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912Y1 -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912Y1
KR920005912Y1 KR2019900011725U KR900011725U KR920005912Y1 KR 920005912 Y1 KR920005912 Y1 KR 920005912Y1 KR 2019900011725 U KR2019900011725 U KR 2019900011725U KR 900011725 U KR900011725 U KR 900011725U KR 920005912 Y1 KR920005912 Y1 KR 920005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pring
rumbus
link
adjustment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423U (ko
Inventor
임기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이범창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1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912Y1/ko
Publication of KR920002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4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
제1도는 본 고안 허리받침이 내부에 설치된 자동차시이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허리받침이 등받이프레임에 부착상태를 배면에서 본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요부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이트등받이프레임 2 : 허리받침판
3 : 브라켓 4 : 럼버스프링
5 : 지지부재 6 : 부쉬
7 : 링크 8 : 힌지핀
9 : 너트 10 : 조절노브
11 : 조절샤프트 12 : 리테이너
본 고안은 자동차 시이트 허리받침(Lumbar Support)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고 확실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는 그 표면이 인체에 맞추어 대략 활모양으로 약간 휘어지도록 되어 있어서 탑승자가 시이트에 앉으면 상체를 편안히 받쳐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체격이 각기 다르고 또 같은 탑승자라도 장시간 앉아있게 되면 바닥부앞으로 미끄러져 아래척추부 위와 등받이사이가 떨어져 허리에 무리가 오게 됨은 물른 피로를 촉진하게 되므로, 허리가 접하는 부위에 강한 탄성을 가진 스폰지류 등을 등받이속에 넣어 융기시키거나 또는 속에 등받이 프레임과 관련하여 등받이 내에 허리를 받쳐 주는 허리받침을 설치해서 탑승자의 체격 등에 따라 등받이하부의 융기상태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바, 그중 시이트의 등받이내에 허리받침을 설치하는 방안은, 등받이의 히리부이에 닿는 부위를 융기시키기 위해 럼버스프링을 매개로 등받이의 한쪽 측면에 설치한 조절노브를 손으로 회전해서 허리를 직접 받치는 받침판을 전후로 이동시키도록 된 구성이, 조절 노브와 럼버스프링사이에 다수의 브라켓과 다수의 연결핀 등이 끼워지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조립이 까다롭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쪽끝에 받침판이 브라켓을 매개로 설치되는 S자형상의 럼버스프링이, 등받이프레임에 고정된 상하 한쌍의 지지프레임에 그 중간부위가 2지점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한편, 다른쪽 끝부위가 링크를 매개로 등받이프레임에 설치된 조절노브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의 좌우이동과 연계되어 전후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도 확실한 허리받침부위의 융기가 쉽게 조절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시이트 허리받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허리받침이 내부에 설치된 자동차 시이트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허리받침이 등받이프레임에 부착된 상태를 배면에서 본 도면인바, 한쪽끝에 탑승자의 허리부위를 받쳐주는 허리받침판(2)이 브라켓(3)을 매개로 설치되는 S자형상으로 한 럼버스프링(4)이, 그 중간부(4b)에서 등받이프레임(1)에 고정된 ㄷ자형상의 고정부재(5) 각 양팔끝에 부착된 부쉬(6)에 끼워지는 한편, 이 럼버스프링(4)의 다른쪽 끝부위(4c)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된 한쌍의 링크(7)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지면서, 이 링크(7)가 힌지핀(8)을 매개로 내부에 암나사(9a)가 형성된 너트부재(9)에 용접결합된 지지아암(9b)과 연결되는 한편, 이 너트부재(9)가 제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등받이프레임(1)에 리테이너(12)에 의해 고정위치에서 조절노브(10)과 일체로 되어 이 조절노브(10)의 회전조작에 따라 회전하도록 된 조절샤프트(11)의 숫나사(11a)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노브(10)의 정역회전에 따른 너트부재(9)의 축방향전후이동에 따라 링크(7)를 매개로 연계되어 허리받침판(2)의 전후로 위치변경되어 등받이의 허리부위의 융기정도가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S자형상 럼버스프링(4)의 다른쪽(제4도에서 중앙부위(4b) 오른쪽)은 한쪽보다 약간 밑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절노브(10)가 예컨대 시계방향(c)으로 회전됨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조절샤프트(11)가 회전하게 되면 이 조절샤프트(11)에 나사결합된 너트부재(9)가 앞쪽(제3도에서 왼쪽으로)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이 너트부재(9)에 용접결합된 지지아암(9b)에 힌지핀(8)으로 연결된 링크(7)의 힌지핀(8)쪽 끝부분이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바, 이때 상기 S자형상 럼버스프링(4)의 다른쪽 끝부위(4c)와 힌지연결된 링크(7)의 다른쪽끝부분은 상기 럼버스프링(4)의 중간부위(4b)가 지지부재(5)의 양쪽 아암(5a)끝에 축회전하도록 위치고정되어져 있기 때문에, 럼버스프링(4)의 다른쪽끝부위(4c)가 앞쪽으로 (제4도에서는 아래로)당겨지면서 눕혀지게 됨으로써, 그에 따라 럼버스프링(4)이 그 중간부위(4b)를 회동축으로 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결국 이 럼버스프링(4)의 한쪽끝(4a)에 브라켓(3)을 매개로 설치된 허리받침판(2)이 화살표 A'방향으로 후퇴이동하게 됨으로써 등받이의 허리받침부위의 융기정도가 낮춰지게 된다.
