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532B1 -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및 접합블록 - Google Patents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및 접합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69532B1 KR0169532B1 KR1019950021077A KR19950021077A KR0169532B1 KR 0169532 B1 KR0169532 B1 KR 0169532B1 KR 1019950021077 A KR1019950021077 A KR 1019950021077A KR 19950021077 A KR19950021077 A KR 19950021077A KR 0169532 B1 KR0169532 B1 KR 01695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groove
- joining
- clamp
- socke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의 오픈컷트공법에 의한 굴삭공사시에 굴삭주변의 토사가 붕괴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및 접합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접합블록은 적어도 두 개의 소켓과 쐐기에 의해 구성된다. 각 소켓에는 저면과 좌우의 측면에 의해 흠형상으로 형성한 흙막이 지지부재받이용 홈을 형성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소켓은 서로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쐐기는 그 좌우측연부가 소켓의 쐐기용 홈에 끼워져 이동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 제1실시예의 접합블록을 사용전의 분해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접합블록을 사용하여 버팀대끼리, 횡가대끼리 및 앵글브레이스끼리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상기 접합블록의 소켓부분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4a도-제4c는 상기 접합블록을 사용하여 H형강을 접합하기 전부터 접합완성까지의 공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접합블록을 사용전의 분해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상기 접합블록을 사용하여 버팀대와 앵글브레이스(angle brace)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 제4실시예의 접합부를 사용직전의 분해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상기 제3실시예의 접합블록을 H형강과의 관계로 나타낸 사시도.
제9a도-제9c도는 상기 접합블록을 H형강의 소정위치에 설치하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10도는 제5실시예의 접합블록으로 코너부의 앵글브레이스와 횡가대를 접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1도는 흙막이공법과 흙막이지지부재의 시공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지반의 오픈컷트(open cut)공법에 의한 굴삭공사시에 굴삭주변의 토사가 붕괴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및 접합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건물의 기초와 지하실을 만들기 위해 지반을 깊게 오프컷트(굴삭)할 때는 굴삭부주변의 토사가 붕괴하지 않도록 하는 흙막이공법이 채용된다. 흙막이공법은 제11도와 같이 굴삭부의 주변에 흙막이벽(a)을 구축하고, 이 흙막이벽(a)를 내측(굴삭부측)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하여 횡가대(b), 앵글브레이스(c), 버팀대(d)로 이루어진는 흙막이지지부재에 가설된다. 흙막이지지부재의 가설시에는 횡강대(b), 앵글브레이스(c), 버팀대(d)의 접합이 필수적이다.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된다.
(1) 버팀대끼리의 접합(제11도의 부호 e를 참조)
(2) 횡가대끼리의 접합(제11도의 부호 f를 참조)
(3) 버팀대와 앵글브레이스의 저밥(제11도의 부호 g를 참조)
(4) 버팀대와 횡가대의 접합(제11도의 부호 h를 참조)
(5) 앵글브레이스와 횡가대의 접합(제11도의 부호 j를 참조)
상기 (1)의 버팀대끼리의 접합은 버팀대(H형강)의 단면(端面)에 용접한 강판끼를 볼트, 너틀 체결한다. 그리고, H형강의 플랜지면에도 커버플레이트를 대고 볼트, 너트로 체결하는 방법으로 행해진다. 상기 (2)의 횡가대까리의 접합도 H형강이기 때문에 상기 (1)과 동일하게 행한다.
상기 (3)의 버팀대와 앵글브레이스의 접합은 앵글브레이스받이편을 이용하여 볼트, 너트로 체결하는 방법으로 행한다. 상기 (5)의 앵글브레스와 횡가대의 접합도 상기 (3)과 동일하게 행한다.
