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800B1 - 구취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취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800B1
KR0170800B1 KR1019950018185A KR19950018185A KR0170800B1 KR 0170800 B1 KR0170800 B1 KR 0170800B1 KR 1019950018185 A KR1019950018185 A KR 1019950018185A KR 19950018185 A KR19950018185 A KR 19950018185A KR 0170800 B1 KR0170800 B1 KR 0170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d breath
tea
powder
room temperature
natural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049A (ko
Inventor
남종현
Original Assignee
남종현
류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현, 류광영 filed Critical 남종현
Priority to KR101995001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800B1/ko
Publication of KR970000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8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에 의해 입냄세제거 효과를 갖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천연차는 감초, 마늘 및 생강을 30∼75 : 10∼50 : 10∼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말로 제조되며, 입안에 남은 음식찌꺼기의 부패, 발효를 억제하고 위장의 소화활동을 촉진함으로써 입냄새의 발생을 막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취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구취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음료,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에 의해 구취제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茶)는 유사이래 동양에서 오랫동안 음용되어 왔고 서양에서도 전래되어 세계적인 기호식품이 되었으며, 그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타민 보충, 위장기능 강화, 지방질 분해, 각성제 효과 등이 그것이다.
발명자는 대인관계가 빈번한 현대인에게 있어서 얼굴을 맞대고 대화하는 과정에서 입냅새로 인해 상대방에게 나쁜 인상을 갖게 되는 경우가 많음을 경험하게 되어 구취를 제거하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구취를 제거하는 특별한 약이나 음식을 복용하기 보다는 사람들이 자주 복용하는 차의 성분을 보충함으로써 차를 마시는 즐거움과 함께 구취제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데 착안한 것이다.
우리 고유의 음식인 김치는 특히 서양인에게 역겨운 입냄새를 오래 지속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생선이나 육류도 그 조리방법에 따라 구취문제를 일으킨다.
잠자리에서 일어난 뒤 입냄새가 더욱 심한 것은 잠을 자고 있는 동안은 구강활동이 정지되고 타액분비가 줄어 들어서 입속의 세균의 번식과 활동이 급속히 진행되기 때문이며, 공복기간이 길어져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난다. 말을 많이 하면 타액분비가 왕성해져서 입속의 세균의 번식을 막아주어 입냄새를 현격히 줄어들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외에도, 입냄새는 근원적으로 충치나 치조골의 이상, 호흡기질환 및 위장장애 등에 의해서도 발생한다.
음식의 소화가 잘 되지 않는 위장장애인들은 위속의 위액분비가 촉진되지 않음으로써 음식의 부패가 일어나 입냄새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위장병을 치유하는 것이 급선무이지만 위장병의 치유에는 적지 않은 비용과 긴 시간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값싸고 쉬운 방법으로 구취제거를 할 수 있는 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는 위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가지로 연구한 결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양념용 식물과 약용식품을 여러 가지로 배합하여 단독 또는 다른 차와 혼합하여 음용함으로써 입냄새를 제거할 수 있는 차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본 발명은 감초와 마늘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을 혼합한 분말천연차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천연차는 감초, 마늘 및 생강을 30∼75, 10∼50, 및 10∼3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분말로 제조되며, 0°C∼영하 20°C에서 30분 내지 5시간 정도 냉각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연차는 음용수에 섞어 마셔도 좋으나, 차맛을 내기 위해 홍차, 치커리차 등 다른 차와 혼합하여도 좋고, 당분을 가미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건조된 마늘을 선별하여 각각 탈피, 세척, 냉동건조시킨후 100메쉬의 입도로 분쇄하였다. 이 마늘의 분말과 100메쉬의 감초분말을 각각 45g : 55g의 비율로 상온하에 통상의 믹서기에서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얻었다. 선별, 탈피, 세척, 냉동건조시켜서 100메쉬로 분쇄한 생강분말 15g을 위의 1차 혼합물 100g에 첨가하여 상온하에 통상의 믹서기에서 혼합한 후 영하 5°C로 냉각하여 2시간 30분동안 유지시킨 후 상온으로 가열하여 천연차를 얻었다.
[실시예 2]
선별, 탈피, 세척, 냉동건조시킨 마늘 200g에 감초 40g을 혼합하고 분쇄기에 넣어 상온하에 200메쉬로 분쇄하여 얻은 혼합물을 영하 15°C로 냉각시켜서 45분간 유지한 후 상온으로 가열하여 1차 혼합물을 얻었다. 위의 1차 혼합물 100g에 실시예 1과 같이 처리한 생강분말 25g을 상온하에 믹서기로 혼합한 후 영하 10°C로 냉각시켜서 1시간동안 유지한 후 상온으로 가열하여 천연차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마늘분말 40g과 감초분말 60g, 실시예 2의 생강분말 12g을 상온하에 믹서기에서 혼합하여 천연차를 얻었다.
