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731B1 - 마크를 계수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마크를 계수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731B1
KR0181731B1 KR1019920700711A KR920700711A KR0181731B1 KR 0181731 B1 KR0181731 B1 KR 0181731B1 KR 1019920700711 A KR1019920700711 A KR 1019920700711A KR 920700711 A KR920700711 A KR 920700711A KR 0181731 B1 KR0181731 B1 KR 0181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ing head
counter
tracks
value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4289A (ko
Inventor
귄터 그라임
프리드리히 퓔트너
베른트 레클라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아인젤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아인젤,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아인젤
Publication of KR92070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4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oving Of Head For Track Selection And Chang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Optical Head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Holo Graphy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크, 예를들면 기록체의 데이타 트랙을 계수하기 위한 카운터에 관한 것이다. 픽업에 의해 지나가는 마크, 예를들면 광 기록 매체의 광빔에 의해 주사된 데이타 트랙을 계수하기 위해, 카운팅 펄스는 업다운 카운터에 제공된다. 방향성 논리회로는 픽업의 운동방향에 따라 업다운 카운터의 카운팅 방향을 정한다. 데이타 트랙을 계수할 때 에러를 피하기 위해, 카운팅 펄스의 위상 위치와 방향성 논리회로의 출력신호의 위상위치가 고려되어야 한다. 카운팅 펄스와 방향성 논리회로의 출력신호의 위상 위치에 따라서 주사된 마크 또는 트랙의 수를 계수하기 위해, 카운팅 펄스(ZI)는, 픽업 또는 광빔이 원하던 방향으로 마크 또는 트랙을 지나갈 경우, 제1의 카운터(ZI)에 제공된다. 그에 반해 픽업이 원하지 않던 방향으로 마크를 지날 경우, 카운팅 펄스(ZI)가 제2카운터(Z2)의 카운팅 입력단자(V)에 인가된다. m개 마크를 스킵하도록 제1카운터(ZI)가 정해진 제1값에 세트되는 반면, 제2카운터(Z2)는 정해진 제2값에 세트된다. 카운팅 상태가 같을 경우 픽업 또는 광빔이 정지한다. CD-플레이어,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DRAW-디스크-플레이어, 자기광학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서, 기계적 또는 무접촉으로 주사되는 마크 또는 데이타 트랙을 계수하기 위한 카운터.

Description

마크를 계수하기 위한 방법
제1도 내지 제4도는 레이저빔을 데이타 트랙상에 트래킹하는 방법에 대한 개략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광빔이 원하는 방향으로, 예를들면 디스크의 중심쪽으로 방사상으로 스킵할 때, HF-신호의 포락선으로부터 계수 펄스원(ZI)에 의해 얻어진 계수 펄스는, 각 트랙의 횡단방향을 지시하는 방향결정 논리회로(RL)에 의해 제어되는 전환 스위치(US)에 의해 n-비트-계수기(Z1)의 계수 입력단자(V)에 제공된다. 그에 반해, 광빔이 진동 또는 충격 때문에 반대방향으로, 예를들면 디스크 에지쪽으로 방사방향으로 스킵할 때, 계수 펄스는 제어가능한 전환스위치(US)에 의해 n-비트-계수기(Z2)의 계수 입력단자(V)에 제공된다. n-비트-계수기(Z1) 및 n-비트-계수기(Z2)의 출력단자는, 이 계수기(Z1, Z2)의 두 개의 등가 출력단자가 하나의 등가 게이트(equivalence gate), 즉 비교기의 2개의 입력단자와 연결되도록, n 등가 게이트(E1 내지 En)로 이루어진 체인(chain)에 연결된다. 등가 게이트(E1 내지 En)의 출력단자는 NAND-게이트(N)의 입력단자와 연결된다.
광빔이 예를들면 200개의 트랙을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스킵해야할 경우, 계수기(Z2)는 200으로 세트되는 반면, 계수기(Z1)은 0으로 세트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프로세서(M)가 2개의 계수기(Z, Z2)의 서로 연결된 세팅 입력 단자(L)에 펄스를 제공한다. 계수기(Z1)의 계수 입력단자(V)가 HF-신호의 포락선으로부터 얻어진 계수 펄스를 수신하기 때문에, 계수기는 0부터 상향으로 계수한다. 계수기(Z2)의 상태는 200으로 유지되는데, 이는 계수기(Z2)가 계수 펄스를 수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2개의 계수기(Z1, Z2)의 등가 출력단자에서의 비트들은 n 등가 게이트(E1 내지 En)에서 서로 비교된다. 2개의 계수기(Z1, X2)의 출력단자에서의 모든 등가 비트가 서로 일치할 경우에 비로소, -2개의 계수기가 동일한 상태에 있는 경우- 모든 등가 게이트(E1 내지 En)가 이의 출력단자에 논리값 0을 제공한다. NAND-게이트(N)는, 광빔이 200 트랙을 스킵하고 원하는 트랙에 도착해 멈추도록 하는 논리값 1을 출력단자에 제공한다.