상기 (4)의 버팀대와 횡가대의 접합은 횡가대의 플랜지부에 시트편을 설치하고 이 시트편에 버팀대를 가위치시키고 볼트, 너트로 횡강대와 버팀대를 체결하는 방법으로 행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1)-(5)에서 설명한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은 모두 접합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볼트, 너트로 조이는 볼트접합을 채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합작업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렇게 시공한 흙막이지지부재를 일이 끝난후에 해체하여 철거하는 경우에도 볼트, 너트를 일일이 풀어서 떼어내는 작업에 접합시와 같은 정도의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볼트접합의 준비로서 H형강의 단면에 플레이트를 용접하거나 볼트공의 구멍형성가공등이 필요하게 되어 가공비가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흙막이지지부재를 구성하는 버팀대, 횡가대, 앵글브레이스 각각의 접합에 볼트고정을 배제한 접합방법 및 접합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쐐기작용을 응용한 접합방법 및 접합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접합블록은 적어도 두 개의 소켓과 쐐기에 의해 구성된다. 각 소켓에는 저면과 좌우의 측면에 의해 홈형상으로 형성한 흙막이지지부재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설치하고, 이 공간부의 좌·우측면의 서로 대치하는 위치의 길이방향으로 쐐기용 홈을 형성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소켓은 서로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쐐기는 그 좌우측 연부가 상기 소켓의 쐐기용 홈에 꼭 맞게 이동한다.
이 접합블록의 소켓의 흙막이지지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내에 횡가대, 앵글브레이스, 버팀대로서 채용한 H형강의 선단을 끼워넣고, 이어서 그 소켓트의 쐐기용 홈에 쐐기를 삽입하여 눌러 넣으면 쐐기의 작용에 의해 그 H형강은 소켓의 저면에 강하게 눌러져서 고정되는 접합의 목적을 달성한다. 일체로 구성된 두 개의 소켓에 두 개의 H형강을 접합한 결과 흙막이지지부재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두 개의 소켓을 등을 맞대고 직선적으로 연결한 접합블록을 사용하면, 두 개의 버팀대끼리, 또는 횡가대끼리, 앵글브레이스끼리를 직선상으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소켓을 소정 각도로 결합한 접합블록을 사용하면 버팀대와 앵글브레이스의 접합등에 이용할 수 있다. 쐐기의 바닥이 편평한 경우는 소켓의 저면으로부터 쐐기용 홈의 하변까지의 높이를 H형강의 높이보다도 약간 낮게 해둔다. 쐐기의 바닥에 돌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높이는 돌부의 높이를 뺀 치수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블록은 상기한 구성의 소켓과 쐐기외에 클램프와 클램프용 쐐기를 조합시킨 구성이다. 클램프에는 H형강의 플랜지가 꼭 맞게 넣어지는 H형강용 홈을 형성한다. 상기 H형강용 홈의 양측면에 쐐기용홈을 형성하고, 이 클램프는 상기 소켓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용 쐐기는 바람직하게는 H형강의 프랜지의 가장자리에 끼워진 상태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U형기부(基部)와 그 기부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된 쐐기부를 가지며, 그 쐐기부와 상기 클램프의 쐐기용 홈에 삽입되고 눌려져 쐐기작용을 발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작용]
본 발명의 접합블록은 횡가대로 이용한 H형강의 소정위치에 그 H형강의 플랜지가 접합블록의 클램프의 H형강용 홈의 저면에 밀착하도록 끼우고 클램프용 쐐기의 기부를 H형강의 플랜지의 외연부에 끼운상태로 쐐기부를 쐐기용 홈에 삽입하여 누르면 쐐기작용에 의해 클램프 및 이것과 일체를 이루는 소켓(블록본체)이 H형강의 소정위치에 강하게 고정된다. 계속하여 소켓에 앵글브레이스등의 일단을 접합한다. 이 접합블록의 경우에도 쐐기부의 바닥이 편평한 경우는 클램프의 저면으로부터 쐐기용 홈의 하변까지의 간격을 H형강의 플랜지 두께보다 약간 작게 해둔다. 그러나 쐐기부의 바닥에 돌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간격은 상기 돌부의 높이를 뺀 치수로 한다. 