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122B1 -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122B1
KR0178122B1 KR1019960039298A KR19960039298A KR0178122B1 KR 0178122 B1 KR0178122 B1 KR 0178122B1 KR 1019960039298 A KR1019960039298 A KR 1019960039298A KR 19960039298 A KR19960039298 A KR 19960039298A KR 0178122 B1 KR0178122 B1 KR 0178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zzer
cooking
indicator
heating
rin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304A (ko
Inventor
가츠히꼬 나가야
가츠노리 구마가이
Original Assignee
강원석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석,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원석
Publication of KR970016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전지수명이 긴, 표시기 및 버저를 가지는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제어유니트(6)는, 에러발생시 버저(5)의 울림과 LED에 의한 에러 코드의 발광표시를 번갈아 하므로써 소비전류를 억눌러서 건전지(7)의 수명을 늘린다.

Description

조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되는 가스테이블의 정면도.
제2도는 이 가스테이블의 설명도.
제3도는 이 가스테이블의 점화·소화스위치의 설명도.
제4도는 이 가스테이블의 블록도.
제5도는 이 가스테이블의 정상시의 버저, 표시기, 점화·소화버튼의 관계를 나타낸 파형도.
제6도는 이 가스테이블의 회로 고장시의 버저, 표시기, 점화·소화버튼의 관계를 나타낸 파형도.
제7도는 이 가스테이블에서 에러발생시의 버저, 표시기, 점화·소화버튼의 관계를 나타낸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LED(표시기) 5 : 압전버저(버저)
6 : 제어유니트(제어수단) 7 : 건전지
11 : H버너(가열수단) 21 : M버너(가열수단)
31,32 : 그릴버너(가열수단) A : 가스테이블(조리장치)
n : 조리용기 f : 생선(피조리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지식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서부터, 생선을 가열하는 그릴버너와, 남은가열시간이나 에러코드를 예를 들면 2자리로 발광표시하는 7세그먼트의 LED와, 기구고장시에 울리는 버저(buzzer)와, LED나 버저 등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작동용 전력을 저장한 건전지를 가지는 테이블곤로가 알려져 있다.
이 테이블곤로에서는, 이상발생시(기구 고장시, 과열시, 장시간 사용할 때)에 버저를 울려서 이상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림과 동시에 에러코드를 7세그먼트의 LED에 발광표시하여 이상원인을 자기진단하도록 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테이블곤로는 전지수명이 짧다고 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버저의 울림과 에러코드의 표시가 동시에 나타나기 때문에 이상발생을 알릴 때 비교적 큰 소비전류(LED는 약 70mA, 버저는 약 40mA)가 흐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예를 들면 건전지의 전압을 감시하여 전압이 소정시간 이상 계속하여 소정전압 이하로 되었을 때 테이블곤로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지시하는 전지전압감시회로를 설치한 것에서는, 건전지 수명말기가 되면 큰 소비전지가 흘렀기 때문에 전지전압감시회로가 작동하여 테이블곤로의 작동이 정지되어 버린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수명이 긴, 표시기 및 버저를 가지는 조리장치의 제공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1)피조리물이나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조리정보를 발광표시하는 표시기와, 조리정보를 울림에 의해 알리는 버저와, 상기 가열수단, 상기 표시기, 및 상기 버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표시기, 상기 버저, 상기 제어수단을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한 건전지를 가지는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버저를 비교적 긴 시간동안 울릴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버저가 울리고 있는 중에는 상기 표시기의 발광표시를 정지하되, 상기 표시기에 발광표시되는 조리정보는 남은가열시간, 조리가능시간, 또는 에러코드이며, 상기 버저가 울림에 의해 알리는 조리정보는 가열종료예고, 가열종료, 또는 에러발생경보이다.
(2) 피조리물이나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조리정보를 발광표시하는 표시기와, 조리정보를 울림에 의해 알리는 버저와, 상기 가열수단, 상기 표시기, 및 상기 버저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가열수단의 기능이나 조리상태를 감시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표시기, 상기 버저, 상기 제어기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한 건전지를 가지는 조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의 고장시나 조리상태의 이상시에 상기 표시기 및 상기 버저 양측으로 정보를 알릴 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버저가 울리는 동안은 상기 표시기의 발광표시를 정지하되, 상기 표시기에 발광표시되는 조리정보는 남은가열시간, 조리가능시간, 또는 에러코드이며, 상기 버저가 울림에 의해 알리는 조리정보는 가열종료예고, 가열종료, 또는 에러발생경보이다.
