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560B1 - 감광성 중합체 재료 - Google Patents

감광성 중합체 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560B1
KR0174560B1 KR1019920004346A KR920004346A KR0174560B1 KR 0174560 B1 KR0174560 B1 KR 0174560B1 KR 1019920004346 A KR1019920004346 A KR 1019920004346A KR 920004346 A KR920004346 A KR 920004346A KR 0174560 B1 KR0174560 B1 KR 017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bis
compound
organic group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183A (ko
Inventor
히로시게 오끼노시마
히데또 가또
Original Assignee
카나가와 치히로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나가와 치히로,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카나가와 치히로
Publication of KR92001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D161/00 - C09D177/00
    • C09D1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9D1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75Silicon-containing compounds
    • G03F7/0757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Si-O, Si-C or Si-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4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Polyhydraz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C08L79/08Polyimides; Polyester-imides; Polyamide-imides; Polyamide acids or similar polyimide precurs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amides or polyimi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03F7/0387Polyamides or polyim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Formation Of Insulating Film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고, 감광성, 감도 안정성 및 두꺼운 막 형성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는 감광성 중합체 재료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중합체 및 하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우레아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 중, X는 3가 또는 4가의 유기기이고, Y는 2가의 유기기이고, n은 1 또는 2이고, R1은 빛 또는 방사선으로 2량화 또는 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기이고, R2및 R3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유기기이다)

Description

감광성 중합체 재료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 표면 보호막, 반도체 소자용 절연막, 액정 표시 소자용 배향막, 다층 프린트 기판용 절연막으로서 유용한 폴리이미드계 수지 도막을 부여하는 감광성 중합체 재료에 관한 것이다.
최근, 트랜지스터, IC, LSI 등의 반도체 소자의 보호막이나 다층 배선간의 층간 절연막으로서 폴리이미드계 수지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 이 폴리이미드계 수지 재료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에 이용할 경우, 관통 홀(through-hole) 형성 등의 미세 가공이 필요하지만, 이 미세 가공 과정의 합리화를 목적으로 하여 감광성 내열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계 수지 재료의 검토가 행해지고, 하기 재료가 제안되고 있다.
(1) 폴리아믹산과 중크롬산염으로 이루어진 재료 (일본국 특허 공고(소)제49-17,374호 공보)
(2) 폴리아믹산의 카르복시기에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 감광기를 도입한 화합물로 이루어진 재료(일본국 특허 공고(소)제55-30,207호 공보)
(3) 폴리아믹산과 감광기를 갖는 에폭시기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재료(일본국 특허 공개(소)제55-45,746호 공보)
(4) 폴리아믹산과 감광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로 이루어진 재료(일본국 특허 공고(소)제54-145,794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1)의 재료는 사용 가능한 시간이 현저히 짧으며, 생성 폴리이미드 필름 중에 크롬 이온이 불순물로서 잔존하고, (2)의 재료에 있어서도 감광기를 도입하기 위해 탈 염산 반응이 이용됨으로써 생성 폴리이미드 필름 중에 염소 이온이 잔존하기 때문에, 어느 것도 순도의 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 (3)의 재료에 있어서는 주성분이 되는 화합물에 이온성 불순물의 혼입없이 에스테르 결합에 의해서 감광기의 도입이 가능하지만, 감광기의 도입율이 낮고, 감도 면에서 실용상 문제가 있었다. 또한, (4)의 재료에 있어서는, 이온성 불순물의 혼입이 없는 이상, 충분한 양의 감광기를 도입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 반면, 노광 전의 감광성 중합체 재료 용액에서 용제를 휘발 확산시키는 프리베이킹(prebaking) 단계에서 재료 용액에 혼합된 감광 성분이 일부 휘발해 버리거나, 후막을 형성할 때에 프리베이킹 단계에서 용제가 휘발 확산함으로써 감광 성분이 폴리아믹산의 불충분한 용제로서 작용하고, 도막의 백화 현상을 야기하여, 그 다음 공정이 곤란해진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이며, 이온성 불순물의 혼입이 거의 없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고, 더구나 가열 경화 후에 감광성이 양호하여 감도의 안정성 및 후막 형성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폴리이미드계 수지 도막을 부여하는 감광성 중합체 재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중합체와 하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갖고, 또한 감광성, 감도 안정성 및 후막 형성성이 우수하고, 반도체 소자 표면 보호막 등으로서 유용한 폴리이미드계 도막을 부여하는 감광성 중합체 재료를 발견하였다.