이 접합블록을 이용하면 횡가대와 버팀대, 또는 횡가대와 앵글브레이스를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제1실시예에 접합블록(20)의 사용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제2도는 흙막이지부재을 구성하는 버팀대(10), 앵글브레이스(11) 및 횡가대(12)가 각각 H형강이며, 이런 H형강끼리의 직선적인 접합을 상기 접합블록(20)을 이용하여 행한 접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접합블록(20)은 블록본체(26)과 쐐기(42)로 구성된다. 블록본체(26)는 예를들어 주강(鑄鋼)의 주조제품 또는 강재의 용접조립품이며, 두 개의 소켓(32),(32)을 등을 맞대고 결합하여 일체로 한 구성이며, 두 개의 소켓은 격벽(41)으로 구분되어 있다. 두 개의 소켓(32),(32)은 H형강의 단부를 축선 방향으로 끼워 넣는 홈형상의 공간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의 부호 36은 공간부(34)를 형성하는 저면이며, 38은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좌, 우 양측의 측면(38),(38) 상부에 서로 대치하는 대칭적인 배치로 쐐기용 홈(40)이 축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쐐기용 홈(40)의 하변(40a)은 상기 저면(36)과 평행하지만 상변(40b)은 공간부(34)의 축선방향의 출구측으로 상향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쐐기(42)는 끼워넣는 방향으로 편경사의 테이퍼부(44)와 기부(46)로 구성된다. 기부(46)의 양측에는 소켓의 측벽을 협지하는 ㄷ자형의 홈(48)이 설치되며, 쐐기빠짐방지용 볼트(50)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3도 및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쐐기(42)의 저면이 편평한 경우는 공간부(34)의 저면(38)으로부터 쐐기용 홈(40)의 하변(40a)까지의 높이(h₁)는 H형강(10)의 높이(h₂)보다도 약간 낮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합블록(20)에 의해 버팀대로서 이용한 H형강(10)을 접합하는 경우에는 제4a도-제4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H형강(10)은 상기 소켓(32)의 공간부(34)로 축선방향 및 직선상으로 대치시킨다. 블록본체(26)를 H형강(10)에 대해서 아래부터 닿게하여 공간부(34)내에 H형강(10)의 선단을 수납시켜, 그 H형강의 하위플랜지(10a)를 저면(36)에 밀착시킨다(제4b도). 계속하여 쐐기(42)의 테이퍼부(44)의 양측가장자리를 쐐기용 홈(40)에 삽입하여 강하게 밀어 넣고(제4c도), 기부양측의 홈(48),(48)으로 소켓의 양측벽을 끼워 공간부의 D부폭 치수가 확대되지 않도록 구속시킨 단계에서 고정볼트(50)를 조여서 고정한다. 이렇게 해서 H형강(10)과 블록본체(26)가 결합되며, 접합블록(20)을 통해 두 개의 H형강(10),(10)을 직선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제2도중의 화살표(X)는 버팀대(10)끼리의 접합, 화살표(Y)는 횡강대(12)끼리의 접합, 화살표(Z)는 앵글브레이스끼리의 접합을 상기 접합블록(20)에 의해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흙막이지지부재의 해체, 철거의 작업은 접합시와는 정반대로 상기 고정볼트(50)를 풀고 쐐기(42)를 잡아빼는 순서로 간단히 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제5도는 제2실시예에 접합블록(22)을 나타내며, 제6도는 상기 접합블록(22)을 사용하여 버팀대(10)와 일측의 앵글브레이스(11)의 접합을 행한 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접합블록(22)도 브록본체(28)과 쐐기(4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블록본체(28)는 예를들면 주강의 주조제품이며, 두 개의 소켓(32),(32)을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등을 맞대고 결합하고 아울러 그 양측에 두 개의 소켓(32')(32')을 비스듬히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하고 있다. 각 소켓(32'),(32')의 양측벽의 상부에 쐐기용 홈(40)을 서로 대치하는 대칭적인 배치로 축선방향으로 설치하고 있는 점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다. 또, 쐐기(42)의 구성도 상기 제1실시예와 같다. 이 접합블록(22)의 등을 맏댄 두 개의 소켓(32),(32)을 이용하여 버팀대(10)끼리를 접합하고, 측부의 소켓(32')에 앵글브레이스(11)를 접합한 상태를 제6도에 나타내고 있다. 각 소켓(32),(32')과 H형강(10),(11)의 접합방법은 실시예1에서 설명한 순서와 같다. 제6도중의 부호 52는 앵글브레이스의 길이조정편으로, 공간부의 내측단측에 넣어져 있다.
