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765B1 - 트랙 점핑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트랙 점핑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765B1
KR0182765B1 KR1019900007199A KR900007199A KR0182765B1 KR 0182765 B1 KR0182765 B1 KR 0182765B1 KR 1019900007199 A KR1019900007199 A KR 1019900007199A KR 900007199 A KR900007199 A KR 900007199A KR 0182765 B1 KR0182765 B1 KR 018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tracking
control amplifier
control circuit
offse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929A (ko
Inventor
프리드리히 퓔트너
귄터 그라임
Original Assignee
롤프-디이터 베르거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프-디이터 베르거,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롤프-디이터 베르거
Publication of KR900018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 G11B7/08505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 G11B7/08517Methods for track change, selection or preliminary positioning by moving the head with tracking pull-in only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랙 점핑을 위한 방법
제1도는 CD 플레이어 광학 주사장치의 광검출기 및 레이저 빔(L1,L2,L3)의 배치도.
제2도는 제1도에서의 레이저 빔(L1,L2,L3)이 우측으로 이동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서의 레이저 빔(L1,L2,L3)이 좌측으로 이동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레이저 빔이 다수의 데이터 트랙을 횡단할 때 트랙킹 에러신호의 정현파 형태를 도시한 그래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트래킹 제어 회로도.
제6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트랙 점핑시 광빔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제2실시예에 따른 트랙 점핑시 광빔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광학적 주사장치를 가진 트랙 제어 회로에 대한 트랙 점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트랙 제어 회로에서는 제1 및 제2광빔이 정보 매체에 의해 각각 하나의 광검출기로 반사되고 이 각각의 2개의 광검출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기준값과 실제값의 편차인 정현파형 트랙 에러 신호가 감산에 의하여 생성된다.
예를 들면, CD-플레이어, 비디오 레코드 플레이어, DRAW-디스크-플레이어 또는 자기-광학 기록 및 재생-장치에는 광학 주사장치가 장착된다.
광픽업이라 불리는 광학 주사장치의 구조와 기능은 Electronic Components Applications, Vol. 6, No. 4, 1984, 209-215쪽에 개시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방사된 광빔은 렌즈에 의해 CD 레코드상에 포커싱된다음 상기 CD 레코드로부터 광검출기로 반사된다. 포커싱 및 트래킹 제어회로에 대한 실제값과 CD-레코드상에 기록된 데이터는 광검출기의 출력 신호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참고 문헌에서는 포커싱 제어회로에 대한 기준값으로부터 실제값의 편차를 포커싱 에러로 기술하는 반면에 트래킹 제어회로의 기준값으로부터 실제값의 편차를 방사상 트래킹 에러로 기술한다.
코일은 포커싱 제어회로용 위치설정 엘리먼트로 사용되며, 렌즈는 코일의 자기장에 의해서 광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포커싱 제어회로는 렌즈를 이동시켜서 레이저 다이오드에 의해 방사된 광빔이 항상 CD-레코드상에 포커싱되도록 한다. 종종 방사상 드라이브(radial drive)라 불려지는 트래킹 제어회로는 CD-레코드상에서 광학 주사장치를 방사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광빔은 CD-레코드의 나선모양 데이터 트랙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몇몇 장치의 경우, 방사상 드라이브는 개략 및 미세 드라이브로 구성된다. 개략 드라이브는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 렌즈, 프리즘 빔 스플리터 및 광검출기로 이루어진 전체 광학주사장치를 방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핀들을 포함한다. 미세 드라이브는 광빔을 방사방향으로 추가로 이동시키거나 예를 들면 광빔을 예정된 작은 각만큼 기울어지게 한다. 따라서, 미세 드라이브를 이용하면, 광빔은 약 1mm의 미세경로로 CD-레코드상의 반지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고품질의 재생을 얻기 위해서는 비디오 레코드 플레이어의 경우의 영상 및 음향, CD 레코드의 경우의 음향 또는 자기 광학 레코드의 경우의 데이터에 상관없이 광빔을 레코드상에 정확하게 포커싱하는 것과 레코드의 데이타 트랙을 따라 정밀하게 트래킹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도에는 3개의 레이저빔(L1,L2,L3)이 CD 레코드상에 포커싱되는 CD-플레이어의 광학 주사장치의 광검출기(PD)가 도시되어 있다. 레이저빔(L2,L3)은 +1 및 -1 레벨의 회절빔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주사장치는 앞에서 인용된 문헌에 3-빔-픽업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주사장치가 3개의 광빔과 함께 동작하기 때문이다.
