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860B1 - 영상신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860B1
KR0177860B1 KR1019950001654A KR19950001654A KR0177860B1 KR 0177860 B1 KR0177860 B1 KR 0177860B1 KR 1019950001654 A KR1019950001654 A KR 1019950001654A KR 19950001654 A KR19950001654 A KR 19950001654A KR 0177860 B1 KR0177860 B1 KR 0177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signal
switch means
memory
process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6246A (ko
Inventor
유타카 니오
요스케 이사와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950026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6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8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종류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그 복수종류의 영상신호의 처리의 출력의 각각을 동일 디스플레이상에 비추어 낼때에 사용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스펙트비 4:3의 화면속에 가로로긴 화면이 삽입되어 있는 것과 같은 레터박스방식의 영상소프트를, 어스펙트비가 2:1이나 16:9등의 가로로긴 화면의 디스플레이로 확대해서 볼 때의 자막처리회로와,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를 포함하는 EDTV2등의 텔레비젼방식으로 행하여지는 보조신호의 분리회로에 사용되는 메모리를, 영상신호에 따라서 절환하는 절환수단을 설치하므로써, 공용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이다.

Description

영상신호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회로의 블록도.
제2도의 (a) 및 (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의 블록도.
제4도는 종래의 영상신호처리장치의 일예를 표시한 블록도.
제5도의 (a) 및 (b)도는 영상신호의 디스플레이상 표시에 관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막처리회로 2 :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
3 : 제1의 3상태버스트랜시버 4 : 제2의 3상태버스트랜시버
5 : 메모리 6 : 절환회로
7 : 절환스위치(절환장치) 8 : 제어회로
본 발명은 복수종류의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그 복수종류의 영상신호의 처리 출력의 각각을 동일 디스플레이상에 비추어 낼때에 사용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스펙트비 4:3의 화면속에 가로로 긴 화면이 삽입되어 있는 것과 레터박스방식의 영상소프트를, 어스펙트비가 2:1이나 16:9등의 가로로 긴 화면의 디스플레이로 확대해서 볼 때의 자막처리회로와, EDTV2등의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를 가진 텔레비젼방식으로 행하여지는 수평고역보조신호 등의 보조신호의 분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NTSC방식이나 PAL방식등의 현재 세계에 널리 실용화되어 있는 텔레비젼시스템 이외에, 그 방식과 호환성을 가지고 있으나 해상도나 S/N가 개선된 Enhanced Definition Television(EDTV) 또는 EDTV의 제2세대의 방식인 EDTV2, Improved Definition Television(IDTV), Improved PAL, Extended PAL등 각종 텔레비젼방식이 실용화 또는 실험되어 오고 있다. 이들 각종 텔레비젼방식은 호환성을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텔레비젼수상기로서 복수의 이들 텔레비젼방송을 수신가능한 것으로 된다.
또, 종래의 텔레비젼방식과는 호환성이 없는 고성능화의 예로서는 High Definition Television(HDTV)이 있으나, 이 HDTV용의 수상기는 과도적 또는 장래에 있어서도 현행의 텔레비젼방식의 수상이 가능한 기능을 일체적으로한 구성으로 된 것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동일 디스플레이상에 각종 텔레비젼방식의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가 앞으로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복수종류의 텔레비젼방식마다 작성된 상이한 양식의 소프트를 변환해서, 어느 하나의 텔레비젼방식에 의거한 어스펙트비의 화면을 가진 디스플레이상에 공통으로 비추어낼 필요성이 아주 많이 발생한다. 이 경우에 문제가 되는 것중 하나로 어스펙트비가 다른 텔레비젼방식의 소프트의 변환이 있다.
예를 들면, 어스펙트비 16:9의 화상소프트를 어스펙트비 4:3의 화면의 디스플레이상에 비추어낼 경우에는, 제5도(a)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면의 상하에 화상이 없는 부분을 번역된 자막의 슈퍼표시로 사용하도록 변환한 영상소프트가 많다. 이와 같은 레터박스방식의 영상소프트를 제5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은 어스펙트비 16:9의 가로로 긴 디스플레이에 비추어낼 경우에, 화상부분만을 확대해서 볼 때에는 자막이 끊어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메모리를 사용해서 자막부분을 기억하므로써, 제5도(b)와 같이 자막을 이동하는 자막처리회로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2-179080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이때 메모리는 자막을 포함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일이 필요하나, 자막은 화상의 아래 절반의 화상이 없는 부분에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최대 아래 절반의 라인수 약 130라인에 대해서 4fsc의 화소수 910을 기억할 필요가 있게 되고, 메모리 용량으로서는 910(1라인의 화소수)×130(라인수)×8(계조)=946400비트=약 1M비트 필요하다.
