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871B1 -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871B1
KR0168871B1 KR1019930008477A KR930008477A KR0168871B1 KR 0168871 B1 KR0168871 B1 KR 0168871B1 KR 1019930008477 A KR1019930008477 A KR 1019930008477A KR 930008477 A KR930008477 A KR 930008477A KR 0168871 B1 KR0168871 B1 KR 0168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procket
lens
photo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989A (ko
Inventor
무라마쭈 가쭈지
이와모토 소지
Original Assignee
오오니시 미노루
후지샤신 필름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12451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235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3284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88085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2843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88085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13537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33474A/ja
Application filed by 오오니시 미노루, 후지샤신 필름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니시 미노루
Publication of KR940005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3/00Packages of films for inserting into cameras, e.g. roll-films, film-packs; Wrapping materials for light-sensitive plates, films or papers, e.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dyes, printing inks, adhesiv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 G03B2219/045Roll-film cameras adapted for unloading the film in the processing laboratory, e.g. disposable, reusable or recyclabl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렌즈장착 필름장치는 사진필름이로 미리 적재되고, 필름구멍과 톱니바퀴가 맞물리는 8개 톱니의 피동 스프로킷을 구비한다. 사진필름이 1개 프레임으로 채워지면 스프로킷은 1회전하게 된다. 셔터장치는 스프로킷의회전과 연합하여 콕된다. 필름장치를 조립하는 동안 셔터장치가 콕된다. 사진필름은 셔터장치가 콕된 채일 동안 적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프로킷은 필름 1번 감아올리기의 종료위치에 앞서 2개 톱니에 있는 예정된 회전위치에 맞추어진다. 이것은 셔터장치로 하여금 불완전하게 콕된 상태로 되게 한다. 사진필름은 셔터장치가 불완전하게 콕된 상태인 채일동안 적재된다. 필름장치에서 본체 이면에 필름통로가 형성되어서 필름을 통과시킨다. 전위가능 결합부는 철회가능한 식으로 필름 통로내로 돌출한다. 노치는 필름의 변부에 형성되어 이동가능부와 결합되어서 필름을 길이 방향에 대하여 필름통로이내 조립되게 위치시킨다.

Description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사진필름유닛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상기 사진필름유닛의 본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상기 사진필름유닛의 본체에 필름이 끼워지는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셔터장치와 관련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6도는 사진필름유닛의 새로운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제7도는 셔터장치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제조과정 동안 사진필름유닛에 끼워진 필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의 설명도.
제8도는 셔터장치에 대한 검사 후, 사진필름유닛에 끼워져 있는 필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의 설명도.
제9도는 사진필름유닛의 다른 새로운 제조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제10도는 사진필름유닛의 다른예에 사용된 피동 스프로킷을 도시한 평면도의 설명도.
제11도는 사진필름유닛의 다른 새로운 제조과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제12도는 사진필름유닛의 새로운 제조과정 중 셔터장치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사진필름유닛에 끼워진 필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의 설명도.
제13도는 셔터장치에 대한 검사이후, 사진필름유닛에 끼워져 있는 필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의 설명도.
제14도는 사진필름유닛 제조의 또 다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제15도는 상기 또 다른 사진필름유닛의 분해사시도.
제16도는 전위 가능부와 그 위에 탑재되는 필름의 위치관계를 사진필름유닛의 배면에서 정면으로 도시한 설명도.
제17도는 전위 가능부와 그 위에 탑재되어 감겨지기 시작한 필름의 위치관계를 사진필름유닛 배면에서 정면으로 도시한 설명도.
제18도는 사진필름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19도는 필름하우징의 분해사시도.
제20도는 사진촬영기계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1도는 셔터 콕킹 캠(shutter cocking cam)과 피동 클로우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22도는 사진필름유닛에 끼워져 있는 필름의 평면도.
제23도는 사진필름유닛의 조립을 도시한 순서도.
제24도는 다른 셔터 콕킹 캠과 피동 클로우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25도는 캠 곡선의 그래프.
제26,27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그래프.
제28도는 종래 사진필름유닛에 장착된 종래 카운터 휠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90 : 사진필름유닛 10,92 : 외부케이싱
11,91 : 필름하우징 12,71,100 : 본체
13,72,101 : 전면덮개 14,73 : 배면덮개
15 :렌즈 16 : 파인더창
17 : 셔터버튼 18,86,98 : 감아올리기 휠
19 : 지시창 20,74 : 사진필름통
21,78 : 필름 22,75,105 : 필름통
23,79 : 필름공급실 24,77 : 필름통 격납실
28,80 : 강광실 30,85,97,143 : 계수표시(계수기)휠
32,121 : 리테이이닝 레버 34,119 : 작동레버
38,63,84,107 : 피동 그프로킷 42,120 : 스프링
44,52,123,125 : 캠 47,114 : 셔터 블레이드
49 : 셔터 개구 50 : 셔터 덮개
60 : 피동축 61 : 구동축
81 : 필름 통로 82 : 전위 가능부
83 : 스풀 87 : 포크
130,131 : 셔터 콕킹 캠
본 발명은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photograp에c film unit)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기 사용자가 그 내부에 포함된 사진 필름의 촬영 가능한 규격 프레임 수 보다 더 많은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79 년 개정된 ISO코드 1007에 의해 규정된 필링통내에는 135형(35㎜)사진 필름스트립(이하 필름이라 언급함)의 사진촬영 가능한 프레임의 규격수가 규정되어 있고 실제로는 그 프레임 수 이상의 필름이 들어있다. (ISO는 국제표준화기구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필름에 표시되어 있는 규격 프레임 수를 영두에 두고 사진을 찍는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에서는 정해져 있는 규격 노출수 외에 1∼2회의 노출이 더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리고 필름을 다 사용한 후 수동으로 필름을 끼우기 때문에, 필름 리더(film leader)에 가장 가까운 화상 프레임의 위치와 주위 빛에 순간 노출되지 않으면서 사진현상과정을 위한 필름통으로 부터 인출될 수 있는 필름리더의 양을 정확히 측정해 낼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현재 널리 행해지는 사진필름 규격화에서는 노출되는 필름길이외에 필름의 허용오차길이를 규정하고 있다.
필름 중에서 사용 가능한 범위는 필름이 필름통으로부터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의 필름통의 필름통과구로 부터 필름리더 사이의 거리로 정하고 있다.
필름의 사용이 가능한 범위는 일련의 규격 프레임수보다 길게 설정되며, 여기에는 노출되지 않는 필름의 길이 허용오차도 포함하는데 이는 전체적으로 볼 때 하나의 프레임 길이에 있어서 대략 4배 정도에 해당된다.
그러므로 카메라에 필름을 끼우는 방식에 따라 규격 노출수 외에 1∼3회의 노출이 카메라에서 더 일어날 수 있다.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은 USP4,884,087 및 USP4,972,649로 공개되어, 현재 퀵스냅(日후지필름(주)제품)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필름이 미리 내장된 일회용 카메라이다.
상기 사진필름유닛은 그 구성에 있어서, 본체보호용 전면덮개와 후면 덮개로 구성된 필름하우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본체에 렌즈와 필름감아 올리기 휠 그리고 셔터장치가 결합된다.
그리고 본체에는 필름공급실, 렌츠의 반대측면에 수평하게 형성된 필름통 격납실이 제공된다. 노출되지 않은 필름은 롤내에 감겨 필름공급실에 수용되고, 감아올리기 휠은 필름통내 스풀과 맞물려 회전한다.
상기 사진필름유닛을 구매한 사용자는 노출이 행해질 때마다 각각의 프레임마다 필름통 내 스풀에 필름을 감는다.
피동 스프로킷 휠은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과 맞물려 필름이 감겨질 때 필름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한 프레임의 필름, 즉 8개의 필름구멍이 감겨지면 스프로킷의 대응회전은 감기정지장치를 작동시켜 감아올리기 휠의 회전이 정지됨으로써 셔터장치가 누를 준비상태를 취하면서 계수표시 휠의 계수를 하나 추가한다.
사진필름유닛이 제조되면 선적되기 위해 이송되기 전 검사가 필수적으로 행해지는데 이는 사진필름유닛 제조시 발생한 결함의 유무를 판별함으로써 기기에 대한 신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검사중 셔터장치의 작동검사는 아주 일반적인 것이다.
본체에 필름과 필름이 끼워진 후 셔터장치의 누를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 이르면 작동을 체크하기 위해 셔터가 눌려진다.
그러나 선적될 사진필름유닛에 대한 상기한 검사에는 한가지 문제가 있다. 기기작동시험을 위해 셔터장치의 누를 준비를 하고 실제로 셔터를 누르는데는 필름구멍 8개에 해당하는 1개의 프레임이 쓰여짐으로써 규격 프레임 수 이상으로 노출 가능한 필름의 허용오차분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셔터작동 검사이외에 또 다른 검사가 행해질 경우에는 1개의 프레임이 더 소모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시도된바,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 사용자가 기기에 내장된 사진필름의 촬영 가능한 규격 프레임 수 보다 더 많은 사진을 찍을 수 있게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기의 제조자가 암실에서 고도의 정비된 처리과정을 통해 필름을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에 끼워 넣은 것이며, 기기에 내장된 필름은 거의 끝까지 활용된다.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이 시판된지 6년이 지났지만, 필름노출의 규격수보다 많은 노출을 가능하게 하는 사진필름유닛은 아직까지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에는 사진필름의 구멍과 맞물려 1개의 프레임이 공급될 때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는 스프로킷과 스프로킷이 회전됨에 따라 누를 준비가 완료되는 셔터장치가 장착된다.
