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124B1 -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124B1
KR0178124B1 KR1019960045537A KR19960045537A KR0178124B1 KR 0178124 B1 KR0178124 B1 KR 0178124B1 KR 1019960045537 A KR1019960045537 A KR 1019960045537A KR 19960045537 A KR19960045537 A KR 19960045537A KR 0178124 B1 KR0178124 B1 KR 0178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digit
time
signa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946A (ko
Inventor
겐지 호라야
Original Assignee
강원석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석, 린나이코리아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원석
Publication of KR970021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4Contro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과제]
소정의 숫자나 조리시간등을 디지털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의 소비전류를 적게 한 조리장치의 제공.
[해결수단]
1ms마다 디지트신호(50,51)가 하이레벨로 되는 디지트출력포트가 다른 디지트출력포트로 이동하도록 각 디지트출력포트에서 디지트신호를 펄스출력하고 16회중 어느 한 1ms 동안에 세그먼트의 각각이 1회씩 통전되도록 각 세그먼트신호(52∼59)를 펄스출력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제3실시예에 관련된 가스테이블의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제3실시예에 관련된 가스테이블의 구조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제3실시예에 관련된 점화/소화스위치의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제3실시예에 관련된 가스테이블의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제3실시예에 관련된 가스테이블에 부착된 표시장치의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된 가스테이블에 부착된 표시장치가 출력하는 디지트신호 및 세그먼트신호의 파형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가스테이블에 부착된 표시장치가 출력하는 디지트신호 및 세그먼트신호의 파형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련된 가스테이블에 부착된 표시장치가 출력하는 디지트신호 및 세그먼트신호의 파형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련된 가스테이블에 부착된 표시장치가 출력하는 디지트신호 및 세그먼트신호의 파형도.
제10도는 종래 기술에 관련된 가스테이블에 부착된 표시장치가 출력하는 디지트신호 및 세그먼트신호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제어유니트 7 : 마이크로컴퓨터
11 : H버너(가열수단) 18,19 : 발광다이오드
21 : M버너(가열수단) 40,41 : 디지트출력포트
42~49 : 세그먼트출력포트 50,51 : 디지트신호
52~59 : 세그먼트신호 62 : LED구동회로
A~C : 조리장치 D~F : 표시장치
a~h : 세그먼트 f : 생선(피조리물)
n : 조리용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소정의 숫자(예를들면 남은 조리시간)나 문자등을 발광다이오드에 표시하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전지식의 조리기기 또는 조리장치(도시생략)에 부착된 표시장치(G)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세그먼트(a~h)를 日.자 형상으로 배열한 발광다이오드(18,19)와, 디지트신호(50,51)를 출력하는 디지트출력포트(40,41)와 세그먼트신호(52~59)를 출력하는 세그먼트출력포트(42~49)를 가지는 마이크로컴퓨터(7)와,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를 다이나믹표시하는 LED구동회로(62)를 가지며,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마이크로컴퓨터(7)는, 십의 자리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18)와 일의 자리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19)가 교대로(5ms마다) 발광하고, 또한 소정의 숫자(예를들면 26.)의 표현에 필요한 세그먼트(a,b,g,e,d 또는 a,f,e,d,c,g,h)가 동시발광하도록 디지트 신호(50,51) 및 세그먼트신호(52~59)의 타이밍을 결정하고 있다. 예를들면 26분을 의미하는 26.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타이밍으로 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의 표시장치를 부착한 전자식의 조리기기(이하 조리장치라 칭함)를 시범적으로 사용, 검사한 결과 소비전류가 많고 전자수명이 짧다고 하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예를들면, 88이라고 하는 숫자를 표현하는 경우 7개의 세그먼트가 동시에 점화하므로 소비전류는 10mA×7로 70mA가 흐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숫자 또는 남은 조리시간 등을 디지털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의 소비전류를 적게 한 조리기의 표시장치 제공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1) m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세그먼트신호를 출력하는 m개의 세그먼트출력포트를 가지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세그먼트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세그먼트에 통전하므로써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구동회로를 가지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1회순환시간을 m등분한 것 중 어느 하나의 (1/m)등분시간 동안에 상기 소정의 세그먼트 각각이 1회씩 통전되도록 각 세그먼트신호를 펄스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1회순환시간을 잔상가능시간 이내로 하였다.