(3) 상기 (1) 또는 (2)의 구성을 가지고, 상기 표시기는 세그먼트식의 LED이며, 상기 버저는 압전버저이다.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청구범위 제1항에 대하여]
조리중 표시기는 조리정보(남은가열시간, 조리가능시간, 또는 에러코드)를 발광표시하고, 버저는 조리정보(가열종료예고, 가열종료, 또는 이상의 유무)를 울림에 의해 알린다.
버저를 비교적 긴 시간동안 울릴 필요가 있는 경우(이상발생시), 제어수단은 버저가 울리는 중에는 표시기의 발광표시(에러코드)를 정지한다.
따라서, 소비전류가 억제되며 전지전압의 급격한 저하가 없기 때문에 건전지의 수명이 연장된다.
[청구범위 제2항에 대하여]
조리중 표시기는 조리정보(남은가열시간, 조리가능시간 또는 에러코드)를 발광표시하고, 버저는 조리정보(가열종료예고, 가열종료 또는 이상의 유무)를 울림에 의해 알린다.
제어수단은, 가열수단의 고장시나 조리상태의 이상시에 표시기 및 버저의 양측으로 정보를 알리는데, 버저의 울림중(에러발생경보음)에는 표시기의 발광표시(에러코드의 발광표시)를 정지한다.
따라서, 소비전류가 억제되며 전지전압의 급격한 저하가 없기 때문에 건전지의 수명이 연장된다.
[종속항에 대하여]
세그먼트식의 LED의 소비전류는 수십mA, 압전버저의 소비전류도 수십mA인데, 압전버저가 울리는 동안에는 제어수단이 LED의 발광표시를 정지하는 구성이므로, 소비전류가 억제되어 건전지의 수명이 연장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제7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스테이블(A)은, 가스곤로(1,2)와, 그릴(3)과, 그릴타이머의 시간 등을 발광표시하는 LED(4)와, 에러발생시 등에 울리는 압전버저(5)와, LED(4)나 압전버저(5) 등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6)와, 건전지(7)를 가진다.
가스곤로(1)는, H버너(4100kcal)(11)를 가지며, H버너(11)에는 가스량조절밸브(도시생략), 및 안전밸브(12)가 설치된 가스공급관(10)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며, 점화전극(16)의 불꽃방전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한다. 또한, 가스곤로(1)는 조리용기(n)의 바닥을 탄성누름하는 서미스터(17)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량조절밸브는, 정면상부에 설치된 레버(13)의 위치에 따라 밸브각도가 변화하여 H버너(11)로 공급되는 가스량의 증감을 조절한다.
안전밸브(12)는 점화·소화버튼(14)이 제3도의 ③위치까지 눌러지면 밸브개방을 개시한다. 또한, 안전밸브(12)는, 서모커플(15)의 기전력이 착화검지레벨(2.8mV) 이상인 경우에는, 점화·소화버튼(14)의 누름을 해제하고 제3도의 ⑤위치까지 되돌아가도 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가스곤로(2)는, M버너(2300kcal)(21)를 가지며, M버너(21)에는 가스량조절밸브(도시생략), 및 안전밸브(22)가 설치된 가스공급관(20)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고, 점화전극(26)의 불꽃방전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한다.
가스량조절밸브는, 정면상부에 설치된 레버(23)의 위치에 따라 밸브개방정도가 변화하여 M버너(21)로 공급되는 가스량의 증감을 조절한다.
안전밸브(22)는, 점화·소화버튼(24)이 제3도의 ③위치까지 눌러지면 밸브개방을 개시한다. 또한, 안전밸브(22)는 서모커플(25)의 기전력이 밸브개방 유지레벨 이상인 경우에는, 점화·소화버튼(24)의 누름을 해제하고 제3도의 ⑤위치까지 되돌아가도 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그리(3)은 생선(f)을 양면구이하는 그릴(31,32)(각 1950kcal)을 가지며, 그릴버너(31,32)에는 가스량조절밸브(도시생략), 및 안전밸브(33)가 설치된 가스공급관(30)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며 점화전극(8)의 불꽃방전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한다.
가스량조절밸브는, 정면상부에 설치된 레버(34,35)의 위치에 따라 밸브개방 정도가 변화하여 그릴버너(31,32)로 공급되는 가스량의 증감을 조절한다.