제조방법은 제 1, 2 단계로 이루어지는 바, 제 1 단계에서는 셔터장치의 누를 준비를 완료시키기 위해 제 1 회전위치에 스프로킷을 세팅시키고, 제 2 단계센서는 제 1 단계 후에 필름을 끼워 넣는다.
일 실시예에서의 셔터장치는 누를 준비가 완료된 상태이며, 셔터장치가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필름이 끼워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로킷의 제 1 회전위치는 1회전 감겨진 필름의 단부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N톱니부분이며, 이때 스프로킷은 8개 톱니를 가지며 , N의 값은 1≤N≤7이다. 스프로킷이 1회전했을 때의 셔터장치는 누를 준비를 완료한 상태이다.
상기 구조는 셔터장치 검사시 필름의 적은 부분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진필름유닛 제조에 잇점을 준다. 즉, 사진촬영 가능한 프레임의 규격수에 더하여 지는 노출 가능한 필름의 허용오차를 감소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기기 사용자는 기기의 내장된 사진 필름의 촬영 가능한 규격 프레임 수보다 더 많은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된다.
사진필름유닛의 셔터장치에 대한 검사이외에 행해지는 검사와 토크평가는 필름이 끼워진 후 감아올리기 휠의 회전운동에 대한 확인과 관련된 것이다.
종래 제조방식에서는 그러한 검사를 위해 감아 올리기 휠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감아 올리기 휠 및 셔터장치 검사시 대부분 2개의 프레임이 소모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사진필름의 규격 프레임 수 외에 노출 가능한 필름의 허용오차 분량이 소모되지 않는다.
그리고 필름통로는 본체와 배면덮개 사이에 형성되어 필름이 지나갈 수 있게 되어있다. 절첩식의 전위가능부로 구성되는 결합부재는 필름통로 내부로 돌기부가 돌출 되도록 배치된다.
필름가장자리에는 필름을 필름통로 내에 유지시키고 필름을 사진필름유닛 본체에 장전하기에 적합하도록 하며, 또 필름통로 내에서 세로방향에 대하여 필름이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위치시키기 위하여 돌출된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필름이 특히 필름 리더와 관련하여 추가노출에 경제적으로 사용되는 필름통에 있어서 사진현상을 위해 많은 양의 필름 리더를 이끌어낼 경우 종래 구조에서는 필름 리더에 가장 가까운 프레임이 주위 빛에 노출되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필름이 셔터의 누르는 준비동작과 연관있는 피동 스프로킷에 따라 그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에 필름 리더에 가장 가까운 프레임과 인출된 필름의 끝부분의 사이 간격이 다수의 필름 프레임 사이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현상시 필름 리더의 인출량을 결정하는데 효과적이다.
그리고 필름 리더의 첫번째 프레임이 주위 빛에 노출되지 않은채 필름을 인출할 수 있다.
다른 조립예에서는 카운터가 스프로킷에 의해 구동되도록 장착되는 바, 카운터에는 사진촬영 가능한 프레임 수가 제시되고, 규격화에 따른 사진 프레임(P)의 노출에 적합한 길이를 가진 필름이 제공되는 곳에서 P를 초과한 최대 소정치를 나타내는 수치가 표시된다.
암실에서 필름은 롤의 형태로 감겨지는 동안에 필름통 밖으로 완전히 인출된다. 따라서 본체에는 필름통과 롤이 장전되어 있게 된다.
종래에는 카메라 사용자가 수동으로 필름을 끼우고 인출하였다.
사용자는 24매용 필름으로 26 또는 27매의 사진을 찍을 수 있으나, 필름 리더 측방의 1 또는 2개의 프레임에는 포그(fog)현상, 즉 주위 빛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필름의 규격 프레임 수 이상의 사진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새로운 사진필름유닛은 포그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기기에 내장된 필름의 규격 프레임 수 보다 많은 양질의 사진을 쉽게 찍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기에 장착된 카운터가 늘어난 프레임 수에 적합하게 작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진찍은 프레임 수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로킷은 셔터장치를 누를 때 찰칵하면서 정지된다.
스프로킷이 찰칵하는 소리와 함께 정지되면서 필름이 다음동작을 위해 채워진다.
본체에 사진필름이 들어있는 동안 피동 스프로킷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필름의 사용되지 않은 부분은 부가적인 사진 프레임을 형성함으로써 소모된다.
필름이 효과적이고도 경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공지의 현상시스템의 도움으로 사진을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사진필름유닛의 비용 측면에서도 개선된 측면이 있다.
사진필름 원료 측면에서 제한된 자연자원을 절약하고 경제적인 잇점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장점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3도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9)을 전반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마분지로 만들어진 외부케이싱(10)은 본체(12), 전면덮개(13) 및 배면덮개(14)로 구성된 필름하우징(11)을 포함한다.
본체(12)는 필름 격납부(26)과 사진촬영기계장치(27)로 구성된다. 필름하우징(11)에는 렌즈(15), 파인더창(16), 셔터버튼(17), 필름 감아올리기 휠(18), 지시창(19)이 장착되어 그 작동이 요구될 때에는 외부케이싱(10)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통해 작동이 실행된다.
제4도에서와 같이 필름 격납부(26)의 배면에는 감광실(28)이 형성되며, 감광실(28)양측에는 필름공급실(23)과 필름통 격납실(24)이 각각 형성된다.
감광실(28)은 필름공급실(23)보다 필름통 격납실(24)에 좀더 가깝다.
감광실(28)의 필름 배열은 필름통 격납실(24)과 관련하여 정해지는 바, 감광실(28)의 감광개구(28a)와 필름통 격납실(24)내로 수용되는 필름통(22)의 필름통과구(22b)사이에는 사진필름(21)의 연속적인 구멍이 꼭 3∼5개, 바람직하게는 4개가 위치한다.
피동 스프로킷 휠(38)은 감광실(28)부근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29) 밖으로 부분돌출되어 필름통로 내에서 필름(21)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21a)과 맞물린다.
사진 필름통(20)은 필름통(22)과, 처음에는 필름통(22)내에 다소 조이는 방식으로 내장되었다가 필름통(22)으로부터 인출되어 나오는 35㎜ 폭의 필름(21)으로 구성된다.
필름통(22)이 필름통 격납실(24)내로 수용됨과 동시에 필름(21)의 롤은 필름공급실(23)내로 삽입된다.
필름격납부(26)에 필름을 끼우기 위해 사진필름통(20)은 필름(21)을 필름통(22)으로 부터 인출시키는 예비감기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을 위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61)과 피동축(60)으로 구성된 로딩 지그가 사용된다.
구동축(61)은 필름(21)의 리더(21b)와 맞물려서 필름(21)을 필름통(22)으로 부터 인출하여 구동시킴으로써 롤이 되도록 감는다.
배면덮개(14)는 상부표면인 구조로서 필름공급실(23)과 필름통 격납실(24)하부를 덮는 하부뚜껑(14a)과 하부뚜껑(14b)을 가지고 있다.
배면덮개(14)가 본체(12)에 고정될 때 사진 필름통(20)으로 부터 피동축(60)과 구동축(61)을 빼내기 쉽도록 하부뚜껑(14a)과 하부뚜껑(14b)은 열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감아올리기 휠(18)은 본체(12) 상부의 필름통 격납실(24)부분에 장착되며 사진필름통(20)의 스풀(22a)과 맞물리도록 필름통 격납실(24)쪽으로 돌출되는 포크(18a)를 가지고 있다. 감아올리기 휠(18)의 회전동작은 뒤쪽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행해지거나,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행해진다.
스풀(22a)은 필름통(22)내로 노출된 후 사진필름(21)을 감는 회전작동을 한다. 감아올리기 휠(18)의 외주연에는 톱니(18b)가 형성되어 있어서 탄성을 갖는 판형태의 환원방지 클로우(25)와 맞물려 진다.
환원방지 클로우(25)는 감아올리기 휠(18)의 역회전을 방지함으로써 회전의 방향을 한쪽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사진촬영기계장치(27)에는 계수표시 휠(30)과 리테이닝 레버(32), 작동레버(34), 셔덤 블레이드(47)와 피동 스프로킷(38)이 타부재들과 적절히 조합배치되어 있다.
상기 부재들의 배치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제5도를 참조하면, 셔터버튼(17)은 전면덮개(13)내의 슬롯을 통해 채널형태로 일부분이 둘러싸인 형태를 지닌다. 눌렀을 때 셔터버튼(17)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된다. 암(39)은 셔터버튼(17)의 하부쪽으로 연장되어 배면과 연결된 형태이다.
셔터버튼(17)의 탄성은 셔터장치를 아래로 누른 후 즉시 최초위치로 버튼이 되돌아오도록 회복시켜준다.
리테이닝 레대(32)는 축(40) 주변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2)의 스프링전단(42a)에 의해 시계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굽은형태의 단부(32a)를 가지고 있다. 굽은형태의 단부(32a)는 암(39)에 접촉된다.
좌동레버(34)는 축위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스프링후단(42b)에서 스프링(42)에 의해 시계반대방향으로 교차된 수용단부(34a)를 가지고 있다.
필름에는 사진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듯이 구멍(21a)이 형성되어 있다. 8개의 필름구멍(21a)은 필름(21)에서 사진 한 프레임 길이에 상응한다. 피동스프로킷(38)의 둘레에는 8개의 톱니가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휠(18)의 회전운동에 의해 필름(21)이 회전함으로써 사진 한 프레임에 해당되는 1회전 운동이 일어나게 된다.
캠(44)과 캠(52)은 피동 스프로킷(38)과 동일축상에 형성되어 피동 스프로킷(38)의 회전운동에 따른다. 캠(44)에는 리세스(44a)가 형성되어 있다.
