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809B1 - 서스펜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809B1
KR0173809B1 KR1019950030851A KR19950030851A KR0173809B1 KR 0173809 B1 KR0173809 B1 KR 0173809B1 KR 1019950030851 A KR1019950030851 A KR 1019950030851A KR 19950030851 A KR19950030851 A KR 19950030851A KR 0173809 B1 KR0173809 B1 KR 0173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ing force
road
compression side
road surfac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297A (ko
Inventor
마사아끼 우찌야마
Original Assignee
이시다 아쯔미
도끼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다 아쯔미, 도끼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다 아쯔미
Publication of KR96001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6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 F16F9/467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using rotar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6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 B60G17/016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responsiveness, when the vehicle is travelling, to specific motion, a specific condition, or driver input to an external condition, e.g. rough road surface, side wi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10Acceleration; Deceleration
    • B60G2400/102Acceleration; Deceleration vert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80Exterior conditions
    • B60G2400/82Ground surface
    • B60G2400/821Uneven, rough road sensing affecting vehicle body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10Damping action or damper
    • B60G2500/11Damp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60Signal noise suppression; Electronic fil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16Running
    • B60G2800/162Reducing road induced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70Estimating or calculating vehicle parameters or state variables
    • B60G2800/702Improving accuracy of a sensor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6Body Vibrat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조건 도로 주행시에도 양호한 승차감 및 양호한 주행한정성을 얻을 수 있는 서스펜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노면상황 판정회로(33)가 주행로를 악조건 도로라고 판정하였을 때 감쇠계수 가변형 충격흡수기(4)의 압축측의 감쇠계수를 우선적으로 큰 값으로 설정시키는 감쇠계수 우선설정회로(34)를 설치하였다. 악조건 도로를 주행할 경우 압축측의 감쇠계수를 큰 값으로, 또한 신장측의 감쇠게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제어의 지연에 의한 승차감의 악화와 차량의 비제어 요동이 방지되고 차륜의 노면과의 접착성이 커지기 때문에 악조건 도로주힝시에도 쏠려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양호한 주행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스펜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제어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이용되는 감쇠계수 가변형 충격흡수기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감쇠계수 가변형 충격흡수기에 설치되는 가동판의 평면도.
제4도는 가동판의 회전각도와 가쇠계수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이용되는 제어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차륜
4 : 감쇠계수 가변형 충격흡수기 5 : 가속도센서
6 : 제어기 32 : 요철도 산출회로
33 : 노면상황 판정회로 34 : 감쇠계수 우선설정회로
본 발명은 차체와 차축사이에 개재되어 신장측의 감쇠력이 작을 때 압축측의 감쇠력이 작은 값과 큰값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고 압축측의 감쇠력이 작을 때 신장측의 감쇠력이 작은 값과 큰값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감쇠력조정식 충격흡수기를 이용하여 차체의 잔동에 따라 감쇠력을 조정하는 서스펜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의 일예로서 일본국 특개평5-330325호의 제1도 내지 네9도에 개시된 바와같은 서스펜션 제어장치가 있다. 이 서스펜션 제어장치는 본원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제2도 내지 제3도 참조) 신장측의 감쇠계수(감쇠력)가 작을 때 압축측의 감쇠계수(감소력)를 작은값과 큰값사이에서 조정가능하게 하고 압축측의 감쇠력이 작을 때 신장측의 감쇠력을 작은 값과 큰값사이에서 조정가능하게 한 감쇠계수가변형(감쇠력조정식) 충격흡수기를 포함한다. 상기한 공지장치는 감쇠계수 충격흡수기의 감쇠계수를 조정설정하는 액츄에이터와 차체의 상하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와 상기 가속도센서의 가속도신호를 적분하여 상하방향절대속도를 구하는 적분수단과 상기 상하방향절대속도에 의거하여 액츄에이터를 거처 감쇠계수가변형 충격흡수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한다. 이예 의해 종래의 서스팬션 제어장치는 상하방향절대속도에 대응하는 감쇠계수를 얻어 승차감이나 운전성등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내용중 감쇠력과 감쇠계수라는 단어가 사용되고 있는 바, 제2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통로면적을 조정하는 충격흡수기에 있어서의 감쇠력은 피스톤속도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통로면적의 조정은 실제는 감쇠계수의 조정을 의미한다. 그러나 감쇠계수의 조정은 결과적으로 감쇠력을 조정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감쇠계수와 감쇠력은 구별없이 감쇠력으로 사용된다.