안전밸브(33)는, 점화·소화버튼(36)이 제3도의 ③위치까지 눌러지면 밸브개방을 개시한다. 또한, 안전밸브(33)는, 서모커플(37)의 기전력이 착화감지레벨(2.5mV) 이상인 경우에는, 점화·소화버튼(36)의 누름을 해제하고 제3도의 ⑤위치까지 되돌아가도 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제어유니트(6)의 CPU(61) 및 LED구동회로(62)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LED(4)는 최대소비전류가 약70mA인 7세그먼트LED(2자리)이고, 그릴버너(31,32)의 연소중은 그릴타이머의 남은 시간을 분단위 또는 초단위로 발광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모커플(37)에 의해 착화검지가 되면 표시를 개시(8분을 나타내는 8.을 발광표시)한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론.을 1초주기(0.5초 점등-0.5초 소등)로 점멸시키면서 숫자표시를 줄여간다.
8.→7.→6.→5.→4.……
또한, 그릴타이머의 종료 30초 전이 되면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론을 소등함과 아울러 표시를 1.에서 30으로 변경하고 1초 경과시마다 수자표시를 줄여간다.
2.→1.→30→29→28→27→26→……→0
또한, LED(4)는, 제6도,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장시나 오조작시에는 고장원인이나 에러원인에 대응하는 에러코드(후기한다)를 발광표시한다. 단, 버저(5)가 울리고 있는 중인 경우에는 소비전류를 억제하기 위해 에러코드의 표시를 하지 않는다.
[에러코드]
서미스터 단선고장…31
서미스터 회로고장…70
SV회로고장…71
과열(290℃이상)시…14
연속사용시(2시간 이상 연속사용)…0
눌어붙음자동소화, 기름과열방지소화…2
제어유니트(6)의 CPU(61) 및 버저구동회로(63)에 의해 울림이 제어되는 압전버저(5)는, 울림시의 소비전류가 약 40mA이며, 제5도∼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화·소화버튼의 누름시(100mS 울림), 그릴타이머의 종료30초전 시점화(90mS울림-40mS정지×3을 3회), 그릴타이머의 종료시(60S마다 1.5S 울림), 회로고장시(점화·소화버튼을 해제하기까지 연속울림), 에러발생시(0.5S울림-0.5S 정지를 5회)에 울린다.
또한, 착화검지가 되었을 때에 압전버저(5)를 울리도록 해도 된다.
제어유니트(6)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61), LED구동회로(62), 버저구동회로(63), 전지전압감시회로(64) 등을 가지며, 마이크로스위치(611,612), 서미스터(17), 그릴타이머시간증감스위치(601,602), 서모커플(15,37)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안전밸브(12,33), 버저(5), 전지교환알림램프(65), LED(4)를 제어한다.
점화·소화버튼(14,24,36)은 소화상태에서는 제3도의 ①위치에 있고, ②위치에서 안으로 누르면 이그나이터작동용 마이크로스위치(651,652,653)가 '온(ON)'상태로 되며 이그나이터(66)가 작동하여 점화전극(16,26,38)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점화·소화버튼(14,36)을 제3도의 ②위치에서 안으로 누르면 제어유니트(6)에 전지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611,612)가 '온' 상태로 된다.
또한, 점화·소화버튼(14,24,36)을 안까지 밀어넣고(제3도의 ④위치) 손을 떼면 ⑤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소화할 경우는 다시 안까지 밀어넣고 손을 떼면 소화위치(①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은 종래 주지의 하트캠 기구에 따른다.
건전지(7)는 단일형의 망간전지 2개를 직렬접속한 것으로, LED(4), 버저(5), 제어유니트(6)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하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가스테이블(A)의 이점을 이하에 나타낸다.
(a) 눌어붙을 우려가 있을 때나 기름과열시, 290℃이상으로 과열했을 때, 2시간이상 연속사용시 등의 에러발생시(제7도 참조)에는, 제어유니트(6)는 H버너(11)를 소화함과 아울러 마이크로스위치(611,612)가 '오프(OFF)'상태로 될 때까지 버저(5)의 울림과 에러코드의 발생표시 양측으로 에러를 알리는데, 버저(5)의 울림중에는 LED(4)로의 에러코드의 발광표시를 정지하는 구성이므로 소비전류가 약 110mA에서 약 70mA/40mA로 억제되며 전지전압의 급격한 저하가 없기 때문에 건전지(7)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에러발생은 비교적 높은 빈도로 발생하므로, 소비전류를 억제하는 것에 의한 효과는 크다.
(b) 서미스터단선, 서미스터회로고장, SV회로고장 등의 회로고장의 경우, 제어유니트(6)는 H버너(11)나 그릴버너(31,32)를 소화함과 아울러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화·소화버튼(14,36)을 소화위치(제3도의 ①위치)로 되돌릴 때까지 버저(5)를 연속으로 울려서 고장을 알리는데, 에러코드는 버저(5)의 울림이 정지한 후에 표시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버저(5)의 연속울림중에 큰 소비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므로 연속울림중에 전지의 약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 그릴타이머의 종료30초전 시점에서는 버저(5)의 울림과 LED(4)의 표시를 모두 하는 구성이므로 사용자를 당황시키지 않는다. 또한, 이 때 버저(5)의 실제작동시간은 짧아서(90mS 울림-40mS정지×3을 3회) 전지전압 감시회로가 작동하기 전에 전압이 복귀하기 때문에 건전지(7)의 교환시기가 빨라지는 일은 없다.

