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541B1 -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541B1
KR0182541B1 KR1019950046869A KR19950046869A KR0182541B1 KR 0182541 B1 KR0182541 B1 KR 0182541B1 KR 1019950046869 A KR1019950046869 A KR 1019950046869A KR 19950046869 A KR19950046869 A KR 19950046869A KR 0182541 B1 KR0182541 B1 KR 0182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heat transfer
season
heat
low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백
김영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46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541B1/ko
Priority to CN96118536A priority patent/CN1130542C/zh
Priority to JP8325338A priority patent/JP2894605B2/ja
Priority to IT96RM000835A priority patent/IT1289232B1/it
Priority to ES009602583A priority patent/ES2137833B1/es
Priority to US08/760,716 priority patent/US57276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28F1/325Fins with open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454Heat exchange having side-by-side conduits structure or conduit section
    • Y10S165/50Side-by-side conduits with fins
    • Y10S165/501Plate fins penetrated by plural conduits
    • Y10S165/502Lanc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는, 기류가 사이 사이로 유동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평판핀과, 유체가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평판핀에 직각으로 삽입된 복수개의 전열관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의 전방에 설치되어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으로 유동되는 기류가 전열관의 전방을 통과할 때 난기류를 형성시키는 제1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전방에 일정 경사방향으로 상하 대칭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상하측 사이 전방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도록 제1 내지 제4절기를 가진 제2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상하측 사이 중앙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는 제3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후방에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의 경사방향과 반대되는 일정 경사방향으로 상하 대칭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3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상하측 사이 후방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도록 제1 내지 제4절기를 가진 제4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4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후방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면서 전열관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을 유효하게 감소시키는 제5슬릿형 절기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유동되는 기류를 난류 및 혼합시켜 줄 수 있어 열전달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전열관(2)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을 유효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하며, 또 전열관(2)으로 부터 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전열관(2)들의 사이 중앙에 열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제1도는 종래의 열교환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평판핀 주위의 열유체특성을 도시한 확대도.
제3도는 제1도에서 전열관 주위의 열유체특성을 도시한 확대도.
제4도는 종래의 다른 열교환기의 평판핀을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에서 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평판핀을 도시한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B-B선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C-C선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평판핀 2 : 전열관
20a,20b : 제1슬릿형 절기군 30 : 제2슬릿형 절기군
31a,31b : 제1절기 32a,32b : 제2절기
33a,33b : 제3절기 34a,34b : 제4절기
40a,40b : 제3슬릿형 절기군 50 : 제4슬릿형 절기군
51a,51b : 제1절기 52a,52b : 제2절기
53a,53b : 제2절기 54a,54b : 제4절기
60a,60b : 제5슬릿형 절기군 70 : 기반부
80 : 제1다이렉트 절기공간부 81 : 제2다이렉트 절기공간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판핀(fin)에서 복수개의 전열관들의 사이 사이에 복수개의 슬릿(slit)형 절기군을 다이렉트(direct)로 설치하여서 이들을 통과하는 유동기류(예컨대, 공기)가 난류 및 혼합되게 하여 열교환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복수개의 전열관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예컨대, 사류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평판핀(1)과, 상기 평판핀(1)에 직교함과 동시에 갈짓자로 엇비슷하게 배열된 형상으로 배치되는 전열관(2)으로 구성되며, 기류는 상기 복수개의 평판핀(1)들 사이 사이를 표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여 전열관(2)내의 유체와 열교환을 행한다.
그리고, 평판핀(1) 주위의 열유체특성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핀(1)의 전열면 상의 온도 경계층(3)의 두께가 기류의 유입부로 부터의 거리의 제곱근에 비례하여 두꺼워지기 때문에 기류측 열전달율은 기류의 유입부로 부터의 거리가 증가함과 동시에 현저히 저하하며, 열교환기로서의 전열성능이 낮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전열관(2) 주위의 열유체특성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관(2)에 화살표 방향의 저풍속 기류가 유동하는 경우 전열관(2) 표면의 막힌 지점으로 부터의 각도가 70℃ 내지 80℃에서 흐름이 벗겨져 떨어지고, 전열관(2)의 후방부에 사선으로 표시한 지수영역(4)이 생기기 때문에 이 지수영역(4)에서의 기류측 열 전달율이 현저히 저하됨으로 열교환기로서의 전열성능이 낮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종래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화55-110995호가 있다. 동 공보의 공기조화기의 핀에 부착된 열교환기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평판핀(1)에 대해 복수개의 전열관(2)들의 사이 사이 간격부에 복수개의 절기(5a)(5b)(5c)(5d)(5e)(5f)를 절곡 설치한 것이 제안되어 왔었다.
