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493B1 - 단판의 횡접합 장치 - Google Patents

단판의 횡접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493B1
KR0169493B1 KR1019910021433A KR910021433A KR0169493B1 KR 0169493 B1 KR0169493 B1 KR 0169493B1 KR 1019910021433 A KR1019910021433 A KR 1019910021433A KR 910021433 A KR910021433 A KR 910021433A KR 0169493 B1 KR0169493 B1 KR 0169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gle plate
end plate
adhesive
plate
predetermined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528A (ko
Inventor
신이찌 사까모도
겐이찌 히라이와
마사루 고이께
요시오끼 노자와
Original Assignee
하세가와 가쓰지
가부사끼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세가와 가쓰지, 가부사끼가이샤 메이난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하세가와 가쓰지
Publication of KR92000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1/00Applying adhesives or glue to surfaces of wood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10Butting blanks of veneer; Joining same along edges; Preparatory processing of edges, e.g. cu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89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of discrete laminae to single face of additional lamina
    • Y10T156/1092All laminae planar and face to face
    • Y10T156/1097Lamina is running length web
    • Y10T156/1098Feeding of discrete laminae from separate 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Veneer Processing And Manufacture Of Plywood (AREA)
  • Manufacture Of Wood Veneer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와 직교방향으로 반송되는 단판의 유효 부분과 불요부분과를 절단 분리하여야 할 소정위치의 상방에 승강가능토록 구비된 절단도와, 단판의 통로를 사이에 두고 전기절단도에 대설된 수도체와, 선단을 단판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향하여 소정 위치의 단판 반송방향 아래쪽에 요동가능토록 구비된 선별개폐체와, 그 선별개폐체와 협동하여 적시에 선행 단판의 유효부분을 압압 유지하고, 소정위치의 상방에서 잠시 대기시키도록, 선별개폐체에 대설된 단판 압압체와, 단판의 절단예정 개소를 판별하여 검지 신호를 발하도록, 소정 위치의 단판 반송방향 위쪽에 구비된 단판 검지기와, 선행 단판의 후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선행단판의 후단부의 요동 궤적의 근방에 구비된 접착제 도포기와를 갖는 단판의 횡접합 장치로서, 전기 절단도의 승강 궤적을, 단판 반송방향 위쪽으로 부터 단판 반송방향 아래쪽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설정함과 동시에 적의 형상의 토출구로부터 그 때마다 적량의 접착제를 토출가능토록 구성한 접착제 도포기를 전기 소정 위치의 바로 위에 토출구가 면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판의 횡접합 장치.

Description

단판의 횡접합 장치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 것으로서,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단판의 횡접합 장치의 측면 설명도.
제2도 내지 제6도는 제1도에 예시한 장치의 작동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단판의 횡접합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면설명도.
제8도는 절단도의 칼날의 확대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단도 2 : 앤빌롤
3 : 선별개폐체 5 : 판 용수철상의 단판 압압체
7 : 단판검지기 8 : 단판
9 : 접착제 도포기 15 : 회전접촉식의 단판 압압체
20 : 접착제
본 발명은 개량된 단판의 횡접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판의 불요부분의 절제와 유효부분의 접합과를 동일의 소정 위치에서 행함으로서 횡접합 공정의 생력화, 합리화 혹은 횡접합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 것으로는 본 발명과 동종의 구성을 채택한 횡접합 장치가 종종 제안되어 있으나, 그것들 중 어느것도 접착제의 도포수단에 결함이 있어, 접착강도의 저하, 장치의 복잡화 등의 난점이 있다.