몇몇의 광픽업에 있어서 m개의 트랙을 스킵하기 위한 제2의 계수기(Z2)의 상태가 m으로 세트되는 것이 아니라 더 작은 값으로 세트된다. 광빔이 정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들면 10개의 트랙을 필요로 할 경우, 계수기(Z2)는 m-10으로 세트된다. 따라서, 목표 트랙 앞의 10개의 트랙은 광빔을 정지시키기 시작하여, 원하는 트랙에서 광빔이 정지한다. 계수기(Z2)에 세트될 값은 광픽업 및 제어회로의 종류에 따른다. 그것은 예를들면 경험적으로 정해진다.
빔이 200개의 트랙을 스킵하는 동안, 진동으로 인해 잘못된 방향으로 몇 개의 트랙을 스킵할 수 있다. 차량에 내장된 CD-플레이어는 상기와 같은 진동 및 충격에 영향을 받는다.
광빔이 이미 50개 트랙을 정상적인 방향으로 스킵한 후, 예를들면 노면의 구덩이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충격 때문에 10개 트랙을 잘못된 방향으로 -외측 방사 방향으로- 횡단해 가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방향결정 논리회로(RL)가 광빔의 방향 전환을 인식하기 때문에, 방향결정 논리회로(RL)가 제어가능한 전환스위치(US)를 작동시키므로, 계수기(Z2)는 10개의 계수 펄스를 수신한다. 방향결정 논리회로(RL)는 계수 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어신호에 응답하는 수단으로써 동작한다. 따라서, 이 계수기(Z2)의 상태는 210)으로 높아진다. 상기 예에서 10개의 트랙을 취한 충격이 사라지자마자, 광빔은 다시 정상의 방향으로 안쪽으로 이동한다. 방향결정 논리회로(RL)는 제어가능한 전환스위치(US)를 전환시켜 계수 펄스가 다시 계수기(Z1)에 제공되도록 한다. 그러나, 계수기(Z2)의 상태가 200에서 210으로 높아졌기 때문에, 계수기(Z1)가 210으로 계수할 경우에 비로소, 광빔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가 주어진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광빔은 계수기(Z2)의 상태가 200에서 210으로 10개 상승되지 않은 경우처럼, 원하는 트랙에 도달하며 그 앞의 10개의 트랙에 도착하지 않을 때까지 정지하지 않는다.
그러나, 바라던 곡을 찾기 위한 CD-플레이어의 경우 1000개 이상의 트랙에 대한 스킵이 필요하기 때문에, 계수기 및 등가 게이트에 대한 비용이 급속히 증가한다. 1000개의 트랙을 스킵하기 위해 2개의 10비트 계수기 및 10개의 등가 게이트가 필요하다. 그러나, 계수기 및 게이트에 대한 비용을 가능한한 작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는, 많은 트랙이 2개의 9-비트 계수기에 의해 스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기에 기재된 것처럼, 이는 지연단 및 플립플롭을 통해 보충된다.
NAND-게이트(N)의 출력단자는 RS-플립플롭(FF)의 리세트 입력단자(R)와 연결되며, RS-플립플롭(FF)의 Q-출력단자는 광빔을 정지시키는 신호(LS)를 출력하며, 계수기(Z1)의 9번째 비트를 리세트하는 입력단자(G)와 계수기(Z2)의 9번째 비트를 세트하는 입력단자(H)에 연결된다. 계수기(Z2)의 계수 입력단자(V)는 NOR-게이트(N1, N2)의 제2의 입력단자와 연결된다. NOR-게이트(N1)의 출력단자는 NAND-게이트(N)의 하나의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반면, NOR-게이트(N2)의 출력단자는 RS-플립플롭(FF)의 세트입력단자(S)와 연결된다.
예를들면, 광빔이 700개의 트랙을 어떻게 스킵하는지를 설명한다. 광빔이 현재 위치, 예를들면 CD-디스크상의 첫 번째 곡의 시작부터 이용자가 듣고 싶어하는 세 번째 곡으로 스킵하기 위해, CD-플레이어의 마이크로프로세서(M)는 공지의 방식으로, 광빔의 현재 위치와 원하는 곡의 시작점 사이에 몇 개의 트랙이 있는지를 계산한다. 광빔의 현재 위치와 원하는 위치 사이에 있는 트랙의 수가 상기 예에서 700개에 달한다고 가정했다.