한편, EDTV2, Extended PAL 등의 텔레비젼 방식은, 해상도 개선등의 개선에 필요한 보조신호를 다중화해서, 수신쪽에서 그 보조신호를 복조해서 해상도의 개선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EDTV2의 방송방식에서는 공액()구멍(색신호와 대칭의 위치에 있는 틈새)을 이용해서 수평해상도를 개선하기 위한 수평고역보조신호를 영상신호에 다중해서 송신하는 일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 같은 보조신호를 수신쪽에서 분리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메모리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EDTV2의 수평고역보조신호를 수신쪽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역시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되고 있다. 예를 들면, 「TV신호의 다차원신호처리」 일본국, 후키누키토시히고저서, 일간공업신문사 137페이지 제4도, (14)에 표시된 바와 같은 회로이다. 이때 메모리는 색신호의 1필드와 동일한 만큼의 영상신호를 모두 기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메모리용량으로서는 455(1라인의 화소)×262.5(라인수)×8(계조)=955500비트=약 1M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자막처리회로의 메모리와 수평고역신호분리회로의 메모리가 각각 필요하였다.
EDTV2방식의 텔레비젼신호는 어드펙트비는 16:9이기 때문에, 그 디스플레이는 어스페트비 16:9의 화면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어스펙트비가 4:3보다도 가로로 긴 디스플레이를 가진 수상장치는, 레터박스방식의 영상신호를 수상하였을 때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부분만을 확대해서 표시하는 것이 그 특징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화상부분만을 확대해서 표시하는 일이 잘 행하여지게 된다.
그러나, 그것을 실현하려고 하면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의 처리와 자막처리의 양쪽이 필요하게 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약 1M비트의 메모리를 2개 사용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이 메모리는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성이 뒤떨어진다고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비추어, 자막처리회로의 메모리와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 등 그 텔레비젼방식 특유의 처리에 사용하는 메모리를 절환해서 사용할 수 있는 영상신호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장치는, 판독 및 기록 가능한 메모리와, 이 메모리를 사용해서 영상신호에 대해 제1의 처리를 하는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신호를 제1의 절환신호에 의해서 선택하는 제1의 3상태버스트랜시버와,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영상신호를 제2의 처리를 하는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신호를 제2의 절환신호에 의해서 선택하는 제2의 3상태버스트랜시버와, 제1의 절환신호와 제2의 절환신호를 발생하는 절환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3상태버스트랜시버의 메모리쪽의 입출력단자와 메모리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하는 것이다.
즉, 영상신호를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지 않으면 안되는 제1, 제2의 처리가 있을 경우에, 1개의 메모리를 공용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절환조건 및 그 타이밍에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또, 공용을 위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1의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하는 제1의 쌍방향스위치수단과,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2의 영상신호를 상기한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하는 제2의 쌍방향스위치수단과, 상기 제1, 제2의 쌍방향스위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회로가 영상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의 차단, 도통을 제어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이다.