캠(44)의 외주부는 리테이닝 레버(32)의 클로우(32c)와 접촉하며, 캠(52)의 외주부는 작동레버(34)의 클로우(34c)와 접촉한다.
캠(44)의 1회전운동은 리테이닝 레버(32)의 돌출부(32d)와 맞물리는 로드(34d)를 가지고 있는 좌동레버(34)와 반대방향으로 행해진다.
감아올리기 휠(18)의 감는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리테이닝 레버(32)의 클로우(32c)는 캠(44)에 형성되어 있는 리세스(44a)와 맞물려 진다.
상기 동작이 완료되면 셔터장치는 누를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셔터버튼(17)이 눌러지면, 암(39)은 리테이닝 레버(3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돌출부(32d)는 작동레버(34)의 로드(34d)로 부터 풀려나게 된다.
셔터개구(49)가 개방될 때까지 셔터 블레이드(47)가 축(47a)둘레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레버(34)의 암(34d)은 셔터 블레이드(47)의 클로우(47c)로 부터 떨어져 나온다. 암(34b)이 클로우(47c) 상부로 들어올려져 클로우(47c)을 통과할 때, 셔터 블레이드(47)는 셔터 개구(49)가 폐쇄될 때까지 스프링(48)에 의해 뒤로 당겨진다.
셔터개구(49)정면에는 렌즈(15)가 장착되고, 셔터 블레이드(47)정면에는 셔터덮개(50)가 장착된다.
셔터가 완전히 이완되면, 좌동레버(34)의 클로우(34c)는 캠(52)의 계단형 표면(52a)에 접한 상태가 된다. 리테이닝 레버(32)의 돌출부(32d)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노치부(notch)에는 로드(34d)가 수용되어 있다.
즉, 클로우(32c)는 캠(44)과 외주부 어느 곳과도 접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다른 감아올리기 휠(18)에서, 캠(44)와 캠(52)은 기동 스프로킷(38)과 동일하게 회전한다. 캠(52)의 회전운동은 좌동레버(3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리테이닝 레버(32)는 스프링(42)과 엇갈려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리테이닝 켄버(32)과 좌동레버(34)는 다시 누를 준비가 완료되는 위치로 돌아온다.
리테이닝 레버(32)는 1회 감는 동작이 끝나는 끝부분에서 감아올리기 휠(18)에 형성되어 있는 톱니(18b)가 맞물려지는 래치단부(32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휠(18)의 감는 동작을 제어해 준다.
셔터이완 후 클로우(32c)는 감아올리기 휠(18)의 톱니(18a)로 부터 떨어져 나옴으로써 감아올리기 휠(18)의 회전을 가능하게 해준다.
피동 스프로킷(38)위에는 동축 선상으로 1개의 톱니를 가진 기어(54)가 장착된다. 1개의 톱니를 가진 기어(54)는 계수표시 휠(30)의 톱니(30a)와 맞물려진다.
1계수치 만큼 계수표시 휠(30)을 회전시키기 위해, 피동 스프로킷(38)이 1회전되고 그와 마찬가지로 기어(54)도 1회전된다
계수표시 휠(30)상부에는 눈금이 있어서 운동의 간격에 따라 계수를 표시하며, 또한 필름의 사진촬영이 가능한 최대 규격 프레임 수의 범위를 산정, 표시해 나간다.
눈금은 사진촬영이 가능한 프레임의 남아있는 수를 표시하기 위해 채택된다. 눈금상에 표시되는 계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시창(19)을 통해 외부에서 볼 수 있으므로 남아있는 사진촬영이 가능한 프레임수를 알 수 있다.
클로우(57)는 계수표시 휠(30)의 하부에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필름(21)의 마지막 프레임 노출이 행해진 후 감긴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클로우(32c)가 리세트(44a)에 물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클로우(57)는 리테이닝 레버(32)의 상향 돌출단부(32e)와 접하게 됨으로써 리테이닝레버(32)의 회전을 막아준다.
계수표시 휠(30)의 톱니가 없는 호(30b)는 1개의 톱니를 가진 기어(54)가 맞물려진 위치에 배치된다.
리테이닝 레버(32)는 그 위치를 바탕으로 피동 스프로킷(38)을 풀어준다.
1개의 톱니를 가진 기어(54)가 회전하더라도 휠(30)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감아올리기 휠(18)은 이제 자유롭게 감는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사진필름(21)은 필름통(22)에 완전히 감겨지게 된다.
지금부터는 상기 사진필름유닛의 작동을 특히 제6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사진촬영기계장치(27)는 여러 부재들이 조합된 것이다.
셔터가 누를 준비상태를 취하도록 피동 스프로킷(38)은 사진필름(21)감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셔터의 누를 준비가 완료된 사진촬영기계장치(27)는 필름 격납부(26)과 결합하여 본체(12)를 완성한다.
여기에서 주목할 사실은 셔터가 누를 준비를 완료하지 않았더라도 사진촬영기계장치(27)가 필름 격납부(26)과 결합 가능하다는 것이다.
필름(21)의 롤이 구동축(61)에 고정되는 반면 필름통(22)내 스풀(22a)은 피동축(60)에 고정된다. 필름(21)의 롤과 필름통(22)은 본체(12)내 필름공급실(23)과 필름통 격납실(24)에 각각 삽입된다.
본체(12)에 배면덮개(14)가 장착되기 때문에 피동축(60)과 구동축(61)은 분리되어 떨어진다.
하부뚜껑(14a)과 하부뚜껑(14b)이 필름공급실(23)과 필름통 격납실(24)의 내부봉쇄를 위해 덮여짐으로써 사진필름유닛의 필름 하우징(11)은 완성된다.
필름 하우징(11)은 피동 스프로킷(38)이 슬롯(29)를 통해 필름구멍(21a)과 맞물려주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필름(21)의 구멍 4개가 감광실(28)의 감광개구(28a)와 필름통 격납실(24)내 수용된 필름통(22)의 필름통과구(22b)사이에 위치한다.
필름(21)이 필름통(22)밖으로 연속적인 구멍 16개에 해당되는 거리(L0)만큼 인출되는데, 여기서 거리(L0)는 필름통과구(22b)로 부터 사전노출에 의해 필름에 기록되어진 변부 번호(edge number)(E)까지의 거리이다.
필름하우징(11)은 검사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셔터버튼(17)을 누름으로써 셔터 블레이드(47)의 작동이 체크된다.
사진필름유닛에 발광 프래시가 장착된 경우, 플래시의 작동 또한 체크된다.
셔터의 작동 검사시에는 제7도의 감광실(28)에 표시한 범위(C)만큼의 필름노출이 일어난다.
그 다음 필름 감마올리기 휠(18)의 회전에 필요한 토크 측정과 토크평가를 위해 필름 감아올리기 휠(18)이 감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토크 측정을 위한 필름 감아올리기 휠(18)의 회전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 이를 때까지 필름(21)에서 2개의 구멍(21a)에 공급되는 상당량만큼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 필름 하우징(11)은 외부케이싱(10)으로 포장된다.
그러므로 선적되는 사진필름유닛의 필름은 필름통(22)으로부터 연속적인 14개 구멍에 해당하는 거리(L1)만큼 인출된다. 여기서 거리(L1)는 필름통과구(22b)와 변부 번호(E)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여기서 주목될 만한 것은 비록 구멍(21a)이 배면덮개(14)에 가려져 육안으로는 볼 수 없을지라도, 감아올리기 휠(18)이 스프로킷(38)의 회전량에 상응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구멍(21a)이 사전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사진필름유닛은 선적이후, 고온의 악조건하에 놓일 수 있다. 즉, 기기 구입자가 기기를 한여름 자동차 계기판 위에 올려놓을 수도 있다.
사진필름유닛 선적시 셔터는 누름준비 완료상태였기 때문에 고온에서는 사진필름유닛의 부품 사이에서, 예를 들면 플라스틱 부분 사이나 금속부분 스프링(42)과 플라스틱부분 작동레버(34)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발생함으로써 형태의 변형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관련장치가 떨어져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그 사진필름유닛을 사용하여서 첫번째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셔터장치가 장전될 때까지 제7, 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첫번째 프레임(D)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필름(21)은 여섯개 구멍분량만큼 감겨진다.
프레임(D)은 특별한 프레임으로 프레임 길이 중간에 프린트되는 변부번호(E)와 관계가 있다. 필름(21)현상 후 전체 필름(21)상의 각각의 사진 프레임은 변부번호 E, 24, 23, …, 2, 1로 되어 한번도 그 위치번호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는 사용자가 고객이 선택한 사진을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토크측정을 위한 감아올리기 휠(18)의 회전은 필름(21)에서 구멍 2개의 길이에 상응한다. 대신 토크 측정을 위한 회전은 1∼7개의 구멍에 해당하는 길이에 상응하는 만큼 이루어지는데, 이는 8개 이하 또는 완전히 누를 준비가 되는 위치가 될 때 보다 가까운 양이다.
상기 실시예는 셔터장치의 누름준비 완료단계, 본체에 필름을 장전하는 단계, 셔터장치를 누름으로써 셔터장치 동작을 검사하는 단계, 1∼7개의 구멍 길이에 상응하는 상태로 감아올리기 휠을 회전시켜 토크를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대신으로 본 발명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셔터장치의 누름준비동작과 누름동작에 의해 그 작동을 검사하는 단계, 본체에 필름을 로딩하는 단계, 1∼7의 구멍 길이에 상응하는 만큼 감아올리기 휠을 회전시켜서 감아올리기 휠의 회전에 대한 토크를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의 또 다른 조합은 제10도와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사진촬영기계장치(27)가 조립되면, 피동 스프로킷(63)은 필름(21)의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되는데, 이는 스프로킷이 1회 감겨지는 끝위치에서 회전되지 않고 감겨지는 끝위치까지 2개의 구멍을 남기는 중간지점으로 스프로킷을 배치시키기 위해서이다.