(상기 식 중, X는 3가 또는 4가의 유기기이고, Y는 2가의 유기기이고, n은 1 또는 2이고, R1은 광 또는 방사선에 의해 2량화 또는 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기이고, R2및 R3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유기기이다)
이 경우, 감광 성분으로서 상기 식(II)의 우레아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고, 식(I)의 폴리이미드계 전구체에 식(II)의 화합물을 혼합하면 이온성 불순물의 발생 및 혼입없이 감광기를 도입할 수 있으며, 기재 상에 도포 후의 예열 시에 식(II)의 화합물이 비산하지 않고, 형성되는 도막이 백화되는 현상도 없이 광에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감광성 중합체 재료는 장기간 보존해도 점도 변화가 적고, 또한 양호한 감광성, 가열 처리 후의 패턴 유지성, 후막 형성성을 갖고, 더구나, 내열성, 전기적ㆍ기계적 특성이 양호한 도막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식(I)의 반복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중합체와 상기 식(II)의 우레아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배합하여 얻어지는 감광성 중합체 재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 더욱 상세히 기술하면, 본 발명의 제1필수 성분인 중합체는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이미드계 전구체이다.
(상기 식 중, X는 3가 또는 4가의 유기기이고, Y는 2가의 유기기이고, n은 1 또는 2이다)
여기에서, 식(I) 중의 X는 산 무수물 잔기에서 도입되는 것이고, 예를 들면 X가인 경우,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잔기, X가인 경우, 피로멜리트산 2무수물 잔기, X가인 경우, 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잔기, X가인 경우, 3,3',4,4'-비페닐 테트라카르복실산 2무수물 잔기, X가인 경우, 2,2-비스(3,4'-벤젠디카르복실산 무수물)퍼플루오로프로판 잔기, X가인 경우, 비스(3,4'-디카르복시페닐)디메틸실란 2 무수물 잔기, X가인 경우, 1,3-비스(3,4-디카르복시페닐)-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 2 무수물 잔기 등을 예로들 수 있다.
또한, X는 상기 산 무수물 잔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한편, Y는 2가의 유기기로 H2N-Y-NH2의 디아민에서 도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디아민의 예로서는,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 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2,2'- 비스(4-아미노페닐)프로판, 4,4'-디아미노디페닐술폰, 4,4'- 디아미노디페닐술피드, 1,4-비스(3-아미노페녹시)벤젠, 1,4-비스(4- 아미노페녹시)벤젠, 1,4-비스(m-아미노페닐술포닐)벤젠, 1,4-비스(p- 아미노페닐술포닐)벤젠, 1,4-비스(m-아미노페닐티오에테르)벤젠, 1,4-비스(p-아미노페닐티오에테르)벤젠, 2,2-비스[4-(4-아미노페녹시) 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2,2- 비스[3-클로로-4-(4-아미노페녹시)페닐]프로판, 1,1-비스[4-(4- 아미노페녹시)페닐]에탄, 1,1-비스[3-메틸-4-(4-아미노페녹시)페닐] 에탄, 1,1-비스[3-클로로-4-(4-아미노페녹시)페닐]에탄, 1,1-비스 [3,5-디메틸-4-(4-아미노페녹시)페닐]에탄, 비스[4-(4-아미노페녹시) 페닐]메탄, 비스[3-메틸-4-(4-아미노페녹시)페닐]메탄, 비스[3- 클로로-4-(4-아미노페녹시)페닐]메탄, 비스[3,5-디메틸-4-(4-아미노 페녹시)페닐]메탄, 비스[4-(4-아미노페녹시)페닐]술폰, 2,2-비스[4- (4-아미노페녹시)페닐]퍼플루오로프로판 등의 통상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 고리 함유 디아민, 또한 각각 하기 식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아미노기, 아미드기의 핵치환기를 갖는 디아민이나 폴리아민 또는 실리콘디아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Y는 상기 디아민 잔기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필수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우레아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다.
