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177B1 -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177B1
KR0181177B1 KR1019910012270A KR910012270A KR0181177B1 KR 0181177 B1 KR0181177 B1 KR 0181177B1 KR 1019910012270 A KR1019910012270 A KR 1019910012270A KR 910012270 A KR910012270 A KR 910012270A KR 0181177 B1 KR0181177 B1 KR 018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s
pachinko
bead
state
pachinko be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943A (ko
Inventor
요오지 고미야
Original Assignee
사카모토 히데오
가부시끼 가이샤 제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카모토 히데오, 가부시끼 가이샤 제이.티 filed Critical 사카모토 히데오
Priority to KR101991001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177B1/ko
Publication of KR930001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A63F7/022Pachinko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4Other devices for handling the playing bodies, e.g. bonus ball retur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34Other devices for handling the playing bodies, e.g. bonus ball return means
    • A63F2007/341Ball collecting devices or 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모우터를 동력원으로하여 빠찡꼬 구슬의 송출을 실시하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송출의 조건에 따라서, 모우터의 구동전류등을 제어하여, 빠찡꼬 구슬의 확실한 송출을 실현한다.
경품구슬을 불출하는 송출장치의 빠찡꼬 구슬 배출쪽에 경품구슬 확인 스위치를 형성하고, 경품 구슬의 확인이 되면, 송출장치의 구동속도를 증대하고(스텝S170), 구슬막힘이나 빠찡꼬 구슬의 공급이 늦어져서 소정시간내에 빠찡꼬 구슬의 배출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구동 속도를 저하하여 구동 토오크의 증대를 도모한다(스텝 S190). 최저속도로 하더라도 여전히 경품 구슬의 확인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송출 장치의 스텝핑 모우터를 역 회전하여(스텝 S220), 빠찡꼬 구슬의 물림을 해소한다.

Description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빠찡꼬 구슬 송출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2도는 실시예의 빠찡꼬 구슬송출 제어 장치를 실지로 장치한 빠찡꼬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3도는 빠찡꼬 구슬의 송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4도는 제3도의 그 단면도이다.
제5도는 실시예의 빠찡꼬 구슬 송출 제어 장치에 사용되는 구슬 확인 스위치 및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계틀 3 : 앞틀
5 : 유기반 7 : 기구판
10 : 경품 12 : 도출통(桶)
14 : 구슬발사장치 15 : 구슬 보급 인터록 스위치
17 : 구슬 막힘 인터록 스위치 18 : 구슬확인 스위치
19 :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 20 : 송출장치
23 : 입상구슬 도출로 24 : 검출기
24a : 제1스타트 스위치 24b : 제2스타트 스위치
24c : 제3스타트 스위치 26 : 방출통
27 : 상하 접시 인터록 스위치 29 : 케이스
31,32: 구슬통로 33,34 : 상,하 접시
35 : 횡축 41,42 : 구슬 분리 원반
43 : 연결통로 45 : 브라켓트
46 : 웜 기어 47 : 웜
49 : 축 50 : 스텝핑 모우터
55 : 광검출기 60 : 전자 제어 장치
71 : 케이싱체
본 발명은, 빠찡꼬 구슬 송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동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빠찡꼬 구슬을 차례로 송출하는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 장치로서는 구슬 통로에 모아져서 종렬을 이룬 빠찡꼬 구슬을 스토퍼에 의하여 일단 멈추어지고,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등에 의해, 스토퍼를 개폐하여, 빠찡꼬 구슬의 자체 무게로 1개씩 빠찡꼬 구슬을 송출하는 송출 장치와 이를 단순히 온, 오프제어하는 제어 장치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러한 구성으로는 구슬을 계수하는 정밀도 송출하는 속도가 낮으며, 더구나 스토퍼등이 열린채 고장이 나면 구슬이 제멋대고 나온다고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동원에 DC 모우터등의 전동기를 사용하여, 바깥둘레에 빠찡꼬 구슬이 끼워들 수 있는 반구 요홈을 갖춘 구슬분리 원반을 그 바깥둘레가 구슬 통로에 임하도록 형성하고, 입상 신호에 따라서 이 구슬분리 원반을 소정 각도 회전시켜, 필요한 개수의 빠찡꼬 구슬을 송출하는 장치를 사용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특개소 63-164977호 공보).
그러나, 전동기를 사용하여 그 회전으로 빠찡꼬 구슬의 배출을 행하는 구성을 채택할 경우, 전동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대형화된 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다하여, 전동기를 단순히 소형화한 것으로는, 구동력이 불충분하게 되고 만다는 것이 고려되어, 빠찡꼬 구슬을 확실하게 송출하는 측면에서의 신뢰성이 결려되고 만다.