즉, 상기 절기(5a)(5c)(5e)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상기 평판핀(1)의 이면 방향으로 커팅가공에 의해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절기(5b)(5d)(5f)는 상기 절기(5a)(5c)(5e)들의 사이 사이에 배열되도록 상기 평판핀(1)의 표면 방향으로 커팅가공에 의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열교환기에 의하면, 평판핀(1)에 있어서 경계층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평판핀(1)에 복수개의 절기(5a)(5b)(5c)(5d)(5e)(5f)를 설치하여 각각 얇은 온도 경계층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형상이 없는 평판핀(1)에 비해 전열성능은 높지만 국부적인 전열성능을 비교하면 평판핀(1)의 상류측 절기(5a)(5b)에서는 온도 경계층이 얇게 형성되어 전열성능이 높을 수 있으나 하류측 절기(5c)(5d)(5e)(5f)에서는 상기 상류측 절기(5a)(5b)에서 형성된 온도 경계층내에 들어가므로 전열성능이 낮아짐과 동시에 전열관(2)의 후방에 기류가 흐르지 않는 지수영역이 발생되었으며, 또 복수개의 평판핀(1)들의 사이 사이를 흐르는 기류가 섞이지 않고 평행하게 흘러감으로 인하여 기류의 혼합에 의한 열전달 효과의 상승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평판핀들의 사이 사이를 통하여 유동되는 기류를 난류화 및 혼합시켜 열전달 효과를 높혀 전열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복수개의 전열관들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을 유효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열관으로 부터 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전열관들의 사이 사이 중앙에 열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는, 기류가 사이 사이로 유동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평판핀과, 유체가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평판핀에 직각으로 삽입된 복수개의 전열관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의 전방에 설치되어 평판진의 이면과 표면으로 유동되는 기류가 전열관의 전방을 통과할 때 난기류를 형성시키는 제1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전방에 일정 경사방향으로 상하 대칭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상하측 사이 전방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도록 제1 내지 제4절기를 가진 제2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상하측 사이 중앙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는 제3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편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후방에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의 경사방향과 반대되는 일정 경사방향으로 상하 대칭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3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상하측 사이 후방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도록 제1 내지 제4절기를 가진 제4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4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후방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면서 전열관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을 유효하게 감소시키는 제5슬릿형 절기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류가 사이 사이로 유동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평판핀(1)과, 유체가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평판핀(1)에 대해 상하 지그재그방향으로 직각되게 삽입 배열된 복수개의 전열관(2)과, 상기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유동되는 기류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2) 전방을 통과할 때 난류 및 혼합되도록 전열관(2)의 전방측에 대해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1슬릿형 절기군(20a, 20b)과, 상기 제1슬릿형 절기군(20a, 20b)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2) 사이 전방을 통과할 때 또 다시 난류 및 혼합되도록 전열관(2)의 전방측 상하에 대해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상하 대칭되는 경사방향으로 2열 횡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2슬릿형 절기군(30)과,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30)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2) 사이 중앙을 통과할 때 또 다시 난류 및 혼합되도록 전열관(2)의 중앙측에 대해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3슬릿형 절기군(40a, 40b)과, 상기 제3슬릿형 절기군(40a, 40b)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2) 사이 후방을 통과할 때 또 다시 난류 및 혼합되도록 전열관(2)의 후방측 상하에 대해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상하 대칭되는 경사각을 갖고 2열 횡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4슬릿형 절기군(50)과, 상기 제4슬릿형 절기군(50)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2) 후방을 통과할 때 또 다시 난류 및 혼합되면서 전열관(2)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을 유효하게 감소시키도록 전열관(2)의 후방측에 대해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5슬릿형 절기군(60a, 60b)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1 내지 제5슬릿형 절기군(20a, 