즉, 예를들면 「합판 단판의 접합방법 및 장치」(일본국 특공소57-17682호 공보)에 개시된 형식의 장치에 있어서 선행단판의 후단부의 요동 궤적의 상한 위치에서, 고정식의 접착제 도포구에, 선행단판의 후단부를 요동 당접시켜, 후단부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그 후단부를 소정위치에 복귀시키고 이어서 후속단판과 함께 반송하는 과정으로, 가압체에 의한 상기 접착제를 후속 단판의 전단부의 표면까지 압연시켜 접합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접착제에 의한 접합 강도가 표면에 편재하게 되어, 기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접합 단판이 계목으로 부터 반대 방향으로 휘거나 구부러지기 쉽고, 특히 단판 두께가 두껍게 됨에 따라 접합 단판의 취급이 나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제의 도포위치가 소정위치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예를들면, 상기 공보의 기재와 같이 하트-멜트형 접착제 등의 열가소성 접착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포한 접착제 외면의 자연 냉각경화가 진행되기 쉽고, 접착제의 연성, 침투성등이 열화되어 접착강도가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한편 예를들면「단판의 횡접합기에 있어서 유촌 절단용 나이프의 수도를 겸함 접착가압장치」(일본국 특개소 51-46498호 공보)에 개시된 형식의 장치에 있어서는 선행단판의 후단부의 요동궤적의 상한 위치에서, 선행단판의 후단부의 단면에, 요동식의 접착제 도포구를 요동당접시키고, 전기 후단부의 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접착제 도포구의 도포량 조정기구, 보온기구, 접착제 누출방지기구 등을, 장기간에 걸쳐 요동에 견대어 낼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성이 생기는 등, 고정식의 접착제도 포구를 사용한 경우에 비교하여 장치 전체가 복잡화한 단점이 있음과 동시에, 접착제 도포구의 배설위치로 부터 전기와 같은 접착제의 연성, 침투성 등이 열화되기 쉬운 문제가 있고, 또 절단도의 승강궤적을 단판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설정하여, 단판 단부를 수직으로 절단하는 구성을 채택하기 때문에, 선행 단판의 후단부가 소정위치로 복귀하는 때에, 절각 선행단판의 후단부의 단면에 도포한 접착제의 대부분이, 후속 단판의 전단부의 표면에 쏟아지게되어, 상기와 같은 접합강도의 편재에 기인한 문제가 생기는 등,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종래 장치의 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섬유와 직교 방향으로 반송되는 단판의 유효 부분과 불요 부분을 절단분리 하고자 하는 소정 위치의 상방에 승강 가능토록 구비된 절단도와 단판의 통로를 사이에 두고 전기 절단도에 대설된 도수체와, 선단을 단판반송 방향과 역 방향으로 향하여 소정 위치의 단판 방송방향 아래쪽에 요동 가능토록 구비된 선별 개폐체와 그 선별개폐체와 협동하여 적시 선행단판의 유효부분을 압압 유지하고, 소정위치 상방에 잠시 대기되도록, 선별 개폐체에 대설된 단판 압압체와 단판의 절단 예정 개소를 판별하여 검지신호를 발하도록, 소정위치의 단판 반송방향 위쪽에 구비된 단판 검지기와, 선행단판의 후단부의 요동궤적의 근방에 구비된 접착제 도포기와를 갖는 단판의 횡접착 장치로서, 상기 절단도의 승강 궤적을, 단판 반송 방향 위쪽으로 부터 단판 반송 방향 아래쪽으로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설정함과 동시에 적당한 형상의 토출구로부터 적당량의 접착제를 토출 가능토록 구성한 접착제 도포기를 상기 소정위치의 바로 위에 토출구가 면하도록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판의 횡접합 장치를 제안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횡접합 장치에 의하면, 선행단판의 후단부를 소정위치로 복귀시킴에 있어서, 접착제 도포기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접착제를, 소정 위치의 바로 위에서 선행 단판의 후단부가 긁어 모으는 작용을 하지만, 상기 설정에 기하여 단판단부를 단판 반송방향 위쪽에서 부터 단판 반송방향 아래쪽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절단하는 구성을 채택하기 때문에 선행 단판의 후단부의 단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고, 또 소정 위치로의 복귀에 있어서, 도포한 접착제가 후속단판의 전단부의 표면에는 거의 쏟아지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에 의한 접합강도가 표면에 편재하는 우려가 없다. 더욱 소정위치의 바로 위쪽에서 접착제를 도포하기 때문에, 접착제의 연성, 침투성등이 열화되는 염려도 없고, 접착제 도포구를 고정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장치가 복잡화될 염려도 없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예시한 실시의 일례와 함께 다시 상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단판의 횡접합 장치의 측면설명도이다.