특히, 빠찡꼬 구슬의 경우, 기름기둥의 구슬의 질에 따라 그 송출 용이성도 상당히 변동한다.
또, 송출기구 전후의 구슬 상태나 환경온도, 습도등의 조건에 따라서도, 확실히 빠찡꼬 구슬을 배출할 수 있는 조건은 다르다.
또한, 빠찡꼬 구슬의 송출기구의 경우, 빠찡꼬 구슬의 물림이라고 하는 뜻밖의 사태를 완전히 모면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확실하게 빠찡꼬 구슬을 배출하는 구성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 장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치의 소형화와 신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 장치는, 전동기를 구동원으로 하여, 이 전동기의 회전으로 빠찡꼬 구슬을 차례로 배출하는 빠찡꼬 구슬 배출기구와, 이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로의 빠찡꼬 구슬의 공급 상태 또는 이 빠찡꼬 구슬 배출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빠찡꼬 구슬의 배출 상태를 검출하는 빠찡꼬 구슬 상태 검출 수단과, 이 검출된 빠찡꼬 구슬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의 회전수, 토오크, 회전 방향, 전동기로의 인가 전압, 이 인가 전압의 펄스폭등의 운전 상태를 제어하는 전동기 제어 수단과를 구비한 것을 요지로 한다.
여기서, 전동기의 운전상태 제어는, 예를들면 그 회전 속도를 가변하는 것으로서, 빠찡꼬 구슬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빠찡꼬 구슬의 상태에 따라 빠찡꼬 구슬의 송출이 용이한 상태인지 곤란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 수단을 형성하여, 빠찡꼬 구슬의 송출이 용이한 상태일수록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의 배출 속도를 올리고, 송출이 곤란한 상태일수록 배출 속도를 저함으로써, 실현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의 토오크나 전동기로의 인가전압, 그 펄스폭등을 빠찡꼬 구슬의 송출이 용이한지 곤란한지에 따라 가변하는 것도 괜찮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 장치는 빠찡꼬 구슬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전동기의 회전에 의하여 빠찡꼬 구슬을 차례로 배출하는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로의 빠찡꼬 구슬의 공급 상태 또는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빠찡꼬 구슬의 배출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된 빠찡꼬 구슬의 상태에 따라서, 전동기 제어 수단 빠찡꼬 구슬 배출기구의 회전수, 토오크, 회전방향, 전동기에의 인가전압, 이 인가전압의 펄스폭등의 운전상태를 제어한다.
이 결과,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는, 빠찡꼬 구슬의 공급 상태나 배출 상태에 따라서 확실하게 송출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구성 작용을 더 한층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빠찡꼬 구슬 송출 제어 장치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실시예로서의 빠찡꼬 구슬 송출 제어 장치의 계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이 송출제어 장치가 형성된 빠찡꼬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먼저, 빠찡꼬대의 구성으로부터 설명한다. 빠찡꼬대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계틀(1)과, 기계틀(1)의 앞면에 개폐가 자유롭게 부착된 앞틀(3)과, 앞틀(3)의 뒷면에 붙이고 떼기가 자유롭게 장착되는 유기반(5)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반(5)의 뒷면에는, 여러 가지의 기구가 장착되는 기구판(7)이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으며, 이 기구판(7)의 뒷면 윗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빠찡꼬 구슬 송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빠찡꼬 구슬을 저장할 경품 구슬 탱크(10)가 고정되어 있다.
이 경품 구슬 탱크(10)의 아래쪽에는, 경품 구슬이 될 빠찡꼬 구슬을 2열로 종렬시켜서 도출하는 도출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아래끝단에 빠찡꼬 구슬의 송출장치(2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앞틀(3) 하부에는, 구슬 발사 장치(14)가 붙임 고정 되어 있다. 도출통(12)의 도중에는, 송출장치(20)가 동작하기에 충분한 수량의 빠찡꼬 구슬이 쌓이고 있지 않는 경우에 이것을 검출하는 구슬 보급 인터록 스위치(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출통(12)의 끝단, 송출장치(20)의 직전에는, 도출통(12)에서의 구슬 막힘 들을 검출하는 구슬 막힘 인터록 스위치(17)와, 송출장치(20)직전의 빠찡꼬 구슬의 존재를 검출하는 구슬 확인 스위치(18)가 형성되어 있다.
또, 송출장치(20)의 빠찡꼬 구슬 배출 쪽 바로 아래에는, 송출장치(20)로부터 불출(拂出)되는 경품 구슬을 검출할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가 형성되어 있다.
송출장치(20)는, 후술하는 전자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서, 경품 구슬의 불출을 행한다.