광검출기(PD)는 4개의 정사각형 광다이오드(A,B, C, D)가 공동으로 배열되어 이 4개의 정사각형 광다이오드(A, B, C, D)가 다시 더 큰 정사각형을 형성한다. 4개의 광다이오드(A,B, C, D)로 형성된 정사각형 광다이오드앞에 직사각형 광다이오드(E)가 제공되는 반면에, 이 정사각형 광다이오드뒤에는 다른 직사각형 광다이오드(F)가 제공되고 있다. 4개의 광다이오드(A, B, C, D)상에 포커싱되는 중간 레이저 빔(L1)은 데이타 신호(HF=AS+BS+CS+DS) 및 포커싱 에러신호(FE=(AS+CS)-(BS+DS))를 발생시킨다. 두 개의 외부 광빔(L2, L3)중 전방의 레이저빔(L3)은 광다이오드(E)상에 방사되며 후방의 레이저빔(L2)은 광다이오드(F)상에 방사되며, 이 2개의 외측 광빔(L2, L3)은 트래킹 에러 신호(TE=ES-FS)를 발생시킨다. 각 다이오드(A, B, C, D, E, F)의 광전압은 각각 AS, BS, CS, DS 및 FS로 표시된다.
제1도에서 중간 레이저 빔(L1)은 트랙(S)의 중심을 정확하게 따라간다. 따라서, 트래킹 에러 신호(TE)는 0의 값을 가진다.
즉, TE=ES-FS=0.
중간 광빔이 트랙(S)의 중심에서 벗어나면, 회절된 빔중 하나는 트랙 중심쪽으로 가까이 이동하는 반면에 다른 회절된 빔은 2개의 트랙(S) 사이의 공간상으로 방사된다. 그러나, 트랙사이의 공간의 반사량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회절된 빔중 하나는 다른 회절빔보다 더 강하게 반사된다.
제2도는 레이저 빔(L1,L2,L3)이 트랙(S)으로부터 우측으로 변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경우이다. 트래킹 에러 신호는 음의 값을 갖는다.
즉, TE=ES-FS0.
트래킹 조정회로의 위치설정 엘리먼트는 트래킹 에러 신호(TE)가 0이 될때까지 광학 주사장치를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레이저 빔이 트랙으로부터 좌측으로 변위되어 있다면, 트래킹 에러 신호는 양의 값을 갖는다.
즉, TE=ES-FS0
이때, 트래킹 조정회로의 위치설정 엘리먼트는 트래킹 에러 신호(TE)가 0으로 될 때까지 우측으로 광학 주사장치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광빔(L1) 및 각각의 회절빔(L2,L3)이 다수의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면, 트래킹 에러 신호(TE)는 제4도에 도시된 정현파 형태로 가정된다.
JP-OS 60 10 429에는, 광빔이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는지의 여부를 HF 신호의 상부 및 하부 포락선으로 인식하는 트래킹 제어회로가 기술되어 있다. 광빔이 다수의 데이타 트랙을 횡단한다면, HF 신호는 2개의 트랙 사이에서 규칙적으로 감쇠된다.
광빔이 횡단한 트랙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HF 신호의 포락선은 상향-하향 계수기의 계수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펄스형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HF 신호의 감쇠는 상향-하향 카운터에 의해 계수된다.