20b)(30)(40a, 40b)(50)(60a, 60b)은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돌출설치된 모양이 다이아몬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내지 제5슬릿형 절기군(20a, 20b)(30)(40a, 40b)(50)(60a, 60b)은 그들 사이 사이에 각각 일정한 기반부(70)를 두고 상기 복수개의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상호 교차되게 배설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내지 제5슬릿형 절기군(20a, 20b)(30)(40a, 40b)(50)(60a, 60b)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2)들의 둘레면에 대해 일정 기반부(70)를 두고 방사형으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제3, 제5슬릿형 절기군(20a, 20b)(40a, 40b)(60a, 60b)은 상기 전열관(2)의 전방측, 상하측, 후방측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세로방향으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슬릿형 절기군(30)은, 기류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2)들의 전방측을 통과할 때 난류 및 혼합되도록 일정 경사각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일정 기반부(70)를 두고 상하 대칭되게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1 및 제2절기(31a, 31b)(32a, 32b)와, 기류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2)들의 전방측을 통과할 때 난류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절기(31a, 31b)(32a, 32b)를 통과한 난기류와 혼합되도록 제1 및 제2절기(31a, 31b)(32a, 32b)의 후측에 대해 동일한 경사각을 갖고 복수개의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일정 기반부(70)를 두고 상하 대칭되게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3 및 제4절기(33a, 33b)(34a, 34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4슬릿형 절기군(50)은 기류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2)들의 후방측을 통과할 때 난류 및 혼합되도록 상기 제2슬릿형 절기를(30)의 제1 및 제2절기(31a, 31b)(32a, 32b)와 반대되는 경사각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일정 기반부(70)를 두고 상하 대칭되게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1 및 제2절기(51a, 51b)(52a, 52b)와, 기류가 상기 복수개의 전열관(2)들의 후방측을 통과할 때 난류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절기(51a, 51b)(52a, 52b)를 통과한 난기류와 혼합되도록 제1 및 제2절기(51a, 51b)(52a, 52b)의 후측에 대해 동일한 경사각을 갖고 복수개의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일정 기반부(70)를 두고 상하 대칭되게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제3 및 제4절기(53a, 53b)(54a, 54b)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30)의 제3 및 제4절기(33a, 33b)(34a, 34b)와 제4슬릿형 절기군(50)의 제3 및 제4절기(53a, 53b)(54a, 54b)의 사이에는 일정 기반부(70)를 두고 상기 제3슬릿형 절기군(40a)(40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슬릿형 절기군(30)의 제1 및 제2절기(31a, 31b)(32a, 32b)와 제4슬릿형 절기군(50)의 제1 및 제2절기(51a, 51b)(52a, 52b)는 그 길이측 단면적이 제2슬릿형 절기군(30)의 제3 및 제4절기(33a, 33b)(34a, 34b)와 제4슬릿형 절기군(50)의 제3 및 제4절기(53a, 53b)(54a, 54b)의 길이측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30)의 제3 및 제4절기(33a, 33b)(34a, 34b)는 제4슬릿형 절기군(50)의 제3 및 제4절기(53a, 53b)(54a, 54b)와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30)의 제3 및 제4절기(33a, 33b)(34a, 34b)는 제4슬릿형 절기군(50)의 제1 및 제2절기(51a, 51b)(52a, 52b)와 동일한 크기의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1 내지 제5슬릿형 절기군(20a, 20b)(30)(40a, 40b)(50)(60a, 60b)은, 그 폭에 대해 절반에 해당되는 전방측이 기류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평판핀(1)의 이면으로 커팅가공에 의해 각각 돌출된 제1다이렉트 절기공간부(80)와, 그 폭에 대해 절반에 해당되는 후방측이 기류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평판핀(1)의 표면으로 상기 제1다이렉트 슬릿(80)과 기반부가 없이 커팅가공에 의해 돌출된 제2다이렉트 절기공간부(81)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1다이렉트 절기공간부(80)는 상기 평판핀(1)의 이면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2다이렉트 절기공간부(81)는 상기 복수개의 제1다이렉트 절기공간부(80)의 사이에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열되도록 평판핀(1)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제6도에 표시한 흰색 화살표 (S)방향으로 기류가 유동하게 되면 이 유동 기류는 복수개의 평판핀(1)들의 이면과 표면측 사이로 유입되면서 복수개의 전열관(2)들의 전방측, 상하측 및 후방측에 대해 상기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각각 엇갈리게 돌설된 복수개의 제1 내지 제5슬릿형 절기군(20a, 20b)(30)(40a, 40b)(50)(60a, 60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전열관(2)으로 부터 열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고 원활히 전달되도록 계속적으로 난류 및 혼합됨으로써 전열성능을 높여주게 되고, 전열관(2)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을 최소 영역으로 감소시킴에 따라 전열관(2)의 후방에서 열전달 효과를 높여주게 된다.