Claims (3)

  1. 피조리물(f)이나 조리용기(n)를 가열하는 가열수단(11,21,31,32)과; 조리정보를 발광표시하는 표시기(4)와; 조리정보를 울림에 의해 알리는 버저(5)와; 상기 가열수단(11,21,31,32), 상기 표시기(4), 및 상기 버저(5)를 제어하는 제어수단(6)과; 상기 표시기(4), 상기 버저(5), 상기 제어수단(6)을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한 건전지(7);를 가지는 조리장치(A)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6)은, 상기 버저(5)를 비교적 긴 시간동안 울릴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버저(5)가 울리는 중에는 상기 표시기(4)의 발광표시를 정지하되, 상기 표시기(4)에 발광표시되는 조리정보는 남은가열시간, 조리가능시간, 또는 에러코드이며, 상기 버저(5)가 울림에 의해 알리는 조리정보는 가열종료예고, 가열종료, 또는 에러발생경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2. 피조리물(f)이나 조리용기(n)를 가열하는 가열수단(11,21,31,32)과; 조리정보를 발광표시하는 표시기(4)와; 조리정보를 울림에 의해 알리는 버저(5)와; 상기 가열수단(11,21,31,32), 상기 표시기(4), 상기 버저(5)를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가열수단(11,21,31,32)의 기능이나 조리상태를 감시하는 제어수단(6)과; 상기 표시기(4), 상기 버저(5), 상기 제어수단(6)을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한 건전지(7);를 가지는 조리장치(A)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11,21,31,32)의 고장시나 조리상태의 이상시에 상기 표시기(4) 및 상기 버저(5) 양측으로 정보를 알릴 때, 상기 제어수단(6)은 상기 버저(5)가 울리는 동안에는 상기 표시기(4)의 발광표시를 정지하되, 상기 표시기(4)에 발광표시되는 조리정보는 남은가열시간, 조리가능시간, 또는 에러코드이며, 상기 버저(5)가 울림에 의해 알리는 조리정보는 가열종료예고, 가열종료, 또는 에러발생경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4)는 세그먼트식의 LED이며, 상기 버저(5)는 압전버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장치.
KR1019960039298A 1995-09-11 1996-09-11 조리장치 KR01781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32730 1995-09-11
JP7232730A JP2940856B2 (ja) 1995-09-11 1995-09-11 調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304A KR970016304A (ko) 1997-04-28
KR0178122B1 true KR0178122B1 (ko) 1999-03-20

Family

ID=1694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298A KR0178122B1 (ko) 1995-09-11 1996-09-11 조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40856B2 (ko)
KR (1) KR0178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7968B2 (ja) * 2011-02-25 2014-06-11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燃焼装置
KR101709556B1 (ko) * 2015-06-30 2017-02-23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성안내 기능을 갖는 조리기구의 절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304A (ko) 1997-04-28
JPH0979583A (ja) 1997-03-28
JP2940856B2 (ja)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8122B1 (ko) 조리장치
JP3474988B2 (ja) ガス燃焼装置
KR100211291B1 (ko) 전지전원식 전자장치
KR950008616B1 (ko) 조리기의 버너작동 표시방법
JP3568288B2 (ja) 調理装置
JP2702383B2 (ja) 燃焼装置
KR0178125B1 (ko) 조리장치
JP2004357895A (ja) グリル
KR940002746B1 (ko) 그릴 제어장치
KR100220317B1 (ko) 가열장치
KR0178123B1 (ko) 조리기기
KR940005904B1 (ko) 가스테이블의 그릴제어방법
CN213542472U (zh) 一种燃气安全熄火保护控制器
JP7493229B2 (ja) コンロ
JP2651115B2 (ja) 燃焼装置
JPH0972548A (ja) タイマ装置、及び調理装置
JPH0658545A (ja) 調理装置
KR0178124B1 (ko)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KR950007401B1 (ko) 조리장치
JPH03236817A (ja) グリルの制御装置
KR940008518B1 (ko) 조리기
JP3693197B2 (ja) グリル付ガス調理器
JP3606485B2 (ja) 燃焼制御装置
JP2564079B2 (ja) グリルの表示装置
JP2021165611A (ja) ガス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