700개를 계수하기 위해, 9-비트-계수기는 256을 2번, 188을 1번 계산하여야 하는데, 이는 2·256(28)+188은 70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M)는 700개의 트랙의 수에 응답하여 700개의 트랙의 수를 2·28+188로 인수분해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계수기(Z2)는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M)에 의해 188로 세트되고 계수기(Z1)는 0으로 세트된다. 그렇게해서 계수기(Z1)는 계수하기 시작한다. 188개의 계수 펄스가 계수기(Z1)에 제공되면 2개의 계수기(Z1, Z2)의 상태는 처음으로 같아진다. 이와같은 상태를 n 등가 게이트(E1 내지 En)가 지시할 때 RS 플립플롭은 리세트된다. RS 플립플롭의 Q 출력단자의 음의 펄스는, 계수기(Z2)의 9번째 비트가 1에, 계수기(Z1)의 9번째 비트가 0에 세트되도록 한다. 계수기(Z1)는 그것이 256개의 계수 펄스를 수신한 후 계수기(Z2)와 같은 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그리고 RS 플립플롭(FF)이 동일한 상태에서 두 번째로 음의 펄스를 Q-출력단자에서 출력할때까지 계속 계수한다. 따라서, 9번째 비트는 계수기(Z2)에서 1에, 그에 반해 계수기(Z1)에서 0에 세트된다. 그다음에 256개의 계수 펄스가 계수기(Z1)에 제공된후 2개의 계수기(Z1, Z2)의 상태가 다시 같아지기 때문에, RS 플립플롭은 3번째로 음의 펄스, 즉 정지신호(LS)를 Q 출력단자에서 출력한다. 이 제3의 음의 펄스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188이 1번 그리고 256이 2번 모두 700의 펄스가 계수된 것을 인식한다.
700 트랙을 스킵하는 동안 광빔은, 예를들면 충격으로 인해 잘못된 방향으로 스킵하는 경우,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계수기(Z2)의 상태는 광빔이 잘못된 방향으로 전체 트랙을 스킵한 만큼 높아진다. 이는 광빔이 울퉁불퉁한 길에서 많은 트랙을 스킵할 때 잘못된 방향으로 여러번 스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경우에 계수 상태의 잘못된 평가를 피하기 위해서, 동일한 상태에서 계수기(Z1)의 최상위 비트가 0에, 그에 반해 계수기(Z2)의 비트는 1에 세트된다. 188개의 계수 펄스후에 계수 상태가 처음으로 같아질 경우, 계수기(Z1)는 광빔이 원하던 방향으로 트랙을 갈 때까지 계속 계수한다. 그러나, 예를들면, 12개의 트랙후 계수기(Z1)의 200 계수 상태에서 진동으로 인해 20 트랙 정도 바라지 않던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계수기(Z2)는 188부터 188+20=208을 계수한다. 그러나, 188의 동일 상태에서 계수기(Z1)의 최상위 비트는 0에, 계수기(Z2)의 최상위 비트는 1에 세트되지 않을 경우, 200에서 계수 상태는 같아진다. 상기의 방법이 없더라도 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제공된다. 광빔이 진동후 트랙을 다시 원하던 방향으로 가기 때문에, 계수기(Z1)는 200부터 상향으로 계수한다. 그러나, 계수기(Z2)의 계수 상태가 진동으로 인해 188개가 아닌 208개에 달하기 때문에, 3번째로-현재 계수기(Z1)의 208의 계수 상태에서-188의 계수기의 동일 상태에서 계수기(Z1)의 최상위 비트가 0에, 계수기(Z2)의 최상위 비트는 1에 세트되지 않을 경우, 광빔이 출발점부터 계산하여 200 트랙을 원하던 방향으로 간다 하더라도 동일힌 계수 상태가 검출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제어가능한 전환 스위치(US)는, 계수 펄스가 광빔의 원하던 이동방향 및 실제 이동방향에 따라 계수기(Z1, Z2)에 제공되도록 그 기능이 확대될 수 있다.
제7도에는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광빔이 방사방향으로 내측으로 움직일 경우, AND-게이트(U1)의 제1의 입력단자에 계수 펄스(ZI1)가 제공되는 반면, 광빔이 방사방향으로 외측으로 이동할 경우, AND-게이트(U2)의 제1의 입력단자에 계수 펄스(ZI2)가 제공된다. 2개의 AND-게이트(U1, U2)의 서로 연결된 제2의 입력단자들이 인버터(I1)의 출력단자와 연결된다.