그리고, 구슬 보급 인터록 스위치(15),구슬 막힘 인터록 스위치(17),구슬 확인 스위치(18),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는 2열로 형성된 도출통(12)의 각각에 따라서 2 개씩 형성되어 있으나, 동일한 구성이므로 다음의 성명에서는 한쪽만을 나타낸다.
또, 구슬 확인 스위치(18),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는 송출장치(20)의 구성 및 작용과 함께 후에 상세히 밝힌다.
송출장치(20)에 의한 경품 구슬의 송출은, 입상 구슬에 따라 행하여지나, 이 입상 구슬은 입상 구슬 도출로(23)에 형성된 검출기(24)에 의하여 검출된다.
입상구슬은, 입상한 입상장치의 종류에 따라 세가지로 구별되어 있으며, 검출기(24)도 3개로 형성되어 있다.
빠찡꼬 구슬의 송출을 개시하기 위한 신호라고 하는 의미로, 이것을 제 1, 제2, 제3스타트 스위치(24a,24b,24c)라고 부르고 있다.
송출장치(20)의 아래쪽에는 송출장치(20)에 의하여 계수되어 방출된 빠찡꼬 구슬을 앞틀(3)의 앞면에 형성된 윗접시(제1도 부호 33) 및 아래접시(제1도 부호 34)로 유도하는 방출통(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출통(26)과 윗접시(33), 아래접시(34)와의 접속부 근방에는, 윗접시(33) 및 아래접시(34)에 빠찡꼬 구슬이 가득차게 된 것을 검출하는 상하의 접시 인터록 스위치(2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송출장치(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송출장치(20)는, 제3도,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개구한 중곡의 각(角)통체형상의 케이스(29)를 가지며, 그 내부의 도출통(12)의 아래끝단에 대응한 위치에 2열의 구슬통로(31),(32)를 구비한다. 또한, 케이스(29)의 내부에는 케이스(29)의 벽면에 양끝단이 지지된 횡축(35)이 형성되고, 이 횡축(35)에 2개의 구슬 분리 원반(41),(42)이 연결통부(43)에 의해, 일체 동시에 횡축(35)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각 구슬 분리 원반(41),(42)은, 바깥 둘레의 13개소에 반원 형상의 반구 요홈(Pa)을 가진 2장의 스프로켓트(44)와, 이 스프로켓트(44)를 양축에 고정한 브라켓트(45)로 구성되어 있다.
구슬 분리 원반(41),(42)은 그 바깥 둘레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슬통로(31),(32)의 내부에 임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프로켓트(44)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반구 요홈(Pa)의 지름이, 빠찡꼬 구슬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구슬분리 원반(41),(42)이 회전하면, 구슬통로(31),(32)내의 빠찡꼬 구슬 (B)은 1 개씩, 방출통(26)으로 송출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구슬 분리 원반(41),(42)은 반구 요홈(Pa)의 피치의 정확히 1/2만 벗어난 회전 위치에서 서로 고정되어 있으며, 빠찡꼬 구슬의 송출은 번갈아 이루어진다.
2개조의 구슬분리 원반(41),(42)을 연결한는 연결통부(43)의 바깥 둘레에는, 웜기어(46)가 고정되어 있다. 이 웜기어(46)에는, 이를 구동하는 웜(47)이 이 맞물림되어 있다. 이 웜(47)이 부착된 축(49)은, 한 끝단이 케이스(29)의 바깥벽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으로 지지되고, 다른 끝단이 스템핑 모우터(50)의 회전축(51)에 고정되어 있다.
스템핑 모우터(50)는, 케이스(29) 바깥벽에 고정되어 있다. 스템핑 모우터(50)가 회전하면, 그 회전축(51)에 직접연결된 웜(47)이 회전을 개재하여 웜기어(46)가 회전하여, 구슬 분리 원반(41),(42)도 회전한다.
구슬 분리 원반(41),(42)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기위하여, 구슬분리 원반(42)의 한쪽 스프로켓트(44)를 끼우는 위치에, 적외광(光)을 이용한 투과형 광검출기(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과형 광검출기(55)는, 스프로켓트(44)의 반구 요홈(Pa)에서, 광이 투과 또는 차단될때마다, 즉 빠찡꼬 구슬이 1 개씩 송출될 때마다, 펄스 신호를 송출한다.
그리고, 이 송출장치(20)의 구슬 확인 스위치(18),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와의 붙임 고정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슬 확인 스위치(18)는 송출장치(20)의 구슬통로(31),(32)의 바로 앞에 형성되어 있으며,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는 그 바로 아래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빠찡꼬대 전체의 제어를 실시하는 전자 제어 장치(60)와 이 전자 제어 장치(60)가 제어하는 송출장치(20) 둘레의 구성에 대해서, 제1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전자 제어 장치(60)는, 주지하고 있는 산술 논리 연산부나 ROM, RAM 등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제어 장치(60)는, 상술한 각종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송출장치(20) 혹은 도시하지 않는 입상 표시 램프등의 표시소자군 등을 제어한다.