[실시예 4]
건조된 생강을 선별하여 각각 탈피, 세척, 냉동건조시킨 후 200메쉬의 입도로 분쇄하였다. 이 생강의 분말과 200메쉬의 감초분말을 각각 30g : 70g의 비율로 상온하에 통상의 믹서기에서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얻었다. 위의 1차 혼합물을 영하 5°C로 냉각하여 2시간 30분동안 냉각처리한 후 상온으로 가열하였다. 선별, 탈피, 세척, 냉동건조시켜서 200메쉬로 분쇄한 마늘분말 20g을 실시예 1의 혼합물 50g에 첨가하여 상온하에 통상의 믹서기에 혼합한 후 영하 10°C로 냉각하여 1시간동안 유지시킨 후 상온으로 가열하여 천연차를 얻었다.
[실시예 5]
선별, 탈피, 세척, 냉동건조시킨 생강 150g에 감초 400g을 혼합하고 분쇄기에 넣어 상온하에 100메쉬로 분쇄하여 얻은 1차 혼합물을 영하 20°C 냉각시켜서 30분간 유지한후 상온으로 가열하였다. 위의 1차 혼합물 100g에 실시예 4와 같이 처리한 마늘분말 30g을 상온하에 믹서기로 혼합한 후 영하 10°C로 냉각시켜서 1시간동안 유지한 후 상온으로 가열하여 천연차를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생강분말 20g과 감초분말 80g, 실시예 4의 마늘분말 30g을 상온하에 믹서기에 혼합하고, 영하 15°C로 냉각하여 45분간 유지한 후 상온으로 가열하여 천연차를 얻었다.
위의 실시예외에도 여러 가지로 실험한 결과 감초, 마늘, 생강을 75∼30 : 50∼10 : 30∼10 중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0°C∼영하 20°C에서 30분 내지 5시간 정도 냉각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천연차의 입도는 100∼300메쉬정도로 분말화하여 적합하였다.
본 발명의 원재료인 감초는 내장의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마늘은 살균작용이 있으며 생강은 탈취 및 소화촉진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독립적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천연차는 입안에 남은 음식찌꺼기의 부패, 발효를 억제하여 입냄새의 발생을 막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위장에 들어가서는 소화를 촉진하여 위장장애로 인한 입냄새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도가 100 내지 300메쉬인 감초분말, 마늘분말 및 생강분말을 30∼75 : 10∼50 : 10∼30 중량%의 비율로 함유하는 구취제거용 천연차.
KR1019950018185A 1995-06-29 1995-06-29 구취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0170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185A KR0170800B1 (ko) 1995-06-29 1995-06-29 구취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185A KR0170800B1 (ko) 1995-06-29 1995-06-29 구취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049A KR970000049A (ko) 1997-01-21
KR0170800B1 true KR0170800B1 (ko) 1999-01-15

Family

ID=19418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185A KR0170800B1 (ko) 1995-06-29 1995-06-29 구취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8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223B1 (ko) * 2001-07-26 2004-03-04 김수곤 신온차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960423A (zh) * 2014-05-20 2014-08-06 赵里 祛寒湿的中药保健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223B1 (ko) * 2001-07-26 2004-03-04 김수곤 신온차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960423A (zh) * 2014-05-20 2014-08-06 赵里 祛寒湿的中药保健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049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50276B (zh) 一种辣酱调料、辣酱及其制作方法
KR100887522B1 (ko) 한방 혼합 뽕잎차의 제조방법
KR101871771B1 (ko) 우렁이 유효성분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음료 제조방법
KR0170800B1 (ko) 구취제거 효과를 가지는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CN100536685C (zh) 山楂酵母片及其制备方法
CN110089601A (zh) 一种奶茶基底及其制备方法
KR101808406B1 (ko)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20100035464A (ko) 약초만두 및 약초만두의 제조방법
KR20150000141A (ko) 곤드레 나물이 함유된 떡의 제조방법
KR100441425B1 (ko) 녹차분을 이용한 녹차묵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의하여 제조된 녹차묵
JPS6384446A (ja) 混合健康茶
KR101145437B1 (ko) 한방 천연소재를 이용한 식육 연화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CN109745405A (zh) 治疗口臭的中药组合物、可嚼服口香糖制备方法及口香糖
KR101596418B1 (ko) 장어를 주원료로 한 피로회복 및 면역력 개선용 기능성식품 제조방법
CN109567032A (zh) 红豆薏米油茶
JPH0678714A (ja) 梹榔膏組成物
CN107637823A (zh) 一种烧烤腌肉调料及其制备方法
JP3398647B2 (ja) 熊笹栄養補助食品、熊笹洗剤、熊笹化粧品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保存料
JP2004187575A (ja) 調味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85601A (ko) 다이어트식품 조성물
KR20090037155A (ko) 기호성이 우수한 열대과일향 혼합차 및 그 제조 방법
JPH0330653A (ja) 健康飲料
CN1166293A (zh) 一种烧烤用调料液和制作加工方法及调料液的用法
JPH03147742A (ja) コーヒー飲料
KR20040036097A (ko) 진주 및 전복껍질 가공에 의한 이레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