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006B1 -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006B1
KR0174006B1 KR1019930027067A KR930027067A KR0174006B1 KR 0174006 B1 KR0174006 B1 KR 0174006B1 KR 1019930027067 A KR1019930027067 A KR 1019930027067A KR 930027067 A KR930027067 A KR 930027067A KR 0174006 B1 KR0174006 B1 KR 0174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elease handle
door
rotating bodies
rotation op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023A (ko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3002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006B1/ko
Publication of KR95001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cords, chain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4Fuel lids, charger l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6Tailboards, tailgates or sideboards opening upw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48Trunk lid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각종 도어를 운전석에서 열을 수 있도록 하는 릴리이즈 핸들을 통합형으로 형성하여 부품수 감소로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꾀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을 제공할 목적으로; 각 도어로부터 인출된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 동작에 의하여 도어들을 선택적으로 열 수 있도록 하는 제1,2 회전체와; 상기 제1,2 회전체의 사이로 배치되어 운전자의 전후 회전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2 회전체를 택일적으로 회동시켜주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리턴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탄발부재와; 상기 제1,2 회전체 및 레버의 하측 힌지공을 관통하여 연결하여 주는 회전축과; 상기 제1,2 회전체를 은폐하며, 이의 회전 동작시 레버를 안내하는 홈을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릴리이즈 핸들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릴리이즈 핸들의 조립 단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 상태도.
제5도는 종래 릴리이즈 핸들의 단면도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 연료 주입구 도어, 후두등과 같은 자동차의 각종 도어를 개폐하는 릴리이즈 핸들을 통합형으로 형성하여 부품수 감소로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꾀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경우에 있어서는 여러개의 도어 즉, 트렁크 리드, 테일 게이트, 연료 주입구 도어, 후두 등의 많은 도어가 적용되고 있으며, 이들 도어들은 대개 운전석에 릴리이즈 핸들을 구비하여 운전자가 운전석내에서 용이하게 상기 도어들을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기 도어들을 운전석에서 열을 수 있도록 하는 릴리이즈 핸들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제5도에서와 같이, 상기 미도시된 도어들의 록커와 연결된 와이어(100)(101) 각각을 운전석까지 인출하고, 운전석의 소정 위치에 하우징(102)과; 이의 하우징(102)의 힌지핀(103)에 힌지 고정되고 후측으로 탄발부재(104)(105)가 각각 탄지된 레버(106)(107)로 형성되는 핸들부(108)의 상기 레버(106)(107) 후단의 돌출부(109)(110)에 상기 와이어(100)(101)을 연결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에서 탄발부재(104)(105)는 레버(106)(107)의 후단 돌출부(109)(110)를 들어 올리는 탄발력을 발휘하여 레버(106)(107)의 선단이 항상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이에따라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도어를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레버를 상측으로 당기면 레버가 회동하면서 그의 돌출부로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와이어의 선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해당 도어 록킹장치에 록킹을 해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릴리이즈 핸들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각의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는 그 고유기능 수행하는데에 별다른 문제점이 제기되지 않으나, 작동용 레버가 각 도어의 연결된 와이어 마다 설치되어 있는 바, 분리 조작으로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고, 크기가 커져 레이아웃 및 경량화 측면에서 많은 불리함이 내포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핸들은 각각의 와이어를 한방향으로 당길 수 있는 바, 운전석을 기준으로 후측 한방향으로 설치된 도어만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도어를 열기 위하여 별도의 핸들을 설치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우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각종 도어를 운전석에서 열 수 있도록 하는 릴리이즈 핸들을 통합형으로 형성하여 부품수 감소로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꾀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도어로부터 인출된 와이어와 연결되어 회전 동작에 의하여 도어를 선택적으로 열 수 있도록 하는 제1,2회전체와; 상기 제1,2회전체의 사이로 배치되어 운전자의 전후회전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2회전체를 택일적으로 회동시켜주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리턴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탄발부재와; 상기 제1,2회전체 및 레버의 하측 힌지공을 관통하여 연결하여주는 회전축과; 상기 제1,2회전체를 은폐하며, 이의 회전 동작시 레버를 안내하는 홈을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레버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걸리는 하나의 회전체를 회전시키며, 회전하는 회전체는 탄발부재의 탄발력을 극복하면서 회전하면서 이에 고정되어 있는 와이어를 당긴다.