광빔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소위 방향결정 논리회로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D-플립플롭의 D-입력단자에 트래킹 에러신호(TE)를 그리고 D-플립플롭의 클럭 입력단자에 HF-신호의 포락선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D-플립플롭은, 광빔이 데이타 트랙을 횡단할때 그것의 클럭 입력단자에서 항상 펄스를 수신한다. 그러나, 트래킹 에러신호(TE)의 선행 부호는 광빔이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에 따르기 때문에, D-플립플롭은 한 방향의 경우 그것의 출력이 하이(HIGH)로 세트되고 다른 방향의 경우에는 그것의 출력이 로우(LOW)로 세트된다. 따라서, D-플립플롭의 Q-출력단자에서의 신호는 상향-하향 계수기의 계수 방향(상향 또는 하향)을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향-하향 계수기는 어느 한 방향의 경우에는 상향으로 계수하는 반면에, 다른 방향의 경우에는 하향으로 계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공지된 트래킹 회로는 많은 수고에 비해 방향결정 논리회로 때문에 트래킹 제어회로의 제어루프가 트랙 점핑시 개방되어야 하는 또 다른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광학 주사장치는 제어기에 의한 검사없이 정보매체상에서 트랙을 가로질러 점프되어 이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개 또는 수개의 트랙을 가로지르는 트랙점프가 페제어회로에서 발생하는 트랙 점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트랙을 주사하는 광빔이 트랙의 중심으로부터 소정양만큼 변위되어, 상기 광빔이 트랙과 상기 트랙 및 인접 트랙 사이의 공간을 부분적으로 방사하도록 하는 크기의 오프셋량을 가지는 오프셋 전압이 n개의 트랙을 가로질러 점핑하기 위해 트랙 제어 회로에 공급되고,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가 2n번 반전된 다음,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최종 반전후 가장 늦은 오프셋 양이 트랙 제어 회로로부터 또다시 분리되어 달성된다.
제5도에서 2개의 광다이오드(E, F) 2개의 출력 신호(ES, FS)는 차동 증폭기(DV)의 입력에 인가하고, 차동 증폭기는 정현파형 트래킹 에러 신호(TE)를 발생시킨다. 정현파형 트래킹 에러 신호(TE)를 발생시키는 차동 증폭기의 출력은 제어 증폭기(RV)의 제1입력에 접속되고, 제어 증폭기(RV)의 제2입력은 오프셋 전압(OF)을 발생시키는 발생기(G)에 접속된다. 제어 증폭기(RV)의 출력은 트래킹 제어회로의 조정 엘리먼트(SG)에 집적 접속되거나 제어가능한 전환 스위치(U)에 의해 컨버터(J)를 통해 트래킹 제어회로의 조정 엘리먼트(SG)에 접속될 수 있다. 제어회로(P)의 제1출력(A1)은 제어가능한 전환 스위치(U)의 제어 입력에 접속되고, 제어회로(P)의 제2출력(A2)은 발생기(G)의 입력에 접속된다.
제5도에 도시된 트래킹 제어 회로의 기능은 제6도에 도시된 광학적 정보매체의 데이터 트랙(S0-Sn)을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만일 데이터를 주사하는 광빔(L1)이 1개 또는 여러 개의 트랙을 가로질러 점프해야 한다면, 제어회로(P)는 발생기(G)가 예를 들어 차동 증폭기로 구성될 수 있는 제어 증폭기(RV)의 제2입력에 양 또는 음의 오프셋-전압(OF)을 공급하도록 한다. 오프셋 전압의 극성은 광빔(L1)이 방사상으로 데이터 트랙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로질러 이동하는 방향에 따른다. 오프셋 전압(OF)의 양은 중간 광빔(L1)이 더 이상 트랙(S0)의 중심부에 있지 않고 중간 광빔(L1)의 일부분, 즉 중간 광빔(L1)의 1/2이 트랙(S0)상에 있고 중간 광빔(L1)의 나머지 1/2이 트랙(S0) 및 트랙(S1) 사이의 공간(R1)에 방사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진다. 전방 및 후방 광빔(L2,L3)은 제각기 내측 및 외측으로 동일한 양만큼 이동하게 된다.
제어회로(P)는 제어 증폭기의 출력 신호가 반전되도록 제어가능한 전환 스위치(U)의 전환시킨다. 제어증폭기 출력신호의 반전으로 인해 트래킹 제어회로가 트랙 대신에 트랙 사이의 공간에 로크되기 때문에 광빔(L1)은 제어 증폭기(RV) 및 조정 엘리먼트(SG)에 의해 트랙 사이의 공간으로 안내되지만, 오프셋 전압으로 인해 트랙 사이의 중심부로 이동한다. 광빔(L1)의 1/2은 트랙(S0) 및 트랙(S1) 사이의 공간(R1)에 아직 존재하지만 그것의 나머지 1/2은 이미 트랙(S1)상에 방사된다. 이제, 제어 증폭기(RV)의 출력신호는 다시 반전될 것이다. 이제 트래킹 제어 회로가 트랙상에 다시 로크되기 때문에, 광빔(L1)은 추가로 트랙 폭 만큼 이동하고, 그 결과로 광빔은 각각 1/2씩 트랙(S1)상 및 공간(R2)상에 방사된다. 오프셋 전압을 제거함으로써 광빔(L1)은 트랙(S1) 중심부로 정확하게 이동한다.