AND-게이트(U1)의 출력단자는 2개의 AND-게이트(U3, U4)의 제1입력단자와 연결된다. AND-게이트(U2)의 출력단자는 2개의 AND-게이트(U5, U6)의 제1의 입력단자와 연결된다. 인버터(I2)의 입력단자는 AND-게이트(U4, U6)의 제2의 입력단자와 연결되고, 인버터(I2)의 출력단자는 AND-게이트(U3, U5)의 제2의 입력단자와 연결된다. OR-게이트(O1)의 제1의 입력단자는 AND-게이트(U4)의 출력단자와 연결되며, OR-게이트(O1)의 제2의 입력단자는 AND-게이트(U5)의 출력단자와 연결되고, OR-게이트(O1)의 출력단자는 계수기(Z2)의 계수 입력단자(V)와 연결된다. OR-게이트(O2)의 제1의 입력단자는 AND-게이트(U3)의 출력단자와 연결되며, OR-게이트의 제2의 입력단자는 AND-게이트(U6)의 출력단자와 연결되고, OR-게이트(O2)의 출력단자는 계수기(Z1)의 계수 입력단자(V)와 연결된다.
인버터(I1)의 입력단자에서 논리값 1에 의해 모든 AND-게이트(U1 내지 U6)가 차단되기 때문에, 계수기 역시 차단된다. 그에 반해 인버터(I1)의 입력단자에서 논리값 0은 계수 펄스를 위한 AND-게이트(U1, U2)를 차단하지 않는다. 인버터(I2)의 입력단자에서 또한 AND-게이트(U4, U6)의 제2의 입력단자에서 논리값 1은, AND-게이트(U1)의 제1입력단자에 제공된 계수 펄스가 계수기(Z2)에 제공되도록 하며, 그에 반해 AND-게이트(U2)의 제1입력단자에 제공된 계수 펄스가 계수기(Z1)에 제공되도록 한다.
인버터(I2)의 입력단자가 논리값 0일 때, 계수 펄스를 위한 단자가 반전된다. AND-게이트(U1)의 제1입력단자에 인가된 계수 펄스는 계수기(Z1)에 도달하는 반면에, AND-게이트(U2)의 제1의 입력단자에 인가된 계수 펄스는 계수기(Z2)에 도달한다.
원하는 스킵의 방향이 방사방향으로 안쪽으로 되어있는 경우, 제7도에 도시된 제3의 실시예에서는 인버터(I2)의 입력단자에 논리값 1이 제공된다. 그에 반해, 원하는 스킵의 방향이 방사방향으로 외측으로 되어 있는 경우 인버터(I2)의 입력단자에 논리값 0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마크를 계수하기 위한 계수기에 적합하다. 마크 또는 데이타 트랙이 기계적으로 또는 무접촉으로 감지되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한 유니트, 예를들면 픽업을 위치시키기 위한 회로에서 본 발명은 유리한 방법으로 이용된다. 상기 유니트는 마크를 광학적으로 감지하고 계수하기 위해 위치된다. 본 발명은 특히 트래킹 회로에, 예를들면 CD-플레이어,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DRAW-디스크-플레이어 또는 자기 광학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픽업에 의해 주사된 마크를 계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어 CD-플레이어,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 DRAW-디스크-플레이어 또는 자기-광학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예를들면 광픽업을 가지고 있다.
광 주사장치, 소위 광픽업의 구조와 기능은 Electronic components Applications Vol. 6, No. 4, 1984, 209-215 쪽에 개시되어 있다.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사된 광빔은 렌즈에 의해 CD디스크상에 포커싱된 다음 그곳으로부터 광검출기로 반사된다. 포커싱 회로 및 트래킹회로에 대한 실제값과 CD상에 기록된 데이타는 광검출기의 출력신호로부터 얻어진다. 상기 문헌에서는 포커싱 회로에 대한 기준값과 실제값의 편차를 포커싱 에러로 기술하는 반면에, 트래킹 회로에 대한 기준값과 실제값의 편차에 대해서는 방사상 트래킹 에러(radial tracking error)로 기술한다.
포커싱 회로용 조절부재로서 코일이 이용되고, 대물렌즈는 코일의 자기장에 의해서 광축을 따라서 이동한다. 포커싱 회로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부터 방사된 광빔을 CD상에 포커싱하기 위해서 렌즈를 전후로 이동시킨다. 종종 방사 구동 메카니즘이라 불리는 트래킹 회로는 디스크상에서 광픽업을 방사상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광빔은 CD상의 나선형 데이타 트랙 위를 움직인다.