구슬 보급 인터록 스위치(15), 구슬 막힘 인터록 스위치(17), 구슬 확인 스위치(18),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 제1, 제2, 제3스타트 스위치(24), 상하 접시 인터록 스위치(27)등의 각종 스위치는 전자 제어 장치(60)의 입력 포트에, 또 구슬 발사 장치(14), 송출장치(20)의 스템핑 모우터(50)등은 출력포트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전자 제어 장치(60)내에는, 이들 스위치 및 외부 장치에 따른 인터페이스 회로가 형성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구슬 확인 스위치(18)와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슬 확인 스위치(18)와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는, 구슬 확인 스위치(18)가 2개의 검출코일(L1),(L2)를 가지며,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가 단일 코일(L1)을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 그 밖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그래서, 구슬 확인 스위치(18)를 예로 하여, 이들 스위치와 전자 제어 장치(60)와의 접속, 또한 빠찡꼬 구슬의 검출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슬 확인 스위치(18) 및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는, 단면 「ㄷ」자형의 케이싱체(71)를 갖추어서, 이 내부에 기판(73)을 갖춘다.
이 기판(73)의 한 끝단은, 케이싱체(71) 밖으로 돌출되어 있어, 접속단자(75)로서 사용되고 있다.
기판(73)에는, 제 6도에 나타낸 트랜지스터등의 전자 부품이 조립되어 있다. 코일(L1),(L2)은 「ㄷ」자형 케이싱체(71)의 돌출한 수납부(81),(82)에 수납된다. 수납부(81),(82)의 중심간거리, 즉, 코일(L1),(L2)의 중심간거리는, 빠찡꼬 구슬(B)직경의 정확히 1.5배의 거리로 되어 있다.
구슬 확인 스위치(18)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2가 공급되는 전원 전자(T1)와, 전자 제어 장치(60)의 입력포트 PB1에 접속되는 검출단자(T2)를 가진다.
이 검출단자(T2)는, 회로의 그라운드 레벨을 겸하고 있으며, 전자 제어 장치(60)쪽에서 저항기(RD)를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구슬 확인 스위치(18)는, 고주파 발진회로(CO)와 고주파발진회(CO)의 발진 상태에 따라서 온, 오프하는 스위칭 회로(SW)로 구성되어 있다.
고주파 발진회로(CO)는, 특성이 돌일한 2개의 트랜지스터를 동일 칩내에 형성한 쌍 트랜지스터(Tr1)를 구비하고, 이 쌍 트랜지스터(Tr1)의 양 이미터와 그라운드 라인과의 사이에 연결된 저항기(R3), 콘덴서(C1),(C2) 및 코일(L1),(L2)에 의해 콜피츠형의 고주파 발진 회로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쌍 트래지스터(Tr1)의 베이스는, 저항기(R2)를 통하여 전원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이 고주파 발진 회로(CO)는, 코일(L1),(L2)에 빠찡꼬 구슬 (B)이 접근하고 있지 않을때는, 코일(L1),(L2)의 인덕턴스와 콘덴서(C1),(C2)의 용량으로 결정되는 발진 주파수로 발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발진 주파수는, 대략 300KHz로 되어 있다.
코일(L1),(L2)의 어느쪽인가에 빠찡꼬 구슬 (B)이 접근하면, 코일(L1),(L2)이 발생하는 자속(磁束)에 의하여, 빠찡꼬 구슬 (B)의 내부에는 와전류가 발전되어, 이 와전류 손실에 의하여 고주파 발진회로(CO)의 발진은 감쇠·정지된다.
고주파 발진 회로(CO)의 쌍 트래지스터(Tr1)의 콜렉터 단자에 접속된 스위칭 회로(SW)는, 트래지스터(Tr1)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쌍 트래지스터(Tr1)가 발진하고 있는 상태 또는 발진을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따라서, 트랜지스터(Tr2)가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로 된다.
이 트랜지스터(Tr2)의 콜렉터 단자에는, 전원단자(T1)로부터 12V의 전압이 가해지고 있으나, 검출단자(2)가 저항기(RD)(본 실시예에서는 저항치 680Ω)에 의하여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2)의 상태에 의하여, 검출단자(T2)의 전압은 변화된다.
전자 제어 장치(60)는, 이 전압의 변화에 따라 구슬 확인 스위치(18)의 상태를 검출할 수가 있다.
