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025B1 - 실리콘 고무와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 - Google Patents

실리콘 고무와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025B1
KR0169025B1 KR1019950061008A KR19950061008A KR0169025B1 KR 0169025 B1 KR0169025 B1 KR 0169025B1 KR 1019950061008 A KR1019950061008 A KR 1019950061008A KR 19950061008 A KR19950061008 A KR 19950061008A KR 0169025 B1 KR0169025 B1 KR 016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rubber
silicone rubber
rubb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1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727A (ko
Inventor
이형재
Original Assignee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건희
Priority to KR1019950061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025B1/ko
Publication of KR970042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6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고무와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떠한 다른 계면 접착제(primer)의 사용 없이 상온경화형 실리콘 고무의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고무(NR), 폴리부타디엔계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또는 이들의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카본 블랙 10~90중량부, 스테아린산 0.5~5중량부, 산화아연 0.5~5중량부, 디아민 계열의 노화방지제 1~10중량부, 오일 0.1~20중량부, 황 0.2~5중량부, 가황촉진제 0.1~5중량부, 실리카 1~80중량부, 칼슘카보네이트 1~60중량부, 에폭시계 접착제 1~20중량부, 실란계 커플링제 1~30중량부, 점착제 수지 0.5~15중량부, 코발트 나프탈렌계 접착제 0.1~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경화형 실리콘 고무와 접착력이 향상된 고무 조성물이다.