만일 광빔이 n트랙을 가로질러 점프해야 한다면, 제어 증폭기(RV)의 출력신호는 제어회로(P), 전환 스위치(U) 및 인버터(I)에 의해 2n번 반전될 것이다. 각각의 반전후, 광빔은 1 트랙 폭 만큼씩 점프한다. 트래킹 제어회로는 교대로 공간 및 트랙상에 로크된다. 오프셋 전압 때문에 광빔(L1)은 트랙 중심으로부터 공간 중심으로 이동하지 않고 매번 동일한 주어진 양만큼 트랙과 중간의 중간부분으로 이동한다. 2n반전후 광빔은 넘어야할 n트랙을 점프한다. 따라서, 제어회로(P)는 제어 증폭기(RV)의 출력신호가 2n번 반전된 후 제어 증폭기(RV)가 오프셋 전압(OF)으로부터 다시 분리되게 한다. 여기서, 광빔은 정확하게 원하는 트랙 중심부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서 트래킹 제어 회로는 트랙 점핑 기간동안 폐쇄된다.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반전 순간은 광다이오드(A,B,C,D)의 출력신호로부터 3-빔-방식으로 얻어진 고주파 신호 레벨에 따라 로크 될 수 있다. 만일 광빔(L1)이 정확하게 트랙 중심부에 조준되면 고주파 신호 레벨은 최대가 된다. 그러나, 고주파 신호가 감쇄될 때 광빔(L1)이 2개의 트랙 사이의 공간에 방사되면 고주파 신호 레벨은 최소가 된다. 만일 광빔(L1), 즉 중간 광빔이 각각 오프셋 전압으로 인해 예를 들어 트랙 및 공간에 1/2씩 방사되면 고주파 신호 레벨은 최대값의 약50%이다. 따라서, 제어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반전 순간에 관한 표준으로서 최대 레벨의 50%의 임계값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매번, 고주파 신호 레벨이 최대값으로부터 그것의 1/2 값으로 감쇠될 때 그리고 상기 고주파 신호 레벨이 다시 0으로부터 그것의 1/2값까지 상승할 때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TE)는 반전될 것이다. 이것은 광빔(L1)이 오프셋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트랙 중심부로부터 이동될 때 최초로 실현되고, 그 결과로 광빔은 트랙(S0) 및 공간(R1)으로 1/2에 방사된다.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반전 때문에 트래킹 제어 회로는 공간(R1)을 가로질러 다음 트랙으로 광빔(L1)을 안내하고 그것에 의해 광빔(L1)이 공간(R1)상의 1/2 및 트랙(S1)상의 1/2에 방사될 때 다음의 최대값의 1/2까지 상승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신호는 최초로 감쇠한다. 제어 증폭기의 출력신호가 두 번째 시간에 반전되기 때문에, 광빔(L1)은 트랙(S1)까지 이동한다. 오프셋 전압 때문에, 광빔은 트랙 중심부에 남아있지않고 광빔이 트랙(S1)상 및 다음 공간(R2)상의 1/2에 방사될때까지 모서리로 더 이동한다. 따라서, 고주파 신호 레벨은 최초에 최대값까지 증가하고 2번째 시간에 최대값으로부터 그것이 1/2까지 하강한다. 이제, 제어 증폭기의 출력신호는 설명된 방법이 스스로 반복되고 광빔(L1)이 다시 트랙을 가로지르기 위하여 다시 반전될 것이다.
이미 설명된 것과 같이, 예를 들어 100트랙을 가로지르는 점핑에서 오프셋 전압은 광빔(L1)이 트랙의 중심부로 다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 증폭기의 출력신호의 200반전후 트래킹 제어 회로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그러나, 오프셋 전압은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제1반전전 트래킹 제어회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오프셋 전압은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최종 반전후 최후에 제거되지 않으면 안된다. 오프셋 전압은 트래킹 제어회로 형태에 따르고 그 순간은 오프셋 전압 분리를 위해 최적이다. 가장 최적인 순간은 예를 들면 시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따. 광빔(L1)은 오프셋 전압(OF)없이 제어증폭기 출력 신호의 반전후 불확정적으로, 즉 내측 또는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랜덤하게 이동한다.