즉, 유동 기류는 제8도에 표시한 점선화살표 방향과 같이 전열관(2)들의 전방측에 대해 상기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각각 기반부가 없이 엇갈리게 돌설된 복수개의 제1슬릿형 절기군(20a)(20b)의 제1 및 제2다이렉트 절기공간부(80)(81)를 통과할 때 전열관(2)의 전방측에 난류를 형성하면서 전열관(2)들의 상하측 전방으로 난기류를 분산시켜 주게 되고, 이들 제1 및 제2다이렉트 절기공간부(80)(81)를 통과한 난기류는 복수개의 전열관(2)들의 상하측 전방에 대해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돌출된 제2슬릿형 절기군(30)의 제1 내지 제4절기(31a, 31b)(32a, 32b)(33a, 33b)(34a, 34b)를 통과하면서 전열관(2)으로 부터 열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고 원활히 전달되도록 또 다시 난류 및 혼합됨과 동시에 전열관(2)의 전방 둘레면을 따라 확산되어 열교환됨으로써 복수개의 전열관(2) 전방측 전열성능을 높혀주게 된다.
또, 제2슬릿형 절기군(30)을 통과한 난기류는 복수개의 전열관(2)의 상하측 사이 공간에 대해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돌출된 제3슬릿형 절기군(40a)(40b)의 제1 및 제2다이렉트 절기공간부(80)(81)를 통과하면서 전열관(2)으로 부터 열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고 원활히 전달되도록 또 다시 난류 및 혼합됨과 동시에 전열관(2)의 중앙 둘레면을 따라 확산되어 열교환됨으로써 전열관(2)의 중앙측 전열성능을 높혀주게 된다.
그리고, 제3슬릿형 절기군(40a)(40b)을 통과한 난기류는 복수개의 전열관(2)의 상하측 후방에 대해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돌출된 제4슬릿형 절기군(50)의 제1 및 제2다이렉트 절기공간부(80)(81)를 통과하면서 전열관(2)으로 부터 열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고 원활히 전달되도록 또 다시 난류 및 혼합됨과 동시에 전열관(2)의 후방측 둘레면을 따라 확산되어 열교환됨으로써 복수개의 전열관(2) 후방측 전열성능을 높혀주게 된다.