(2) m개의 세그먼트를 배열하여 동일위치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를 서로 접속한 n개(단, n≥2)의 발광다이오드와, 다지트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디지트출력포트와 상기 세그먼트신호를 출력하는 m개의 세그먼트출력포트를 가지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세그먼트신호 및 디지트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세그먼트에 통전하므로써 n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를 다이나믹표시하는 구동회로를 가지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n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상기 n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데에 필요한 세그먼트가 1회순환시간내에 각각 1회씩 통전되도록 각 디지트신호 및 세그먼트 신호를 펄스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1회순환시간을 잔상가능시간 이내로 하였다.
(3) m개의 세그먼트를 배열하여 동일위치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를 서로 접속하여 횡설(橫設)한 n개(단, n≥2)의 발광다이오드와, 디지트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디지트출력포트와 세그먼트신호를 출력하는 m개의 세그먼트출력포트를 가지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세그먼트신호 및 디지트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세그먼트에 통전하므로써 n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를 다이나믹표시하는 구동회로를 가지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1회순환시간을 (m×n) 등분한 {1/(m×n)}등분시간마다 디지트신호가 하이레벨로 되는 디지트출력포트가 다른 디지트출력포트로 이동하도록 각 디지트출력포트에서 디지트신호를 펄스출력하고, (m×n)회 중 어느 하나의 {1/(m×n)}등분시간 동안에 상기 소정의 세그먼트 각가이 1회씩 통전되도록 각 세그먼트신호를 펄스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1회순환시간을 잔상가능시간 이내로 하였다.
(4) 상기 (1)항에 있어서, 각 세그먼트신호의 하이레벨시간을 증감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도, 각 세그먼트신호의 하이레벨시간을 증감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5) 상기 (1) 또는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1회순환시간은 각각 30ms이하이다.
(6) 상기 (1)항 또는 (2)항에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작동용 전원은 각각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물론, 상기한 표시장치는 피조리물이나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과, 시간경과에 대응하여 남은 조리시간을 초기치로부터 감소시켜 나가서 상기 남은 조리시간이 재료가 되면 상기 가열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가지는 조리기기에 부착되어 남은 조리시간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의해 표시된다.
[발명의 작용 및 효과]
[청구범위 제1항의 작용]
발광다이오드에는 전부 m개의 세그먼트가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1회순환시간(잔상가능시간 이내)을 전 세그먼트수(m개)로 등분한 것 중 어느 하나의 (1/m)등분시간 동안에 상기 소정의 세그먼트 각각이 1회씩 통전되도록 각 세그먼트신호를 펄스출력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1/m) 등분시간동안에 소정의 세그먼트 전부의 발광이 완료하고, 잔상에 의해 사용자는 발광다이오드위에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한다.
[청구범위 제1항의 효과]
한번에 1개씩의 세그먼트에만 통전되므로 동시에는 최대로 하여도 세그먼트 1개분만의 전류가 흘러서 발광다이오드의 소비전류를 적게 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의 작용]
다이나믹표시를 하므로 n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동일위치의 애노드(anode) 또는 캐소드(cathode)는 서로 접속된다.
m개의 세그먼트를 배열한 n개의 발광다이오드에는 전부 (m×n)개의 세그먼트가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n개의 발광다이오드로 n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데에 필요한 세그먼트가 1회순환시간내에 각각 1회씩 통전되도록 각 세그먼트신호를 펄스출력한다. 이에 의해 1회순환시간내에 소정의 세그먼트 각각이 1회씩 발광하고 1회순환시간내에 소정의 세그먼트 전부가 발광완료하며, 잔상효과에 의해 사용자는 발광다이오드위에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한다.