특히,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가 자막이동을 행하는 자막처리회로이고,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가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 등이 포함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신호를 분리하는 분리회로이며, 제어회로가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영상신호판별수단을 가지고, 영상신호가 식별신호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1의 쌍방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2의 쌍방향스위치수단을 도통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식별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쌍방향스위치수단을 도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쌍방향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이다. 이에 의해, 화상소프트에 적합한 영상신호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메모리량을 삭감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1의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하는 쌍방향의 제1의 스위치 수단과,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2의 영상신호를 상기한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하는 쌍방향의 제2의 스위치수단과,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1, 제2의 영상신호처리장치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회로가 영상신호의 어스펙트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어스펙트비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의 차단 및 도통을 제어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이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의 어스펙트비와 영상신호의 어스펙트비가 비교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서 화상신호부분만을 확대해서 표시하는지 어떤지의 판별이 이루어지므로, 영상신호의 내용에 적합한 처리가, 메모리량을 삭감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환회로에 의해 제1의 절환신호와 제2의 절환신호를 발생하고, 제1의 3상태버스트랜시버에 의해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단자를 제1의 절환신호에 의해서 선택하고, 제2의 3상태버스트랜시버에 의해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단자를 제2의 절환신호에 의해서 선택하고, 제1 및 제2의 3상태버스트랜시버의 메모리쪽의 입출력단자와 메모리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하므로써, 제1 및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영상신호처리때에 사용하는 메모리를, 1개의 메모리를 절환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제1도에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영상신호처리회로의 블록도이며, 도시되어 있지 않는 텔레비젼수상기로서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NTSC방식과, PAL방식 등 현행의 텔레비젼방식, 및 그 현행의 텔레비젼방식의 화질개선을 위하여 개발된 EDTV방식, EDTV2방식, IDTV방식, Improved PAL방식, Extended PAL방식 등 각종 텔레비젼방식의 어느 것도 입력가능한 영상신호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자막이동을 행하는 자막처리회로, (2)는 화질개선을 위하여 다중된 보조신호인 수평고역보조신호를 분리할 수 있는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 (3)은 자막처리회로(1)의 입출력신호를 절환신호(C1)에 의해서 선택하는 제1의 3상태버스트랜시버, (4)는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의 입출력신호를 절환신호(C2)에 의해서 선택하는 제2의 3상태버스트랜시버, (5)는 3상태버스트랜시버(3)의 출력과 3상태버스트랜시버(4)의 출력중 어느 한 쪽을 기억하는 메모리, (6)은 절환신호(C1)와 (C2)를 발생하는 절환회로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영상신호처리장치에 대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로서는 EDTV2방식에 사용하는 어스펙트비 16:9의 화면의 것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먼저 통상의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신호의 경우는, 영상신호로서 어스펙트비 16:9등의 가로로 긴 화상신호의 경우는 상하로 화상이 없는 부분이 있는 레터박스방식신호로 입력되는 일이 많고, 또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인 수평고역보조신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화질개선을 위하여 개발된 EDTV2방식, IDTV방식, Improved PAL방식, Extended PAL방식 등의 텔레비젼방식의 신호의 경우는, 화상신호로서 어스펙트비 16:9등의 가로로 긴 화상신호의 경우는 화상이 없는 부분이 없는 신호가 되는 일이 많고, 또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가 어떠한 모양으로 존재한다.
그래서, 영상신호의 종류를 식별하는 수단(도시생략)을 사용해서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표시하는 식별신호를 검출하고, 수평고역보조신호가 중첩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출한다. 수평고역보조신호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을 경우는, 자막처리를 행하도록 절환회로(6)에 의해서 절환신호(C1)를 0(개입중단:enabled)로 하고 C2를 1(개입중단금지상태:disabled)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수평고역보조신호의 처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3상태버스트랜시버(4)는 고임피던스가 되도록 제어되고, 한편 자막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3상태버스트랜시버(3)는 저임피던스가 되도록 제어되며, 메모리(5)에는 자막처리회로(1)의 출력이 3상태버스트랜시버(3)를 통과해서 기록되고, 메모리(5)의 출력은 자막처리회로(1)에 판독된다. 이 처리에 의해 어스펙트비 16:9의 디스플레이에는 화상부분만이 확대되어서 표시되고 화상이 없는 부분에 있었던 자막은 화상부분의 적당한 장소로 옮겨져서 표시되므로, 큰 화상표시를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자막도 적절하게 표시되게 된다.
다음에 EDTV2방식 등의 신호의 경우는 수평고역보조신호가 다중되어 있으므로, 그 수평고역보조신호를 검출하므로써, 수평고역보조신호의 분리를 행하도록 절환회로(6)에 의해서 절환신호(C1)를 1(disabled)로 하고, (C2)를 0(enabled)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자막처리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3상태버스트랜시버(3)는 고임피던스가 되도록 제어되고, 한편 수평고역보조신호처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3상태버스트랜시버(4)는 저임피던스가 되도록 제어되고, 메모리(5)에는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2)의 출력이 3상태버스트랜시버(4)를 통과해서 기록되고, 메모리의 출력은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에 판독된다. 이 처리에 의해 EDTV2방식의 특징인 수평방향의 해상도의 개선이 되게 된다.
이 모양을 도시하면 제2도(a)와 같이 된다. 여기서 3상태버스트랜시버(3)의 입출력신호를 a, 3상태버스트랜시버(4)의 입출력신호를 b로 하고 있다. 또 절환의 타이밍에 의해서 영상신호가 보기 어렵게 되는 경우에는 제2도(b)와 같이 절환신호(C1), (C2)를 다같이 1(disabled)로 하는 기간을 설정하면 된다.