몇몇 트래킹 제어 회로에서, 광학 주사장치는 일정하게 트랙점핑 기간동안 보다 빠르게 되고, 그 결과로 오프셋 전압이 트래킹 제어 회로로부터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최종 반전후 차단될 때만 트래킹 제어 회로는 제어할 수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오프셋 전압은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제1반전전 또는 제1반전후, 즉 제2반전전 한 트랙으로부터 다음 트랙으로 점핑하는 동안 트래킹 제어 회로로부터 차단될 것이다. 몇몇 트랙을 가로질러 점핑하는 동안 이 방법은 트랙에서 트랙으로 반복될 것이다. 제7도는 제2실시예에 대한 광빔(L1)의 이동을 도시한다.
광빔(L1)은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오프셋(OF)에 의해 트랙 중심부로부터 변위되고, 그 결과로 광빔은 트랙(S0)상의 1/2 및 공간(R1)상의 1/2에 방사된다. 이제, 제어 증폭기의 출력신호는 첫 번째 시간동안 반전될 것이다. 따라서, 광빔이 한 트랙 폭 만큼 더 이동하므로, 광빔은 이제 공간(R1)상의 1/2 및 트랙(S1)상 1/2에 방사된다. 이제 오프셋 전압은 제거된다. 따라서, 광빔은 공간(R1) 중심까지 이동한다.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2번째 반전은 광빔(L1)이 트랙(S1)의 중심까지 이동하게 한다. 만일 몇몇 트랙을 가로지르는 점핑을 원한다면, 상기 방법의 단계가 반복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CD-플레이어, 비디오 레코드 플레이어, DRAW-디스크-플레이어 또는 자기-광학장치에 적합하다.

Claims (13)

  1. 제1 및 제2광빔을 정보매체에 보내고 상기 정보매체로부터 제1 및 제2광빔을 받는 단계와; 하나의 출력을 가진 개별 광검출기에 각각의 반사 광빔을 보내는 단계와; 상기 정보매체상에서 주사될 트랙의 실제 주사 위치와 트랙의 중심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현파형 트래킹 에러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광검출기의 출력을 감산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킹 에러 신호를 제어 증폭기에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 증폭기의 출력신호를 상기 트래킹 제어회로의 조정 엘리먼트에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보매체상의 데이타를 트래킹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매체상에 입사된 광빔이 트랙중심으로부터 소정량 만큼 변위되어 주사되는 트랙상에 부분적으로 방사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주사되는 트랙상에 부분적으로 방사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주사되는 트랙 및 인접 트랙 사이의 공간에 부분적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는 오프셋 전압을 다수의 트랙을 가로질러 점핑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단계와; 트랙 점핑 시작시 상기 오프셋 전압을 트래킹 제어회로에 제공하는 단계와; 점핑된 트랙 수의 두배만큼 제어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단계와; 트랙 점핑중 상기 트래킹 제어회로가 폐회로를 유지하도록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첫번째 반전후 가장 먼저 그리고 최종 반전후 가장 늦게 오프셋 전압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주사장치를 가진 트래킹 제어회로에서의 트랙 점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첫번째 반전후에 상기 트래킹 제어회로로부터 상기 오프셋 전압을 다시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점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전압은 상기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첫번째 반전전에 상기 트래킹 제어회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점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전압은 상기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첫번째 반전후에 상기 트래킹 제어회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점핑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수의 트랙을 점핑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점핑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수의 트랙을 점핑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점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 전압은 내측 및 외측의 방사상으로 점핑하는 방향에 따라 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점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증폭기의 출력 신호는 상기 정보매체상의 데이타를 주사할 때 상기 제1광빔에 의하여 발생된 고주파 신호의 레벨에 따른 반전 시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점핑 방법.