피동 스프로킷(63)에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치(63a)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피동 스프로킷(63)의 회전 최초위치에서부터 형성돼있는 것으로써 공장에서 조립할 때 예정된 회전위치 내에 피동 스프로킷(63)의 수동 세팅시 사용된다.
누름준비 동작이 완료된 셔터를 가지고 있는 사진촬영기계장치(27)는 본체(12)를 완성하기 위해 필름격납부(26)와 결합된다. 전면덮개(13)는 본체(12)에 결합된다.
여기서 사진촬영기계장치(27)와 필름 격납부(26)의 결합은 셔터의 누름준비 동작이 완료되기 이전에도 가능하다는 것은 상기할 필요가 있다.
필름(21)의 롤과 필름통(22)은 필름공급실(23)과 필름통 격납실(24)에 각각 삽입된다. 본체(12)에는 배면덮개(14)가 장착되어 사진촬영기계장치의 필름 하우징(11)은 상기 방식과 유사하게 완성된다.
필름하우징(11)은 피동 스프로킷(63)과 필름구멍(21a)이 맞물려지는 곳의 상태를 감안한다. 필름(21)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1∼3개, 바람직하게는 2개가 감광실(68)의 감광개구(68a)와 필름통 격납실(24)에 수용된 필름들(22)의 필름통과구(22b)사이에 위치한다.
필름(21)은 16개의 구멍에 상응하는 거리(L0) 만큼 필름통(22)밖으로 인출된다.
필름하우징(11)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감아올리기 휠(18)을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토크 측정을 위해 감아올리는 방향으로 감아올리기 휠(18)이 회전된다.
토크 측정을 위한 감아올리기 휠(18)의 회전은 필름(21)의 2개 구멍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회전되어서, 셔터는 완전히 누른 위치를 취한다.
동시에 필름(21)이 제13도에 도시됨과 같은 상태가 된다.
셔터버튼(17)이 셔터를 릴리스시키기 위해 눌려지면, 셔터 블레이드(47)의 작동이 검사된다. 셔터의 작동을 검사하는 것은 제13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감광실(68)에 부합하여 도시되는 점위(F)내에서 필름(21)의 감광을 야기한다.
따라서 셔터에 의한 릴리스와 동시에 관련장치가 대기 상태이기 때문에, 사진필름유닛 부품들 사이에 상호작용되는 응력이 수반되므로 심지어 고온에서도 사진필름유닛 부품들 사이의 변형이 야기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필름하우징(11)은 외부케이싱(10)에 의해 포장된다. 그러므로, 장전될 사진필름유닛은 14개 구멍에 대응하는 길이(L2)로 필름통(22)에서 뽑아 내어지는 필름(21)을 갖는데, 여기서 L2 는 필름통과구(22b) 및 변부 번호(E)사이의 거리이다.
사용자가 사진필름유닛을 사용하여 첫번재 사진을 촬영하기 위하여, 필름(21)은 제12 및 제13도에서 도시하는 바대로 제 1 프레임(G)을 위치시키도록 8개구멍의 양으로 감겨져서 셔터장치가 눌러질 준비가 된다.
프레임(G)은 프레임 중간부 상측에 프린트된 변부번호(E)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서 필름(21)을 장전하기 이전에 피동 스프로킷(63)은 스프로킷이 감아올리기 종료 위치까지 2개의 구멍을 남기는 중간위치로 대체된다.
대신으로, 필름 장전이전의 그러한 대체는 스프로킷이 감아올리기 종료위치까지 1∼7개의 구멍을 남기는 중간위치 알 수도 있다.
토크측정을 위한 감아올리기 휠(18)의 회전은 적당한 양으로 적절히 맞추어질 것이다.
상기 실치예에서 필름(21)은 셔터장치의 작동이 검사되기 이전에 본체에 장전되었다.
대신으로, 제14도에 도시되는 바대로 필름이 본체에 장전되기 이전에 셔터 장치의 작동이 검사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단지 셔터장치의 검사목적으로 어떤 프레임도 소모되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다.
만약(36, 24 또는 12개 감광면)과 같은 사진촬영가능 프레임의 표준수보다 많은 수의 프레임이 ISO에 따른 표준길이의 필름스트립상에 기록되면, 필름리더에 가장 근접한 프레임 및 필름리더의 단부사이 간격은 통상 사용하는 필름의 그것보다 짧다. 필름을 현상하기 위해서는 필름리더가 인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러한 경제적인 사용이후에 필름리더를 부수적으로 많은 양을 뽑아내는 것은 선두의 제 1 프레임으로 하여금 주위 빛에 영향받도록 한다.
그러나 이것을 피할 의도로 현상용으로 필름리더를 뽑아내는 양을 결정하는 것은 부적당하다.
필름의 선두 제 1 프레임 및 필름리더의 단부사이 간격을 정하기 위하여, 셔터의 콕킹(cocking)과 관련되는 피동 스프로킷에 대하여 필름을 위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제15도∼제17도는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실시예이다. 렌즈장착 사진필름유닛의 필름하우징(70)은 전면에 감광실(80)이 형성되는 필름통로(81)를 구비한다.
통로(81)의 상부는 일부분(82)이 전위가능하게 형성되는 안내벽(81a)에 의해 한정된다. 이 전위가능부(82)에는 통로(81)로 돌출되는 돌기부(82a)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사진필름(78)에는 돌기부(82a)와 결합될 반원형의 노치(78b)가 구비된다.
필름(78) 길이에 대하여 노치(78b)의 위치는 사실상 필름(78)의 트레일러 내 즉, 필름통(75)내부의 스풀(83) 부근에 있다.
노치(78b)는 제16도에서 도시되는 바대로 필름(78)이 필름통에서 충분히 인출되어 지는 동안 필름통(75) 및 필름(78)이 필름통 격납실(77)과 필름공급실(79)내부에 장전될 때 돌기부(82a)가 삽입된다.
피동 스프로킷(84)은 통로(81)내로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상향 연장축으로서 계수표시 휠(85) 둘레의 톱니와 맞물리는 1개의 톱니로 된 기어(84a)가 구비된다.
필름(78)이 8개의 구멍(78a) 길이로 이동되면, 피동 스프로킷(84)은 필름(78)의 구멍(78a)에 의하여 1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1개의 톱니로 된 기어(84a)와 교대로 계수표시 휠(85)은 감아올리기 휠(86)이 고정될 때까지 1개의 톱니만큼 회전된다.
필름하우징(70)의 본체는 되도록이면 사진찍는 구간 및 필름 격납부로 구성될 수 있지만 단일구간일 것이다.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의 조립이 이제 기술될 것이다. 셔터장치를 본체(71)에 부착함에 있어서, 계수표시 휠(85)은 휠(85)상에 형성된 시작표시(S)가 전면덮개(72)내의 지시창을 통하여 보이는 최초위치에 맞추어진다.
동시에 피동 스프로킷(84)은 8개 톱니(84b)중 1개가 필름(78)에 수직방향으로 되어서 구멍(78a)과 정확히 맞물리는 각도위치를 가진다.
전위가능부(82)는 안내벽(81a)과 일직선으로 맞춘 위치에 있고, 동시에 돌기부(82a)를 통로(81)로 돌출시킨다. 본체(71)가 이와 같이 결합되면서 전면덮개(72)가 부착된다.
암실에서 필름(78)은 필름통(75)에서 충분히 뽑아내어져 롤(78c)로 감겨진다. 필름통(75)이 필름통 격납실(77)내에 삽입되는 동안 스풀(83)은 포크(87)와 결합된다.
필름 롤(78c)은 제16도에 도시되는 바대로 노치(78b)를 돌기부(82a)와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필름공급실(79)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필름(78)내의 사진촬영가능한 세로범위는 예정된 대로 맞추어 진다. 필름(78)의 운반량은 틀림없이 휠(85)에 의해 표시되는 계수와 일치한다.
필름(78)을 현상하기 위하여 필름(78)의 리더는 뽑아내는 양의 정밀도에 중요성을 가지고 필름통(75)에서 뽑아내질 수 있다. 사진촬영 가능 프레임의 표준수보다 많은 수의 프레임이 필름(78)상에 기록되었음에도, 표준수를 초과하여 기록되어도 필름(78)상의 여분 프레임을 주위 빛에 노출시킬 염려는 없다.
본체(71)에 필름(78)이 장전된 후 배면덮개(73)가 본체(71)에 부착되어서 사진필름유닛이 완성되면 외부케이싱에 의해 포장된다.
한 사용자가 사진필름유닛을 구입한다. 감아올리기 휠(86)상의 시작표시(S)가 지시창에 보이는 채로 사용자는 필름(78)을 감아올리도록 휠을 조작한다.
제17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돌기부(82a)는 필름(78)의 세로 변부에 의하여 상측으로 밀어올려져서 전위기능부(82)를 상향으로 들어올린다. 돌기부(82a)는 필름(78)이 운반될 수 있도록 통로(81)에서 물러난다.
제17도 및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 S위치에 있는 감아올리기 휠(86)은 계수표시 휠(85)상에 프레임의 사진촬영가능 최대수로서 27이 지시창에 표시되는 곳인 감아올리기의 종료위치에서 정지할 때까지 회전된다.
27은 필름(78)의 최대촬영가능 프레임의 표준수로 정해진 24에 부가하여 3개의 프레임을 더 갖는 27개 감광면을 의미한다.