이 점을 약간 상세하게 설명한다.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 단자에 접속된 저항기(R4)는, 전원 단자(T1), 저항기(R1)보다 저항치가 작기 때문에(본 실시예에서는 220Ω,27KΩ), 트랜지스터(Tr2)가 '온' 상태가 되면, 전원단자(T1)로부터 크랜지스터(Tr), 저항기(R4)를 통하여 재너다이오우드(D1)에 흐르는 전류는 저항기(R1)를 통하여 흐르튼 전류보다 증대된다(대략 약 130 배가 된다)
이 전류는 최종적으로는, 검출단자(T2)에 접속된 전자 제어 장치(60)의 저항기(RD)를 통하여 접지쪽으로 흘러들어가므로, 저항기(RD)의 양끝단 전압, 즉, 전자 제어 장치(60)의 입력포트(PB1)의 전압은, 트랜지스터(Tr2)가 '오프'상태에서 0.2V, '온'상태에서 약 4.9 V가 된다.
따라서, 전자 제어 장치(60)는 입력포트(pb1)의 상태를 감시하는 것으로서, 구슬 확인 스위치(18)가 빠찡꼬 구슬 (B)을 검출하고 있는 상태 (로우 레벨), 검출하고 있지 않는 상태(하이 레벨)를 쉽게 알 수가 있다.
구슬 스위치(18)의 코일(L1) 및 (L2)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심간 거리(DL)는, 빠찡꼬 구슬 (B)의 직경의 1.5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L1)의 중심(자속 밀도 최대)에 빠찡꼬 구슬(B)의 중심이 위치하고 있을 때, 코일(L2)의 중심은, 서로 이웃한 빠찡꼬 구슬의 접촉점에 거의 대응한 위치가 된다.
바꾸어 말하면, 코일(L1)의 중심이 빠찡꼬 구슬의 중심에서 벗어남에 따라서, 코일(L2)의 중심에 빠찡꼬 구슬의 중심이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므로, 빠찡꼬 구슬이 이웃끼리 접하는 상태로 되어 있으면, 빠찡꼬 구슬 전체가 이동하고 있더라도, 코일(L1),(L2)의 자속의 어느쪽인가에 의해, 와전류 손실을 발생시켜, 고주파 발진회로(CO)의 발진은 향상의 정지 상태가 되고, 스위칭 회로(SW)의 트랜지스터(Tr2)는 오프상태가 되어, 전자 제어 장치(60)의 입력 포트(PB1)는 로우 레벨로 된다.
한편,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에는, 코일(L2)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 빠찡꼬 구슬(B)이 통과할때마다, 고주파 발진회로(CO)의 발진은 중단하게 되며, 빠찡꼬 구슬이 상당히 근접한 상태에서 연속해서 통과하더라도, 빠찡꼬 구슬(B) 1개 1개의 통과에 따라서 검출단자(T2)는 단시간 로우 레벨로 된다.
따라서, 전자 제어 장치(60)는, 입력 포트(PB1)의 레벨을 감시함으로써, 경품 구슬의 통과를 개별로 검출하여 이것을 카운트 할 수가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전자 제어 장치(60)가 실행하는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전자 제어 장치(60)는, 스타트 스위치(24)가 입상 구슬을 검출하면 제7도에 나타낸 경품 구슬 불출 처리 루틴을 실행한다. 이 루틴이 가동되면, 먼저, 불출한 수량을 카운트하는 변수 (i)에 소정수 (S)를 설정하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100) 통상의 빠찡꼬대에서는, 변수 (i)에는, 값 7 또는 15가 설정된다. 그 후, 송출장치(20)의 스텝핑 모우터(50)를 그 최소 구동 속도까지 제어하는 처리를 한다(스텝 S110)
스템핑 모우터(50)의 기동시에는 큰 구동력을 필요로 하므로,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큰 구동전력이 가해진다.
이어서, 소정시간(t1)이내에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검출되었는지 안되었는지의 판단을 한다(스텝 S120)
최소구동 속도로 스템핑 모우터(50)가 고동되고, 구슬 분리판(41)이 회전하여 빠찡꼬 구슬이 정상으로 송출되면,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가 이것을 검출하므로, 이 신호에 따라서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확인된다.
소정시간(t1)이내에 불출의 검출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경품 구슬의 불출 잔수(殘數)를 나타내는 변수 (i)를 값 1만큼 감소하고(스텝 S130), 다시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정상으로 행해지고 있다고 하여서, 플래그(Fr)에 값 '0'을 세트한다(스텝 S140)
그후, 변수 (i)가 값 0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시하여(스텝 S150), 값 '0'이 아닌, 즉, 아직 불출하지 않는 경품 구슬이 남아 있다고 판단 된 경우에는, 스텝핑 모우터의 구동 속도가 최대 속도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스텝 S160), 아직 최고 속도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구동 속도를 1단계 높이는 처리를 행한다(스텝 S170).