여기에서, 식(II) 중의 R1은 광 또는 방사선에 의해 2량화 또는 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기이며, 예를 들면 하기의 기를 들 수 있다.
또, R2및 R3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유기기이고, 그 중에 2량화 또는 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함유할 수도 있으며, R2및 R3모두 H, -CH3, -CH2CH3,및 상기 R1과 동일한 기를 예로 들 수가 있다.
이와 같은 화합물(II)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화합물을 열거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화합물(II)의 배합량은 다양할 수 있으나, 식(I)의 중합체 중의 카르복실기(-COOH기)에 대해서 0.2-1.5몰 당량, 특히 0.4-1.2몰 당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0.2몰 당량보다 적은 경우는 광감도의 저하를 일으킬 경우가 있고, 1.5몰 당량을 초과하면 최종 열 처리 시에서의 막 가장자리가 커지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II)의 화합물의 감광기에 대해서 감광 작용이 있는 증감제 또는 중합 개시 작용이 있는 중합 개시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증감제 및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2-메틸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부틸에테르, 2-1-부틸안트라퀴논, 1,2-벤조-9,10-안트라퀴논, 안트라퀴논, 메틸안트라퀴논,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아세토페논, 벤조페논, 티오크산톤, 1,5-아세나프텐,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1-히드록시시클로 헥실페닐케톤,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1-프로파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 디아세틸, 벤질, 벤질디메틸케탈, 벤질디에틸케탈, 디페닐디술피드, 안트라센, 2-니트로플루오렌, 디벤잘아세톤, 1-니트로피렌, 1,8-디니트로피렌, 1,2-나프토퀴논, 1,4-나프토퀴논, 1,2-벤즈안트라퀴논, 미힐러즈케톤,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2,5-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시클로펜타논, 2,6-(4'-디에틸아미노벤잘)-4-메틸시클로헥사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칼콘, 4,4'-비스-(디에틸아미노)-칼콘, 4-디메틸아미노신나밀리덴인다논, 4-디메틸아미노벤질리덴인다논, 2-(4'-디메틸아미노페닐비닐렌)-벤조티아졸, 2-(4'-디메틸아미노페닐 비닐렌)-이소나프토티아졸, 1,3-비스-(4'-디메틸아미노벤잘)-아세톤, 1,3-비스-(4'-디에틸아미노벤잘)-아세톤, 3,3'-카르보닐-비스-(7-디에틸아미노쿠마린), 7-디에틸아미노-3-벤조일쿠마린, 7-디에틸아미노-4-메틸쿠마린, N-페닐-디에탄올아민, N-p-톨릴-디에틸아민, 2,6-디(p-아지드벤잘)-4-메틸시클로헥사논, 2,6-디(p-아지드벤잘)시클로헥사논, 4,4'-디아지드칼콘, 4,4'-디아지드벤잘아세톤, 4,4'-디아지드스나르벤, 4,4'-디아지드벤조페논, 4,4'-디아지드디페닐메탄, 4,4'-디아지드페닐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류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상기 증감제 및 광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식(I)의 중합체 및 식(II)의 화합물 합계량에 대해서 0.01-20중량%, 특히 0.05-1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중량%에 미만인 경우 감광도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면 반대로 감광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료에는 감광성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광중합 또는 광 이량화가 가능한 화합물을 공중합 모노머로서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 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2-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N-메틸-비스(메타크릴옥시에틸)아민, 카르비톨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프루푸릴아크릴레이트, 이소포르닐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롤메탄테트라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노나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N-메틸롤아크릴아미드나, 이들 아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아미드를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아미드로 변형시킨 것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 특히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등의 2개 이상의 탄소-탄소 2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 매우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공중합 모노머의 첨가량은 식(I)의 중합체 및 식(II)의 화합물 합계량에 대해서 10중량% 이하, 특히 1-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예열 후의 도막에 백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중합체 재료에는 필요에 따라서 관능성 알콕시실란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다. 