그러한 여분의 3개 프레임은 스풀(83)측의 필름 트레일러에서 1개의 여분 프레임을, 필름리더에서 2개의 여분 프레임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오래지 않아 27개 감광면이 다 채워진 것을 가시적으로 인식하고 필름통(75)이 마침내 필름(78)의 대부분을 수용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감아올리기 휠(86)을 회전시킨다.
사용자가 인화대리점에 인화완성을 주문하면 대리점은 사용자의 사진필름유닛을 사진 현상소로 보낸다.
사진 현상소 기사는 외부케이싱을 일부 벗겨내고, 필름통 격납실(77)의 저면뚜껑(73a)을 열고, 필름하우징(70)으로 부터 촬영이 끝난 사진이 들어 있는 필름통(74)을 분리시킨다.
리더 인출 기계가 먼저 필름통(74)에 사용된다.
리더 인출 기계에 의해 예컨대 필름(78)의 구멍들(78a)중 14개를 이동하는 것과 같은 예정된 길이로 인출된다.
필름들(75)으로 부터 나온 필름(78)은 자동현상 기계로 옮겨져서 통상적 방법으로 현상처리 된다.
27개 감광면은 여분의 3개 프레임 중 어느 것도 뜻밖에 주위빛의 영향을 받는 손상 없이 안전하게 현상된다.
상기 실시예서 전위가능부(82)는 피동 스프로킷(84)측 상의 감광실(80)위쪽에 형성된다. 대신으로, 결합을 위한 전위가능부는 하단 안내벽상의 감광실(80)아래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위가능부(82)의 현상 및 구조는 예컨대 본체(71)로 부터 분리되는 부재로서 스프링과 같은 것으로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필름(78)내 노치(78b)는 반원형이다.
대신으로, 예컨대 직사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의 노치도 필름내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대로의 노치(78b)를 형성하기 위하여, 연속적인 135개 필름을 스트립들로 절단하는 절단기는 노치(78b)의 형상을 구성하도록 된 펀치를 구비할 수 있다.
제조 단계수를 고려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18∼21도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셔터장치를 콕킹하기 위한 캠(125)에는 피동클로우(119c)의 첨단부를 사용하는 형상의 결합 노치(125a)가 주어진다.
제2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셔터장치를 릴리스한 직후에 피동클로우(119c)의 첨단부는 캠(125)의 흔들림을 정지시키도록 노치(125a)와 짤칵소리를 내며 결합된다.
이것은 기동 스프로킷(107)이 셔터장치가 릴리스로 되는 특정위치에서 정지하는 조립에 유리하다. 필름(21)은 필름통(105)으로 부터 완전히 뽑아내지는 대로 스프로킷(107)이 정지되는 동안 장전된다.
화상 프레임이 필름(21)의 변부상에 기록되는 변부번호와 아주 정확히 일치하는 위치에서 필름(21)상에 만들어 질 수 있다.
그러므로 필름(21)의 길이는 생각할 수 있는 한 완전히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현상과정으로 처리되어도 ISO가 135-형 필름(21)에 대하여 규정한 감광면의 최대수 보다 더 많은 사진이 얻어질 수 있다.
제22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필름(21)의 변부에는 필름리더(21b)으로 부터 필름 트레일러로의 순서로 일정한 피치로 배열되고 예비 노출에 의해 잠상으로 기록되는 변부번호(X, 00, 0, 1, 2, …, 23, 24 및 E)가 주어진다.
변부번호는 필름(21)이 현상되어야 보이게 된다.
변부번호(E)에 대응하는 빈영역 또는 여백(126a)은 필름(21)상의 제 1 감광면을 위해 사용된다.
변부번호 제로(0)에 대응하는 영역(126b)은 필름상의 26번째 감광면을 위해 사용된다.
변부번호 더블제로(00)에 대응하는 영역(126c)은 필름(21)상의 27번째 감광면을 위해 사용된다.
계수지시 휠 또는 계수기 휠(97)의 상부에 시작표시(S) 및 종료표시(E) 사이에 27, …, 24, …, 1과 같은 프레임의 잔여 사진촬영 가능수를 각각 표시하는 환상으로 배열된 수열을 가진다.
필름통(105)의 외부에는 +3으로 인쇄된 수표시가 주어져서, 인화자에게 표준 규정이 24개 감광면임에도 불구하고 27개가 사진용으로 감광되는 필름(21)을 포함하는 필름통(105)임을 알리는데 편리하게 사용된다.
계수기 휠(97)의 저면에는 환상의 리지(97a) 및 리지(97a)에서 내부로 돌출한 기능억제 장치로서의 클로우(97b)가 주어진다.
필름의 최종 또는 27번째 프레임 감광면 후의 감아올리기 동안, 클로우(97b)는 리테이닝 레버(121)의 융기단부(121a)와 접촉해서 리테이닝 레버(121)가 회전하는 것을 막아 클로우(121b)가 캠(123)의 홈(123a)내로 들어가지 못하게 한다.
리테이닝 레버(121)가 그러한 위치해 있으면, 피동 스프로킷(107)은 자유롭게된다.
감아올리기 휠(98)은 이제 감아올리는데 장애가 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다.
따라서 필름의 리더를 잔류부분은 필름통(105)내로 완전히 감아올려진다.
제2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최종의 2개 화상 프레임은 본래 빈영역(126b 및 126c)내에 만들어져서 리더측 잔류부분은 종래 사진필름유닛에서 사용되는 필름상의 그것보다 작다.
따라서, 클로우(97b)의 길이 또는 각 범위는 제28도에 도시되는 종래 계수기 휠(143) 클로우(144)의 그것보다 작다.
제20도 및 제28도에서 리지(97a) 및 클로우(97b)는 편의를 위해서 계수기 휠(97)로 부터 분리되어 묘사되고, 리지(143a) 및 클로우(144)도 유사하게 계수기 휠(143)로 부터 분리되어 묘사되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슬리브(110e)를 통해 캠(123 및 125)의 축(124)이 삽입되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축(124)은 스프로킷(107)내에 부착될 단부(124a)를 갖는다.
제22도 및 제23도에 관하여, 새로운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90)의 조립이 이제 기술된다.
사진촬영기계장치(103)을 조립하기 위하여 계수기 휠(97)은 지시창(19)(제18도 및 19도 참조)내에 최초 위치로서 시작표시(S)를 보이기 위하여 순환적으로 위치된다.
셔터장치는 릴리스상태 즉, 작동레버(119)가 스프링(120)의 엇갈린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피동 클로우(119c)를 캠(125)내의 노치(125a)와 결합시키도록 정해진다.
피동 스프로킷(107)은 피동클로우(119c)를 노치(125a)와 클릭킹(clicking)시킴에 의해 정지된 채 남아있다.
사진촬영기계장치(103)는 본체(100)에 부착된다.
다음에 전면덮개(101)가 본체(100)에 부착된 다음 공장의 암실로 운송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필름(21)의 필름리더(21b)는 지그로서 구동축(61) 상에 부착되는 반면, 필름통(105)내의 스풀(109)은 지그로서 피동축(60)상에 부착된다.
피동축(60)과 구동축(61)은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된다.
필름(21)은 필름통(105)에서 인출되어 구동축(61) 둘레에 필름(21)의 롤(21c)이 되도록 감긴다.
필름(21)이 거의 전체길이로 뽑아내지면, 필름(21)롤 및 필름통(105)은 각각 필름 공급실(23) 및 필름통 격납실(24)내로 본체(100)에 함께 삽입된다.
회전적으로 위치된 스프로킷(107)에 대한 구멍들(21a)의 위치는 우발적 변화없이 유일하게 결정된다.
배면덮개(102)가 본체(100)에 부착된 채, 피동축(60)과 구동축(61)은 분리되어 떨어진다.
필름공급실(23) 및 필름통 격납실(24)의 내부는 밀폐된다. 필름하우징(91)은 외부케이싱(92)으로 포장되어 사진필름유닛(90)이 된다.
외부케이싱(92)은 종이상자나 판지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형성되어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90)이 깨끗한 외형을 갖도록 한다.
플래시 방출부(99)에 전자플래시장치(104)가 접속된다.
본체(100)에는 배면덮개(102)가 클로우의 결합으로 인하여 제거가능하게 부착된다.
사진필름유닛(90)을 구입한 사용자는 사진촬영을 위해 감아올리기 휠(98)을 회전시킨다.
필름(21)이 필름통(105)에 감기는 동안 구멍들(21a)은 스프로킷(107)의 톱니를 움직여서 회전시키고, 이것에 의해 끝(125)이 회전된다.
캠(125)의 회전은 노치(125a) 및 피동클로우(119c) 사이의 클릭 결합에 대하여, 피동 클로우(119c)의 단부를 노치(125a) 내부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제 스프로킷(107) 및 캠(125)은 노치(125a)에서 정지되지 않는다.
필름(21)은 더욱 스프로킷(107)을 회전시켜서 캠(125)도 회전시킨다.
피동클로우(119c)는 캠(125) 외주에 의해 압착되어 일정한 접촉상태에 있어서 작동레버(119)의 암(119a)이 눌려진 위치쪽으로 회전한다.
암(119a)이 셔터블레이드(114)의 클로우(114a)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 암(119a)은 클로우(114a)에 의해 변형되면서 클로우(114a)를 누르고 통과한다.
암(119a)이 콕킹된 위치로 오면, 리테이닝 레버(121)는 작동레대(119)를 고정시킨다.
리테이닝 레버(121)의 클로우(121b)는 캠(123) 내의 홈(123a)에 결합되어 스프로킷(107)이 회전하는 것을 고정적으로 정지시킨다.