  9. 정보매체에 보내지고 상기 정보매체로부터 반사되는 제1 및 제2광빔과 광학주사장치를 가진 트래킹 제어회로에서 트랙 점핑을 위한 트랙킹 조정장치에 있어서, 제1광빔을 수신하고 하나의 출력을 가지는 제1광검출기와; 상기 제2광빔을 수신하고 하나의 출력을 가지는 제2광검출기와; 상기 정보매체상에서 주사될 트랙의 실제 주사위치와 트랙의 중심 위치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현파형 트래킹 에러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광검출기의 출력을 감산하는 수단과; 트래킹 에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입력을 가지는 제어 증폭기와; 정보매체상의 데이타를 트래킹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매체상에 입사되는 광빔이 트랙중심에서 소정량만큼 변위되어 주사되는 트랙상에 부분적으로 방사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주사되는 트랙 및 인접트랙 사이의 공간에 부분적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크기의 오프셋 량을 가지는 양 또는 음의 오프셋 전압을 다수의 트랙을 가로질러 점핑하기 위하여 발생시키며, 상기 제어 증폭기의 제2입력에 접속된 출력을 가지는 발생기 수단과; 트랙 점핑 시작시 상기 트래킹 제어회로에 상기 오프셋 전압을 제공하게 하고, 제어 증폭기 출력신호의 첫 번째 반전후 가장 먼저 그리고 최종반전후 가장 늦게 트래킹 제어회로로부터 상기 오프셋 전압을 분리하게 하는 제어수단과; 점핑된 트랙수의 2배만큼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인버터 수단과; 상기 제어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입력을 가진 제어가능한 스위치와; 광빔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의 제1출력에 직접 접속된 트래킹 제어회로내의 조정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 수단은 상기 스위치의 제2출력과 상기 조정 엘리먼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발생기 수단에 접속된 제1출력 및 상기 스위치의 제어입력에 접속된 제2출력을 가지며, 상기 트래킹 제어회로는 트랙 점핑중에 폐회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조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반전수를 계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회로내에 카운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조정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고주파 신호가 소정 임계값에 상응하는 레벨에 도달할때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신호를 공급하는 고주파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조정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반전수를 계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회로내에 카운터 수단을 포함하며, 고주파 신호가 소정 임계값에 대응하는 레벨에 도달할때 상기 제어 증폭기 출력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신호를 제공하는 고주파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조정 장치.
  13. 제1 및 제2광빔을 정보매체에 보내고 정보매체로부터 제1 및 제2광빔을 받는 단계와; 하나의 출력을 가진 개별 광검출기에 각각의 반사 광빔을 보내는 단계와; 상기 정보매체상에서 주사될 트랙의 실제 주사 위치와 트랙 중심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형파형 트래킹 에러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광검출기의 출력을 감산하는 단계와; 상기 트래킹 에러 신호를 제어 증폭기에 입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어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상기 트래킹 제어 회로의 조정 엘리먼트에 입력시키는 단계와; 정보매체상의 데이타를 트래킹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매체에 입사된 광빔이 트랙중심에서 소정량 만큼 변위되어 주사되는 트랙상에 부분적으로 방사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주사되는 트랙 및 인접트랙 사이의 공간에 부분적으로 방사되도록 하는 크기를 가지는 오프셋 전압을 다수의 트랙을 점핑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단계와; 트랙 점핑 시작시 상기 오프셋 전압을 트래킹 제어회로에 제공하는 단계와; 점핑된 트랙수의 두배만큼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단계와; 트랙 점핑중 상기 트래킹 제어회로가 폐회로를 유지하도록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첫번째 반전후 가장 먼저 그리고 최종반전후 가장 늦게 상기 트래킹 제어회로로부터 상기 오프셋 전압을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의 첫번째 반전후 상기 트래킹 제어회로로부터 상기 오프셋 전압을 다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셋 전압은 방사방향의 안쪽 및 바깥쪽으로 점핑하는 방향에 따라 극성을 가지며, 상기 제어 증폭기 출력 신호는 상기 정보매체상의 데이타를 주사할때 제1광빔에 의하여 발생된 고주파 신호 레벨에 따르는 반전시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주사 장치를 가지는 트래킹 제어 회로에서의 트랙 점핑 방법.