몇몇의 장치의 경우, 방사 구동 메카니즘은 소위 개략 구동 메카니즘과 미세 구동 메카니즘으로 이루어진다. 개략 구동 메카니즘은, 예를들면 다이오드, 렌즈, 프리즘 빔 스플리터 및 광검출기로 이루어진 전체 광픽업을 방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핀들을 포함한다. 미세 구동 메카니즘은 광빔을 방사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예를들면 광빔을 예정된 작은 각만큼 기울어지게 한다. 따라서, 미세 메카니즘을 이용하면, 광빔은 약 1mm의 짧은 거리에서 CD의 반지름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고품질의 재생을 얻기 위해서는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경우의 영상 및 음향, CD 플레이어 경우의 음향 또는 자기 광학 디스크의 경우의 데이타에 상관없이 광빔을 디스크상에 정확하게 포커싱하는 것과 디스크의 데이타 트랙을 따라 정밀하게 트래킹하는 것이 요구된다.
제1도에는 3개의 레이저빔(L1, L2, L3)이 CD 플레이어의 광픽업의 광검출기(PD)상에 포커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레이저빔(L2, L3)은 +1 및 -1 레벨의 회절빔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픽업은 상기 문헌에서는 3-빔-픽업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이는 그것들이 3개의 광빔과 함께 동작하기 때문이다.
광검출기(PD)는 4개의 정사각형 광다이오드(A, B, C, D)로 이루어지고, 이 4개의 정사각형 광다이오드(A, B, C, D)는 더 큰 정사각형으로 배열된다. 4개의 광다이오드(A, B, C, D)로 형성된 정사각형 광다이오드 앞에 직사각형 광다이오드(E)가 제공되는 반면에, 이 정사각형 광다이오드 뒤에는 다른 직사각형 광다이오드(F)가 제공되어 있다. 4개의 광다이오드(A, B, C, D) 상에 포커싱된 중간 레이저 빔(L1)은 데이타 신호(HF=AS+BS+CS+DS) 및 포커싱 에러신호(FE=(AS+CS)-(BS+DS))를 발생시킨다.
전방의 레이저빔(L3)은 광다이오드(E) 상에 방사되며, 후방의 레이저빔(L2)은 광다이오드(F)상에 방사되며, 이 2개의 외측 광빔(L2, L3)은 트래킹 에러 신호(TE=ES-FS)를 발생시킨다. 각 다이오드(A, B, C, D, E, F)의 광전압은 각각 AS, BS, CS, DS, ES 및 FS로 표시된다.
제1도에서 중간 레이저 빔(L1)은 트랙(S)의 중심을 정확하게 따라간다. 따라서, 트래킹 에러 신호(TE)는 0의 값을 가진다.
즉, TE=ES-FS=0.
중간 광빔이 트랙(S)의 중심에서 벗어날 때, 회절된 빔중 하나는 트랙 중심쪽으로 가까이 이동하는 반면에, 다른 회절된 빔은 2개의 트랙(S) 사이의 공간상으로 방사된다. 그러나, 트랙 및 공간의 반사 특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회절된 빔중 하나는 다른 회절빔보다 더 강하게 반사된다.
제2도는 레이저 빔(L1, L2, L3)이 트랙(S)으로부터 우측으로 변위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경우이다. 트랙 에러 신호는 음의 값을 갖는다.
즉, TE=ES-FS0.
트래킹 조절회로의 제어 유니트는 트래킹 에러 신호(TE)가 0이 될 때까지 광픽업을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레이저 빔이 트랙으로부터 좌측으로 변위되어 있다면, 트래킹 에러 신호는 양의 값을 갖는다.
즉, TE=ES-FS0.
이때, 트래킹 조절회로의 제어 유니트는 트래킹 에러 신호(TE)가 0으로 될 때까지 우측으로 광픽업을 이동시킨다. 이와같은 경우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광빔(L1) 및 연관된 회절빔(L2, L3)이 다수의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면, 트래킹 에러 신호(TE)는 제4도에 도시된 정현파 형태로 가정된다.
JP-OS 60 10429에는, 광빔이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는지의 여부를 HF 신호의 상부 및 하부 포락선으로 인식하는 트래킹 조절회로가 공지되어 있다. 광빔이 다수의 데이타 트랙을 횡단한다면, HF 신호는 2개의 트랙 사이에서 일정하게 감쇠된다.