그 사이에 계수기 휠(97)은 지시창(19)내에 최대수 27을 보이도록 회전적으로 움직인다.
변부번호(E) 대응하는 영역(126b)은 감광개구(28a)상에 위치된다.
제20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치지정구멍(111) 및 후크 수용기(110a 및 110b)는 사진촬영기계장치(103)를 본체(100)에 제거가능한 식으로 부착하도록 되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셔터덮개(115)는 셔터 블레이드(114)가 분리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렌즈(15)를 지지한다.
셔터 기저부(110)에는 축(110c 및 110d) 및 베어링 슬리브(110e)가 주어지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축(110c)상에는 계수기 휠(97) 및 작동레버가 나사를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축(110d)상에는 리테이닝 레버(121)가 나사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리테이닝 레버(121)는 스프링(12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셔터버튼(96)이 눌려지면 암(39)과 같은 부재(제5도 참조)는 리테이닝 레버(12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리테이닝 레버(121)는 눌려진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스프링(120)에 의해 회전되어 작동레버(119)의 일부분으로 부터 분리된다.
암(119a)의 동작변부(l19b)는 셔터 블레이드(114)의 클로우(114a)를 분리시켜서 셔터 블레이드(114)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이것은 클로우(114a)를 전면에서 보아 우측으로 누르고 셔터 블레이드(11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셔터 개구(112)를 개방하여 영역(126a)을 노출시킨다.
셔터 블레이드(114)는 동작변부(l19b)를 클로우(114a)로 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스프링(116)은 셔터 개구(112)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셔터 블레이드(114)를 복귀시킨다.
유사한 방식으로 필름(21)상의 다음영역이 변부번호 24와 일치하여 노출되면서 숫자 26이 지시창(19)내부에 나타난다.
변부번호 더블제로(00)에 대응하는 영역(126c)을 노출시킴으로써 27번째 화상 플레임을 만들 때까지 노출이 반복되면서, 숫자 1이 지시창(19)내부에 나타난다.
감아올리기 휠(98)의 계속되는 조작은 융기단부(121a)를 클로우(97b)와 접촉하도록 하여 리테이닝 레버(121)가 회전하는 것을 막고 피동 스프로킷(107)을 자유롭게 한다.
감아올리기 휠(98)은 필름(21)을 필름리더(21b)과 더불어 충분히 필름통(105)내로 감아올리도록 계속적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감아올리기 휠(98)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사용자는 단지 감아올리기 휠(98)상의 감소된 장전을 감지한다.
종료표시 E가 지시창(19)내에 나타나 사진필름유닛(90)의 조작을 완성시킨다.
사용 후 사진필름유닛(90)은 사진현상소에 보내지고, 여기서 저면뚜껑(14a)이 개방되고 필름(21)을 포함하는 필름통(105)이 인화목적으로 필름(21)을 취하도록 뽑아내진다.
사진 현상소의 기사는 필름통(105) 외부의 숫자표시 +3를 보고 감광면수가 3개 더 있다는 것을 감지해서, 부가적으로 노출하도록 된 사진필름유닛을 취급하도록 앞서 자각된 정보에 따라서 필름(21)을 잘라내는 위치를 조절한다.
화상 프레임이 필름(21)상에 불변의 유일한 형식으로 위치되므로, 필름(21)의 현상은 절삭, 뿌옇게 됨, 또는 시작 및 종료 프레임의 어떤 손상이 없이 수행될 수 있다.
제24도∼제27도를 참조하여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고자 한다.
셔터장치를 누르기(cocking) 위한 캠(130 및 131)에는 제24도 및 제26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피동클로우(132)의 단부(132a)를 유지하도록 V형의 노치(130a 및 131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노치(131a)는 노치(130a)보다 크다.
제25도 및 제27도에서 라인(α 및 β)은 θ에 대한 R을 따라서 셔터 콕킹캠(130 및 131)의 형상을 묘사하는 곡선인데, 여기서 R은 캠의 회전축에 대하여 캠을 가로지르는 방사상범위이고, θ는 회전각이다.
표시(α0 및 β0)는 노치(130a 및 131a)에 대응한다.
제25도 및 제2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치(130a 및 131a)의 저면은 캠(130 및 131)의 회전축에 가장 가깝다.
피동클로우(132)의 선단부(132a)는 노치(130a 및 131a)와 결합되어서 셔터 콕킹캠(130 및 131)이 찰칵 소리를 내며 정지하도록 한다.
물론 셔터 콕킹캠의 형상이 본 실시예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3개 프레임이 필름(21)상으로 사진촬영가능 프레임의 표준수에 부가하해 기록되었다.
대신으로, 2개 또는 4개 프레임도 부가적으로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서, 계수기 휠은 사진촬영가능 프레임의 잔류수를 감소적으로 나타낸다.
대신으로, 계수기 휠은 현재 계수를 증가적으로 즉 1에서 27 또는 0에서 26으로 나타낼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필름통으로 부터 인출되어지는 필름(21)은 감겨져서 단순한 롤이 되지만, 대신으로 필름(21)의 롤은 부가적인 감는 스풀 둘레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감는 스풀을 사용하면, 필름(21)의 롤은 감는 스풀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필름공급실(23)내에 회전가능식으로 격납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충분히 기술되었지만,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에 숙력된 사람들은 명백히 알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그들은 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추론될 것이다.

Claims (44)

  1. 사진필름의 구멍과 톱니바퀴가 맞물리며 상기 사진필름이 1개의 프레임씩 이동할 때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에 응하여 콕킹(Cocking)되는 셔터장치를 포함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셔터장치가 예정된 제 1 콕킹상태로 되도록 상기 스프로킷을 제 1 회전된 위치로 세팅하고; 그후에 상기 셔터장치가 상기 예정된 제 1 콕킹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에 필름을 장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은 배면이 개방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상기 배면에 부착되어 빛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상긴 배면을 덮도록 배면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사진필름을 감광되지 않은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필름공급실, 감광후의 사진필름을 감기 위한 필름통을 포함하기 위한 필름통 격납실 및, 필름공급실과 필름통 격납실 사이에 위치되는 감광실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각각 본체에 부착되는 스프로킷, 셔터장치 및 필름통 격납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필름통의 스풀에 결합되는 포크를 구비하면서 외부적으로 조작되었을 때 회전하는 감아올리기 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감아올리기 휠이 부착되는 필름 격납부 및 사진촬열기계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필름격납부는 필름공급실, 필름통 격납실 및 감광실을 구비하며; 상기 사진촬영기계장치는 감광실 전면에 부착되고 스프로킷 및 셔터장치를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필름유닛은 본체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덮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필름유닛은 ISO에 따라 정해진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은 8개의 톱니를 가지며 사진필름이 한 프레임씩 이동할 때 1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필름유닛은 스프로킷이 1회전하면 상기 스프로킷이 더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셔터장치가 조작되었을 때 회전하도록 하는 감아올리기 정지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된 위치에 있는 스프로킷은 회전하지 못하도록 되고, 상기 제 1 콕킹상태에 있는 셔터장치는 충분히 콕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은 상기 필름을 장전한 후 셔터장치를 릴리스함으로써 셔터장치의 동작을 검사하는 단계와; 셔터장치를 검사한 후 감아올리기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감아올리기 휠에 회전목적으로 가해지는 토크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토크 측정동안 M개 구멍으로 운반되는데, 여기서 1≤M≤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통은 필름통과구를 구비하고, 감광실은 배면에 형성되는 감광개구를 구비하며, 필름에 일렬로 정렬된 3∼5개 구멍은 필름통 격납실이 필름통을 격납할 때 감광개구 및 통과구 사이의 간격만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M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의 제 1 회전된 위치는 필름의 1번 감아올리기의 종료위치 이전에 1≤N≤7인 N개 톱니이고, 제 1 회전된 위치와 일치하는 셔터장치는 불완전하게 콕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은 셔터장치를 제 1 콕킹상태로 만들기 이전에, 셔터장치를 릴리스함으로써 셔터장치의 동작을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필름 장전후에 감아올리기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감아올리기 휠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토크를 측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은 필름 장전후에 감아올리기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감아올리기 휠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토크를 측정하는 단계 및 ; 상기 토크 측정후에 셔터장치를 릴리스함으로써 셔터장치의 동작을 검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통은 필름 통과구를 구비하고, 감광실은 배면에 형성되는 감광개구를 구비하며, 필름내에 일렬로 정렬된 1∼3개 구멍은 필름통 격납실이 필름통을 격납할 때 감광개구 및 통과구 사이의 간격만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은 필름을 통과시키도록 본체 및 배면덮개 사이에 형성되는 필름통로; 필름통로 내부로 돌기부가 돌출되도록 절첩식으로 구성한 결합부재 및; 필름통로내에 필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재와 결합시키도록 필름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필름이 장착된 본체의 장전에 필름통로내에 세로 방향에 대하여 감광되지 않은 채 필름을 위치 지정하도록 되는 노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서 노치 내측으로 돌출되고, 필름이 이동되는 동안 노치가 구비되어 있는 필름 가장자리에 의해 가압될 때 필름통로로 부터 탄성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본체에 필수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은 스프로킷 내에서 톱니 2개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로킷 회전의 최초 위치가 되는 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본체에 상기 필름을 장전할 때에 스프로킷은 홈에 대하여 제 1 회전된 위치에 맞추어지는데, 스프로킷의 제 1 회전된 위치는 필름의 1번 감아올리기의 종료위치에 앞서 1≤N≤7인 N톱니이며, 제 1 회전된 위치에l 부합하는 상기 셔터장치가 부분적으로 콕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22. 