그후, 혹은 처리 속도가 이미 최고 속도로 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면, 그대로 스텝(S120)으로 되돌아가서 소정 시간내에 불출이 검출될 것인지 아닌지의 판단부터 처리를 되풀이한다.
이 처리에 의하여 제9도 구간1로서 나타낸 것 같이, 소정시간(t1) 이내에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검출되고 있는 한, 구동속도는 차차로 높아지고, 얼마안있어, 최고 속도로 구동된다.
그후,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계속 되면, 최고 속도에서의 불출이 계속된다.
이 상태를 제9도에 구간2로서 나타낸다.
한편,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계속 할 수 없는 조건이 존재한다. 예를들면, 송출장치(20)에서의 구슬의 막힘이나 구슬 물림의 발생이라고 하는 트러블(trouble) 뿐만 아니라, 경품 구슬로서 불출 가능한 빠찡꼬 구슬의 공급이 늦어서, 구슬 보급 인터록 스위치(15)등이 이러한 상태를 검출한다고 하는 사태등을 고려할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빠찡꼬 구슬의 불출은 검출할수 없게 되고, (스템S120)에서의 판단은 「NO」가 된다. 이리하여, 스템핑 모우터(50)를 구동하더라도 소정시간(t1)이내에 불출을 검출할수 없는 경우에는, 스템핑 모우터(50)의 구동 속도가 최저 속도인지 아닌지의 판단을 실시하여(스텝 S180), 최저 속도가 아니면, 그 구동속도를 1단계 낮추는 처리를 한다(스텝 S190). 이 결과 빠찡꼬 구슬의 불출을 검출 할 수 없는 상태가 계속되면, 제9도에 구간3으로서 나타낸 것같이 스텝핑 모우터(50)의 구동 속도는 점차로 감소한다. 구동 속도의 저하는 통상, 구동 토오크의 증대를 결과로 하기 때문에, 마찰등으로 움직이기 어렵게 된 빠찡꼬 구슬의 경우는 구동 속도가 점차로 감소되면 구슬 분리판(41)이 움직이기 시작하고,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행해지는 일이 많다. 이 결과, 빠찡꼬 구슬 불출의 검출이 이루어지고(스텝 S120), 구동 속도의 증대도 이루어진다. 구동 속도를 높이면 구동 토오크는 일반적으로 감소되므로 빠찡꼬 구슬의 송출을 하지 못하고, 구동 속도는 다시 저하된다. 즉, 이 상태 (제9도, 구간4)가 되면, 구동 속도의 증대와 저감이 되풀이 하게 된다. 빠찡꼬 구슬의 불출을 저해하고 있던 요인이 완전히 제거되고 나면, 빠찡꼬 구슬은 차례로 배출되는 상태가 되어 구동 속도도 상승한다.
이 상태를 제9도 구간5로서 나타낸다.
빠찡꼬 구슬의 배출이 행해지지 않고, 스템핑 모우터(50)의 구동 속도가 최저 속도로 향해 점차 감소된 후 (제9도 구간 6), 시간(t2)이 지나더라도 불출이 검출되지 않으면(스텝 S120, S180), 이어서 플레그(Fr)가 값 1인지 아닌지의 판단이 실시된다(스텝 S200).
통상 플레그(Fr)는 값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스텝(S200)에서의 판단은 「NO」가 되고, 다시 시간(t2)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의 판단이 실시된다(스텝 S210).
스템핑 모우터(50)가 최저 속도로 소정시간(t2)만큼 유지되어도 여전히 빠찡꼬 구슬의 불출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송출장치(20)에서의 구슬의 막힘등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다음에 시간 (t3)만큼 스텝핑 모우터(50)를 역회전시키는 제어를 실시하여(스텝 S220), 그 직후에 역 회전 제어를 실시한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플레그(Fr)에 값'1'을 설정하는 처리를 한다(스텝 S230).
그리고, 스텝(S220)의 처리에 의해, 소정기간 역회전 제어된 후, 스템핑 모우터(50)는, 다시 최저 속도로 정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통상의 경우, 물림이나 막힘을 일으킨 빠찡꼬 구슬은, 스템핑 모우터(50)의 역회전에 의한 구슬 분리판(41)의 역회전에 의하여, 막힘등의 상태가 해소되고, 그대로 계속되는 스템핑 모우터(50)의 통상의 회전(경회전)에 의하여, 송출장치(20)로부터 배출된다.