광빔이 횡단한 트랙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HF 신호의 포락선은 상향-하향 계수기의 계수 입력 단자에 공급되는 펄스형 신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HF 신호의 감쇠는 상향-하향 카운터에 의해 계수된다.
광빔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소위 방향결정 논리회로가 필요하다. 예를들면, D-플립플롭의 D-입력단자에 트래킹 에러신호(TE)를 그리고 D-플립플롭의 클럭 입력단자에 HF-신호의 포락선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D-플립플롭은, 광빔이 데이타 트랙을 횡단할 때 그것의 클럭 입력단자에서 항상 펄스를 수신한다. 그러나, 트래킹 에러신호(TE)의 선행 부호는 광빔이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에 따르기 때문에, D-플립플롭은 한 방향의 경우 그것의 출력이 하이(HIGH)로 세트되고 다른 방향의 경우에는 그것의 출력이 로우(LOW)로 세트된다. 따라서, D-플립플롭의 Q-출력단자에서의 신호는 상향-하향 계수기의 계수 방향(상향 또는 하향)을 결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향-하향 계수기는 어느 한 방향의 경우에는 상향으로 계수하는 반면에, 다른 방향의 경우에는 하향으로 계수한다.
그러나, 이와같이 공지된 트래킹 회로의 단점으로는 광빔이 방향을 반전하는 경우 계수 펄스 및 트래킹 에러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의 위상 상태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는 위상의 상태가 양호하지 않을 경우 에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크 또는 데이타 트랙을 계수하기 위한 방법에서 에러율을 줄이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매체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트래킹 헤드가 횡단할 선택된 트랙의 수를 나타내는 제1계수값을 설정하고 트래킹 헤드가 원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데이타 트랙을 횡단할 때마다 상기 제1계수값을 증가/(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수와 동일한 양만큼 상기 제1계수값과 다른 제2계수값을 설정하고 상기 트래킹 헤드가 상기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데이타 트랙을 횡단할 때마다 상기 제2계수값을 증가/(감소)시키는 단계와, 증가/(감소)된 제1 및 제2계수값을 비교하여 상기 증가/(감소)된 제1 및 제2계수값이 동일할 때 상기 트래킹 헤드에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래킹 헤드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Claims (6)

  1. 기록/재생장치의 트래킹 헤드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기록매체상에서 선택된 수의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도록 상기 트래킹 헤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수를 나타내는 제1계수값을 설정하고 상기 트래킹 헤드가 상기 원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데이타 트랙을 횡단할 때마다 상기 제1계수값을 증가/(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와 동일한 양만큼 상기 제1계수값과 다른 제2계수값을 설정하고 상기 트래킹 헤드가 상기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데이타 트랙을 횡단할 때마다 상기 제2계수값을 증가/(감소)시키는 단계; 및 증가/(감소)된 제1 및 제2계수값을 비교하여 상기 증가/(감소)된 제1 및 제2계수값이 동일할 때 상기 트래킹 헤드가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헤드를 제어하는 방법.
  2. 기록/재생장치의 트래킹 헤드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기록매체상에서 선택된 수의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도록 상기 트래킹 헤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X, k 및 R이 정수이고 R이 X2k을 뺀 상기 선택된 수의 나머지인 관계식 X2k+R으로 상기 선택된 수를 인수분해하며, 차이 R을 가진 제1 및 제2계수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헤드가 상기 원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데이타 트랙을 횡단할 때마다 상기 제1계수값을 증가/(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트래킹 헤드가 상기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데이타 트랙을 횡단할 때마다 상기 제2계수값을 증가/(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증가/(감소)된 제1 및 제2계수값을 비교하여 상기 증가/(감소)된 제1 및 제2계수값이 동일할 때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헤드가 원하는 방향으로 R개의 트랙을 횡단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제어신호를 감시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헤드가 원하는 방향으로 2k개의 트랙을 횡단했다는 것을 제어신호가 지시할 때마다 상기 제1 및 제2계수값을 차이 2k으로 연속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킹 헤드가 원하는 방향으로 2k트랙을 횡단했다는 것을 제어신호가 지시할때마다 2k트랙의 수를 계수하여 상기 2k트랙의 수가 X개로 지시되면 상기 트래킹 헤드에 정지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헤드를 제어하는 방법.