사진필름내 구멍과 맞물리고 사진필름이 한 프레임씩 이동하였을 때 일정한 각도로 상기 필름에 의해 회전되는 스프로킷,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에 따라 콕킹되는 셔터장치 및 상기 필름을 감아올리기 위한 감아올리기 휠을 포함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셔터장치의 동작을 검사하는 단계; 그후 상기 필름을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내로 장전하는 단계; 그후 상기 감아올리기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감아올리기 휠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토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스프로킷은 8개의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사진필름이 한 프레임씩 이동하였을 때 1회전하는 단계; 상기 토크의 측정동안 단지 M구멍으로 상기 필름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감아올리기 휠이 회전되는데 여기서 1≤M≤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필름유닛은 배면이 개방된 본체 및 빛을 차단하는 식으로 배면을 덮도록 본체의 배면에 부착되는 배면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는 사진필름을 감광되지 않은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공급실, 감광후의 사진필름을 감기 위한 필름통을 포함하기 위한 필름통 격납실 및 필름 공급실과 필름통 격납실 사이에 위치되는 감광실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각각 본체에 부착되는 스프로킷, 셔터장치 및, 필름통 격납실 내부로 나있는 필름통의 스풀에 결합되는 포크를 구비하면서 외부적으로 조작되었을 때 회전하는 감아올리기 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24. 배면에 감광되지 않은 사진필름이 미리 장전되어 있고 배면덮개로 덮혀져 있으며 사진촬영기계장치가 결합된 본체를 구비한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은 상기 필름이 통과하기 위하여 본체와 상기 배면덮개사이에 형성된 필름통로; 와 상기 필름의 가로 방향으로부터 상기 필름통로내부로 돌기부가 돌출되도록 절첩식으로 구성한 결합부재 및; 상기 필름통로내에 상기 필름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시키도록 상기 필름의 가장자리에 불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름이 필름통로내에서 항상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주는 노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사진필름을 감광되지 않은 상태로 격납하기 위한 필름공급실, 감광후의 사진필름을 감기 위한 필름통을 포함하기 위한 필름통 격납실 및 필름공급실과 필름통 격납실 사이에 위치되는 감광실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에는 각각 본체에 부착되는 사진촬영기계장치 및 필름통 격납실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필름통의 스풀에 결합되는 포크를 구비하면서 외부적으로 조작되었을 때 회전하는 감아올리기 휠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탄성을 가지고 노치 내측으로 돌출하고, 필름이 이동되는 동안 노치를 구비한 필름 가장자리에 의해 가압될 때 필름통로로 부터 탄성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본체상에 필수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28. 배면에 감광되지 않은 사진필름이 미리 장전되어 있고 배면덮개로 덮여져 있으며 사진촬영기계장치를 통합하는 본체를 구비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에 있어서, 상기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은 상기 필름이 통과하기 위하여 본체와 상기 배면덮개사이에 배치된 필름통로; 상기 필름통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사진필름의 구멍과 결합된 톱니와 조정톱니사이에 형성된 홈을 갖으며, 상기 사진필름이 한 프레임씩 이동하였을 때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스프로킷; 그리고 상기 스프로킷의 상기 톱니 2개 사이에 형성되고 스프로킷 회전의 최초위치로 되는 깊은 홈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은 8개의 톱니를 구비하고 사진필름이 한 프레임식 이동하였을 때 1회전하며; 필름을 본체에 장전할 때 스프로킷을 홈에 대하여 제 1 회전위치에 세팅하고, 스프로킷의 제 1 회전위치는 필름의 1번 감아올리기의 종료위치에 앞서 1≤N≤7인 N개 톱니이며, 제 1 회전위치에 부합하는 셔터장치는 부분적으로 콕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30. 사진필름내 구멍과 톱니 휠이 맞물려서 사진필름이 한 프레임씩 이동하였을 때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는 스프로킷과, 스프로킷의 회전에 응하여 콕킹되는 셔터장치를 포함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셔터장치를 콕킹하는 단계 및; 상기 셔터장치가 콕킹된 상태로 있는 동안 사진필름을 장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31. 사진필름내 구멍과 그 8개 톱니가 맞물리게 되어 사진필름이 한 프레임씩 이동하였을 때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는 스프로킷과, 스프로킷의 회전에 따라 콕킹되는 셔터장치를 포함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1번 감아올리기의 종료위치에서 1≤N≤7인 N톱니인 일정한 제 1 회전된 위치에 스프로킷을 맞추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1 회전된 위치에 상기 셔터장치가 부분적으로 콕킹되는 단계 및; 그후 상기 일정한 제 1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로킷이 유지하는 동안 상기 사진필름을 장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32. 필름의 구멍과 그 8개 톱니가 맞물리게 되어 상기 사진필름이 한 프레임씩 이동하였을 때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는 스프로킷과, 스프로킷의 회전에 응하여 콕킹되는 셔터장치 및 필름을 감아올리기 위한 감아올리기 휠을 포함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셔터장치의 동작을 검사하는 단계; 그후 상기 필름의 1번 감아올리기의 종료위치에서 1≤N≤7인 N톱니인 일정한 제 1 회전된 위치에 스프로킷을 맞추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1 회전된 위치가 부분적으로 콕킹되는 단계 ; 그후 상기 일정한 제 1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스프로킷이 유지하는 동안 상기 사진필름을 장전하는 단계; 그후 상기 감아올리기 휠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감아올리기 휠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토크를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33. 스풀을 구비한 필름통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스풀에 부착되는 필름 트레일러가 구비되고, 감광개구 측면에 롤의 형태로 감기며, 표준화에 따른 P개 화상 프레임의 감광에 충분한 길이의 사진필름; 상기 필름의 구멍과 맞물리는 톱니를 구비하고 필름이 한 프레임씩 이동하였을 때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스프로킷; 그리고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에 응하여 콕킹되는 셔터장치를 포함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P를 초과하여 예정된 최대수에 대한 표시를 포함하는 사진촬영가능한 프레임의 수 표시가 구비되며 스프로킷에 의해 구동되는 계수기를 상기 사진필름유닛상에 장착하는 단계; 암실에서 상기 필름을 롤의 형태로 감으면서 필름을 필름통에서 뽑아내는 단계; 상기 셔터장치가 릴리스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로킷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스프로킷이 정지된 채로 있는 동안 상기 필름통과 롤을 본체에 장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은 본체에 필름을 장전하도록 지그상에 필름을 감는 단계 및; 상기 지그를 필름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제조방법.
  35. 배면부분이 빛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된 배면덮개에 의해 덮히고 감광되지 않은 사진필름이 미리 장전되는 본체를 구비한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통과하기 위하여 본체와 배면덮개사이에 필름통로로 정의되는 수단; 상기 필름통로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필름의 구멍과 결합된 톱니를 가지며 상기 필름이 한 프레임씩 이동하였을 때 1회전하는 스프로킷; 상기 필름을 감광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내에 통합되며 상기 스프로킷의 회전에 따라 콕킹되도록 작동되며 셔터버튼에 의해 작동되는 셔터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셔터장치는 셔터 블레이드; 스프로킷과 동축으로 장착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와 접촉하고 캠부재에 의해 치환되도록 적용되며 상기 스프로킷의 1회전에 의해 콕킹된 상태로 움직이는 셔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셔터동작 레버; 그리고 상기 캠부재내에 형성되고 셔터 블레이드가 구동되었을 때 즉시 셔터작동레버의 선단부를 수용하여 캠부재 및 스프로킷이 회전하는 것을 찰칵 소리를 내며 정지시키는 결합노치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노치와 셔터작동레버의 단부는 상기 노치내에서 상기 단부의 클릭킹 결합을 위해 상보적인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노치는 U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노치는 V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38. 본체의 배면부분에 미리 장전되고 필름리더 및 필름 트레일러를 구비하며 P개 화상프레임의 감광을 위하여 적합한 길이의 감광되지 않은 사진필름 및 사진촬영기계장치를 통합하는 상기 본체를 포함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에 있어서, 화상프레임을 만들기 위해 본체내에 형성되는 감광개구; 상기 본체내의 감광개구 옆에 삽입되고, 대향하는 감광개구 측면상에서 롤로서 감기는 필름 트레일러가 부착되는 스풀을 구비하는 필름통; 상기 필름의 변부상에 미리 기록되고, 상기 화상프레임으로서 같은 피치로 필름리더로부터 필름 트레일러를 향해 배열되는 제 1 에서 제 P의 변부 번호; 상기 제 1 변부번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화상프레임을 넘어서 필름리더의 일면상에 배열되고, 변부번호에 대응하는 화상프레임들에 부가하여 하나의 화상프레임을 구비하기 위해 적용된 제 1 영역; 제 P 변부번호에 대응하는 하나의 화상프레임을 넘어서 필름 트레일러의 일면상에 배열되고, 변부번호에 대응하는 화상프레임들에 부가하여 하나의 화상프레임을 구비하기 위해 적용된 제 2 영역; 완전히 노출된 필름을 필름통내로 감아올리는 동안 셔터 콕킹장치의 기능을 억지하는 수단을 갖는 계수기 휠을 포함하되 상기 기능억지수단은 상기 변부번호에 대응하는 화상프레임에 부가하여 상기 화상프레임에 대응하는 감소된 아치형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매번 감광후에 필름통내에 감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40. 제39항에 있어서, 2개의 부가적 화상프레임은 상기 제 1 영역내에 만들어지고, 1개의 부가적 화상프레임은 제 2 영역내에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41. 사진필름이 미리 장전된 필름하우징, 셔터 릴리스동작에 의해 장전 위치로 부터 릴리스 위치로 이동되는 동안 셔터블레이드의 개폐를 위한 셔터레버, 필름 감아올리기 동작에 의해 이동된 상기 필름의 구멍과 톱니가 맞물려서 회전되는 피동 스프로킷 휠, 상기 셔터레버를 상기 릴리스위치로부터 장전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셔터레버의 한쪽 단부를 누르기 위한 상기 스프로킷 휠과 동축으로 회전되는 캠을 구비한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에 있어서, 상기 캠내에 형성되며 상기 셔터레버의 상기 한쪽 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셔터레버의 한쪽 단부와 결합된 후 상기 필름이 장전된 상기 필름하우징이 상기 캠과 일정한 회전 위치내에 상기 스프로킷 휠을 찰칵소리를 내며 정지시키는 결합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42. 사진촬영기계장치와 통합되고 사진필름과 필름 트레일러가 각각의 노출 후 필름통내에 회전하는 상기 스풀에 부착되는 상기 필름통내로 상기 필름을 감기 위한 필름통을 미리 포함하는 필름하우징, 필름이 프레임마다 이동할 때 피동 스프로킷 휠에 의해 프레임마다 회전된 화상프레임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계수기 휠, ISO에 의해 표준화된 길이를 갖는 135-형 필름을 구비한 렌즈가 부착된 사진 필름유닛에 있어서, 상기 필름하우징 내에 상기 필름과 필름통을 배치하는 동안 회전이 방지된 스프로킷 휠; 제 1 프레임영역과 관련된 제 1 변부번호, 마지막 프레임영역과 관련된 마지막 변부번호, 상기 제 1 프레임영역에서부터 마지막 프레임영역까지 상기 프레임상에 기록가능한 화상프레임의 표준화된 번호를 포함하는 상기 필름의 표준화된 길이에 따라 상기 필름상에 미리 기록된 변부번호가 있으며; 상기 표준화된 번호에 상기 화상프레임 전에 노출되는 상기 필름트레일러상 및 상기 표준화된 번호에 상기 화상프레임 후에 노출되는 필름리더상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여분 프레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43. 