또 일본국 특개평 5-141437호 공보 제2도의 실시예에 개시된 전자비례압력제어밸브를 가지는 서스펜션 제어장치는, 일본국 특개평 5-330325호 공보에 나타낸 장치와 마찬가지로 차체의 상하절대속도를 구하고 이 상하 절대속도에 따라 전자비례압력제어밸브의 밸브체를 한쪽측으로 가세함으로써 신장측 또는 압축측중 어느 한쪽의 압력을 제어하여 높은 값의 감쇠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다른쪽은 낮은 감쇠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일본국 특개평 5-330325호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통상의 포장된 노면(비교적 지농이 적고 진폭도 작음)을 주행할때 생기는 평균적인 피스톤스피드를 상정하여 진동제어를 행하고 있다. 따라서 거친 노면(악조건 도로)을 주행할 때에는 피스톤스피드가 평균적인 피스톤스피드보다 훨씬 빨라지고 요구되는 감쇠력에 비하여 큰 감쇠력이 발생되는 제어과잉이 되어버려 승차감의 악화를 초래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5-330325호 및 특개평 5-141437호의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악조건 도로를 주행하였을 경우 차체의 잔동이 심해지고 제어목표의 감쇠력이 심하게 변화되기 때문에 제어가 이를 따를 수 없고 필요한 감쇠력이 얻어지지 않은 경우 또는 필요이상의 감쇠력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어 감쇠력을 조정함으로써 오히려 승차감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악조건 도로주행시에는 차체의 진동에 따른 제어를 중지하고 신장측 및 압축측의 감쇠력을 작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제어를 중지하면 감쇠력이 신장 압축 모두 작은 상태가 되고 이로써 악조건 도로주행중의 덜컹거림은 감소하나 진동의 안정성이 나빠져 공중에 뜬 승차감이 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또 진동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차륜의 접지성이 저하하여 차륜이 미끌어지기 쉽고 악조건 도로에서의 코너링에서는 차체가 밀려 버리는 등 조종안정성이 저하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악조건 도로를 주행할때 차체의 요동에 따른 감쇠력의 제어를 행하거나, 신장측, 압축측 모두의 감쇠력을 작은 상태로 하지 않고, 신장측 또는 압축측의 감쇠력을 어느정도 크게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기에서는 신장측의 감쇠력이 증가할 때 동시에 축소측의 감쇠력을 증가시킬 수는 없다.
신장측의 감쇠력을 크게 하면 결과적으로 압축측의 감쇠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바퀴가 돌기에 있을 때 위쪽의 충격(가속도)은 작아져 덜컹거림이 감소되며 또한 진동이 흡수되지 않는 문제점도 해결된다.
그러나 실제로 이와같은 제어를 행하면 신장측의 감쇠력이 커서 차륜이 신장되는 것이 늦어지기 때문에 돌기를 타고 넘은 후 차륜이 접지되기 까지에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차륜에 의하여 차체가 끌어당겨져 차체 아래쪽으로의 가속도가 커진다. 이 아래쪽의 가속도에 대하여 탑승자는 의자에서 내팽개지는 듯한 느낌을 받아 상당히 불쾌감을 느낀다. 엘리베이터에서 올라갈때 보다 내려갈 때가 불쾌감을 더 느끼듯이 일반적으로 탑승자는 아래쪽의 가속도에 보다 불쾌감을 느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악조건 도로주행시에도 양호한 승차감 및 양호한 주행안정성을 얻을 수 있는 서스펜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체와 차축사이에 개재되어 신장측의 감쇠력이 작을 때 압축측의 감쇠력이 작은 값과 큰값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고, 압축측의 감쇠력이 작을 때 신장측의 감쇠력이 작은 값과 큰값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감쇠력조정식 충격흡수기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서스펜션 제어장치는, 차체의 상하진동을 검출하는 상하진동검출수단과 상기 상하진동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감쇠력조정식 충격흡수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더욱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서스펜션 제어장치에는 주행로가 악조건 