[청구범위 제2항의 효과]
한번에 1개씩의 세그먼트에만 통전되므로 동시에는 최대로 하여도 세그먼트 1개분만의 전류가 흘러서 발광다이오드의 소비전류를 적게 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의 작용]
다이나믹표시를 하므로 n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동일위치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는 서로 전기접속된다.
m개의 세그먼트를 배열한 n개의 발광다이오드에는 전부 (m×n)개의 세그먼트가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는, 1회순환시간(잔상가능시간 이내)을 전 세그먼트수(m×n개)로 등분한 {1/(m×n)}등분시간마다, 디지트신호가 하이레벨로 되는 디지트출력포트가 다른 디지트출력포트로 이동하도록 각 디지트출력포트에서 디지트신호를 구동회로에 펄스출력하고, (m×n)회 중 어느 하나의 {1/(m×n)}등분시간 동안에 상기 소정의 세그먼트 각각이 1회씩 통전되도록 각 세그먼트신호를 펄스출력한다. 이에 의해 {1/m×n)}등분시간 동안에 소정의 세그먼트 각각이 1회씩 발광하고, 1회순환시간내에 소정의 세그먼트 전부가 발광완료하며, 잔상효과에 의해 사용자는 발광다이오드위에 n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를 인식한다.
[청구범위 제3항의 효과]
한번에 1개씩의 세그먼트에만 통전되므로, 최대로 하여도 세그먼트 1개분만의 전류가 흘러서 발광다이오드의 소비전류를 적게 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의 작용 및 효과]
세그먼트신호의 하이레벨시간을 증감하는 것에 의해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5항의 작용 및 효과]
1회순환시간이 30ms이하이면 발광다이오드 위에 숫자나 문자를 가물거림을 느끼지 않게 표시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6항의 작용 및 효과]
발광다이오드의 전류가 적으므로 전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장치를 조리장치에 설치하였을시 발광다이오드 자체의 소비전류가 적으므로 전지를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없어서 경제적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청구범위 제 2,3,5,6항에 대응)를 제1도∼제7도에 따라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같이 가스테이블(A)은, 가스곤로(1,2)와, 그릴(3)과, 그릴타이머 시간등을 표시하는 표시기(4)와, 조리종료시 등에 울리는 압전버저(5)와, 표시기(4)나 압전버저(5)등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6)와, 건전지(60)와 스위치(8,9)를 가진다.
가스곤로(1)는, H버너(4100kcal)(11)를 가지며, H버너(11)에는 가스량조절밸브(도시생략) 및 안전밸브(12)가 설치된 가스공급관(10)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며, 점화전극(16)의 불꽃방전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한다. 또한, 가스곤로(1)는 조리용기(n)의 바닥을 탄성누름하는 서미스터(17)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량조절밸브는, 정면상부에 설치된 레버(13)의 위치에 따라 밸브각도가 변화하여 H버너(11)로 공급되는 가스량의 증감을 조절한다.
안전밸브(12)는 점화/소화버튼(14)이 제3도의 ③위치까지 눌러지면 밸브개방을 개시한다. 또한, 안전밸브(12)는, 서모커플(15)의 기전력이 착화검지레벨(2.8mV) 이상인 경우에는, 점화/소화버튼(14)의 누름을 해제하고 제3도의 ⑤위치까지 되돌아가도 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가스곤로(2)는, M버너(2300kcal)(21)를 가지며, M버너(21)에는 가스량조절밸브(도시생략) 및 안전밸브(12)가 설치된 가스공급관(20)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고, 점화전극(26)의 불꽃방전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한다.
가스량조절밸브는, 정면상부에 설치된 레버(23)의 위치에 따라 밸브개방정도가 변화하여 M버너(21)로 공급되는 가스량의 증감을 조절한다.
안전밸브(22)는, 점화/소화버튼(14)이 제3도의 ③위치까지 눌러지면 밸브개방을 개시한다. 또한, 안전밸브(22)는 서모커플(25)의 기전력이 밸브개방유지레벨이상인 경우에는, 점화/소화버튼(24)의 누름을 해제하고 제3도의 ⑤위치까지 되돌아가도 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그릴(3)은, 생선(f)을 양면구이하는 그릴버너(31,32)(각 1950kcal)를 가지며, 그릴버너(31,32)에는 가스량조절밸브(도시생략) 및 안전밸브(33)가 설치된 가스공급관(30)에 의해 가스가 공급되며 점화전극(38)의 불꽃방전에 의해 점화되어 연소한다.