사진촬영기계장치와 통합하고 사진필름과 필름 트레일러가 각각 노출 후 필름통내에 회전하는 상기 스풀에 부착되는 상기 필름통내로 상기 필름을 감기 위한 필름통을 미리 포함하는 필름하우징, 필름이 프레임마다 이동할 때 피동 스프로킷 휠에 의해 프레임마다 회전된 화상프레임의 수를 표시하기 위한 계수기 휠, ISO에 의해 표준화된 길이를 갖는 135-형 필름을 구비한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표준화된 길이와 관련하여 상기 필름상에 미리 기록된 변부번호가 있으며; 상기 변부번호의 마지막 하나와 관련된 프레임 영역전에 노출되는 상기 필름 트레일러, 상기 여분의 프레임영역을 초기 노출하기 위하여 상기 필름통의 미리 꺼내어진 필름상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여분 프레임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44. 사진촬영기계장치와 결합하고 사진필름과 필름 트레일러가 각각 노출후 필름통내에 회전하는 상기 스풀에 부착되는 상기 필름통내로 상기 필름을 감기 위한 필름통을 미리 포함하는 필름하우징, 상기 필름의 구멍들과 맞물리는 피동 스프로킷 휠, 상기 스프로킷 휠이 1회전함에 따라 감기는 것으로부터 상기 필름을 정지하기 위한 감아올리기 정지장치를 구비하되, 필름리더가 포함하는 필름을 필름통내로 감기위하여 일정한 번호에서 효과적인 노출 후 상기 감아올리기 정지장치는 기능을 정지하며, ISO에 의해 표준화된 길이를 갖는 135-형 필름을 구비한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에 있어서, 상기 필름의 표준화된 길이와 관련하여 필름리더에서부터 상기 필름 트레일러 쪽으로 상기 필름상에 미리 기록된 변부번호가 있으며; 상기 변부번호의 처음의 하나의 관련된 제 1 프레임 영역에서 노출후까지 유효한 상기 감아올리기 정지장치; 상기 필름통 내부로 필름리더를 완전히 감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상기 감아올리기 정지장치가 정지되고, 상기 제 1 프레임영역 이후 노출되는 상기 필름리더와 상기 필름 상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여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KR1019930008477A 1992-05-18 1993-05-18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0168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24518A JPH05323508A (ja) 1992-05-18 1992-05-18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4-124518 1992-05-18
JP4-132843 1992-05-25
JP4-132842 1992-05-25
JP13284292A JP2880853B2 (ja) 1992-05-25 1992-05-25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13284392A JP2880854B2 (ja) 1992-05-25 1992-05-25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4-135375 1992-05-27
JP4135375A JPH05333474A (ja) 1992-05-27 1992-05-27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989A KR940005989A (ko) 1994-03-22
KR0168871B1 true KR0168871B1 (ko) 1999-03-30

Family

ID=27471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477A KR0168871B1 (ko) 1992-05-18 1993-05-18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548364A (ko)
KR (1) KR0168871B1 (ko)
CN (1) CN1074137C (ko)
FR (1) FR26912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3109B2 (ja) * 1993-07-06 2002-05-20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US5713046A (en) * 1993-10-07 1998-01-27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US5765062A (en) * 1994-04-19 1998-06-09 Keepsake, Inc. Reusable fun photography double exposure camera
US5790900A (en) * 1995-01-23 1998-08-04 Fuji Photo Film Co., Ltd. Photo film, photo film advancing device and lens-fitted photo film unit for use with the same
US5875366A (en) * 1995-02-21 1999-02-23 Fuji Photo Film Co., Ltd. Sprocket wheel and photo film advancing device
JP3387683B2 (ja) * 1995-03-22 2003-03-1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5745797A (en) * 1997-04-21 1998-04-28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assembly using mandrel to roll film in chamber
EP0874265A1 (en) * 1997-04-21 1998-10-28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s of camera assembly
GB2330942B (en) * 1997-11-04 1999-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gnetron
US6447176B2 (en) 1999-03-05 2002-09-10 West Bend Film Company, Llc Film canister device for use in a film package assembly and a method for loading a camera therewith and a camera loadable thereby
US6628896B2 (en) 2001-12-04 2003-09-30 Arc Design, Inc. Motorized single use camera
AU2003261368A1 (en) * 2002-08-02 2004-02-23 Concord Camera Corp. Film counter wheel and method for presetting the film counter wheel during film pre-loading
JP4313620B2 (ja) * 2003-06-30 2009-08-12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インスツルメンツ 電子部品供給装置を備えた電子部品装着装置
WO2010005976A1 (en) 2008-07-07 2010-01-14 Woodman Labs Mount system for attaching camera to a sport board
USD721395S1 (en) 2012-09-13 2015-01-20 Gopro, Inc. Camera
USD760309S1 (en) * 2014-05-30 2016-06-28 Gopro, Inc. Camera
USD775254S1 (en) 2014-07-21 2016-12-27 Gopro, Inc. Camera
USD766351S1 (en) * 2014-12-31 2016-09-13 Autel Aerotech Co., Ltd. Camera
USD890835S1 (en) 2017-12-28 2020-07-21 Gopro, Inc. Camera
USD907101S1 (en) 2019-06-11 2021-01-05 Gopro, Inc. Camera
USD907680S1 (en) 2018-08-31 2021-01-12 Gopro, Inc. Camera
USD903740S1 (en) 2018-09-14 2020-12-01 Gopro, Inc. Camera
USD920419S1 (en) 2019-09-17 2021-05-25 Gopro, Inc. Camera
USD949222S1 (en) 2019-09-17 2022-04-19 Gopro, Inc. Camera housing
CN217470540U (zh) 2019-09-18 2022-09-20 高途乐公司 图像捕获设备和用于图像捕获设备的门组件
USD947920S1 (en) 2020-06-30 2022-04-05 Gopro, Inc. Camera housing
US11782327B2 (en) 2020-07-02 2023-10-10 Gopro, Inc. Removable battery door assemblies for image capture devices
USD946074S1 (en) 2020-08-14 2022-03-15 Gopro, Inc.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4087A (en) * 1986-08-20 1989-11-28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film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972649A (en) * 1986-08-20 1990-11-27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film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3905310C2 (de) * 1988-02-22 2003-02-27 Fuji Photo Film Co Ltd Einwegkamera
GB2237118B (en) * 1989-09-14 1994-06-15 Fuji Photo Film Co Ltd Film initial-advance apparatus for camera
US5005035A (en) * 1989-11-20 1991-04-02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operating mechanism
US5210561A (en) * 1990-06-18 1993-05-11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 and film feeder and package holder for film processor
US5235366A (en) * 1992-03-09 1993-08-10 Eastman Kodak Company Single use photographic film package and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137C (zh) 2001-10-31
US5548364A (en) 1996-08-20
FR2691266A1 (fr) 1993-11-19
CN1080063A (zh) 1993-12-29
US6233400B1 (en) 2001-05-15
FR2691266B1 (fr) 1995-12-01
KR940005989A (ko)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871B1 (ko) 렌즈가 부착된 사진필름유닛 및 그 제조방법
JPH0232615B2 (ko)
JP3359952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検査装置
JP2880853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3609173B2 (ja) シャッタチャージ機構
US5754892A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with slot for checking shutter operation
JPH0138579Y2 (ko)
JP3695722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880854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H0756564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3375382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727707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609184B2 (ja) 写真フイルム及び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並びに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3770419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522888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カウンタ初期位置検査方法及び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059610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KR100500647B1 (ko) 렌즈부착사진필름유니트
JPH0745071Y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3588492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0161279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検査方法
JPH09120118A (ja) 写真フイルム及び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0826263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これの検査方法
JPH08262646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H09222698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0153834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