도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노면상황판정수단과, 상기 노면상황판정수단이 주행로를 악조건 도로로 판정하였을 때 상기 제어수단에 우선하여 상기 압축측의 감쇠력을 상기 작은 값보다 큰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는 감쇠력우선설정수단이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해, 주행로가 악조건 도로인 경우에 압축측의 감쇠계수가 우선적으로 소정의 큰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하 진동에 의거하여 행하여지는 제어에 우선하여 압축측의 감쇠력이 미리 설정된 작은 값보다 큰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제어의 지연에 의하여 승차감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지고 또 신장측 및 압축측 양측의 감쇠력이 낮아져 조종안정성이 저하하는 것도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차량을 구성하는 차체(1)(스프링 위쪽)와 4개(도면에는 1개만이 도시됨)의 차륜(2)(스프링 아래쪽)사이에는, 스프링(3)과 감쇠계수가변형(감쇠력조정식) 충격흡수기(4)가 병렬로 개재되어 있어 차체(1)를 지지하고 있다. 충격흡수기(4)는 신장/압축 반전 타입(압축측, 신장측의 감쇠계수중 한쪽의 감쇠계수를 점차 증가시키면 다른쪽의 감쇠계수가 점차 감소되는 특성을 가진 타입)이다. 차체(1)상에는 차체(1)의 상하방향의 가속도를 검출하는 가속도센서(상하진동검출수단)(5)가 설치되어 있다. 가속도센서(5)의 가속도신호는 제어기(6)에 공급된다. 또한 감쇠계수 가변형 충격흡수기(4)및 스프링(3)은 4개의 차륜(2)에 대응하여 각각 4개씩 설치되나 편의상 그중 한개만이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쇠계수 가변형 충격흡수기(4)는 실린더(11)를 포함하며, 상기 실린더(11)내에는 자유피스톤(12)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수납되고, 이 자유피스톤(12)에 의하여 실린더 내부는 가스실(13)과 유실(14)로 나누어져 있다. 가스실(13)에는 고압가스가 봉입되어 있고 유실(14)에는 유액이 봉입되어 있다. 유실(14)에는 피스톤(15)이 슬라이딩되도록 수납되어 있다. 유실(14)은 피스톤(15)에 의하여 하실(R1)과 상실(R2)로 나누어져 있다. 피스톤(15)에는 피스톤로드(16)가 연결되어 있다. 피스톤로드(16)는 상실(R2)을 통하여 실린더(11)밖으로 연장되어 있다.
피스톤(15)에는 하실(R1)과 상실(R2)을 각각 연통하는 제1, 제2의 연통로(17, 18)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15)의 상부에는 통상 폐쇄되어 있는 제1감쇠밸브(19)가 설치되어 있다. 제1감쇠밸브(19)는 피스톤로드(16)의 압축시에 하실(R1)의 압력이 높아져 상실(R2)과의 차압이 소정치에 달하면 개방되고, 이로써 제1연통로(17)를 거쳐 하실(R1)과 상실(R2)이 연통된다. 피스톤(15)의 하부에는 통상 폐쇄되어 있는 제2감쇠밸브(20)가 설치되어 있다. 제2감쇠밸브(20)는 피스톤로드(16)의 신장시에 상실(R2)의 압력이 높아져 하실(R1)과 상실(R2)의 압력차가 소정치가 되면 개방되고, 이에 의하여 제2연통로(18)를 거쳐 하실(R1)과 상실(R2)이 연통된다. 피스톤(15)에는 피스톤로드(16)의 축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제3, 제4의 연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제3, 제4의 연통로(21, 22)는 각각 상실(R2), 하실(R1)로 연통되어 있다.
제3, 제4의 연통로(21, 22)에는 각 체크밸브(23, 24)가 설치되어 있다. 체크밸브(23)는 하실(R1)로부터 상실(R2)로의 유액의 흐름만을 허용하고 체크밸브(24)는 상실(R2)로부터 하실(R1)로의 유액의 흐름만을 허용하다. 피스톤(15)내부에는 원판상의 가동판(25)이 피스톤로드(16)의 축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제공되고, 가동판(25)의 판면은 제3, 제4의 연통로(21, 22)를 가로지르고 있다. 가동판(25)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상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긴구멍(26, 27)이 형성되어 있다. 긴구멍(26, 27)은 가동판(25)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며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긴구멍(26)은 제3도의 화살표 방향(R)을 따라 개구면적이 점차 작아지고 긴구멍(27)은 화살표 방향(R)을 따라 개구면적이 점차 커진다.