가스량조절밸브는, 정면상부에 설치된 레버(34,35)의 위치에 따라 밸브개방정도가 변화하여 그릴버너(31,32)로 공급되는 가스량의 증감을 조절한다.
안전밸브(33)는, 점화/소화버튼(36)이 제3도의 ③위치까지 눌러지면 밸브개방을 개시한다. 또한, 안전밸브(33)는, 서모커플(37)의 기전력이 착화검지레벨(2.5mV) 이상인 경우에는, 점화/소화버튼(36)의 누름을 해제하고 제3도의 ⑤위치까지 되돌아가도 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제어유니트(6)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마이크로컴퓨터(7), LED구동회로(62), 버저구동회로(63), 전지전압감시회로(64)등을 가지며, 마이크로스위치(611,612), 서미스터(17), 그릴타이머시간증감용 스위치(8,9), 서모커플(15,37)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안전밸브(12,33), 압전버저(5), 전지교환정보알림램프(65) 및 표시기(4)를 제어한다.
제어유니트(6)의 마이크로컴퓨터(7) 및 LED구동회로(62)에 의해 발광이 제어되는 표시기(4)는 LED로서, 그릴버너(31,32)의 연소중에는 그릴타이머의 남은 시간을 분단위 또는 초단위로 발광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모커플(37)에 의해 착화검지가 되면 먼저 5초간 8.을 점멸상태로 발광표시한다.
그리고, 5초 경과후 8.을 점등상태로 하여 이하에 나타낸 바와같이 콜론 콜론.을 1초주기(0.5초 점등-0.5초 소등)로 점멸시키면서 1분 경과시마다 숫자표시를 줄여간다. 또한, 그릴타이머의 카운트다운은 착화검지가 된 시점으로부터 개시한다.
8.→7.→6.→5.→4.……
또한, 그릴타이머의 종료 30초 전이 되면 이하에 나타낸 바와같이 콜론을 소등함과 아울러 표시를 1.에서 30으로 변경하고 1초 경과시마다 숫자표시를 줄여간다.
2.→1.→30→29→28→27→26→……1→0
여기에서 가스테이블(A)에 부착된 표시장치(D)(청구범위 제2,3,5,6 항의 구성을 채용)를 제5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표시장치(D)는 발광다이오드(18,19)와 LED구동회로(62)와, 마이크로컴퓨터(7)로 구성된다.
발광다이오드(18,19)는 전체 8개의 세그먼트(a~h)를 日.자 형상으로 배열하여 발광다이오드(18)의 세그먼트(a~g)(애노드측)와 발광다이오드(19)의 세그먼트(a~g)(애노드측)를 접촉하고 있다.
LED구동회로(62)는 트랜지스터나 디지털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디지트신호(50,51) 및 세그먼트신호(52-59)에 의거하여 발광다이오드(18,19)를 다이나믹표시하는 이미 잘 알려진 구동회로이다.
마이크로컴퓨터(7)는, 디지트신호(50,51)를 출력하는 디지트신호출력포트(40,41)와, 세그먼트신호(52~59)를 출력하는 세그먼트출력포트(42~49)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7)는 1회순환시간(16ms)을 16등분한 1ms마다 하이레벨상태가 전화하도록 디지트출력포트(40,41)에서 디지트신호(50,51)를 펄스출력하고 있다. 이 디지트신호(50)는 발광다이오드(18)를 선택하는 신호이고 디지트신호(51)는 발광다이오드(19)를 선택하는 신호이다.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7)는 16회 중 어느 하나의 1ms에 소정의 세그먼트 각각이 1회씩 통전되도록 세그먼트출력포트(42~49)에서 세그먼트신호(52~59)를 펄스출력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 세그먼트신호를 출력하면 이때 디지트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발광다이오드의 세그먼트신호에 대응하는 세그먼트만이 점등하게 된다. 예를들면 26.을 표시하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7)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세그먼트신호(52~59)를 펄스출력한다.