[실시예 3]
제7도는 횡가대(12)와 버팀대(10)를 접합하는 접합블록(24) 및 횡가대(12)와 앵글브레이스(11)를 접합하는 접합블록(25)을 병기하여 나타내고 있다. 횡가대(12)와 버팀대(10)의 접합에 사용하는 접합블록(24) 및 횡가대(12)와 앵글브레이스(11)의 접합에 사용하는 접합블록(25)은 거의 같은 구조이지만, 한쪽의 접합블록(24)은 버팀대(10)의 횡가대(12)가 직교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블록본체(30)를 구성하는 소켓(32)과 클램프(54)는 등을 맞대고 직교하는 배치로 되어 있으며, 다른쪽의 접합블록(25)은 앵글브레이스(11)가 횡가대(12)에 대하여 45°정도의 각도로 비스듬히 접합되는 관계상, 블록본체(28)를 구성하는 소켓(32)과 클램프(54)가 등을 맞대고 약 45°정도의 각도로 기울어진 배치로 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주로 접합블록(24)에 근거하여 기술한다. 접합블록(24)은 블록본체(30)와 한 개의 쐐기(42) 및 모두 네 개의 클램프용 쐐기(64)로 구성되어 있다. 블록본체(30)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의 소켓(32)과 횡가대(12)에 설치되는 클램프(54)를 등을 맞대고 결합하여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클램프(54)는 횡가대로 이용한 H형강(12)의 내측플랜지를 협지하는 얕은 채널형상의 H형강용 홈(56)을 구비하고, 그 홈(56)의 저면(58)은 소켓(32)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다. H형강용 홈의 폭(W₁)은 횡가대로 이용하는 H형강(12)의 플랜지폭(W₂)보다도 조금 크다(제8도). H형강용 홈(56)을 형성하는 상하의 측면(60),(60)에 쐐기(62),(62)가 서로 대치하는 배치로 축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쐐기용 홈(62)을 형성하는 저면(58)에 가까운 홈저변(62a)은 저면(58)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이와 서로 대치하는 타변(62b)는 쐐기용 홈(62)의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경계로 하여 양단측으로 동일각도의 말단확대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저변(62a)과 저면(58)의 간격(d₁)은 H형강(12)의 플랜지의 두께(d₂)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제9a도). 클램프용 쐐기(64)의 기부(66)는 두께가 얇은 강판을 U형상으로 절곡한 형으로 되며, 주변의 간격(d₃)은 H형강의 플랜지의 두께(d₂)보다도 약간 넓게 형성되어, 플랜지의 외연에 끼워진상태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부(66)로부터 일방향으로 쐐기부(68)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기부(66)에 빠짐방지용의 볼트(70)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접합블록(24)의 소켓(32)에 형성된 공간부(34)로 버팀대(10)(H형강)의 일단을 끼워넣고, 쐐기(42)를 쳐서넣어 접합하는 공정과 요령은 상술한 제1, 제2실시예와 같다. 클램프(54)를 횡강대(12)(H형강)의 내측플랜지에 설치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제9a도-제9c도에 도시한 순서로 행하여진다. 우선 횡가대(12)의 내측플랜지의 소정위치에 블록본체(30)의 클램프(54)의 H형강용 홈(56)을 끼워 그 H형강의 플랜지가 저면(58)에 밀착하는 상태로 한다. 다음에 클램프용 쐐기(64)의 기부(66)를 H형강(12)의 플랜지의 외연에 끼운채로 쐐기부(68)를 쐐기용 홈(62)에 삽입하여 강력하게 눌러 넣고, 볼트(70)를 조여서 고정한다. H형강(12)의 플랜지 상하연에 두 개씩 모두 네 개의 클램프용 쐐기(64)를 설치하여 클램프(54)를 그 양단으로부터 끼우는 배치로 하고, 각 볼트(70)를 조여서 고정한다. 이에 따라서 클램프(54)를 포함하는 블록본체(30)는 횡가대(12)에 강력하게 고정한다. 이러한 후에 그 블록본체(30)의 소켓(32)에 형성한 공간부(34)에 버팀대(10)를 접합하면 접합블록(24)을 통하여 버팀대(10)와 횡가대(12)가 접합된다. 접합블록(25)에 의해 횡가대(12)와 앵글브레이스(11)의 접합도 완전히 같은 요령과 순서로 행하여진다.