가동판(25)을 R 또는 L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긴구멍(26, 27)이 제3, 제4의 연통로(21, 22)에 면하는 부분이 연속적으로 교체되고 제3, 제4의 연통로(21, 22)의 개구면적이 점차 증가 또는 감소되고, 이에 의하여 감쇠계수가변형 충격흡수기(4)가 제4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감쇠특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제2도의 도면부호 28은 피스톤로드(16)의 축중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단부가 가동판(25)에 연결된 조작로드이다. 또 29는 조작로드(28)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이 조작로드(28)를 거쳐 가동판(25)을 R방향 또는 L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테핑모터(stepping motor)등의 액츄에이터(actuator)이다. 액츄에이터(29)는 제어기(6)의 제어신호발신부(30)로부터 발신되는 제어신호(θ)에 의거하여 조작로드(28)를 회전시킨다.
이하, 긴구멍(26, 27)의 제3, 제4의 연통로(21, 22)에 면하는 개소(a2∼b2∼c2, a1∼b1∼c1)와 감쇠계수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긴구멍(26, 27)의 제3, 제4의 연통로(21, 22)에 면하는 개소는 가동판(25)의 회전각도(θ)에 의하여 표시된다. 또한 긴구멍(26, 27)의 중심인 위치(b2, b1)가 제3, 제4의 연통로(21, 22)에 면하고 있는 경우 이 위치가 가동판(25)의 기준위치(θ=0)로 된다.
(1) 가동판(25)을 기준위치로부터 R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즉 가동판(25)을 정방향(θ0)으로 회전시킨 경우, 긴구멍(26)의 위치(a2)가 제3연통로(21)에 면하고 또한 긴구멍(27)의 위치(a1)가 제4연통로(22)에 면한다. 이로써 하실(R1)로부터 상실(R2)로의 유액이동이 용이해지고 상실(R2)로부터 하실(R1)로의 유액이동은 어렵게 되어 신장측 감쇠계수는 증가되고 압축측 감쇠계수는 감소된다.
(2) 가동판(25)을 기준위치로부터 L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 즉 가동판(25)을 부방향(θ0)으로 회전시킨 경우, 긴구멍(26)의 위치(c2)는 제3연통로(21)에 면하고 긴구멍(27)의 위치(c1)는 제4연통로(22)에 면한다. 이로써 하실(R1)로부터 상실(R2)로의 유액이동은 어려워지고 상실(R2)로부터 하실(R1)로의 유액이동은 쉬워져서 신장측 감쇠계수는 감소되고 압축측 감쇠계수는 증가된다.
제어기(6)는 가속도센서(5)의 검출신호를 적분하여 상하방향 절대속도를 구하는 적분회로(31)와, 가속도센서(5)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주행로의 노면요철도를 산출하는 요철도 산출회로(32)와, 노면요철도를 미리 설정한 기준치와 비교하여 주행로가 악조건 도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하는 노면상황 판정회로(33)와, 상기 노면상황판정회로(33)가 주행로를 악조건 도로라고 판정하였을 때 액츄에이터(29)를 거쳐 상기 압축측의 감쇠계수를 우선적으로 소정의 값(제4도 중 θ1)으로 설정하는 감쇠력 우선설정수단으로서의 감쇠계수우선설정회로(34)와, 상기 제어신호발신부(30)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의 제어기는 제5도의 연산처리 및 제어를 행한다.
제5도를 참조하여 제어기의 연산처리 및 제어내용을 설명한다.
차량의 엔진시동등에 의하여 전력공급을 받으면(스텝S31) 먼저 초기 설정을 행하여(스텝S32), 제어주기에 이르렀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3), 스텝S33에서 제어주기에 이르렀다고 판정할 때까지, 판정처리를 반복하여 행한다.
스텝S33에서 제어주기에 이르렀다고 판정하면 상기 제어주기결과에 의거하여 액츄에이터(29)를 구동한다(스텝S34). 이어서 스텝S35에서 액츄에이터(29)이외의 부분, 예를들면 표시기(LED)등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가속도센서(5)로부터 가속도신호(α)를 읽어들인다(스텝S36). 이어서 가속도신호(α)의 단위시간당 변화비율등으로 노면요철도를 구한다(스텝S37). 다음 스텝(S38)에서는 노면요철을 미리 설정한 기준치와 비교하여 노면이 악조건 도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S38에서 NO라고 판정하면, 즉 노면이 악조건 도로가 아니라고 판정하면 적분회로(31)가 상하방향절대속도를 구하고 이 상하방향 절대속도에 의거하여 목표감쇠계수(C)를 결정한다(스텝S39). 스텝(S39)의 처리내용에 의거하여 목표액츄에이터각도(가동판 회전각)(θ)를 구하고, 제어는 스텝(S33)으로 복귀한다. 또한 스텝(S33)으로 복귀한 후 다음의 제어주기(스텝S34)에서 가동판회전각(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θ)를 액츄에이터에 출력하여 소망의 감쇠계수(목표감쇠계수C)를 얻게 된다.