제어유니트(6)의 마이크로컴퓨터(7) 및 버저구동회로(63)에 의해 울림이 제어되는 압전버저(5)는, 울림시의 소비전류가 약40mA이며 점화/소화버튼(14,24,36)의 누름시(100ms울림)나 그릴타이머의 종료시(60s마다 1.5s 울림)등에 울린다.
점화/소화버튼(14,14,36)은 소화상태에서는 제3도의 ①위치에 있고, ②위치에서 안으로 누르면 이그나이터작동용 마이크로스위치(651,652,653)가 '온(ON)'상태로 되어 이그나이터(66)가 작동하여 점화전극(16,26,38)에 고전압이 인가된다. 또한, 점화/소화버튼(14,36)을 제3도의 ②위치에서 안으로 누르면 제어유니트(6)에 전지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611,612)가 '온'상태로 된다.
또한, 점화/소화버튼(14,14,36)을 안까지 밀어넣고(제3도의 ④위치) 손을 떼면 ⑤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소화할 경우는 다시 ③위치까지 밀어넣고 손을 떼면 소화위치(①위치)로 되돌아간다. 또한, 이와 같은 동작은 종래 이미 잘 알려진 하트캠 기구에 따른다.
건전지(60)는 단일형의 망간전지 2개를 직렬접속한 것으로, 표시기(4), 압전버저(5), 제어유니트(6)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을 저장하고 있다.
마이크로스위치(8,9)는 항상 열린 형태의 누름버튼스위치로서 마이크로컴퓨터(7)는 이하의 방식으로 누름조작을 처리한다.
[스위치(8)(플러스키)]
1회 누를 때마다 그릴타이머를 1분가산(최대15분)한다.
초표시중의 누름조작은 그릴타이머를 1분으로 설정한다.
[위치(9)(마이너스키)]
1회 누를 때마다 그릴타이머를 1분감산(최소1분)한다.
그릴타이머가 1분 이하로 된 경우의 누름조작은 무시된다.
이어서 표시장치(D)를 부착한 가스테이블(A)의 이점을 서술한다.
(가) 표시기(4)에 어떠한 숫자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16ms를 16등분한 1ms의 각 시간에 있어서, 한번에 1개의 세그먼트에만 통전되므로 최대로 하여도 세그먼트 1개분만의 전류(10mA)만 흘러서, 표시기(4)의 소비전류를 적게 할 수 있다.
표시기(4)의 소비전류는 평균 10mA 이하이므로 가스테이블(A) 전체의 소비전류가 감소하여 건전지(6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나) 발광다이오드(18,19) 위에서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세그먼트를 16ms에 1회씩 순환하도록 순서대로 발광시키고 있으므로 잔상효과에 의해 사용자에게는 표시기(4)의 분할발광이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로 보임과 아울러 가물거림을 느끼지 않게 한다.
(다) LED구동회로(62)의 트랜지스터나 디지털트랜지스터가 세그먼트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통전시간이 1ms 또는 2ms로 짧고(종래는 5ms), 전류를 흐르지 않게하는 통전정지시간이 14ms 또는 15ms(종래는 5ms)로 길기 때문에, 디지털트랜지스터등에 걸리는 부담이 감소한다(발열저감이나 고장방지에 유리).
또, 저규격의 LED구동회로를 사용하여 부품비를 절약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청구범위 제2항에 대응함과 동시에 청구범위 제3∼6항을 제2항의 종속항으로 채택하였을시 이에 대응)를 제1∼7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가스테이블(B)에 부착된 표시장치(E)(청구범위 제2항과, 청구범위 제1항의 종속항인 제3∼6항을 제2항의 종속항으로 채택하는 구성을 채용)는 이하의 구성에서 표시장치(D)와 다르다.