[실시예 4]
제10도는 코너부에서 단차형상으로 조립된 횡가대(12),(12)와 앵글브레이스(11)를 접합블록(26)으로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접합블록(26)은 제7도에 도시한 접합블록(2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지만 블록본체를 구성하는 클램프(54)와 소켓(32)의 관계가 단차형상으로 조립된 코너부의 횡가대(12),(12)의 단차의 고저차를 해소하는 각도만큼 기울어진 관계로 결합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점만이 상이하다. 횡가대(12)(H형강)의 내측플랜지에 클램프(54)의 H형강용 홈을 끼워서 밀착시키고, 양측으로부터 모두 네 개의 클램프용 쐐기(64)를 끼워서 고정하는 것과 소켓(32)에 앵글브레이스(11)의 일단을 끼워 넣고 쐐기용 홈(40)에 쐐기(42)를 쳐서 넣어 고정하는 순서가 내용상 다름이 없다.
이상 대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각 실시예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에 근거하여 당업기술자가 일상적으로 행하는 응용, 설계의 범위까지 넓게 포함하는 것임을 부언한다.
[본 발명이 발휘하는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흙막이지지부재을 구성하는 버팀대끼리, 횡가대끼리의 접합 또는 버팀대와 앵글브레이스, 횡가대와 앵글브레이스의 접합시에 방대한 수량의 볼트, 너트의 조임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접합작업이 현저히 간소화되어, 작업능률이 높아지고, 공기의 단축을 달성할 수 있다. 또 H형강의 단면에 플레이트를 용접하거나 볼트공의 구멍형성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며, 준비가공비가 저감된다.
Claims (7)
- 접합할 횡가대, 버팀대, 앵글브레이스의 일단을 끼워 넣는 적어도 두 개의 홈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한 소켓의 각부재의 접합방향으로 조합하여 결합하고 일체화한 블록본체와, 상기 소켓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양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쐐기용 홈에 끼우는 쐐기를 준비하고, 횡가대, 버팀대, 앵글브레이스의 일단을 상기 각 소켓에 끼워 넣고 계속하여 쐐기를 쐐기용 홈에 쳐서 넣어 쐐기작용으로 블록본체와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 직교하는 관계 또는 일정 각도로 교차하는 관계로 접합되는 횡가대와 버팀대, 또는 횡가대와 앵글브레이스재를 접합하는 방법으로서, 횡가대로 이용한 H형강의 플랜지에 설치하는 홈형상의 H형강용 홈을 구비한 클램프와, 버팀대 또는 앵글브레이스의 일단을 끼워 넣는 홈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한 소켓을 결합하여 일체화한 블록본체와,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양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쐐기용 홈에 끼우는 쐐기 및 상기 클램프의 H형강용 홈을 형성하는 양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쐐기용 홈에 끼우는 클램프용 쐐기를 준비하고, 상기 클램프의 H형강용 홈을 상기 H형강의 플랜지에 끼워 밀착시키고, 그 H형강용 홈의 쐐기용 홈에 클램프용 쐐기를 끼워서 클램프를 플랜징 고정하는 것과, 상기 소켓의 공간부에 버팀대, 앵글브레이스의 일단을 끼워 넣고, 그 소켓의 쐐기용 홈에 쐐기를 끼워서 연결하는 것을 각각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는, 쐐기용 홈에 끼워진 단계에서, 소켓의 내측벽을 끼워서 공간부의 입구부치수가 확대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수단과, 상기 끼워진 상태를 고정볼트를 조여서 고정하여 빠짐방지를 행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 적어도 두 개의 소켓을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향으로 결합하여 일체화한 블록본체와 쐐기로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소켓은 각각 적어도 저면과 좌우측면을 구비하는 홈형상의 흙막이지지부재받이용의 공간부를 구비하고, 그 공간부를 형성하는 좌, 우측면의 서로 대치하는 대칭적위치에 쐐기용 홈이 길이방향으로 있는 것과, 상기 쐐기는 좌우의 측연부가 상기 각 공간부의 쐐기용 홈에 삽입되어 눌러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블록.