영상신호의 종류를 식별하는 수단(도시생략)으로해서 식별신호를 검출하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영상신호의 화상이 없는 부분을 수평라인마다 백신호가 있으나, 흑신호가 연속해서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검출함으로써 검출하고, 레터박스방식의 신호인지 어떤지의 판별도 가능하다. 또 화상이 없는 부분에 문자표시가 있는지 어떤지를 검출함으로써, 자막신호의 유무의 검출도 가능하게 된다. 이들을 검출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메모리의 절환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동작이 불필요한 회로계를 자동적으로 정지시켜서, 소비전력의 삭감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다.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의 경우는, 반드시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2)에 의한 처리가 필요하다. 한편, 보조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영상신호의 경우에는 모두 자막처리회로(1)에 의한 처리가 필요한 것은 아니고, 동작을 해도 문제없으나 필수적으로 되는 것은 레터박스방식의 신호이고, 또한 자막이 존재할 경우에만 한정된다.
또한, 메모리(5)의 절환수단으로서 3상태버스트랜시버를 사용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쌍방향의 스위치수단을 사용해도 마찬가지의 동작, 효과를 가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이 쌍방향스위치수단의 제어회로로서 절환회로(6)를 실시예에서는 기재하였으나, 일반적으로 제어회로로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쌍방향의 스위치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진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3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도는 제1도와 마찬가지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입력되는 영상신호는 NTSC방식, PAL방식 등 현행의 텔레비젼방식, 및 그 현행의 텔레비젼방식의 화질개선을 위하여 개발된 EDTV방식, EDTV2방식, IDTV방식, Improved PAL방식, Extended PAL방식 등 각종 텔레비젼방식 모두 입력가능한 영상신호입력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제3도에 있어서, (1)은 자막이동을 행하는 자막처리회로, (2)는 화질개선을 위하여 다중된 보조신호인 수평고역보조신호를 분리할 수 있는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 (5)는 메모리이며, 이상은 제1도와 마찬가지이다. (7)은 절환스위치이며 자막처리회로(1)의 출력과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2)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고, 절환출력은 메모리(5)에 입력되어 있다. (8)은 절환스위치(7)를 영상신호의 종류를 식별하는 수단(도시생략)을 사용해서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표시하는 식별신호를 검출하고, 수평고역보조신호가 중첩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출하는 결과에 의거해서 제어하는 제어회로이다.
메모리(5)의 판독출력은 스위치를 개재하지 않고 자막처리회로(1),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2)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이 동작은 제1도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내용에 따라서, 절환스위치(7)가 절환되고, 자막처리회로(1)가 필요할 때는 절환스위치(7)를 개재해서 메모리(5)를 사용한 자막처리가 이루어지고,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2)가 필요한 때는 절환스위치(7)를 개재해서 메모리(5)를 사용한 보조신호처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적합한 처리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메모리(5)의 공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현행 NTSC텔레비젼방식과, 화질개선을 위하여 보조신호를 포함하고 NTSC방식과 호환성을 가진 EDTV2신호에 대해서 논술해왔으나, 호환성이 없는 HDTV방식등에 대해서도, 그 방식의 독특한 메모리를 필요로하는 신호처리가 존재하므로, HDTV방식신호를 절환처리로 표시할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가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장치에 의하면, 복수종류의 영상신호입력에 대해서, 그 입력된 영상신호의 특징을 검출해서, 그 검출결과에 따라서 동작시키는 영상신호처리회로계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메모리량을 삭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영상신호처리장치를 사용한 EDTV방식의 수상처리에 있어서, 레터박스방식의 신호를 입력하였을 경우에는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예를 들면 자막처리회로)를 선택해서, 그 영상신호를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고, EDTV2의 방식의 영상신호를 입력하였을 경우는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예를 들면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를 선택해서, 그 영상신호를 동일한 메모리를 절환해서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어, 메모리량 삭감에 의한 대폭적인 코스트다운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판독, 기록 가능한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신호를 제1의 절환신호에 의해서 선택하는 제1의 3상태버스트랜시버와,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신호를 제2의 절환신호에 의해서 선택하는 제2의 3상태버스트랜시버와, 제1의 절환신호와 제2의 절환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3상태버스트랜시버의 입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출력단자가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가 자막이동을 행하는 자막처리회로이고,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가 수평고역보조신호를 분리하는 수평고역보조신호분리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3.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1의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하는 쌍방향의 제1의 스위치수단과,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2의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하는 쌍방향의 제2의 스위치수단과,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회로가 영상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의 차단, 도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4.