도면중(1)은 도수체와 단판반송체와를 겸용하는 앤빌-롤로서 후술하는 선별 개폐체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홈(1a)가 축심방향의 적당한 간격마다 형성되어 있고, 클러치와 브레이크가 달린 모-터, 서보 모-터 등으로 이루어진 구동원(도시 생략)에 의하여 도시화살표 방향으로 적시에 간헐적으로 구동되어, 반입콘베어(12)를 개입시켜 차례 차례로 반입되는 단판(8)을, 계속해서 섬유와 직교 방향으로 반송한다.
2는 도물 홀-더(2a)에 의하여 유지된 채도상의 절단도로서 유체시린더-캠 등으로 이루어진 작동기구(도시생략)의 작동에 의하여, 적시 간헐적으로 승강되어 전기 앤빌-롤 (1)상의 소정위치 (X)에서 단판(8)의 유효부분과 불요부분과를 절단 분리하나, 그 승강궤적이 통례와는 달라, 단판 반송방향 위쪽으로 부터 단판 방송방향 아래쪽으로 향하여 약간 경사지도록, 다시말하면 앤빌-롤 (1)의 구심 방향 Z(단판표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에 대하여 적당하게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만 그 승강궤적은 실시예와 같이 직선상에 한하지 않고, 예를들면 완만한 원호상등도 전기 설정에 준한 궤적이면 무방하다.
(3)은 선단을 단판 반송방향과 역방향으로 향하여, 기단이 지점축(4)에 고정된 적당한 수의 선별 개폐체로서, 전기 절단도용의 작동 기구의 작동에 관련하여 작동하는 같은 모양의 작동기구(도시생략)의 작동을 얻어, 적시에 지점축(4)를 중심으로 하여, 도시 화살표와 같이 간헐적으로 요동시켜져, 선별한 단판의 유효부분(8a)만을 반출 콘베어(13) 쪽으로 유도한다.
5는 연결금구(6a)에 의하여 지점축(4)와 일체상으로 연결된 지지간(6)에 탄성변위 가능토록 구비된 적수개의 판용수철상의 단판 압압체로서 각각 전기 각 선별개폐체(3)과 짝을 이루어, 적시 부수적으로 요동하고, 선행 단판의 유효부분(8a)을 압압 유지하고 소정위치(X)의 상방으로 잠시 대기시킴과 동시에 소정위치에서의 각단판 단면의 밀착을 촉진한다.
7은 각각이 광전관 리미트-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검지기(7a), 요동암(7b) 및 검지코어(7c) 등에 의하여 구성되고, 단판반송방향과 직교방향으로 병열상으로 배설된 복수개의 단판 검지기로서, 단판(8)의 절단 예정개소를 판별하여, 상기 절단도 용의 작동기구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도시생략)에 검지 신호를 발한다.
9는 원상, 장원상등과 같이 접착제 토출용의 토출구((9a)를 갖고 있으며 그 토출구(9a)가 상기 소정위치(X)의 바로위에 면하도록 구비된 접착제 도포기로서 도시는 생략했으나 전기 단판검지기(7)의 검지 신호에 따라 작동하고, 접착제 도입용의 도관(10)의 경로중의 적의위치, 혹은 접착제 도포기 자체의 적의 위치등에 배설된 제어변을 작동시켜, 그때마다 토출구(9a)로부터 적량식의 하트-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토출한다.