- 적어도 한 개의 소켓과 클램프를 지보공의 접합방향으로 접합하여 일체화한 블록본체와 쐐기 및 클램프용 쐐기로 구성되며, 상기 소켓은 적어도 저면과 좌우측면을 구비하는 홈형상의 흙막이지지부재받이용의 공간부를 구비하며, 그 공간부를 형성하는 좌우 측면의 서로 대치하는 대칭적 위치에 쐐기용 홈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클램프는 횡가대로 이용한 H형강의 플랜지가 끼워 넣어지는 홈형상의 H형강용 홈을 구비하여, 그 H형강용 홈을 형성하는 양측면의 서로 대치하는 대칭적위치에 쐐기용 홈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쐐기는 좌우의 측연부가 상기 각 공간부의 쐐기용 홈에 끼워져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클램프용 쐐기는 상기 H형강용 홈의 쐐기용 홈에 끼워넣는 쐐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블록.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의 기부 양측에 소켓의 측벽을 끼우는 ㄷ자형의 홈이 설치되며, 그 기부에 상기 쐐기의 빠짐방지용 고정볼트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블록.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용 쐐기는 횡가대로 이용한 H형강의 외연을 끼우는 U형상의 기부와, 이 기부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된 쐐기부로 이루어지며, 기부에 빠짐방지용 고정볼트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블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21077A KR0169532B1 (ko) | 1995-07-18 | 1995-07-18 |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및 접합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21077A KR0169532B1 (ko) | 1995-07-18 | 1995-07-18 |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및 접합블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6689A KR970006689A (ko) | 1997-02-21 |
KR0169532B1 true KR0169532B1 (ko) | 1999-02-18 |
Family
ID=1942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21077A KR0169532B1 (ko) | 1995-07-18 | 1995-07-18 |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및 접합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6953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8231B1 (ko) * | 2013-02-04 | 2014-05-23 | 김효주 | 흙막이 가시설 |
KR102349077B1 (ko) * | 2021-01-19 | 2022-01-10 | 김석곤 | 보 결합장치 |
-
1995
- 1995-07-18 KR KR1019950021077A patent/KR01695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8231B1 (ko) * | 2013-02-04 | 2014-05-23 | 김효주 | 흙막이 가시설 |
KR102349077B1 (ko) * | 2021-01-19 | 2022-01-10 | 김석곤 | 보 결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6689A (ko) | 1997-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14089A (en) | Method of connecting beams and columns of steel frame construction | |
US3938297A (en) | Fittings for connecting columns and beams of steel frame construction | |
KR101357775B1 (ko) | 엔드플레이트를 이용한 버팀보 연결장치 | |
KR0169532B1 (ko) | 흙막이지지부재의 접합방법 및 접합블록 | |
JP2587866Y2 (ja) | タンクの架台 | |
JP4043565B2 (ja) | コンクリート構造体 | |
JP2008163697A (ja) | 型枠構造 | |
JP2681620B2 (ja) | 木造建築物の横架材接合構造とその用具 | |
JPH06108534A (ja) | Pc梁の中間接合構法 | |
JPH0842002A (ja) | C形鋼材の連結方法およびその連結構造 | |
KR20020087539A (ko) | 중앙 횡격벽 설치 터널 굴착 공법 및 강지보 조인트 | |
JP2763482B2 (ja) | 組立治具 | |
JPH05156712A (ja) | 鉄骨組付工法 | |
JP2885647B2 (ja) | タンク用モジュール及びタンクの組立方法 | |
JP3342923B2 (ja) | 柱及び梁の接続構造 | |
JP3107749B2 (ja) | スチ−ルハウスのフレ−ムの結合構造 | |
JP2852729B2 (ja) | 仮設構造物における構成部材の締結装置 | |
JP3443190B2 (ja) | 作業ステージ取付け金具と作業ステージ | |
JPH06193143A (ja) | 角形鋼管柱の柱脚構造 | |
JP3172783B2 (ja) | 補強コンクリート巻き立て用型枠装置および補強コンクリート巻き立て工法 | |
JPS5911525Y2 (ja) | 重仮設構台の組立金具 | |
JPS644716Y2 (ko) | ||
JPH05214767A (ja) | 柱・柱接合構造 | |
JPH0584673A (ja) | 鋼棒連結用工具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鋼棒連結方法 | |
JPH06136858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