따라서, 제9도에 나타낸 구간7에서의 스템핑 모우터(50)의역회전 후, 스템핑 모우터(50)가 정회전하면,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검출되고(스텝 S120), 경품 구슬의 잔여수량 (i)은 감소 되며(스텝 S130), 송출장치(20)의 구동 속도가 점차로 상승된다(제9도 구간8).
한편, 스템핑 모우터(50)를 일단 역회전한 후, 여전히 빠찡꼬 구슬의 불출을 검출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중대한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하여, 알람 처리를 행하여(스텝 S240),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이러한, 고장이 없고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계속되어, 소정수 (S)의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완료되면 입상구슬의 잔여수가 있는가 없는가의 판단을 실시하여(스텝 S260), 입상구슬의 잔여수가 있는 경우에는, 계속 불출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여, 변수 (i)에 재차 소정치 (S)를 설정하고 나서, 불출 검출의 처리(스텝 S120)로 되돌아와서, 여기에서부터 상술한 처리를 되풀이 한다.
이 결과, 송출장치(20)를 최저 속도로부터 다시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품 구슬의 효울적인 불출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입상 구슬의 잔여수가 없으면, 그대로 「END」로 빠져서 본 처리 루틴을 종료한다. 이 결과, 송출장치(20)는 정지한다.
제8도는, 구동 속도를 상승 또는 저하해 나갈 때의 구동 전력의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빠찡꼬 구슬의 불출이 검출되어 구동속도를 1단계 높일때(구간11), 구동 전력을 단기간 급증하고, 그 후는 구동 속도에 의해, 정해지는 소정의 레벨로 유지한다. 구동 속도가 최대로 달하면 구동 전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구간 12). 구동 속도를 저하할 경우는, 상승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구동 전력을 일단 증대하여 토오크를 늘리고, 그 후, 구동 속도에 의하여 정해지는 소정의 레벨로 유지된다(구간13).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큰 토오크를 얻는 것과, 스템핑 모우터(50)의 가열을 방지하는 것을 양립시키고 있다. 정상(定常)적인 구동을 하는 경우에도,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적인, 구동전력(PAV)을 얻기 위하여, 똑같이 최대 구동 전력(Pmax)과 최소 구동 전력(Pmin)을 조합하여, 스템핑 모우터(50)를 제어 하고 있다.
최대 구동 전력(Pmax)이 가해질때에서, 송출장치(20)는, 장치의 각부나 빠찡꼬 구슬의 최대 정지 마찰 계수에 의한 마찰력 및 관성에 대향하여 움직이기 시작하고, 한편, 전체로서는 평균적인 구동전력(PAV)에 의해 구동되어, 불필요한 발열등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빠찡꼬 구슬 송출 장치에 의하면, 소형의 스템핑 모우터(50)를 사용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스템핑 모우터(50)에 의한 빠찡꼬 구슬의 송출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가 있다. 또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빠찡꼬대 배면의 좁은 스페이에 부착이 용이화, 설계 자유도의 향상등을 도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우터의 크기는, 체적비로 종래의 1/2 정도로 할 수가 있다.또한, 본 시시예에서는, 빠찡꼬 구슬의 불출을 감시하여, 불출이 연속하여 행해지고 있는 경우, 즉, 불출의 조건이 양호한 경우에는, 불출 속도를 높이고, 불출 할 수 없는 등 불출 조건이 나쁜 경우에는, 불출 속도를 저하하여 구동 로오크를 높이는 빠찡꼬 구슬의 불출은 한층 더 확실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원으로 스템핑 모우터(50)를 사용하고 있으나, 스텝핑 모우터는, DC 모우터와 달라서, 회로의 달락등에 의해 회전을 계속한다고 하는 고장은 발생하기 어렵고, 빠찡꼬 구슬의 송충장치로서의 신뢰성은 높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경품 구슬 확인 스위치(19)에 의한 불출의 검출에 의거하여 구동 속도를 제어하였으나, 구슬의 공급이 뒤따르지 못한 것을 구슬 보급 인터록 스위치(15)에 의하여 검출된 경우에, 구동 속도를 강하시켜 경품 구슬의 불출이 도중에서 끊어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경품 구슬의 불출이중단되는 일이 없으므로,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빠찡꼬대의 환경, 예를 들면, 온도나 습도에의해 빠찡꼬 구슬의 불출의 용이도가 다르기 때문에, 습도가 높을수록 최대 구동 속도를 강화시켜, 확실하게 불출할 수 있는 구동 토오크를 확보하는 등, 가장 적합한 불출 속도로 제어한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밖에, 구슬 막힘 인터록 스위치(17)에 의해, 구슬 막힘이 검출된 경우에 불출을 중지하여 알람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하의 접시 인터록 스위치(27)에 의하여, 구슬받이 접시의 경품 구슬이 넘쳐진 것이 검출된 경우에, 경품 구슬의 불출속도를 저하시키거나, 불출 그 자체를 중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타트 스위치(24)로부터의 신호(입상 구슬의 겁출 신호)에 따라서 송출장치(20)를 구동하여 소정수 (7개 또는 15개 등)의 빠찡꼬 구슬을 경품 