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077B1 -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077B1
KR0182077B1 KR1019950065464A KR19950065464A KR0182077B1 KR 0182077 B1 KR0182077 B1 KR 0182077B1 KR 1019950065464 A KR1019950065464 A KR 1019950065464A KR 19950065464 A KR19950065464 A KR 19950065464A KR 0182077 B1 KR0182077 B1 KR 0182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ing press
lead frame
pelle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5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666A (ko
Inventor
김재종
Original Assignee
황인길
아남산업주식회사
정헌태
아남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길, 아남산업주식회사, 정헌태, 아남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인길
Priority to KR1019950065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077B1/ko
Publication of KR97005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몰드금형에 펠렛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딩 로보트아암에 설치되어 예열장치에서 예열된 리드프레임과 펠렛로딩유니트에 로딩된 펠렛을 몰드금형으로 운반하는 인풋 그립퍼에서 펠렛을 몰드금형에 간단히 안착시키는 것으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 생상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이다.

Description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동몰딩프레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몰딩프레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그립퍼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그립퍼장치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수납부 11 : 푸셔핀
12 : 에어호스 20 : 레버
21 : 돌출턱 22 : 힌지
본 발명은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딩 로보트아암에 설치되어 예열장치에서 예열된 리드프레임과 펠렛로딩유니트에 로딩된 펠렛을 몰드금형으로 운반하는 인풋 그립퍼에서 펠렛을 몰드금형에 간단히 안착시키는 것으로,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 생상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장치는 예열장치에서 예열된 리드프레임과 펠렛로딩유니트에 위치한 펠렛을 몰드금형으로 운반하는 동작을 할 때 리드프레임 및 펠렛을 집는(Grip ; 그립) 역할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인풋 그립퍼장치는 리드프레임과 펠렛을 몰드금형으로 운반할 때, 리드프레임과 펠렛을 각각 집어서 운반하도록 두개의 그립퍼로 이루어져, 그 구조가 복잡하고, 작업속도가 늦어져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인풋 그립퍼장치로 리드프레임과 펠렛을 집어 몰드금형으로 운반하여 몰드금형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특히 펠렛의 안착을 자유낙하와 함께 에어에 의해 정확하게 안착(푸싱)시킴으로써, 안착과 동시에 펠렛 안착여부를 체크할 수 있어, 장비의 작동 불량을 방지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수개로 구비된 몰딩프레스에 온로더유니트, 예열장치, 펠렛로딩유니트, 디컬링팅유니트, 픽 플레이스유니트 및 언로더유니트가 설치되고, 로보트아암에 설치되어 예열된 리드프레임 및 펠렛을 운반하여 몰드다이에 넣어주고,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빼내어 디컬팅유니트로 운반할 때 리드프레임을 그립(Grip)하는 그립퍼장치로 구성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장치중 인풋 그립퍼의 중앙부에 펠렛을 수납하도록 일렬로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푸셔핀과, 상기 푸셔핀의 공간부의 상부에서 결합된 에어호스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힌지로 결합되고, 하단에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수납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단은 실린더에 결합되어 작동되는 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몰드금형에 펠렛 안착장치에 의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동몰딩프레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몰딩프레스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몰딩프레스(A)의 일측에는 와이어본딩된 리드프레임을 공급하는 온로더유니트(B)와, 공급된 리드프레임을 예열하는 예열장치(C)와, 몰딩을 위해 펠렛을 공급하는 펠렛로딩유니트(D)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몰딩프레스(A)의 전방에는 예열된 리드프레임과 펠렛을 몰드금형(MD)로 운반하는 로딩 로보트아암(E)이 설치되며, 후방에 몰드금형(MD)에서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빼내는 언로딩 로보트아암(F)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언로딩 로보트아암(F)에는 크리너(H)가 일체형으로 부착 설치되어 있고, 상기 로딩-언로딩 로보트아암(E)(F)에는 리드프레임을 집을 수 있는 그립퍼(G)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몰딩프레스(A)의 타측에는 몰딩된 리드프레임에 붙어있는 런너게이트를 제거하는 디컬링유니트(I), 리드프레임을 적재할 수 있는 위치까지 이송시키는 픽 플레이스유니트(J) 및 이송된 리드프레임을 배출하는 언로더유니트(K)가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그립퍼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그립퍼장치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립퍼장치(G)의 중앙부에 일렬로 다수의 펠렛(31)이 수납되는 수납부(10)가 형성되고, 이 수납부(10)의 상부에는 내경을 갖는 공간부(11')가 형성된 푸셔핀(11)이 설치되며, 상기 푸셔핀(11)의 공간부(11')에는 상부에서 에어호스(12)가 결합되어 에어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수납부(10)의 일측에는 펠렛(31)을 집어 고정하는 레버(20)가 설치되는데, 이 레버(20)는 하단에 돌출턱(21)이 형성되고, 상단은 실린더(25)에 결합되며, 레버(20)의 중앙부에 힌지(22)로 결합되어 실린더(25)의 동작에 의해 힌지(22)를 지점으로 하단이 회전되어 돌출턱(21)에 의해 펠렛(31)을 수납부(10) 내로 그립한 후, 고정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립퍼(G)가 하강되어 펠렛(31)을 그립할 때에는 실린더(25)를 후진시켜 레버(20)의 선단을 후진시키면 힌지(22)를 지점으로 레버(20)를 원호운동하여 하부의 돌출턱(21)으로 펠렛(31)을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이 고정된 펠렛(31)을 몰드금형(MD)에 운반시켜 놓을 때에는 상기 실린더(25)를 전진시켜 레버(20)의 하단이 힌지(22)를 지점으로 벌어지면서 펠렛(31)을 놓는 것이다.
이와같이 펠렛(31)이 몰드금형(MD)에 안착될 때에는 수납부(10)의 상부에 설치된 푸셔핀(11)이 펠렛(31)을 하부로 밀어 안착시키는데, 이때 에어호스(12)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함으로써 수납부(10)에 그립된 펠렛(31)이 몰드금형(MD)에 전부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그립퍼장치(G)는 중간부에 일렬로 펠렛(31)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10)가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리드프레임을 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어 하나의 그립퍼장치(G)로 두개의 리드프레임과 펠렛(31)을 동시에 그립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두개의 리드프레임과 펠렛(31)을 동시에 집게하는 그립퍼장치(G)는 로딩 로보트아암(E)에 설치되어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의 전후좌우로 이동되면서 몰드금형(MD)으로 리드프레임과 펠렛(31)을 동시에 운반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그립퍼(G)에서 펠렛(31)을 몰드금형(MD)에 안착시킬 때에도 푸셔핀(11)과 에어에 의해 안착되므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몰딩프레스에서 리드프레임과 동시에 펠렛을 집을 수 있는 구조의 그립퍼에서 펠렛을 몰드금형에 정확히 안착시킴으로서 작업능률의 향상 및 제품의 생상성을 높일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개로 구비된 몰딩프레스에 온로더유니트, 예열장치, 펠렛로딩유니트, 디컬링유니트, 픽 플레이스유니트 및 언로더유니트가 설치되고, 로보트아암에 설치되어 예열된 리드프레임 및 펠렛을 운반하여 몰드다이에 넣어주고, 몰딩된 리드프레임을 빼내어 디컬링유니트로 운반할 때 리드프레임을 그립(Grip)하는 그립퍼장치로 구성된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장치중 인풋 그립퍼의 중앙부에 펠렛을 수납하도록 일렬로 형성된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 푸셔핀과, 상기 푸셔핀의 공간부의 상부에서 결합된 에어호스와, 상기 수납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힌지로 결합되고, 하단에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수납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단은 실린더에 결합되어 작동되는 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몰드금형에 펠렛 안착장치.
KR1019950065464A 1995-12-29 1995-12-29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 KR0182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5464A KR0182077B1 (ko) 1995-12-29 1995-12-29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5464A KR0182077B1 (ko) 1995-12-29 1995-12-29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666A KR970053666A (ko) 1997-07-31
KR0182077B1 true KR0182077B1 (ko) 1999-03-20