이 관능성 알콕시실란 화합물은 중합체 재료가 형성하는 내열성 고분자막과 이 막으로 피복되는 기체(基體)로서 사용되는 Si 및 무기 절연막과의 계면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면-아미노프로필메틸 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디메톡시실란,-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관능성 알콕시실란 화합물의 첨가량은 식(I)의 중합체 및 식(II) 화합물의 합계량의 0.1-5중량%, 특히 0.5-3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재료에는 용액 상태로 한 경우의 보존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합 억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억제제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N- 니트로소디페닐아민, p-tert-부틸카테콜, 페노티아진, N- 페닐나프틸아미노, 2,6-디-tert-부틸-p-메틸페놀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중합 억제제의 첨가량은 식(I)의 중합체 및 식(II)의 화합물 합계량의 5중량% 이하, 특히 0.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감광성 중합체 재료는 전체 성분을 용해할 수 있는 용매에 용해시켜 소정의 기판 상에 도포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체판과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알콕시실란 화합물을 기판에 예비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로서는 극성 용매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글라임, 초산 이소부틸, 시클로펜타논 등이 있고, 또한 알코올, 방향족 탄화수소, 에테르, 케톤, 에스테르 등의 용매를 성분을 석출시키지 않은 범위에서 첨가할 수도 있다. 기판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상기와 같이 해서 얻어진 감광성 중합체 재료 용액을 필터로 여과한 다음, 예를 들면 스핀 코터, 바 코터, 플레이트 코터, 스크린 인쇄법 등으로 기판에 도포하는 방법, 기판을 이 용액에 침지하는 방법, 이 용액을 기판에 분무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해서 얻어진 도막을 풍건, 가열 건조, 진공 건조법 등을 조합해서 건조한 다음, 통상 포토마스크를 통해 노광시킨다. 이때에 사용하는 활성 광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이 있으며, 이들 중에서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그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저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할로겐 램프 등이 있으며, 이들 광원 중에서 초고압 수은등이 특히 적합하다. 또한, 노광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해서 노광한 다음, 조사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침지법이나 분무법 등으로 현상한다. 이때에 사용되는 현상액으로서는 비노광막을 적절한 시간내에 완전히 용해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N-메틸피롤리돈, N-아세틸-2-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 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헥사메틸포스포릭트리아미드, N-벤질-2- 피롤리돈,-부티롤락톤 등의 비양성자성 극성 용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에 제2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아세트산 에틸, 프로피온산 메틸 등의 에스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 등의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상 종료 후에는, 그 직후에 제2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용매로 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현상에 의해 형성된 릴리프ㆍ패턴은 식(I)의 중합체가 전구체 형태로 존재하고 있고, 이것을 예를 들어 200-450℃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 처리하면 패턴화된 폴리이미드계 수지 도막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감광성 중합체 재료에서 얻어지는 패턴화된 폴리이미드계 수지 도막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전기적ㆍ기계적 특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감광성 중합체 재료는 이온성 불순물의 혼입이 거의 없고,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여 안정된 감도를 갖고, 후막의 형성이 용이하며, 가열 경화 후에 내열성, 전기적ㆍ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폴리이미드계 수지 도막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재료는, 예를 들면 반도체 소자 위에 빛에 의해 미세한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접합 코팅막, 패시베이션막, 완충 코팅막, α선 차폐막 등의 반도체 소자 표면 보호막이나 다층 배선용의 층간 절연막과 같은 반도체 소자용 절연막, 액정 표시 소자용 배향막, 다층 프린트 기판용 절연막 등으로서 매우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열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예에 있어서 부는 어느 것이나 중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하기의 표1 내지 3에 각각 도시한 중합체, 감광제, 증감제 및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고, 표 5에 도시한 조성, 배합량으로 혼합한 다음, N-메틸-2-피롤리돈 400부에 용해하여 감광성 중합체 용액(실시예 1-8)을 조제하였다.