  3. 기록/재생장치의 트래킹 헤드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기록매체상에서 선택된 수의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도록 상기 트래킹 헤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헤드가 관성 때문에 표동할 수 있는 데이타 트랙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M에서 상기 선택된 수의 데이타 트랙을 뺀 값과 동일한 값으로 상기 선택된 수를 나타내는 제1계수값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트래킹 헤드가 상기 원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데이타 트랙을 횡단할 때마다 상기 제1계수값을 증가/(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선택된 수와 동일한 양만큼 상기 제1계수값과 다른 제2계수값을 설정하고, 상기 트래킹 헤드가 상기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데이타 트랙을 횡단할 때마다 상기 제2계수값을 증가/(감소)시키는 단계; 및 증가/(감소)된 제1 및 제2계수값을 비교하여 상기 증가/(감소)된 제1 및 제2계수값이 동일할 때 상기 트래킹 헤드가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래킹 헤드를 제어하는 방법.
  4. 기록/재생장치의 트래킹 헤드가 기록매체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트래킹 헤드가 횡단하는 데이타 트랙의 수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헤드가 횡단하는 것을 지시하는 계수 펄스원(ZI); 상기 트래킹 헤드가 상기 각각의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방향결정 논리회로(RL); 계수값을 출력하기 위한 각각의 출력포트와 상기 계수펄스를 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입력단자(V)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입력단자(V)에 수신된 상기 계수펄스에 응답하여 각각의 계수값을 증가/감소시키는 제1 및 제2계수기(Z1, Z2); 제1 및 제2계수값이 상기 데이타 트랙의 수에 대응하는 차이를 나타내도록 상기 제1 및 제2계수기의 제1 및 제2계수값을 미리설정하는 수단(M);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트래킹 헤드가 제1방향으로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는 것을 상기 제어신호가 지시할 때 상기 제1계수기(Z1)에 계수 펄스를 공급하며 상기 트래킹 헤드가 데이타 트랙을 제2방향으로 횡단하는 것을 상기 제어신호가 지시할 때 상기 제2계수기(Z2)에 계수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US); 및 상기 제1 및 제2계수기(Z1, Z2)에 의해 공급된 계수값의 동일성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계수기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비교기 수단(E1, …, E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트랙의 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5. 기록/재생장치의 트래킹 헤드가 기록매체상에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트래킹 헤드가 횡단하는 데이타 트랙의 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래킹 헤드가 각각의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는 것을 지시하는 계수 펄스원(ZI); 상기 트래킹 헤드가 상기 각각의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는 방향을 지시하는 제어신호원(RL); 계수값을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출력포트와 계수펄스를 수신하기 위한 각각의 입력단자(V)를 가지며, 상기 각각의 입력단자(V)에 수신된 상기 계수펄스에 응답하여 각각의 계수값을 증가/감소시키는 제1 및 제2계수기(Z1, Z2); 상기 트랙의 수에 응답하여 k가 정수이고 2k가 상기 제1 및 제2계수기(Z1, Z2)에 의해 공급될 수 있는 최대 계수값보다 작은 값인 관계식=X2k+R으로 상기 트랙의 수를 인수분해하고, 상기 계수값에 대응하는 정수 X 및 R를 설정하며, 상기 제1 및 제2계수기의 계수값을 R과 동일한 차이로 미리 설정하는 수단(M);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트래킹 헤드가 제1방향으로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는 것을 상기 제어신호가 지시할 때 상기 제1계수기(Z1)에 계수 펄스를 공급하며 상기 트래킹 헤드가 제2방향으로 데이타 트랙을 횡단하는 것을 지시할 때 상기 제2계수기(Z2)에 계수 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US); 상기 제1 및 제2계수기(Z1, Z2)에 의해 공급된 계수값의 동일성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계수기(Z1, Z2)의 출력단자에 접속된 비교기 수단(E1, …, En); 및 상기 비교기 수단이 동일성을 지시할 때 상기 제1 및 제2계수기의 계수값을 차이 2k로 리세트하기 위한 수단(FF)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트랙의 수를 제어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트하기 위한 수단(FF)은, 상기 트래킹 헤드가 2k트랙을 횡단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동일성을 상기 비교기 수단이 지시할 때마다 상기 계수값을 차이 2k로 리세트하며, 상기 트래킹 헤드가 X개의 2k트랙을 횡단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X개의 동일성을 상기 비교기 수단이 지시할 때 정지신호(LS)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타 트랙의 수를 제어하는 장치.