Family

ID=1944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5464A KR0182077B1 (ko) 1995-12-29 1995-12-29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0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666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8333706U (zh) 自动封装装置
KR100357789B1 (ko) 반도체 리드프레임 자동몰딩장치
JP7203414B2 (ja) 樹脂供給取出装置、ワーク搬送装置及び樹脂モールド装置
KR20080045027A (ko) 반도체 패키지 언로딩 핸들러
KR0182077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인풋 그립퍼의 펠렛 안착장치
JP4574059B2 (ja) 樹脂封止システムおよび半導体装置の樹脂封止方法
KR101236878B1 (ko) 전자 부품을 갖는 캐리어를 공급 및 취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00025188A1 (en) Process and device for picking up, transferring and handling plastic container preforms
KR100675466B1 (ko) 수지봉지 성형장치
KR0139126Y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그립퍼장치의 펠렛 고정구조
KR100233870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의 픽/플레이스 장치
KR100463760B1 (ko) 반도체 패키지 적재장치
KR0185359B1 (ko) 반도체패키시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의 그립퍼장치
KR0185357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의 로보트아암장치
JP3720132B2 (ja) 樹脂モールド装置
KR0185360B1 (ko) 반도체패키시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그립퍼장치의 핑거 작동구조
JP4162282B2 (ja) 樹脂モールド装置
JPS6146967B2 (ko)
JPH08115971A (ja) 樹脂封止前の電子部品の整列装置
KR100920168B1 (ko) 카세트 처리 시스템
KR0185353B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용 자동몰딩프레스에서 그립퍼의 위치 자동제어장치
JPH07241874A (ja) 電子部品の樹脂封止装置
JP3573523B2 (ja) モールド装置
JP2001277165A (ja) 収納装置及び収納方法
KR200211284Y1 (ko) 반도체패키지제조용다이본딩장비의리드프레임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