낮동안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1개의 세그먼트의 통전시간은 1ms이므로 발광시간은 1ms인데, 휘도전환스위치나 cds에 의하여 야간에는 세그먼트신호(52~59)의 하이레벨시간을 감소시켜서,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통전시간을 0.6ms로 하므로써 휘도를 떨어뜨리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세그먼트신호(52~859)의 하이레벨시간을 연속적으로 증감하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가스테이블(B)은 휘도저감시 표시기(4)의 소비전류를 좀더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전지(60)의 수명을 한층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야간에는 표시기 휘도를 저감시켜도 시인성(視認性)이 저하되지 않는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청구범위 제3과, 청구범위 제1항의 종속항인 제5,6항을 제3항의 종속항으로 채택하였을시에 대응)을 제1∼5,8,9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가스테이블(C)에 부착된 표시장치(F)는 이하의 구성에서 표시장치(D)와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세그먼트로의 통전시간을 1ms로 하고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데에 필요한 세그먼트의 수×1ms를 1회순환시간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7)는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데에 필요한 세그먼트가, 1회순환시간 내에 각각 1회씩 통전되도록 디지트신호(50,51) 및 각 세그먼트신호(52~59)를 펄스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11.을 표시하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7)는 제8도에 나타낸 패턴으로 디지트신호(50,51), 세그먼트신호(54,57,59)를 펄스출력한다.
또한, 26.을 표시하는 경우 마이크로컴퓨터(7)는 제9도에 나타낸 패턴으로 디지트신호(50,51), 세그먼트신호(52,59)를 펄스출력한다.
이어서 표시장치(F)를 부착한 가스테이블(C)의 이점을 이하에 나타낸다.
(라) 표시기(4)에 어떠한 숫자를 표시하는 경우에도 1ms의 각 시간에 있어서, 한번에 1개의 세그먼트에만 통전되므로 세그먼트 1개분만의 전류(10mA)만 흘러서, 표시기(4)의 소비전류를 적게 할 수 있다.
표시기(4)의 소비전류는 평균 10mA 이하이므로 가스테이블(C) 전체의 소비전류가 감소하여 건전지(6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마) 발광다이오드(18,19) 위에서 소정의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세그먼트를 15ms 이하에서 1회씩 순환하도록 순서대로 발광시키고 있기 때문에 잔상효과에 의해 사용자에게는 표시기(4)의 분할발광이 소정의 숫자 및 도트로 보임과 아울러 가물거림을 느끼지 않게 한다.
(바) LED구동회로(62)의 트랜지스터나 디지털트랜지스터가 세그먼트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통전시간이 1ms 또는 2ms로 짧으므로(종래 5ms), 디지털트랜지스터등에 걸리는 부담이 감소한다(발열저감이나 고장방지에 유리).
또, 저규격의 LED구동회로를 사용하여 부품비를 절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이외에 다음의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a. 9분을 넘는 표시가 불필요하면 가스테이블(A)의 발광다이오드(18,19)를 1개로 하여, 예를들면 8ms(1회순환시간)를 8등분한 것 중 어느 하나의 1ms 동안에 발광시키는 세그먼트 각각이 1회씩 통전되도록 각 세그먼트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7)가 펄스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청구범위 제1항에 대응)
b. 발광다이오드의 횡설개수가 3개까지일 때는 1회순환시간이 길어지지 않으며 가물거림을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청구범위 제2,3항)
c.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세그먼트의 하이레벨 시간을 증감하는 것에 의하여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조절하고 있으나, 세그먼트신호의 주기나 하이레벨시간을 증감하는 것에 의하여 휘도조절을 해도 된다.
d. 상시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에 남은 조리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나타냈으나 설정온도등의 숫자를 표시하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알파벳 등의 문자를 표시하는 것이어도 된다.
e. 또한, 1회순환시간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0ms 이하이면 잔상에 의해 가물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본원 발명자들은 시험에 의해 확인하고 있다.