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1의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력단자를 접속하는 제1의 스위치수단과,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2의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력단자를 접속하는 제2의 스위치수단과,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1, 제2의 영상신호처리장치의 입력단자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회로가 영상신호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과 차단, 도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가 자막이동을 행하는 자막처리회로이고,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가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를 분리하는 분리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가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영상신호판별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신호판별수단이 화질개선을 위한 보조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표시하는 식별신호를 영상신호가 포함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제1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2의 스위치수단을 도통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상기 식별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스위치수단을 도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가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영상신호판별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신호판별수단이 영상신호가 수평고역보조신호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제1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2의 스위치수단을 도통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수평고역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스위치수단을 도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가 영상신호의 종류를 판별하는 영상신호판별수단을 가지고, 상기 영상신호판별수단이 영상신호가 수평고역보조신호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제1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2의 스위치수단을 도통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수평고역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자막신호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제1스위치수단을 도통하여 자막처리회로를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수평고역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자막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스위치수단을 도통하여 자막처리회로를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가 영상신호가 화상의 상하에 화상이 없는 부분을 가진 레터박스방식의 신호인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레터박스판별수단을 가지고, 영상신호가 수평고역보조신호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제1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2의 스위치수단을 도통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수평고역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레터박스신호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스위치수단을 도통하여 자막처리회로를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수평고역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레터박스신호가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자막처리회로를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가 영상신호가 화상의 상하에 화상이 없는 부분을 가진 레터박스방식의 신호인지 어떤지를 판별하는 레터박스판별수단을 가지고, 영상신호가 수평고역보조신호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제1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2스위치 수단을 도통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수평고역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자막신호를 포함하고 또 레터박스신호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1의 스위치수단을 도통하여 자막처리 회로를 구동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고, 상기 영상신호가 수평고역신호 및 자막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레터박스신호라고 판별되었을 경우, 및 상기 영상신호가 수평고역신호를 포함하지 않고 또한 레터박스신호가 아니라고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자막처리회로를 정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의 스위치수단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11.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1의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하는 쌍방향의 제1의 스위치수단과,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2의 영상신호를 상기의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입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출력단자를 접속하는 쌍방향의 제2의 스위치수단과,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1, 제2의 영상신호처리장치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회로가 영상신호의 어스펙트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어스펙트비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의 차단, 도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12.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1의 영상신호를 상기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1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력단자를 접속하는 제1의 스위치수단과, 상기 영상신호내의 제2의 영상신호를 상기의 메모리를 사용해서 처리하는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제2의 영상신호처리회로의 출력단자와 상기 메모리의 입력단자를 접속하는 제2의 스위치수단과,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을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상기 제1, 제2의 영상신호처리장치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모리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1, 제2의 영상신호처리장치의 입력단자를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회로가 영상신호의 어스펙트비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어스펙트비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의 차단, 도통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13. 제1항, 제3항, 제4항, 제11항,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회로가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의 도통차단의 절환시에, 상기 제1, 제2의 스위치수단을 다같이 차단하는 기간을 가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KR1019950001654A 1994-02-04 1995-01-28 영상신호처리장치 KR0177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2468 1994-02-04
JP1246894 1994-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6246A KR950026246A (ko) 1995-09-18
KR0177860B1 true KR0177860B1 (ko) 1999-05-01

Family

ID=1180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654A KR0177860B1 (ko) 1994-02-04 1995-01-28 영상신호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27602A (ko)
EP (2) EP0874522B1 (ko)
KR (1) KR0177860B1 (ko)
CN (1) CN1057184C (ko)
DE (2) DE6952144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7436C (fi) * 1994-11-11 1996-12-10 Nokia Technology Gmbh Parannettu menetelmä laajakangaskuvan siirtämiseksi