11은 상기 각 선별개폐체(3)의 하부에 부수적으로 배설된 부스러기 배제간으로서, 전기 선별개폐체 용의 작동기구의 작동에 부수하여 작동하는 같은 작동기구(도시생략)를 작동시켜, 적시에 도시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이동 되어, 단판(8)의 선단부의 불요부분의 낙하를 조장한다.
본 발명에 관한 단면의 횡접합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며, 다음에 기술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하여 단판의 횡접합이 실시된다.
즉, 제1도의 상태에서, 도래하는 후속단판(8)의 전단부의 절단예정개소를 단판 검지기(7)이 검지하여 검지신호가 발해지면, 그 절단 예정개소가 소정위치(X)에 도달하는 시점에 맞추어, 제2도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앤빌롤(1)의 구동이 일시 정지됨과 동시에 절단도 (2)가 하강하여 후속단판(8)의 전단부의 불요부분(8b)와 유효부분(8a)와를 절단 분리하고, 또 선별개폐체(3)이 차례로 아래 방향으로 요동함에 따라, 부스러기 배제간(11)의 돌출이 절단개소에 개입(바람직 하기로는 절단도 (2)가 개입하여 있는 기간중에)한다.
다음으로 제6도에 예시함과 같이 절단도 (2)가 상승하는 것과 교체하여, 선별개폐체(3)의 선단이 소정위치 (X)를 통과하면 앤빌롤(1)의 홈(1a)에 진입하고, 그와함께 부스러기 배제간(11)에 의하여 불요부분(8b)의 낙하가 조장되지만, 그 과정에 있어서, 접착제 도포기(9)의 토출구(9a)로부터 적량의 접착제(20)이 토출되고, 그 접착제(20)을 선행 단판의 유효부분(8a)의 후단부가 긁어 모은다.
다음으로 제3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선별개폐체(3)의 선단이 완전히 앤빌롤(1)의 홈(1a)에 빠져들어가면, 소정위치(X)에서, 선행단판의 유효부분(8a)의 후단부가 후속단판의 유효부분(8a)의 전단부에 중복되어, 도포된 접착제(20)에 의하여 접착이 진행된다.
그후 제4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앤빌롤(1)에 의한 반송이 재개되고, 곧 후속단판(8)의 후단부의 절단 예정 개소를 단판검지기(7)이 검지하여 검지 신호가 발해지면, 그 절단 예정개소가 소정위치(X)에 도달하는 시점에 맞추어 제5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앨빌롤(1)의 구동이 일시 정지 됨과 동시에, 절단도(2)가 하강하여, 후속단판(8)의 후단부의 불요부분(8c)와 유효부분(8a)와를 절단분리한다.
또 그후, 절단도(2)의 상승에 추종하여 선별 소정위치(X)의 위쪽에 잠시 대기되는 상태(제1도의 상태)로 돌아가면 앤빌롤(1)에 의한 반송이 재개되어 후단부의 불요부분(8c)는 자동적으로 반송되어서 낙하된다.
이하, 같은 동작의 반복에 의하여, 순차 단판의 횡접합이 실시되는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판단부를 단판반송방향 위쪽으로 부터 단판 반송방향 아래쪽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도록 절단하는 구성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선행단판의 후단부의 후면쪽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게 되고, 또 소정위치로의 복귀 때에, 도포한 접착제가 후속 단판의 전단부의 표면쪽으로 대부분 쏟아지지 않게 되므로, 접착제에 의한 접착강도가 표면쪽에 편재할 염려가 없고, 또 소정위치의 바로 위에서 접착제를 도포하므로, 접착제의 연성, 침투성 등이 열화될 염려도 없고, 또 접착제 도포구를 고정적으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장치가 복잡화할 염려도 없다.