한편, 조절노브(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샤프트(11)에 결합된 너트부재(9)가 축방향뒷쪽으로(제3도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이 너트부재(9)에 용접으로 고정된 한쌍의 지지아암(9b)에 힌지핀(8)을 매개로 연결된 링크(7)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약간 세워지게 되는바, 이 경우에는 링크(7)의 다른쪽끝이 럼버스프링(4)의 다른쪽끝부위(4c)를 뒤로(제4도에서는 위로)회동중심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이 럼버스프링(4)의 한쪽끝(4a)에 연결설치된 허리받침판(2)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등받이의 허리받침부위가 융기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 자동차 시이트 등받이 허리받침에 의하면, 허리받침판(2)이 설치되는 S자형상의 럼버스프링(4)이 링크(7)를 매개로 조절노브(10)에 고정된 조절샤프트(11)에 나사결합되어 전후진하는 노트부재(9)에 각각 힌지결합으로 다절연결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서도 정확한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제작 및 조립이 간단해서 경제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한쪽끝에 등받이 허리받침판(2)이 설치된 럼버스프링(4)을 조절노브(10)로 축회전·회동시켜 허리받침판을 전후이동시켜 등받이의 융기정도를 조절하도록 된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에 있어서, 상기 럼버스프링(4)이 S자형상으로 되면서 그 중간부위(4b)가 등받이프레임(1)에 고정된 지지부재(5)의 한쌍의 아암(5a)끝에 부쉬(6)를 매개로 끼워짐과 더불어, 이 럼버스프링(4)의 다른쪽끝부위(4c)가, 조절노브(10)의 회전방향에 상응해서 이 조절노브(10)에 일체로 고정된 조절샤프트(11)의 축방향으로 전후이동하는 너트부재(9)에 용접결합된 한쌍의 지지아암(9b)에 다른쪽끝이 힌지핀(8)으로 연결된 링크(7)의 한쪽끝과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
KR2019900011725U 1990-07-31 1990-07-31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 KR920005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725U KR920005912Y1 (ko) 1990-07-31 1990-07-31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1725U KR920005912Y1 (ko) 1990-07-31 1990-07-31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423U KR920002423U (ko) 1992-02-24
KR920005912Y1 true KR920005912Y1 (ko) 1992-08-27

Family

ID=19301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725U KR920005912Y1 (ko) 1990-07-31 1990-07-31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9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423U (ko) 1992-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5277A (en) Synchrotilt chair
US4725095A (en) Vehicle seat with mechanical lumbar support having two degrees of freedom
JPS62227830A (ja) 自動車座席の高さ調整装置
JPH0628609B2 (ja) 椅 子
JPH0421482B2 (ko)
KR920005912Y1 (ko) 자동차 시이트의 등받이허리받침
JPH0576436A (ja) 自動車用シート
JP4318191B2 (ja) 多目的チェアのフレーム
JP2863816B2 (ja) 車両用背凭シートの上部傾斜角度調節装置
KR910004304Y1 (ko) 의자 등받이 굴신장치
JP2759552B2 (ja) 車両用シートの面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S6223645Y2 (ko)
JPS6241865Y2 (ko)
CN217547615U (zh) 一种具有自适应腰托的座椅
JPH0130927Y2 (ko)
JPH021079Y2 (ko)
JPH0729872Y2 (ja) シート装置
JPH0527085Y2 (ko)
JPH0755959Y2 (ja) 椅子における傾動制御装置
JPH0228978Y2 (ko)
JPH0373281B2 (ko)
JPH0439718Y2 (ko)
JPS6234512A (ja) 車両用シ−ト
JP3666530B2 (ja) 椅子
JPH021321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