구슬로서 불출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빠찡꼬대에 구슬 대출 스위치를 마련하여, 소정의 요금이 지불되고 동시에 구슬 대출 스위치가 눌러졌을 경우에, 본 실시예의 빠찡꼬 구슬 송출 제어 장치에 의해, 경품 구슬과는 다른 개수의 빠찡꼬 구슬을 불출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1회의 구슬 대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25개의 빠찡꼬 구슬을 대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한, 대출용으로 투입된 금액에 따라서, 25의 정수배 또는 특업 테이블등에서 정해지는 소정 개수의 빠찡꼬 구슬을 대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DC 모우터등의 다른 모우터를 구동원으로 한 구성, 3상 이상의 다상의 스텝핑 모우터를 사용한 구성, 혹은 빠찡꼬 구슬의 대출기등 빠찡꼬 구슬의 수를 계수하는 장치에 사용한 구성등, 본 말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상태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살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빠찡꼬 구슬의 송출 장치에 의하면,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로의 빠찡꼬 구슬의 공급 상태 혹은 배출 상태에 따라서, 최적 조건으로 전동기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빠찡꼬 구슬의 송출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이 결과, 빠찡꼬 구슬 송출 장치의 소형화와 빠찡꼬 구슬 송출의 정밀도 향상을 양립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2)

  1. 전동기를 구동원으로하여, 이 전동기의 회전에 의하여 빠찡꼬 구슬을 순차로 배출하는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와, 이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로의 빠찡꼬 구슬의 공급 상태 또는 이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로부터 배출되는 빠찡꼬 구슬의 배출 상태를 검출하는 빠찡꼬 구슬 상태 검출 수단과, 이 검출된 빠찡꼬 구슬의 상태에 따라서, 상기 빠찡꼬 구슬 배출 기구의 회전수, 토오크, 회전방향, 전동기로의 인가전압, 이 인가전압의 펄스폭등의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전동기 제어수단과를 구비한 빠찡꼬 구슬의 송출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빠찡꼬 구슬 검출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빠찡꼬 구슬의 상태에 따라서, 빠찡꼬 구슬의 송출이 용이한 상태인지 곤란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전동기 제어 수단에는, 빠찡꼬 구슬의 송출이 용이한 상태일수록 상기 빠찡꼬 구슬 배출기구의 배출 속도를 높이고, 송출이 곤란한 상태일수록 배출 속도를 저하하는 배출속도 가변수단을 구비한 빠찡꼬 구슬의 송출제어장치.
KR1019910012270A 1991-07-18 1991-07-18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장치 KR018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270A KR0181177B1 (ko) 1991-07-18 1991-07-18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270A KR0181177B1 (ko) 1991-07-18 1991-07-18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943A KR930001943A (ko) 1993-02-22
KR0181177B1 true KR0181177B1 (ko) 1999-02-01

Family

ID=19317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270A KR0181177B1 (ko) 1991-07-18 1991-07-18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1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943A (ko) 199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06417B2 (ja) パチンコ球払出装置
JP3128865B2 (ja) パチンコ玉の送り出し制御装置
KR0181177B1 (ko) 빠찡꼬 구슬의 송출 제어장치
JP2000189618A (ja) 遊技機
JP3760741B2 (ja) パチンコ玉の送り出し制御装置
JPH0566157B2 (ko)
MXPA96006123A (en) Apparatus for the automatic production of hi
CN100407233C (zh) 支付物品分送机
JP2010158300A (ja) 遊技機
JP2852833B2 (ja) パチンコ玉払出器
JP2714762B2 (ja) スロットマシン
GB2270474A (en) Golf ball dispenser
JP3807752B2 (ja) 弾球遊技機
JPH04332574A (ja) パチンコ玉検出装置
JP3558018B2 (ja) パチンコ玉検出装置
JP3243478B2 (ja) パチンコ機の電気的景品球払出装置
JP3766980B2 (ja) パチンコ機の景品球払出装置
JP2696589B2 (ja) パチンコ機の景品球払出装置
JP2952082B2 (ja) パチンコ機の景品球払出装置
JP3815743B2 (ja) パチンコ玉払出装置
JPS5933393B2 (ja) 遊戯場におけるパチンコ機の管理装置
JP6224034B2 (ja) 遊技機
JP3241450B2 (ja) 遊技球送り出し機構
JP2731876B2 (ja) パチンコ機の賞球排出装置
JP2007089954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