그러므로 전기와 같이 고정식의 접착제 도포구를 사용한 경우에, 가령 단판 단부를 수직으로 절단하는 구성을 채택하면, 선행단판의 후단부의 이면쪽으로 접착제가 도포되어, 접착제에 의한 접합강도가 이면쪽으로 편재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반면, 단판단부를 과도하게 경사지게 절단하는 구성을 채택하면, 접착제가 선행단 판의 후단부의 단면쪽의 표면 옆 부분에 집중적으로 도포되는 경향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절단도의 승강궤적은, 과도하게 경사지도록 하는 설정을 피하는 것이 좋다. 실험에서는, 전기 경사에 상당하는 각도를, 비교적 엷은 단판의 경우에는, 10-30도 정도로 설정하고, 또 비교적 두꺼운 단판의 경우에는, 5-20도 정도로 설정하여, 각각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단판의 횡접합 장치를 형성하는 각 부재의 형태에 대하여는 전기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유용한 형태가 있거나, 또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하여 무방하다. 또 다른 장치와의 복합화를 도모하는 응용도 가능하므로, 다음에 그들의 구체적인 예를 상술한다.
먼저, 절단도에 대하여는, 소정위치의 바로위에 단판의 요동공간, 접착제 도포기의 배설여지 등이 넓게 확보되는 점으로 해서, 전기 실시예와 같이 채도상의 것이 좋고, 또 절단 도중에 있어서의 굴곡을 예방하는 점으로 해서, 완전한 편도상으로 하기 보다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적어도 도선을 양도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반드시 그렇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요는 승강 궤적의 설정에 단판단부가 절단되면 족하다.
다음으로 도수체로서는 전기 실시예와 같이 단판 반송체 겸용의 것이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표층부에 고무, 합성수지등으로 피복을 하면, 절단도의 도선보호나 단판 반송의 안정화에 좋고, 혹은 접착제의 성질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그외에도 예를들면 고정식의 도수체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위치로부터 소정위치의 단판반송 방향 아래쪽에 걸치는 광범위한 영역에서, 서서히 접착제의 경화를 도모하는 구성을 , 채택하는 경우에는 제9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앤빌롤(1) 대신에 고정의, 즉 회전불능의 도수체(31)을 사용해도 좋다.
도시한 바와같이 이 도수체(3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캇타(2)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도수체(31)에는 예리한 엣지(26)과, 이 엣지(26)으로부터 일정거리 아래 방향에, 경사지는 경사면(27)이 형성되어 있다.
도수체(31)의, 이 예리한 엣지(26)은 캇타(2)에 의한 단판의 좋지 못한 단부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캇타(2)는 상기 경사면(27)과 동일한 평면에 배치되어 있어, 캇타(2)가 단판을 베어들어가면 캇타(2)의 일면(배면)이 상기 경사면(27)에 당접한다. 그리하여 캇타(2)는 경사면(27)과 당접할 때, 단판의 좋지못한 단부를, 상기 예리한 엣지(26)과 함께 움직여 절단하는 것이다.
즉 캇타(2)와 도수체(31)이 짝을 이루는 것은 종이재단기의 구조와 유사하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로울러(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로울러(30)은 후속단판(8)과 선행단판(18)이 접합되면 콘베어(13)과 동시에 작동(회전)되어 단판을 도면 오른쪽 방향으로 반송하게 된다.