Description

실리콘 고무와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무 성물로 제조된 타이어 성형용 블래더에 실리콘 고무를 코팅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고,
제2a도는 종래 기술의 고무 조성물에 의한 타이어 성형용 블래도로 생타이어 12,000본을 생산한 후의 블래더 표면을 찍은 사진이고,
제2b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무 조성물로 제조된 타이어 성형용 블래더로 생타이어 12,000본을 생산한 후의 블래더 표면을 찍은 사진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고무와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떠한 다른 계면 접착제(primer)의 사용 없이 상온 경화형 실리콘 고무의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리콘 고무는 천연고무(NR), 부타디엔계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계고무(SBR)등과 같은 고무와는 접착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타이어 제조시 단지 그린 케이스와 성형 블래더간의 이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이형제를 수시로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타이어 케이스로부터 생타이어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1차 성형, 2차 성형시 특성에 따라 다양한 용도에 맞게 사용하는 성형 블래더에 단순히 이형제를 수시로 도포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특히, 이 성형 블래더는 성형기에서 내뿜어지는 공기압에 의해 부풀려지면서 그린 케이스를 타이어 형상으로 만들어 주는 것으로 팽창시에는 케이스 내부와의 양호한 윤활성을 요구하게 되며, 수축시에는 생타이어 내면과의 이형성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이형제를 단순 도포하는 종래의 방법은 타이어 제조의 능률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촉 부위에 보강용 고무 시트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기술은 단지 접촉 부위에서의 빠른 마모를 방지하는 기능을 나타낼 뿐이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리콘과 고무 조성물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리콘 고무의 물성을 개질시키지 않고, 실리콘 고무를 접착시키려는 고무 조성물의 조성을 개선하여 실리콘과의 접착력이 우수하도록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천연고무(NR), 폴리부타디엔계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계고무(SBR) 또는 이들의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카본 블랙 10~90 중량부, 스테아린산 0.5~5중량부, 산화아연 0.5~5중량부, 디아민 계열의 노화방지제 1~10중량부, 오일 0.1~20중량부, 황 0.2~5중량부, 가황촉진제 0.1~5중량부, 실리카 1~80중량부, 칼슘카보네이트 1~60중량부, 에폭시계 접착제 1~20중량부, 실란계 커플링제 1~30중량부, 점착제 수지 0.5~15중량부, 코발트 나프탈렌계 접착제 0.1~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경화형 실리콘 고무와 접착력이 향상된 고무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상온 경화형 실리콘 고무(RTV 실란트)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킨 블래더 고무 조성물을 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블래더 고무 조성물의 성분 중 천연고무(Natural rubber, 부타디엔계고무(Poly Butadiene Rubber),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atadiene Rubber) 또는 이들의 배합물 100중량부를 주성분으로 한다.
상기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카본 블랙 10~90중량부, 스테아린산 0.5~5중량부, 산화아연(ZnO) 0.5~5중량부를 첨가한다.
상기의 디아민 계열의 노화방지제는 예를들면, N-페닐-N'-(1,3-디메틸)-P-페닐렌디아민(6c) [N-Pheny1-N'-(1,3-dimethy1)-P-Pheny lenediamine (6c)] 또는 혼합된 디아릴-P-페닐렌디아민(wingstay-100)[Mixed diaryl-P-Phenylenediamine(wingstay-100)]을 1~10중량부 사용한다.
상기에서 오일로는 예를들면, 방향족 오일 0.1~20중량부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가황촉진제로는 예를들면, N,N-디페닐 구아니딘[N,N-diphenyl Guanidine(DPG) 또는 N-터트-부틸-2-벤조치아질-설펜아미드(N-tert-butyl-2-benzothiazyl-sulfenamide) 0.1~2중량부를 사용한다.
상기에서 점착제 수지로는 예를 들면, Cumaron Inden 수지 0.5~15중량부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거나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실리콘 고무의 제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고무는 실리카(SiO2)나 칼슘카보네이트(CaCO3)를 충진제로 사용하는 상온 경화형 실리콘 고무이고, 블래더 고무 조성물에 0.1 내지 0.3mm의 두께로 형성되고, 경도 20 내지 60, 인장 강도 12 내지 40kg/cm2, 신장률 300 내지 600%로 형성된다.
[고무 조성물과 실리콘 고무와의 접착 방법]
블래더 고무 조성물을 적절한 온도, 시간, 압력에서 가교시킨 후 접촉면적을 가능한 넓혀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리콘 고무와 접착하는 가교된 블래더 고무 조성물의 표면을 그라인더(grinder)로 갈아낸다. 갈아낸 부위를 한솔, 아세톤, 톨루엔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접착면에 이물질이 없도록 개끗이 세정한 후 건조시키고, 상온 경화형(RTV) 실리콘 실란트를 도포한다. 상온에서 3시간 정도 지나면 수분에 의해 자연 경화되어 본 발명에 의한 고무 조성물과 단단히 결합된 실리콘 고무가 얻어진다. 이때 얻어지는 실리콘 고무의 두께는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나 보통 0.1~0.3mm 정도의 두게로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방법은 사용하기에 적절한 점도를 맞추기 위해 한솔, 톨루엔 등의 용매를 실리콘 실란트와 적당한 비율로 섞어 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균이하게 뿌리거나 붓을 이용하여 바른다. 이 건조된 실리콘 고무의 물성은 종류에 따라 대략 경도 20~60, 인장 강도 12~40kg/cm2, 신장률(%) 300~600을 나타낸다.
[실시예 1]
고무 조성물로 천연고무(NR)/부타디엔계고무(BR), 70/30비의 100중량부에 대해 카본 블랙 55중량부, 실리카 12중량부, 스테아린산 2.5중량부, 산화아연 3중량부, 방향족 오일 10중량부, N-페닐-N'-(1,3-디메틸)-P-페닐렌디아민(6c) 1중량부, 점착제 수지로 쿠마론 인덴 수지 6중량부, 에폭시계 접착제 5중량부, 황 2중량부, 디벤조티아졸디설파이드(MBTS) 1.0중량부, NS 1.6를 배합하여, 상기 고무 조성물을 150℃에서 60분 가류시킨 후, 실리콘 고무와의 접촉 부위를 그라인딩(Grinding)하고 용매로 표면을 깨끗이 닦아낸 후 건조하였다. 실란트(상품명:SCS 800, 동양실리콘 제조 주식회사)와 용매가 1:1로 섞여 교반된 액상 실리콘을 건조된 부위에 스프레이 도포하였다. 이어서, 1시간 동안 균일하며 단단하게 고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고무로 코팅된 성형 블래더를 제조하였다.
제1도에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실리콘 고무가 코팅된 성형 블래더를 나타냈다.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실리콘 고무가 코팅된 성형 블래더이 단면을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코팅된 실리콘 고무의 두께는 약 0.1 내지 0.23mm로 나타났다.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 제조한 블래더를 한국타이어 제조 주식회사 대전 공장에서 사용 중인 성형기에 적용한 결과 이형제의 사용 없이 블래더으 수명이 종래 기술에 의한 블래더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종래 블래더의 평균수명이 생타이어를 약 5,000회 정도 생산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고무가 코팅된 블래더의 경우 약 10,000회 이상 사용 가능하다.
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제2(a, b)도에 생타이어 1200본을 생산한 후의 블래더 표면의 사진을 찍어 종래 기술의 블래더(제2a도)와 본 발명에 의한 블래더(제2b도)를 비교하였다.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블래더는 접촉 표면이 마모되어 매끄럽지 못한 표면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본원 발명에 의한 블래더는 마모되지 않아 매끄러운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이형성이 우수한 실리콘 고무 적용에 따라 생 타이어와의 점착설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블래더 교체시 작업 시간이 40~60분이 소요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블래더 수명 연장에 따른 타이어 생산도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이형제를 사용치 않음으로써 자업 환경 또한 개선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NR, BR, SBR 등 일반 범용 고무의 조성물을 개질시켜 접착을 시켰으며 특별히 계면활성제 등을 넣는다거나 하여 실리콘 고무의 성분을 개질시키지 않고도 일반적으로 실리카(SiO2)나 칼슘카보네이트(CaCO3)를 충진제로 사용하는 상업용 상온 경화형 실란트로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Claims (1)