스텝(S38)에서 YES라고 판정하면, 즉 노면이 악조건 도로라고 판정하면 감쇠력을 소정의 값으로 하기 위하여 가동판 회전각(목표액츄에이터각도)(θ)이 제4도에서 θ1의 위치가 되도록 제어신호 θ를 액츄에이터에 출력하여, 악축측의 감쇠계수를 약간 큰 값으로 즉, 충격흡수기의 특성에 기인하여 결과적으로 신장측의 감쇠계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하여(스텝S41)스텝(S33)으로 복귀한다. 또한 스텝(S33)으로 복귀한 후 다음의 제어주기(스텝S34)에서 가동판회전각(θ)에 대응하는 제어신호(θ)를 액츄에이터에 출력하여 소망의 감쇠계수(목표감쇠계수C)를 얻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서스펜션 제어장치에서는 악조건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노면상황판정회로(33)가 주행로를 악조건 도로라고 판정하고(스텝S38에서 YES라고 판정하고), 액츄에이터(29)를 거쳐 신장측의 감쇠계수를 작은 값으로 압축측의 감쇠계수를 약간 큰갑(작은 값보다 큰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고, 악조건 도로주행중은 상하절대속도에 의한 제어를 행하지 않고, 신장측 및 압축측의 감쇠계수는 설정값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악조건 도로주행시 제어가 지연되는 일은 없어지고 또한 신장측 및 압축측을 낮은 감쇠계수로 하였을 때와 같이 진동이 흡수되지 않아 승차감 및 조종안정성의 저하되는 일도 없다.
실제로 본실시예의 제어를 행하면 돌기에 올라섰을 때 압축측의 감쇠력이 높기 때문에 덜컹거림(위쪽의 가속도)이 생긴다. 그러나 돌기를 타고 넘은 후 차륜이 접지하기까지의 사이에 신장측의 감쇠력이 작은 차륜이 즉시 신장하기때문에 접지까지의 시간이 짧고 또한 차륜이 비교적 자유롭게 신장하기 때문에 차륜에 의하여 차체가 끌어당겨지는 일이 없어 차체의 아래쪽으로의 가속도가 작아진다.
따라서 신장측의 감쇠력을 크게 하였을 때에 비하여 덜컹거림(위쪽의 가속도)은 커지나 아래쪽의 가속도를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탑승자는 의자에 의하여 신체가 지탱되기 때문에 위쪽의 가속도에 대하여는 거의 불쾌감은 느끼지 않지만 아래쪽의 가속도에 대해서는 불쾌감을 느끼기 때문에 신장측의 감쇠력을 높게 하였을 때에 비하여 악조건 도로에서 좋은 승차감을 얻을 수 있다.
압축측의 감쇠력을 너무 크게 하면 덜컹거림이 커져 승차감이 나빠지기 때문에, 2톤급의 차에서 피스톤속도가 0.3㎜/s 일때 감쇠력이 약 500N(제4도 중 c2)내지 1200N(제4도 중 a2)사이에서 조정되는 충격흡수기 경우, 압축측의 작은 값보다 큰 소정의 값은 700N정도의 감쇠력이 바람직하다. 이 700N은 감쇠력조정기구를 가지지 않는 자동차에 이용되는 충격흡수기의 압축측 감쇠력의 절반정도의 크기이다.