다음으로 선별 개폐체로서는, 소정위치에서의 단판 단부의 정합성을 향상시키는 점으로 해서, 선단의 요동궤적을 가급적으로 소정위치로 접근시키는 것이 좋고, 접착제의 성질에 따라서, 선단부를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지만, 어떻게 하든지, 단판의 유효부분과 불요부분의 판별이 중요한 기능이므로 상기 실시예와 같은 형태외에, 수도체의 형태등에 대응하여 적의 설계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에 단판 압압체로서는, 선행단판의 후단부의 소정위치에 보다 가까운 부분을 정확히 압압 유지하여, 절단 및 접합을 적정화하는 점에서 보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판 용수철 상의 것이 적합하나 미끄럼 접촉식의 단판 압압체는, 단판 반송의 장해가 되기 쉬우므로, 단판이 미끄럼 접촉하는 부분에 경질 크롬도금 등의 마찰 경감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좋고, 필요에 따라서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압코에(15a), 판용수철(15b) 등으로 이루어진 회전 접촉식의 단판 압압체(15)를 병설하거나, 혹은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압압 주행 밸트 등을 단판에 접촉시키도록 구성한 주행 접촉식의 단판 압압체등을 병설하여 단판 반송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그렇게 구성하면, 단판 반송 도상에 한하여 미끄럼 접촉식의 단판 압압체를 단판으로 부터 격리토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물론 접착제의 성질에 따라서, 상기판 용수철상의 단판 압압체의 단판에 당접하는 부분을 냉각 또는 가열토록 구성하면, 소정위치에 있어서의 접착제의 경화를 촉진할 수 있으므로 일층 유효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전용의 냉각체 또는 가열체를 별도로 단판 압압체에 병설하는 구성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나, 어떻게 하든, 본 발명에 관한 단판의 횡접합 장치로서는, 소정 위치에서만 접착제를 완전히 경화시키는 방식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재습성 테이프, 열가소성 접착제를 합침시킨 실과같이 된 연속상의 접합재를 사용하여, 단판을 발모양으로 접합하는 종래 공지의 접합 장치와 본 발명에 관한 단판의 횡접합장치와를 병합하여, 소요의 초기 접착력을, 주로 전기 연속 상의 접합재에 의존토록 복합화 시키면, 본 발명에 관한 단판의 횡접합 장치에 사용하는 접합제를 반드시 소정 위치에서 완전히 경화시킬 필요는 없고 생산성의 향상 등에 쓸모가 있다.
다음에 단판 검지기로서는, 전기 실시예와 같은 두께 검지 방식외에, 전적으로 단판의 외형으로부터 단판의 절단 예정개소를 판별하는 형상검지방식, 혹은 미리 단판에 부여된 표시를 판별하는 표지 검지방식, 또 그들의 복합 방식 등등, 종래 공지의 검지 방식에 사용된 공지의 단판 검지기도 무방하고, 그 형태에 특히 제약은 없다.
다음에 접착제 도포기로서는, 소정위치의 바로 위쪽에 토출구를 맞닿도록 하는 구성으로서는, 측면의 형상은 대개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되나, 폭방향(단판 반송방향과 직교방향)의 형상에는 특히 제약은 없고, 폭방향으로 연속된 본체의 소망 위치에 토출구를 설치한 것, 혹은 소망 폭마다로 분할하여 이루어진 것, 또는 본체에 직접 토출구를 설치하는 대신에, 노즐을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 등, 요는 소정위치의 바로 위에서, 소망개소에 적량의 접착제를 토출하는 형태이면 족하고, 접착제의 성질에 따라 접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보온 기구나, 단판의 두께에 따라 도포량을 조절하는 도포량 조절 기구의 설치도 보통의 방법대로 해도 무방하다.
또 상기 접착제 도포기는 원칙적으로는 고정식으로서도 무방하나, 예를들면 토출구를 가급적 소정 위치에 가깝게 하기 위하여, 토출구의 주변을 절단도의 복부에 가볍게 접촉되도록 탄성변위 가능토록 구비하든지, 토출구의 바로아래 부분을 단판의 표면에 가볍게 접촉되도록 탄성 변위 가능토록 구비하는 등, 필요에 따라서는 변위 가능토록 구비하여도 무방하고 그러한 변위 가능토록 구비한 경우에는 소망폭마다 분할하여 개개로 변위가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더구나, 상기 실시예와같이, 앤빌롤 형의 수도체를 사용하는 경우에, 소정위치를 상기 실시예보다도 더 반소방향 아래 쪽으로 규정하여, 전단부의 불요부분을 자연 낙하시키는 것도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상기 실시예와 같은 부스러기 배제간을 사용하여 낙하를 조장하면 능률적이며, 혹은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부스러기 배제간 대신에, 압축공기의 분사에 의한 조장을 도모하는 것도 일책이다.
