 등받이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좌석 등받이 쿠션의 하부측 후방부에서 허리부분에 대한 지지를 변화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허리받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좌석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기구적으로 연결되며, 제3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 어깨받이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어깨부분에 대한 지지 제어용 전동기의 구동에 응답하는 것이 가능한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과; 상기 좌석 어깨받이 프레임과 연결되며, 제 4센싱소자를 내장한 좌석 목받이 쿠션을 수용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좌석 목받이 쿠션의 하부측 후방부에서 목부분에 대한 지지를 변화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목받이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동기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좌석 목받이 프레임을 가지는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의 구동제어방법에 있어서; 트레이닝 과정에서, 정상 동작모드, 휴식 동작모드, 및 수면 동작모드의 각각에 대한 제어용 보정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전동기들로 일정한 스텝단위로 회전시키는 제어신호를 각기 차례로 인가하고 상기 센싱소자들로부터 각기 제공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센싱 데이터와 이전에 설정된 데이터를 대응되게 비교하고 불일치시 최종적으로 트레이닝된 데이터를 상기 제어용 보정 데이터로서 갱신 및 저장하는 단계와, 트레이닝의 종료를 가리키는 키 데이터의 입력에 대응하여 트레이닝을 종료하는 단계와; 실행과정하에서, 상기 정상 동작모드, 휴식 동작모드, 및 수면 동작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저장된 제어용 보정 데이터로써 상기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전동기들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좌석 조립체의 구동제어방법.
KR1019960008070A 1996-03-23 1996-03-23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및 그 제어방법 KR018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070A KR0182987B1 (ko) 1996-03-23 1996-03-23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070A KR0182987B1 (ko) 1996-03-23 1996-03-23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111A KR970065111A (ko) 1997-10-13
KR0182987B1 true KR0182987B1 (ko) 1999-04-01

Family

ID=19453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070A KR0182987B1 (ko) 1996-03-23 1996-03-23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43A (ko) * 2001-11-07 200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223B1 (ko) * 2008-03-18 2010-09-10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학습을 통한 전동시트 이동범위 갱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943A (ko) * 2001-11-07 200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111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9614B1 (en) Seat back adjustment mechanism
JPH04343805A (ja) 椅子の背,座部の連動支持機構
KR0182987B1 (ko) 자동차용 좌석 조립체 및 그 제어방법
WO2007080667A1 (ja) 座席構造
JPS63232046A (ja) 車両用シ−トのリクライナ装置
JPH0819452A (ja) 車両用シートにおける背部支持装置
KR10045739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장치
JPS6122501Y2 (ko)
JPH0130927Y2 (ko)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JPH09150653A (ja) シートの高さ調整装置
JPH067229A (ja) 調節可能のシート背もたれ
JP3113727B2 (ja) シ−トクッション装置
CN217048375U (zh) 一种座椅骨架
JPH0734624Y2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H08182572A (ja) シートバックのサポート装置
KR100472241B1 (ko) 자동차 뒷좌석의 기울기 조절 장치
JPS6234512A (ja) 車両用シ−ト
KR920005912Y1 (ko)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
JPH0515797Y2 (ko)
KR100245504B1 (ko) 시트의 등판 너클장치
KR100282924B1 (ko) 차량용 시이트의 보울스터 조절장치
KR10018900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룸바 서포트 어셈블리
JPH0527876Y2 (ko)
JPH033036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