비록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하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악조건 도로 여부를 판정하였으나, 이것을 대신하여 차높이센서를 이용하여 이 차높이센서의 주파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 악조건 도로라고 판정하여도 좋다. 더욱이, 직접 초음파센서에 의하여 노면의 상태를 측정하여도 좋다. 또한 차속이 느린 경우는 악조건 도로에서 신장측과 압축측 모두의 감쇠력을 작게 하여도 큰 문제가 없기 때문에 , 차속에 따라 압축측의 감쇠력의 소정치를 변화시켜도 좋다. 악조건 도로를 판정하는 일 공지예가 일본 특허출원 제5-353204(USSN 361,554)에 개시되어 있는 바, 이 방법이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통로면적을 조정하여 감쇠력(감쇠계수)을 조정하는 충격흡수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일본국 특개평 5-141437호 제2도 및 일본국 특개 평 6-330977호의 제1도의 실시예에 도시된, 전자비례 압력제어밸브를 이용하여 감쇠력을 직접 조정하는 타입의 충격흡수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악조건 도로주행시에 압축측의 압력을 제어하도록 전류를 조정함으로써 신장측의 감쇠력을 작은 값으로 하고 압축측의 감쇠력을 약간 큰 값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기는 액츄에이터(전자밸브를 포함)를 소정의 위치(예를들면 중간위치)로 부터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압축측의 감쇠력이 낮은 값에서 대략 일정하며 신장측의 감쇠력이 작은 값에서부터 큰 값까지로 조정가능하고, 또 소정의 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신장측의 감쇠력이 낮은 값에서 대략 일정하며 압축측의 감쇠력이 작은 값에서부터 큰 값까지로 조절될 수 있는 여하한 충격흡수기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구성의 서스펜션 제어장치에서는, 악조건 도로주행시에 상하진동에 의거하여 행하여 지는 제어에 우선하여 압축측의 감쇠력이 소정의 작은 값보다 큰 소정의 값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제어의 지연에 의하여 승차감이 악화되는 일이 없어지고 또 신장측 및 압축측 양측의 감쇠력 저하에 의하여 조종안정성이 저하하는 것도 방지된다. 또한 신장측의 감쇠력이 아닌 압축측의 감쇠력을 크게 함으로써 차체의 하향 가속도가 커지는 것이 방지되고 악조건 도로주행시 탑승자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용어에 한정되어 개시되었지만, 상기한 실시예는 배타적인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일본국 특개 평 7-232530에 개시된 다양한 제어논리가 노면상황 판정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차체와 차축사이에 개재되어 신장측의 감쇠력이 작을 때 압축측의 감쇠력이 큰 값과 작은 값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고, 압축측 감쇠력이 작을 때 신장측 감쇠력이 큰 값과 작은 값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는 감쇠력 조정식 충격흡수기; 상기 차체의 상하진동을 검출하는 상하진동 검출수단; 상기 상하진동 검출수단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감쇠력 조정식 충격흡수기를 제어하도록 통상 제어를 달성하는 제어수단; 주행로가 악조건도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노면상황 판정수단; 및 상기 노면 판성수단이 주행로를악조건도로로 판정하였을 때 상기 제어수단의 상기 통상제어를 중지하는 반면 상기 압축측의 감쇠력을 상기 작은 값 보다 큰 소정의 값으로 고정되게 설정하는 감쇠력 우선 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진동 검출수단은 상기 차체의 상하 진동가속도를 검출하여 이를 신호로서 출력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진동 검출수단은 상기 차체의 상하방향 절대속도를 결정하는 적분회로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면상황 판정회로는 상기 상하진동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노면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제어장치.
KR1019950030851A 1994-09-20 1995-09-20 서스펜션 제어장치 KR0173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26094A JP3328792B2 (ja) 1994-09-20 1994-09-20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94-251260 1994-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297A KR960010297A (ko) 1996-04-20
KR0173809B1 true KR0173809B1 (ko) 1999-02-18

Family

ID=17220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851A KR0173809B1 (ko) 1994-09-20 1995-09-20 서스펜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02486A (ko)
JP (1) JP3328792B2 (ko)
KR (1) KR0173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350B1 (ko) * 2005-08-11 2007-05-02 주식회사 만도 노면 판정 우선순위를 이용한 차량의 현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805B1 (ko) * 1997-04-03 2000-04-15 밍루 차량용 현가장치의 제어방법
JPH10278529A (ja) * 1997-04-08 1998-10-20 Unisia Jecs Corp 車両懸架装置
JPH11192826A (ja) * 1997-12-26 1999-07-21 Tokico Ltd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6311110B1 (en) 1999-06-17 2001-10-30 Lord Corporation Adaptive off-state control method
DE10029010B4 (de) * 1999-06-22 2008-06-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Toyota Einrichtung zum Steuern von Aufhängungsstoßdämpfern bei Fahrzeugen auf Grundlage eines Scheindämpfungssystems
US6701235B2 (en) * 2000-08-31 2004-03-02 Tokico Ltd. Suspension control system
FR2834338B1 (fr) * 2001-12-28 2004-04-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diagnostic d'amortisseurs de vehicule
KR100726600B1 (ko) * 2003-03-14 2007-06-11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 현가장치와 그 제어 방법