이상에서 분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관한 단판의 횡접합 장치에 의하면 접착제에 의한 접합강도가 표면쪽에 편재하지 않고, 더욱 접착제의 접착성이 열화되지 않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안정적인 접합강도가 얻어지고, 또 장치를 단순화 할 수 있는 등, 총체적으로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그 유용성이 향상되었다.

Claims (1)

  1. 섬유와 직교방향으로 반송되는 단판의 유효 부분과 불요부분과를 절단 분리하여야 할 소정위치의 상방에 승강가능토록 구비된 절단도와, 단판의 통로를 사이에 두고 전기절단도에 대설된 수도체와, 선단을 단판 반송 방향과 역방향으로 향하여 소정 위치의 단판 반송방향 아래쪽에 요동가능토록 구비된 선별개폐체와, 그 선별개폐체와 협동하여 적시에 선행 단판의 유효부분을 압압 유지하고, 소정위치의 상방에서 잠시 대기시키도록, 선별개폐체에 대설된 단판 압압체와, 단판의 절단예정 개소를 판별하여 검지 신호를 발하도록, 소정 위치의 단판 반송방향 위쪽에 구비된 단판 검지기와, 선행 단판의 후단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선행단판의 후단부의 요동 궤적의 근방에 구비된 접착제 도포기와를 갖는 단판의 횡접합 장치로서, 전기 절단도의 승강 궤적을, 단판 반송방향 위쪽으로 부터 단판 반송방향 아래쪽을 향하여 약간 경사지게 설정함과 동시에 적의 형상의 토출구로부터 그 때마다 적량의 접착제를 토출가능토록 구성한 접착제 도포기를 전기 소정 위치의 바로 위에 토출구가 면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판의 횡접합 장치.
KR1019910021433A 1990-11-28 1991-11-27 단판의 횡접합 장치 KR0169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31791 1990-11-28
JP2331791A JP2887621B2 (ja) 1990-11-28 1990-11-28 単板の横矧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528A KR920009528A (ko) 1992-06-25
KR0169493B1 true KR0169493B1 (ko) 1999-01-15

Family

ID=1824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433A KR0169493B1 (ko) 1990-11-28 1991-11-27 단판의 횡접합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185050A (ko)
EP (1) EP0488253B1 (ko)
JP (1) JP2887621B2 (ko)
KR (1) KR0169493B1 (ko)
CN (1) CN1028213C (ko)
CA (1) CA2056286C (ko)
DE (1) DE69103735T2 (ko)
MY (1) MY107845A (ko)
RU (1) RU2085368C1 (ko)
TW (1) TW2030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1974B2 (ja) 2001-12-17 2007-01-24 株式会社名南製作所 ベニヤ単板の接合方法及び接合装置
PT2527107E (pt) * 2011-05-24 2013-11-22 Padana Ag Método e aparelho para o fabrico de uma faixa sem fim a partir de um bloco de material fibroso, em particular bloco de madeira, a faixa sem fim
CN105599070A (zh) * 2016-03-11 2016-05-25 鹤山市吉鼎机械有限公司 板材无限接长机构
CN105583918B (zh) * 2016-03-11 2019-06-14 广东吉鼎机械科技有限公司 全自动无限接长机
CN111546441B (zh) * 2020-04-09 2022-10-11 江苏铭文建设有限公司 一种复合竹纤维板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28121A1 (de) * 1951-01-28 1970-09-24 Adolf John & Co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Schaeften von Furnier-Span-oder Sperrholzplatten u.dgl. und zu deren Verbindung zu Bahnen beliebiger Laenge
DE1604675C3 (de) * 1966-03-24 1973-11-15 Peralt Anstalt, Vaduz Vorrichtung zum randseitigen Ver binden von zwei flachig ausgelegten Kunststoff Folienbahnen