또한, 상기 감광제 대신에 표 4에 도시한 화합물을 사용하고, 표 5에 도시된 조성, 배합량으로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감광성 중합체 용액(비교예)을 조제하였다.
이들 감광성 중합체 용액을 실리콘 웨이퍼 상에 스핀코팅(1500 rpm/12초)하고, 70℃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여 표 5에 도시하는 막 두께의 균일한 도막을 얻었다. 다음에, 이 도막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마스크를 통해 고압 수은등(2㎾)에 10초 동안 노광시켰다. 노광 후, N-메틸-2-피롤리돈과 크실렌의 당량 혼합액에 웨이퍼를 침지하고, 다시 크실렌으로 세정해서 건조시킨 후의 노광성, 및 이 웨이퍼를 150℃에서 1시간, 다시 35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의 막질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 감광성 중합체 용액을 5℃에서 6개월 동안 방치하여, 방치 전과 방치 후의 점도를 오스트발트 점도계로 측정하여 보존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5에 병기하였다.
표 5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감광성 중합체 재료(실시예 1-8)는 양호한 감광성, 가열 처리 후의 패턴 유지성을 갖는 도막을 부여하고, 후막 형성도 가능하며, 6개월 보존 후의 점도 변화가 10% 이내의 양호한 보존 안정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얻어진 도막은 내열성, 전기적ㆍ기계적 특성이 양호했다.

Claims (1)

  1. (1) 하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중합체, 및 (2) 하기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우레아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배합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광성 중합체 재료.
    (상기 식 중, X는 3가 또는 4가의 유기기이고, Y는 2가의 유기기이고, n은 1 또는 2이고, R1은 광 또는 방사선에 의해 2량화 또는 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기이고, R2및 R3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1가의 유기기이다)
KR1019920004346A 1991-03-18 1992-03-17 감광성 중합체 재료 KR0174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78,587 1991-03-18
JP3078587A JP2687751B2 (ja) 1991-03-18 1991-03-18 感光性重合体材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183A KR920018183A (ko) 1992-10-21
KR0174560B1 true KR0174560B1 (ko) 1999-03-20

Family

ID=1366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346A KR0174560B1 (ko) 1991-03-18 1992-03-17 감광성 중합체 재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92619A (ko)
EP (1) EP0505161B1 (ko)
JP (1) JP2687751B2 (ko)
KR (1) KR0174560B1 (ko)
DE (1) DE69229419T2 (ko)
TW (1) TW2174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46128B1 (es) * 1995-03-31 2001-03-16 Consejo Superior Investigacion Procedimiento de fotoenmascaramiento de poliimidas fotosensibles con compuestos organometalicos para procesos fotolitograficos en tecnologia de silicio.