US20040258254A1 (en) * 2003-06-17 2004-12-23 Mollon Eric L. Automotive audio system adapted to roadway conditions
DE10337006A1 (de) 2003-08-12 2005-03-10 Continenta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s Fahrkomforts von Kraftfahrzeugen
JP4801938B2 (ja) * 2005-06-15 2011-10-2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能動型防振装置
US7913822B2 (en) * 2006-12-22 2011-03-29 Chrysler Group Llc Ride height sensing shock damper
DE102009027939A1 (de) * 2009-02-03 2010-08-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Fahrwerkregelung eines Kraftfahrzeugs,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US10315479B2 (en) * 2013-07-11 2019-06-11 Kpit Technologies Ltd. Dynamically adjustable suspension device
US20190038437A1 (en) * 2015-09-30 2019-02-07 Bama Teknoloji Tibbi Cihazlar Danismanlik Saglik Bilisim Sanayi Ve Ticaret Limited Sirketi Laminated spring containing valve, control method of this valve and prosthetic joint that includes the valve
CN112996680B (zh) * 2018-10-12 2023-12-15 日立安斯泰莫株式会社 悬架控制装置
CN112092560A (zh) * 2019-06-02 2020-12-18 侯力宇 一种汽车信息共享智能减震控制的方法和系统
US20230086480A1 (en) * 2021-09-17 2023-03-23 Rivian Ip Holdings, Llc Active suspension damp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8050A (en) * 1983-08-15 1984-08-28 Woods Lonnie K Computer optimized adaptive suspension system
US4756549A (en) * 1985-10-26 1988-07-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hock absorber controller
DE3937841A1 (de) * 1988-11-14 1990-05-17 Atsugi Unisia Corp System zur erfassung von strassenunebenheit fuer eine aufhaengungssteuerung und kraftfahrzeug-aufhaengungssteuerungsystem, welches die erfasste strassenunebenheit als steuerparameter verwendet
JP2908496B2 (ja) * 1990-02-14 1999-06-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減衰力制御装置
JP3037735B2 (ja) * 1990-10-26 2000-05-0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4221213A (ja) * 1990-12-20 1992-08-11 Suzuki Motor Corp 電子制御式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DE4112004A1 (de) * 1991-04-12 1992-10-15 Bosch Gmbh Robert System zur fahrwerkregelung
US5490068A (en) * 1991-07-30 1996-02-06 Atsugi Unisia Corporation Suspension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includ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ck absorber damping force coefficient
JP3342719B2 (ja) * 1992-02-03 2002-11-11 トキコ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US5425436A (en) * 1992-08-26 1995-06-20 Nippondenso Co., Ltd. Automotive suspension control system utilizing variable damping force shock absorber
JP3379024B2 (ja) * 1993-03-12 2003-02-17 トキコ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3110219B2 (ja) * 1993-09-13 2000-11-20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車両懸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350B1 (ko) * 2005-08-11 2007-05-02 주식회사 만도 노면 판정 우선순위를 이용한 차량의 현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297A (ko) 1996-04-20
US5802486A (en) 1998-09-01
JP3328792B2 (ja) 2002-09-30
JPH0885321A (ja) 1996-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809B1 (ko) 서스펜션 제어장치
US5390121A (en) Banded on-off control method for semi-active dampers
JP3342719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3125603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CN100475579C (zh) 控制和调节主动式底盘系统的方法
JPS61139505A (ja) エア−サスペンシヨン
JP2937405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4048391B2 (ja) 鉄道車両の振動制御方法
JPH0699718A (ja) 減衰力可変ショックアブソーバ制御装置
KR100207167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장치
JPH08104122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S6355478B2 (ko)
JPS60199714A (ja) 自動車の車高調整装置
JPH06106945A (ja) 減衰力可変ショックアブソーバ制御装置
JP3095398B2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7205628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H0999723A (ja) 車両懸架装置
JPH0672129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H0858333A (ja) 減衰力可変ショックアブソーバ制御装置
JPS59186711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
JPH07172129A (ja) 減衰力可変ショックアブソーバ制御装置
JPH07179113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0183125B1 (ko) 주행상태에 따른 차체 높이 조절 장치
JP2507078Y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5536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