이때, 평판핀(1)의 이면으로 돌출된 제1 내지 제4슬릿형 절기군(20a, 20b)(30)(40a, 40b)(50)의 제1다이렉트 절기공간부(80)는 평판핀(1)의 표면으로 돌출된 제2다이렉트 절기공간부(81)와 상호 엇갈리게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상호 온도 경계층내에 포함되지 않아 전열성능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제4슬릿형 절기군(50)을 통과한 난기류는 복수개의 전열관(2)의 후방에 대해 평판핀(1)의 이면과 표면으로 돌출된 제5슬릿형 절기군(60a)(60b)의 제1 및 제2다이렉트 절기공간부(80)(81)를 통과하면서 전열관(2)으로 부터 열의 흐름이 차단되지 않고 원활히 전달되도록 또 다시 난류 및 혼합됨과 동시에 전열관(2)의 후방으로 확산되어 열교환됨으로써 전열관(2)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을 최대한으로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5슬릿형 절기군(20a, 20b)(30)(40a, 40b)(50)(60a, 60b)은 전열관(2)의 둘레면에 대해 일정 기반부(70)를 두고 그 주위를 감싸도록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되는 기류를 상기 슬릿형상에 의해 난류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유동되는 기류를 전열관(2)의 주위를 따라 확산되게 하여 전열관(2)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전열관(2)의 후방에서 열전달 효과를 더욱 더 높혀 줄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전열관(2)으로 부터 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원활하게 전달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는, 전열관의 전방 및 후방에 제1 및 제2슬릿형절기군을 다이렉트방식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설치하고, 전열관의 상하측 둘레면을 중심으로 제2 내지 제4슬릿형 절기군을 다이렉트방식에 의해 방사상으로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되는 기류를 난류 및 혼합시켜 줄 수 있어 열전달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전열관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을 유효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하며, 또 전열관으로 부터 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고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복수개의 전열관들의 사이 사이 중앙에 열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기류가 사이 사이로 유동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평판핀과, 유체가 내부로 유동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평판핀에 직각으로 삽입된 복수개의 전열관으로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의 전방에 설치되어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으로 유동되는 기류가 전열관의 전방을 통과할 때 난기류를 형성시키는 제1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전방에 일정 경사방향으로 상하 대칭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상하측 사이 전방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도록 제1 내지 제4절기를 가진 제2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상하측 사이 중앙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는 제3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후방에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의 경사방향과 반대되는 일정 경사방향으로 상하 대칭되게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3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상하측 사이 후방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도록 제1 내지 제4절기를 가진 제4슬릿형 절기군과,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4슬릿형 절기군에 의해 확산된 난기류가 전열관들의 후방을 통과할 때 다시 난류화시키면서 전열관의 후방에 생기는 지수영역을 유효하게 감소시키는 제5슬릿형 절기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슬릿형 절기군은 상기 전열관들의 둘레면과 상호 간격에 대해 일정 기반부를 두고 방사형으로 배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의 제1 및 제2절기는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전방에서 가로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기반부를 두고 각각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전후 배치되며 또한 제2슬릿형 절기군의 제3 및 제4절기는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전방에서 가로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기반부를 두고 각각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전후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절기와 세로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기반부를 두고 각각 상하 대칭되는 반대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슬릿형 절기군의 제1 및 제2절기는 상기 평판핀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후방에서 가로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기반부를 두고 각각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전후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2슬릿형 절기군의 제1 및 제2절기와 각각 대칭되는 반대 경사방향으로 배치되며 또한 제4슬릿형 절기군의 제3 및 제4절기는 상기 평판편의 이면과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전열관과 전열관과의 상하측 사이 후방에서 가로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기반부를 두고 각각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전후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4슬릿형 절기군의 제1 및 제2절기와 세로방향으로 각각 일정한 기반부를 두고 각각 상하 대칭되는 반대 경사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내지 제5슬릿형 절기군은 그 폭에 대해 절반에 해당되는 전방측이 기류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평판핀 이면으로 커팅가공에 의해 각각 돌출된 제1다이렉트 절기공간부와, 그 폭에 대해 절반에 해당되는 후방측이 기류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평판핀의 표면으로 상기 제1다이렉트 절기공간부와 기반부가 없이 커팅가공에 의해 돌출된 제2다이렉트 절기공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19950046869A 1995-12-05 1995-12-05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0182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869A KR0182541B1 (ko) 1995-12-05 1995-12-05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CN96118536A CN1130542C (zh) 1995-12-05 1996-12-02 空气调节器的热交换器
JP8325338A JP2894605B2 (ja) 1995-12-05 1996-12-05 空気調和機の熱交換器
IT96RM000835A IT1289232B1 (it) 1995-12-05 1996-12-05 Scambiatore di calore per condizionatore d'aria
ES009602583A ES2137833B1 (es) 1995-12-05 1996-12-05 Intercambiador de calor para acondicionador de aire.