  1. 천연고무(NR), 폴리부타디엔계고무(BR),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또는 이들의 배합물 100중량부에 대해 카본 블랙 10~90중량부, 스테아린산 0.5~5중량부, 산화아연 0.5~5중량부, 디아민 계열의 노화방지제 1~10중량부, 오일 0.1~20중량부, 황 0.2~5중량부, 가황촉진제 0.1~5중량부, 실리카 1~80중량부, 칼슘카보네이트 1~60중량부, 에폭시계 접착제 1~20중량부, 실란계 커플링제 1~30중량부, 점착제 수지 0.5~15중량부, 코발트 나프탈렌계 접착제 0.1~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경화형 실리콘 고무와 접착력이 향상된 고무 조성물.
KR1019950061008A 1995-12-28 1995-12-28 실리콘 고무와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 KR016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1008A KR0169025B1 (ko) 1995-12-28 1995-12-28 실리콘 고무와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1008A KR0169025B1 (ko) 1995-12-28 1995-12-28 실리콘 고무와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727A KR970042727A (ko) 1997-07-26
KR0169025B1 true KR0169025B1 (ko) 1999-03-20

Family

ID=1944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1008A KR0169025B1 (ko) 1995-12-28 1995-12-28 실리콘 고무와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0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569B1 (ko) * 2000-08-24 2003-05-27 금호산업주식회사 접착 고무조성물
KR100505298B1 (ko) * 2002-06-26 2005-08-0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고속 경주용 타이어의 트레드 접합용 시멘트 조성물
KR101311875B1 (ko) * 2012-02-28 2013-09-26 동아타이어공업주식회사 금형 세정용 실리카 실란 고무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643B1 (ko) * 2000-06-22 2003-05-2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KR100466447B1 (ko) * 2002-06-05 2005-01-13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쇼용 고무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569B1 (ko) * 2000-08-24 2003-05-27 금호산업주식회사 접착 고무조성물
KR100505298B1 (ko) * 2002-06-26 2005-08-0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고속 경주용 타이어의 트레드 접합용 시멘트 조성물
KR101311875B1 (ko) * 2012-02-28 2013-09-26 동아타이어공업주식회사 금형 세정용 실리카 실란 고무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727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0498B2 (ja) 未硬化ゴムに硬化ポリウレタンを直接結合するための接着システム
EP2158083B1 (en) Tire repair with cured patch
CN102725368B (zh) 用于聚合物粘合的组合物
JP4772147B2 (ja) 被覆された表面を有するタイヤ
US4669517A (en) Polyurethane bonded to cured rubber containing a diene polyol
JPS60161355A (ja) ガラス・プライマー
JP2005520016A (ja) エラストマー基材用フレキシブル塗料
JPS6123669A (ja) 接着剤組成物、およびその接着剤組成物で結合したトレツド端部をもつラジアルタイヤ
US4704176A (en) Method of bonding polyurethane to cured rubber
EP0658597B1 (en) Sealant and adhesive with damping properties
US4068041A (en) Method for rubberizing steel cords
KR0169025B1 (ko) 실리콘 고무와 접착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
JPS63264972A (ja) ゴム―繊維材料複合体
JP5175587B2 (ja) ポリウレタン・ゴム複合体、該ポリウレタン・ゴム複合体の製造方法、及び該ポリウレタン・ゴム複合体を使用した非空気圧タイヤ
US20040030053A1 (en) Processes for production of surface-modified rubbers
CN102666557A (zh) 膦酸酯粘接组合物
EP3409505B1 (en) Adhesive systems for preparing composites of rubber and polar thermosets
JP3792011B2 (ja) ゴム組成物およびタイヤ
CN110804255A (zh) 一种用于鼓式硫化机钢丝带的钢丝带面胶
US4480066A (en) Rubber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having improved metal adhesion and metal adhesion retention
KR100333825B1 (ko) 튜브리스 공기입 타이어의 인너라이너용 고무조성물
KR100317523B1 (ko) 타이어 수리고무용 흑색페인트 조성물
KR102648044B1 (ko) 타이어 가류 브라다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가류 브라다
JP3221512B2 (ja) ゴム組成物
CN114058312A (zh) 一种粘合体系、聚氨酯/橡胶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