KR1019920700711A 1989-09-30 1990-09-20 마크를 계수하기 위한 방법 KR0181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932833.3 1989-09-30
DE3932833A DE3932833A1 (de) 1989-09-30 1989-09-30 Zaehlvorrichtung
PCT/EP1990/001599 WO1991005339A1 (de) 1989-09-30 1990-09-20 Zähl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4289A KR920704289A (ko) 1992-12-19
KR0181731B1 true KR0181731B1 (ko) 1999-05-01

Family

ID=63906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711A KR0181731B1 (ko) 1989-09-30 1990-09-20 마크를 계수하기 위한 방법
KR1019920000711A KR930016552A (ko) 1989-09-30 1992-03-30 알루미늄이 포함된 페품 포장재로 부터 분말알루미늄의 회수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711A KR930016552A (ko) 1989-09-30 1992-03-30 알루미늄이 포함된 페품 포장재로 부터 분말알루미늄의 회수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313440A (ko)
EP (1) EP0494905B1 (ko)
JP (1) JP3145109B2 (ko)
KR (2) KR0181731B1 (ko)
CN (1) CN1020515C (ko)
AT (1) ATE114379T1 (ko)
AU (1) AU6440190A (ko)
DD (1) DD298324A5 (ko)
DE (2) DE3932833A1 (ko)
ES (1) ES2064765T3 (ko)
FI (1) FI921366A0 (ko)
HK (1) HK8196A (ko)
HU (1) HU215663B (ko)
MY (1) MY107291A (ko)
TR (1) TR24665A (ko)
WO (1) WO1991005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0535A (en) * 1993-06-15 1995-08-08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of counting tracks on disk and track counter circuit therefor
JPH07169064A (ja) * 1993-12-16 1995-07-04 Sharp Corp マルチビーム記録再生装置
US5543697A (en) * 1994-10-27 1996-08-06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motor
UA78923U (en) 2012-07-30 2013-04-10 Олег Андреевич Сеник Backpack "vp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6766A (en) * 1974-11-25 1976-05-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unter resetting circuitry for magnetic disk system
US4484319A (en) * 1980-09-19 1984-1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locating a track on disc-like optical information carriers
JPH0479035A (ja) * 1990-07-20 1992-03-12 Pioneer Electron Corp トラッキングサー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007779D1 (de) 1995-01-05
CN1020515C (zh) 1993-05-05
DE3932833A1 (de) 1991-04-11
DD298324A5 (de) 1992-02-13
KR930016552A (ko) 1993-08-26
HUT61116A (en) 1992-11-30
US5313440A (en) 1994-05-17
JPH05500578A (ja) 1993-02-04
EP0494905A1 (de) 1992-07-22
HK8196A (en) 1996-01-26
ATE114379T1 (de) 1994-12-15
TR24665A (tr) 1992-03-01
KR920704289A (ko) 1992-12-19
CN1050636A (zh) 1991-04-10
EP0494905B1 (de) 1994-11-23
FI921366A (fi) 1992-03-27
HU9200993D0 (en) 1992-06-29
JP3145109B2 (ja) 2001-03-12
FI921366A0 (fi) 1992-03-27
WO1991005339A1 (de) 1991-04-18
MY107291A (en) 1995-10-31
HU215663B (hu) 1999-02-01
AU6440190A (en) 1991-04-28
ES2064765T3 (es) 1995-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8417B1 (en) Rotation servo circuit in disk player
US6181651B1 (en)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361245A (en) Optical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ct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n optical reading device relative to an optical disk
US5311490A (en) Access controlling device for use in an optical disk drive
KR0181731B1 (ko) 마크를 계수하기 위한 방법
JP2663616B2 (ja) トラック検索装置
US5033041A (en) A tracking circuit for returning an optical beam to a track being scanned on a compact disk after being jarred away
KR0182765B1 (ko) 트랙 점핑을 위한 방법
JP2854131B2 (ja) 光ビームがデータトラックから離れたことを検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光ビームがデータトラックから離れたことを検知するための検知回路
EP0471917B1 (en) Tracking servo system
US5327410A (en) Direction-determination logic as for a signal pickup in recorded signal recovery apparatus
US67447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high-speed search of an optical medium
US5375107A (en) Track error control signal generation apparatus as for a disc player
JPH0248981Y2 (ko)
KR0178008B1 (ko) 주사기의 이동방향 결정 방법 및 장치
JP3193865B2 (ja) 光学的記録媒体のフォーカス制御装置
JP3552130B2 (ja) 光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JP2727631B2 (ja) 速度検出装置
JPH0438063B2 (ko)
JP3959724B2 (ja) 光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284471A (ja) 高速検索装置
JPS6346511B2 (ko)
JPH0793765A (ja) トラッキングサーボ装置
JPH02216624A (ja) 情報処理装置
JPH0778344A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トラックカウント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