KR1019900007199A 1989-05-20 1990-05-19 트랙 점핑을 위한 방법 KR0182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916462.4 1989-05-20
DE3916462A DE3916462A1 (de) 1989-05-20 1989-05-20 Verfahren zum spurspri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929A KR900018929A (ko) 1990-12-22
KR0182765B1 true KR0182765B1 (ko) 1999-04-15

Family

ID=638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199A KR0182765B1 (ko) 1989-05-20 1990-05-19 트랙 점핑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66915A (ko)
EP (1) EP0399225A1 (ko)
JP (2) JP3196849B2 (ko)
KR (1) KR0182765B1 (ko)
DE (1) DE3916462A1 (ko)
DK (1) DK123890A (ko)
HU (1) HUT53976A (ko)
MY (1) MY1057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9164A (ja) * 1995-04-04 1996-10-22 Sharp Corp 情報記憶媒体駆動装置
US5978329A (en) * 1995-06-07 1999-11-02 Discovision Associates Technique for closed loop servo operation in optical disc tracking control
JP3707835B2 (ja) * 1995-08-10 2005-10-19 株式会社東芝 光ディスク装置
EP0777218B1 (en) 1995-12-06 2001-05-16 Discovision Associates Apparatus and method for focus control
US5689485A (en) 1996-04-01 1997-11-18 Discovision Associates Track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0288781B1 (ko) * 1997-11-27 2001-05-02 구자홍 광픽업의 이동거리 결정장치 및 결정방법
US6067279A (en) * 1997-12-12 2000-05-23 Micron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skipping and/or playing tracks on a cd or a dvd
US6011760A (en) * 1997-12-12 2000-01-04 Micron Electronics, Inc. Method for skipping and/or playing tracks on a CD or a DV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1436A (en) * 1981-05-01 1982-11-08 Toshiba Corp Optical disc device
JPS58143472A (ja) * 1982-02-22 1983-08-26 Hitachi Ltd 記録情報再生装置のトラツキングサ−ボ制御装置
JPS61977A (ja) * 1984-06-13 1986-01-06 Pioneer Electronic Corp トラツキングサ−ボ装置
US4858214A (en) * 1985-02-15 1989-08-15 Canon Kabushiki Kaisha Tracking control apparatus
JPS63237269A (ja) * 1987-03-25 1988-10-03 Sony Corp トラツクカウント装置
US4779251A (en) * 1987-06-12 1988-10-18 Optimem Optical disk memory system with closed loop micro-jump between adjacent tracks
JP2562195B2 (ja) * 1989-01-10 1996-12-11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トラックカウ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929A (ko) 1990-12-22
DK123890A (da) 1990-11-21
MY105739A (en) 1994-11-30
JPH0363940A (ja) 1991-03-19
DK123890D0 (da) 1990-05-18
EP0399225A1 (de) 1990-11-28
HU903093D0 (en) 1990-09-28
JP3196849B2 (ja) 2001-08-06
HUT53976A (en) 1990-12-28
JP2001243640A (ja) 2001-09-07
DE3916462A1 (de) 1990-11-22
US5166915A (en) 199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30420A (en) Tracking servo circuit for an optical pick-up
US5146440A (en) Track search apparatus
US6181651B1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0182765B1 (ko) 트랙 점핑을 위한 방법
US6198706B1 (en) Optical format compatible recording and/or playback device
KR970000409B1 (ko) 광학 스캐닝 장치의 트래킹 제어회로
KR910005641B1 (ko) 디스크 재생장치
EP0117715B1 (en) Optical disc players
KR960016140B1 (ko) 데이타 재생장치에서의 트랙점프 방법
KR100227668B1 (ko) 검출회로 및 방법
KR0181731B1 (ko) 마크를 계수하기 위한 방법
EP0471917A2 (en) Tracking servo system
US5327410A (en) Direction-determination logic as for a signal pickup in recorded signal recovery apparatus
KR960013487B1 (ko) 데이타 재생장치
JP2589072B2 (ja) デイスク再生装置
US5375107A (en) Track error control signal generation apparatus as for a disc player
KR0178008B1 (ko) 주사기의 이동방향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0293522B1 (ko) 광픽업장치
JP2563511B2 (ja) トラック検索装置
JPH05182200A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1142535A (ja)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の自動焦点引込み回路
HU209536B (en) Circuit arrangement for suppressing disturbing high frequency signal component superimposed on the servo signals
JPS61210524A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S60251529A (ja) 光学式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1209948A (ja) ディスクアクセ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