이와같이 와이어가 당겨지면 이의 선단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어의 록킹장치의 잠금상태가 해지되어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것으로서, 부호 1은 릴리이즈 핸들 전체를 지칭한다.
상기 릴리이즈 핸들(1)은 각 도어로부터 인출된 와이어(2)(4)와 연결되어 회전 동작에 의하여 도어들을 선택적으로 열을 수 있도록 하는 제1,2회전체(6)(8)와; 운전자의 전후 회저농작에 의하여 상기 제1,2회전체(6)(8)를 택일적으로 회전시켜 주는 레버(10)와; 상기 레버(10)의 리턴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탄발부재(12)(14)와; 상기 제1,2회전체(6)(8) 및 레버(10)의 하측 힌지공(16)(18),(20)을 관통하여 연결하여주는 회전축(22)과; 상기 제1,2 회전체(6)(8)를 은폐하며, 이의 회전 동작시 레버(10)를 안내하는 홈(24)을 갖는 케이스(26)를 주요부품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와이어(2)(4)는 일측단이 트렁크 리드 또는 테일 게이트, 연료 주입구 도어, 후드등과 같은 자동차이 각종 도어와 연결되며, 타단에는 고정핀(28)(30)이 각각 연결되어 후술하는 제1,2 회전체(6)(8)에 형성된 고정홈(32)(34)에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2 회전체(6)(8)는 수직면(36)(38)과 수평면(40)(42)을 가지며, 그 외측이 곡면(44)(46)으로 형성되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면(36)(38)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직면(36)(38)과 수평면(40)(42)의 경계 모서리부에는 중앙부로 호형의 요입부(48)(50)를 두고 그 외측에 수직면(36)938) 외측으로 돌설되는 돌기부(52)(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에 힌지공(16)(18)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52)(54) 사이로 레버(10)를 두고 회전축(22)에 의해 결함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2 회전체(6)(8)의 곡면(44)(46)의 소정 위치에는 축방향으로 상기 와이어(2)(4)의 고정핀(28)(30)이 고정되는 고정홈(32)(34)이 형성되며, 수직면(36)(38)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요입홈(56)(58)가 형성되어 레버(10)의 하단부에 안정되게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고정홈(32)(34)은 상호 반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하였으며, 이의 고정홈(32)(34)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형성한 것은 제1,2 회전체(6)(8)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2 회전체(6)(8)를 동작시켜 주는 레버(10)는 상측에 손잡이(60)가 형성되고, 하부 중간부에는 상기한 힌지공(20)이 형성되어 상기 제1,2 회전체(6)(8)과 함께 회전축(22)상에 고정된다.