CN1057656C (zh) * 1996-03-29 2000-10-18 韩国电子通信研究所 Itu-r bt.601视频信号的ntsc/pal视频信号变换装置
JP3564961B2 (ja) 1997-08-21 2004-09-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2004312072A (ja) * 2003-04-02 2004-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カメラ、並びに画像処理方法
JP4537107B2 (ja) * 2004-04-06 2010-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0401363C (zh) * 2004-05-27 2008-07-09 钰创科技股份有限公司 保持固定图像宽高比的液晶显示器控制器及制造方法
US20060184702A1 (en) * 2005-01-31 2006-08-17 You-Min Yeh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sharing address and data pins of a cryptocard module and external memory
US20060174298A1 (en) * 2005-01-31 2006-08-03 Wei-Jen Che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sharing address and data pins of a cryptocard module and external memory
AU2009200990A1 (en) 2008-03-13 2009-10-01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Method and system of distributing progressive gaming related information
CN102739994A (zh) * 2011-05-10 2012-10-17 新奥特(北京)视频技术有限公司 一种字幕工程在不同制式下切换的方法
CN102724458B (zh) * 2012-06-18 2016-04-06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视频画面全屏显示的字幕处理方法及视频终端
CN104125496A (zh) * 2014-07-07 2014-10-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字幕信息的视频显示方法及显示装置
JP6417805B2 (ja) * 2014-09-12 2018-11-0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ビデオ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23189B (en) * 1982-06-05 1987-06-10 British Aerospace Communication between computers
JPS6189218A (ja) * 1984-10-08 1986-05-07 Asahi Chem Ind Co Ltd 顆粒状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54688A (ja) * 1988-08-19 1990-02-23 Toshiba Corp 文字多重放送受信機内蔵のカラー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910043B2 (ja) * 1988-12-28 1999-06-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2796329B2 (ja) * 1989-02-08 1998-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メモリとそれを備えた画像処理装置
DE4022034C2 (de) * 1990-07-12 1999-04-15 Wirtgen Gmbh Fräsvorrichtung zum Abfräsen von Straßenbelägen
JPH04172885A (ja) * 1990-11-07 1992-06-19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4330884A (ja) * 1991-01-21 1992-11-18 Nippon Television Network Corp 多重信号受信装置
JP2502829B2 (ja) * 1991-03-22 1996-05-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692406B2 (ja) * 1991-04-04 1997-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信号拡大装置
JPH04365278A (ja) * 1991-06-13 1992-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画面表示回路
DE69221580T2 (de) * 1991-10-16 1998-02-19 Philips Electronics Nv Anzeigevorrichtung für ein Bildformat mit dem Seitenverhältnis 16/9, die Bilder mit einem Seitenverhältnis 4/3 empfangen kann
GB9123004D0 (en) * 1991-10-30 1991-12-18 British Broadcasting Corp Improvements in television systems
FR2684831B1 (fr) * 1991-12-09 1994-03-18 Nokia Consumer Electronics Franc Dispositif de modification d'images de television a visualiser sur un ecran d'un recepteur de television.
KR950001562B1 (ko) * 1991-12-28 1995-02-25 주식회사금성사 Tv의 화면 종횡비 변환방법 및 장치
DE69320123T2 (de) * 1992-09-07 1999-01-07 Toshiba Kawasaki Kk Fernsehsignalverarbeitungsschal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06923T2 (de) 1999-05-27
DE69506923D1 (de) 1999-02-11
EP0666690A3 (en) 1995-11-15
US5627602A (en) 1997-05-06
DE69521444T2 (de) 2001-10-04
CN1057184C (zh) 2000-10-04
DE69521444D1 (de) 2001-07-26
EP0666690B1 (en) 1998-12-30
CN1116387A (zh) 1996-02-07
EP0874522B1 (en) 2001-06-20
KR950026246A (ko) 1995-09-18
EP0666690A2 (en) 1995-08-09
EP0874522A1 (en) 199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8995A (en) Apparatus for providing proper placement and sizing of subtitles given the conversion of the image to that of a wider aspect ratio
US6008860A (en) Television system with provisions for displaying an auxiliary image of variable size
KR0177860B1 (ko) 영상신호처리장치
EP0766470B1 (en) Television receiver for teletext
US5170256A (en) Image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picture with smaller aspect ratio on large-aspect-ratio screen of television receiver
US5953075A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magnifying and processing a picture image correspondingly to video signals
US5493418A (en) Processing and printing video images and scanned original image with controlled aspect ratios of video signals
EP0343636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character multiplex broadcasting
JPH0662313A (ja) 映像拡大装置
JPH0326238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6950146B1 (en) Method and circuit for inserting a picture into a video picture
JP2008096806A (ja) 映像表示装置
JP2713202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10233976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JPH09200710A (ja) テレビジョン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3491958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135620A (ja) 第二世代edtv信号デコード装置
JPH0732216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9990018905A (ko) 에이치디티브이의 다중화면 발생장치
JPH0965241A (ja) 字幕移動装置
JP3258754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4322574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変換装置
JPH1127690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回路
JPH07231406A (ja) 字幕移動機能付き子画面表示回路
JPH10105143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