TW460728B (en) * 1995-08-03 2001-10-21 Hitachi Ltd Color LCD
US6291619B1 (en) 1997-01-30 2001-09-18 Hitachi Chemical Co.,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forming pattern therefrom, electronic devices produced by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US6816218B1 (en) * 1997-04-14 2004-11-09 Merck Patent Gmbh Homeotropically aligned liquid crystal layer and process for the homeotropic alignment of liquid crystals on plastic substrates
JP3366859B2 (ja) * 1998-03-05 2003-01-14 日立化成デュポ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感光性ポリイミド前駆体用現像液及びこれを用いたパターン製造法
JP4610596B2 (ja) * 1998-08-26 2011-01-12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液晶配向処理剤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素子並びに液晶の配向方法
CN1279395C (zh) * 1998-08-26 2006-10-11 日产化学工业株式会社 液晶取向处理剂和用该处理剂的液晶元件以及液晶的取向方法
DE10104726A1 (de) * 2001-02-02 2002-08-08 Siemens Solar Gmbh Verfahren zur Strukturierung einer auf einem Trägermaterial aufgebrachten Oxidschicht
US7524617B2 (en) * 2004-11-23 2009-04-28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temperature curable photosensitive compositions
KR101212135B1 (ko) * 2005-06-14 2012-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860525B2 (ja) * 2007-03-27 2012-01-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及び平版印刷版原版
JP6024738B2 (ja) * 2012-02-23 2016-11-16 日立化成デュポンマイクロ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基板の製造方法
JP6194620B2 (ja) * 2013-04-19 2017-09-13 株式会社リコー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の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
EP2823801B1 (de) * 2013-07-12 2017-04-19 Ivoclar Vivadent AG Dentalmaterialien auf der Basis von harnstoffgruppenhaltigen Monomeren
WO2022145355A1 (ja) * 2020-12-28 2022-07-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樹脂組成物、硬化物、積層体、硬化物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22441A1 (de) * 1966-09-16 1969-07-24 Basf Ag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lichtempfindlichen Platten
JP2516897B2 (ja) * 1983-10-21 1996-07-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感光性組成物
US5019482A (en) * 1987-08-12 1991-05-28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Polymer/oxime ester/coumarin compound photosensitive composition
JP2626696B2 (ja) * 1988-04-11 1997-07-02 チッソ株式会社 感光性重合体
JP2980359B2 (ja) * 1990-04-16 1999-11-22 富士通株式会社 感光性耐熱樹脂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87751B2 (ja) 1997-12-08
EP0505161B1 (en) 1999-06-16
TW217447B (ko) 1993-12-11
US5292619A (en) 1994-03-08
KR920018183A (ko) 1992-10-21
EP0505161A1 (en) 1992-09-23
JPH04288365A (ja) 1992-10-13
DE69229419T2 (de) 1999-11-04
DE69229419D1 (de) 199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560B1 (ko) 감광성 중합체 재료
JP7131557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
JP6808831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積層体、硬化膜の製造方法、半導体デバイスおよび化合物
JP6837063B2 (ja)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硬化膜の製造方法、半導体デバイス、積層体の製造方法、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イミド前駆体
JP2006521452A (ja) 高耐熱性透明ポリイミド前駆体及びそれの感光性ポリイミド組成物
JP6935982B2 (ja) 樹脂組成物、硬化レリーフパターン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TWI785264B (zh) 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積層體、硬化膜的製造方法、半導體元件及熱鹼產生劑
JP6427383B2 (ja) 樹脂組成物、硬化レリーフパターン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WO2005101125A1 (ja) 耐熱感光性樹脂組成物、該組成物を用いたパターン製造方法、及び電子部品
JP5115045B2 (ja) ポリイミドワニス
US5616448A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forming a patterned polyimide film using the same
JPH04313756A (ja) 感光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165024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るパターン化されたポリイミド皮膜の形成方法
JP7233189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ドライフィルム、硬化物および電子部品
JPH09100350A (ja) 感光性ポリイミドシロキサン、組成物および絶縁膜
JP2009227697A (ja) 架橋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感光性樹脂組成物
JP7471480B2 (ja) 樹脂組成物、硬化レリーフパターン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S62127840A (ja) 感光性組成物
JP2019066754A (ja) ネガ型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レリーフパターン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装置
JPH03274557A (ja)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パターン形成方法
JP2643635B2 (ja) 感光性樹脂溶液組成物
JP3921734B2 (ja) 高解像度感光性ポリイミド前駆体組成物
JPH06282071A (ja)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
JP2023041680A (ja) 有機膜及びその製造方法、組成物、積層体、及び、半導体デバイス
JP2002296767A (ja) 感光性ポリイミド前駆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