상기 레버(10)의 리턴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발부재(12)(14)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로서 레버(10)와 제1 회전체(6), 레버(10)와 제2 회전체(8) 사이에 탄지되어 레버(10)를 어느 방향으로 동작시키든지 레버(10)에 가했던 힘을 해지하면 원위치로 리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부품들을 은폐 보호하는 케이스(26)는 그의 형태가 소정의 위치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측면이 평면을 이루며, 상측부는 제1,2 회전체(6)(8)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를 취하며, 사각의 형태를 취할 때는 레버(10)의 회동 동작을 고려하여 전축 또는 전후측이 경사 또는 라운드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부에는 회전축(22)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레버(10)가 동작될 수 있는 안내홈(24)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릴리이즈 핸들(1)은 레버(14)의 동작방향에 따라 제1,2 회전체(6)(8)가 택일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레버(10)를 제3도에서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레버(10)의 하측부가 제2 회전체(8)의 수직면(38)을 밀게 되는 바, 제1 회전체(6)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 회전체(8)만 동작되고, 반대로 제4도와 같이 레버(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회전체(6)만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이에 연동되는 도어를 열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릴리이즈 핸들(1)은 운전석내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하나의 릴리이즈 핸들로서, 다수의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바, 부품수 감소로 경량화 및 원가절감을 꾀하고,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각 도어로부터 인출된 와이어의 연결되어 회전 동작에 의하여 도어들을 선택적으로 열 수 있도록 하는 제1,2 회전체와; 상기 제1,2 회전체의 사이로 배치되어 운전자의 전후 회전동작에 의하여 상기 제1,2 회전체를 택일적으로 회동시켜주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리턴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탄발부재와; 상기 제1,2 회전체 및 레버의 하측 힌지공을 관통하여 연결하여주는 회전축과; 상기 제1,2 회전체를 은폐하며, 이의 회전 동작시 레버를 안내하는 홈을 갖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와이어는 선단에 고정핀이 각각 연결되어 제1,2 회전체의 곡면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고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3. 제1항에 있어서, 제1,2회전체는 수직면과 수평면을 가지며, 그 외측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직면과 수평면의 경계 모서리부에는 중앙부로 호형의 요입부를 두고 그 외측에 수직면 외측으로 돌설되는 돌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에 힌지공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 사이로 레버를 두고 회전측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4. 제3항에 있어서, 수직면의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요입홈이 형성되어 레버의 하단부에 안정되게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레귤레이터 핸들.
  5. 제1항에 있어서, 레버의 리턴이 가능하도록 하는 탄발부재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탄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6.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는 그의 형태가 소정의 위치에 안전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측면이 평면을 이루며, 상측부는 제1,2 회전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를 취하며, 상부에 고정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레버가 동작될 수 있는 안내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KR1019930027067A 1993-12-09 1993-12-09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KR0174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067A KR0174006B1 (ko) 1993-12-09 1993-12-09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067A KR0174006B1 (ko) 1993-12-09 1993-12-09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023A KR950019023A (ko) 1995-07-22
KR0174006B1 true KR0174006B1 (ko) 1999-02-18

Family

ID=1937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067A KR0174006B1 (ko) 1993-12-09 1993-12-09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0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023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3060A (en) Automotive vehicle hood latch release system
JPH0611345Y2 (ja) 開閉装置
US6240755B1 (en) Handle for the door of an automobile vehicle comprising a lock cylinder cap
US4818003A (en) Door handle device for a door of an automotive vehicle
US6009932A (en) Push to exit, pull to enter latch assembly for screen door
JP2002147069A (ja) スライドドアのインナハンドル組立体
US4822965A (en) Lid locking mechanism in automobile switch panel device
JP3355267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0174006B1 (ko)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JPH0228988Y2 (ko)
KR0132971Y1 (ko)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KR100195521B1 (ko) 자동차의 리어콘솔 개폐장치
KR0113822Y1 (ko) 트렁크 리드와 연료주입문의 통합개방장치
KR0132965Y1 (ko)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KR0132974Y1 (ko)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KR100412546B1 (ko) 트렁크리드와 연료주입구 도어의 개방 작동을 위한 공용레버장치
KR0132975Y1 (ko) 자동차의 도어 릴리이즈 핸들
JPH09286281A (ja) ボックス用リッドの取付構造
JPS5930140Y2 (ja) 自動車用ロツク装置
JP2574040B2 (ja) 燃料給油部構造
JP2544032Y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インタロック装置
JPH0752911Y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操作装置
JP2577915B2 (ja) 自動車の小物入れ
JPH0345504Y2 (ko)
KR20017540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너핸들조립체(inner handle lock in a vehicle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