FR2062363A5 (ko) * 1968-09-09 1971-06-25 Meinan Machinery Works
US3562045A (en) * 1968-09-09 1971-02-09 Meinan Machinery Works Method of edgewise splicing sheets of veneer
US3854357A (en) * 1972-09-20 1974-12-17 Eastman Kodak Co Apparatus for removing an imperfect portion of a web
JPS49119757A (ko) * 1973-10-16 1974-11-15
JPS5146498A (en) * 1974-10-18 1976-04-20 Ota Masayuki Tanhanyokohagiki niokeru arisunsetsudanyonaifuno ukeba okaneta setsuchakukaatsusochi
JPS51110004A (en) * 1975-02-20 1976-09-29 Meinan Machinery Works Tanpanno setsugohoho oyobi sochi
JPS5955702A (ja) * 1982-09-25 1984-03-30 株式会社名南製作所 ベニヤ単板の接合装置
EP0396845A1 (en) * 1989-05-08 1990-11-14 Basso, Antonio Automatic device for glue injection into panels to form parts of furni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103735T2 (de) 1995-01-12
EP0488253B1 (en) 1994-08-31
CA2056286C (en) 1995-08-08
DE69103735D1 (de) 1994-10-06
CN1028213C (zh) 1995-04-19
KR920009528A (ko) 1992-06-25
TW203024B (ko) 1993-04-01
JP2887621B2 (ja) 1999-04-26
CA2056286A1 (en) 1992-05-29
CN1061927A (zh) 1992-06-17
RU2085368C1 (ru) 1997-07-27
MY107845A (en) 1996-06-29
EP0488253A1 (en) 1992-06-03
US5185050A (en) 1993-02-09
JPH04197603A (ja) 1992-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347E1 (en) Joining method and apparatus of single veneer piece
KR101554683B1 (ko) 프레스 공정을 위한 코일 연속 공급 시스템
JP2021503385A (ja) 電子タグ切断装置
KR20020082409A (ko) 스플라이스 장치용 재료 안내 시스템
KR0169493B1 (ko) 단판의 횡접합 장치
KR870002176B1 (ko) 베니어 단판의 접합장치
US20080149755A1 (en) Device for Uninterrupted Winding of a Continuously-Fed Textile Material Web
JP4413143B2 (ja) ストリップを巻き上げるためのコイラ設備の転向装置
CN110450446A (zh) 用于两鼓轮胎成型垫胶的自动裁切贴合装置
KR20010092310A (ko) 두 외층 사이에 경질 발포 코어가 배치된 연속 제조 압출패널로부터 한정된 길이의 구획을 제거하는 방법 및 톱질장치
KR910008859B1 (ko) 바닥 시일 백 제조 및 스텍킹 장치
KR1019780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자동 보수장치
JPH0426282B2 (ko)
KR102632322B1 (ko) 트랜지스터 리드 성형장치
CN109941814A (zh) 一种模切机在线检测对贴生产工艺
KR100663396B1 (ko) 박스 정렬/배출 장치 및 방법
CN111086071B (zh) 单板移动装置
JPH05310350A (ja) 繊維ウエブを循環する保持帯片に載せる装置
EP0958903A2 (en) An apparatus for spraying glue into panel holes
JP2913340B2 (ja) ベニヤ単板の横矧方法及び装置
KR100566928B1 (ko) 스틸스트립 엔드마크방지용장치
KR200233920Y1 (ko) 라벨 절단기의 소재배출장치
EP3735483A1 (en) Fabric sheet loading and unloading machine for a computer controlled pattern forming machine
KR100531441B1 (ko) 재료시트 스플라이스 장치의 겹침 죠인트 방지구조
CN114013048A (zh) 一种双片料同时布丝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