Claims (6)

  1. m개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발광다이오드와, 세그먼트신호를 출력하는 m개의 세그먼트출력포트를 가지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세그먼트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세그먼트에 통전하므로써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구동회로를 가지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1회순환시간을 m등분한 것 중 어느 하나의 (1/m)등분시간 동안에 상기 소정의 세그먼트 각각이 1회씩 통전되도록 각 세그먼트신호를 펄스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1회순환시간을 잔상가능시간 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2. m개의 세그먼트를 배열하여 동일위치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를 서로 접속한 n개(단, n≥2)의 발광다이오드와, 디지트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디지트출력포트와 세그먼트신호를 출력하는 m개의 세그먼트출력포트를 가지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세그먼트신호 및 디지트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세그먼트에 통전하므로써 n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를 다이나믹표시하는 구동회로를 가지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상기 n개의 발광다이오드로 상기 n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데에 필요한 세그먼트가 1회순환시간내에 각각 1회씩 통전되도록 각 디지트신호 및 세그먼트 신호를 펄스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1회순환시간을 잔상가능시간 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3. m개의 세그먼트를 배열하여 동일위치의 애노드 또는 캐소드를 서로 접속하여 횡설(橫設)한 n개(단, n≥2)의 발광다이오드와, 디지트신호를 출력하는 n개의 디지트출력포트와 세그먼트신호를 출력하는 m개의 세그먼트출력포트를 가지는 마이크로컴퓨터와, 상기 세그먼트신호 및 디지트신호에 의거하여 소정의 세그먼트에 통전하므로써 n자리의 숫자 또는 문자를 다이나믹표시하는 구동회로를 가지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컴퓨터는 1회순환시간을 (m×n)등분한 {1/(m×n)}등분시간마다 디지트신호가 하이레벨로 되는 디지트출력포트가 다른 디지트출력포트로 이동하도록 각 디지트출력포트에서 디지트신호를 펄스출력하고, (m×n)회 중 어느 하나의 {1/(m×n)}등분시간 동안에 상기 소정의 세그먼트의 각각이 1회씩 통전되도록 각 세그먼트신호를 펄스출력하는 것이며, 상기 1회순환시간을 잔상가능시간 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각 세그먼트신호의 하이레벨시간을 증감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휘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회순환시간은 30ms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작동용 전원은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KR1019960045537A 1995-10-12 1996-10-12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KR0178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63969A JPH09112910A (ja) 1995-10-12 1995-10-12 表示装置、及び調理装置
JP95-263969 1995-10-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946A KR970021946A (ko) 1997-05-28
KR0178124B1 true KR0178124B1 (ko) 1999-03-20

Family

ID=17396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537A KR0178124B1 (ko) 1995-10-12 1996-10-12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112910A (ko)
KR (1) KR0178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58488A (zh) * 2013-06-06 2013-08-21 江苏沁恒股份有限公司 一种多位段并联led数码管的显示驱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946A (ko) 1997-05-28
JPH09112910A (ja) 199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038475A (ja) こんろ
KR20080029728A (ko) 조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0178124B1 (ko) 조리기기의 표시장치
JP2006194481A (ja) ガスコンロ
KR950008616B1 (ko) 조리기의 버너작동 표시방법
JP4785042B2 (ja) 加熱調理器
JP2010038474A (ja) こんろ
JP2004357895A (ja) グリル
JP2001006509A (ja) 電気又は電子機器
JPH08145348A (ja) ガス燃焼器の安全装置
JP2940856B2 (ja) 調理装置
JP3568288B2 (ja) 調理装置
JPH04136623A (ja) 電子レンジの液晶表示装置
KR0178125B1 (ko) 조리장치
KR100220317B1 (ko) 가열장치
JP2564079B2 (ja) グリルの表示装置
KR100395942B1 (ko) 그래픽 발광다이오드의 백라이팅장치
JP6864805B2 (ja) ガス器具
JPH0735905B2 (ja) 燃焼装置
KR0178123B1 (ko) 조리기기
JPH0632755B2 (ja) アイロン
JPS63233209A (ja) グリル着火確認装置
JP2601537Y2 (ja) 燃焼器具の表示装置
KR950007401B1 (ko) 조리장치
JPH0720483Y2 (ja) ヒータ付電子レン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