US08/760,716 US5727625A (en) 1995-12-05 1996-12-05 Heat exchanger having fins with air conducting slits formed there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869A KR0182541B1 (ko) 1995-12-05 1995-12-05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82541B1 true KR0182541B1 (ko) 1999-05-01

Family

ID=19437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869A KR0182541B1 (ko) 1995-12-05 1995-12-05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27625A (ko)
JP (1) JP2894605B2 (ko)
KR (1) KR0182541B1 (ko)
CN (1) CN1130542C (ko)
ES (1) ES2137833B1 (ko)
IT (1) IT1289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555B1 (ko) * 1996-08-23 1999-05-01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0220724B1 (ko) * 1996-12-30 1999-09-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US6565594B1 (en) 1997-09-24 2003-05-20 Atrium Medical Corporation Tunneling device
US20040200608A1 (en) * 2003-04-11 2004-10-14 Baldassarre Gregg J. Plate fins with vanes for redirecting airflow
JP7161930B2 (ja) * 2018-10-15 2022-10-27 リンナイ株式会社 伝熱フィン
CN111043892B (zh) * 2018-10-15 2023-05-02 林内株式会社 传热翅片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35320A (en) * 1959-03-09 1964-06-02 Licencia Talalmanyokat Heat exchangers
JPS5782690A (en) * 1980-11-10 1982-05-24 Daikin Ind Ltd Cross fin coil type heat exchanger
JPS5892796A (ja) * 1982-09-29 1983-06-02 Hitachi Ltd 伝熱フイン
JP2730908B2 (ja) * 1988-06-09 1998-03-25 三洋電機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この熱交換器を組み込んだ空気調和機
JPS6020094A (ja) * 1983-07-13 1985-02-01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器
US5042576A (en) * 1983-11-04 1991-08-27 Heatcraft Inc. Louvered fin heat exchanger
JPS60194293A (ja) * 1984-03-14 1985-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イン付熱交換器
JPS6199098A (ja) * 1984-10-18 1986-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イン付熱交換器
US4723600A (en) * 1985-05-10 1988-02-09 Matsushita Refrigeration Company Heat exchanger
CN1012524B (zh) * 1985-05-10 1991-05-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热交换器
US4691768A (en) * 1985-12-27 1987-09-08 Heil-Quaker Corporation Lanced fin condenser for central air conditioner
JPS62266391A (ja) * 1986-05-09 1987-11-19 Yanmar Diesel Engine Co Ltd 熱交換器
JPH0670555B2 (ja) * 1987-01-23 1994-09-07 松下冷機株式会社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
DE3938842A1 (de) * 1989-06-06 1991-05-29 Thermal Waerme Kaelte Klima Verfluessiger fuer ein kaeltemittel einer fahrzeugklimaanlage
JPH0345895A (ja) * 1989-07-14 1991-02-27 Toshiba Corp 熱交換器
JP2919949B2 (ja) * 1990-11-20 1999-07-19 株式会社東芝 空冷式熱交換器用フィンのスリットパターン
US5360060A (en) * 1992-12-08 1994-11-01 Hitachi, Ltd. Fin-tube type heat excha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5066A (zh) 1997-07-23
IT1289232B1 (it) 1998-09-29
CN1130542C (zh) 2003-12-10
JPH09203532A (ja) 1997-08-05
ITRM960835A0 (it) 1996-12-05
JP2894605B2 (ja) 1999-05-24
ES2137833B1 (es) 2001-08-16
US5727625A (en) 1998-03-17
ES2137833A1 (es) 1999-12-16
ITRM960835A1 (it)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627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0197718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0127598Y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0210072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0210073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2733459B2 (ja) 空気調和機の熱交換器
JPH0278896A (ja) 熱交換器
KR0182555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0182541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0182542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S633183A (ja) フイン付熱交換器
JPH0949641A (ja) 空気調和機の熱交換器
KR19980031147A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0197686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0187225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200152095Y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S616592A (ja) フイン付熱交換器
KR100256403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S61202092A (ja) フイン付熱交換器
JP2609838B2 (ja) 空気調和機の熱交換器
KR0127599Y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S61259093A (ja) フィン付熱交換器
JPS616591A (ja) フイン付熱交換器
KR100318229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100234966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