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409B1 - 도트 라인 프린터 - Google Patents

도트 라인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409B1
KR0167409B1 KR1019950028907A KR19950028907A KR0167409B1 KR 0167409 B1 KR0167409 B1 KR 0167409B1 KR 1019950028907 A KR1019950028907 A KR 1019950028907A KR 19950028907 A KR19950028907 A KR 19950028907A KR 0167409 B1 KR0167409 B1 KR 0167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uttle
printing
base plate
coi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254A (ko
Inventor
유이치 요시다
히토시 모리야마
Original Assignee
세키자와 다다시
후지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자와 다다시, 후지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자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96001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001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 B41J25/006Mechanisms for bodily moving print heads or carriages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for oscillating, e.g. page-width print heads provided with counter-balancing means or shock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9/00Character- or line-spacing mechanisms
    • B41J19/18Character-spacing or back-spacing mechanisms; Carriage return or release devices therefor
    • B41J19/20Positive-feed character-spacing mechanisms
    • B41J19/30Electromagnetically-operated mechanisms
    • B41J19/305Linear drive mechanisms for carriage mov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acter Spaces And Line Spaces In Printers (AREA)
  • Impact Printers (AREA)

Abstract

왕복 운동을 하여 도트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셔틀 유니트와 이 인쇄 셔틀 유니트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의 운동을 하는 밸런스 셔틀 유니트를 구비한 도트 라인 프린터가 개시된다. 이 인쇄 기구는 왕복 운동과 자기회로용의 가동 유니트가 분리되는 리니어 모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가동 유니트의 중량이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속의 왕복 운동이 실현될 수 있어 고속의 인쇄가 가능하다. 밸런스 셔틀 유니트가 인쇄 셔틀 유니트 아래에 배치되므로 장치를 소형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트 라인 프린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전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셔틀 유니트의 분해도.
제5도는 자기회로를 나타내는 투시도.
제6도는 제1도의 인쇄 셔틀 프레임을 나타내는 전면도.
제7도는 제2도의 인쇄 셔틀 프레임의 분해도.
제8도는 종래 기술의 투시도.
제9도는 종래 기술의 부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쇄 유니트 2, 8, 12 : 인쇄 셔틀 유니트
3 : 셔틀 프레임 4 : 코일 베이스 판
5, 82, 92 : 코일 7, 17 : 영구자석
70 : 플레튼 71 : 용지
80 : 인쇄 유니트 81, 91 : 셔틀 프레임
87, 97 : 유도 롤러 93 : 베이스 프레임
94 : 자석 95 : 셔틀 축
본 발명은 왕복 운동을 하는 인쇄(印字) 유니트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셔틀 유니트를 설치한 도트 라인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도트 라인 프린터 장치는 인쇄 유니트가 직선 왕복 운동을 하면서 인쇄(printing)를 행한다. 한 라인의 인쇄가 끝나면 그 직각 방향에 용지를 반송함으로써 연속적인 인쇄가 수행된다. 이 인쇄 유니트는 많은 도트 엘레멘트를 가지고 있어 중량이 무겁다. 이 때문에 인쇄 유니트의 왕복 운동으로 인해 장치가 진동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장치내에는 인쇄 유니트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셔틀 유니트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셔틀 유니트의 운동은 인쇄 유니트의 운동과 균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장치의 진동이 방지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셔틀 유니트를 갖춘 도트 라인 프린터에서는 왕복 운동의 고속화가 요구되고 있다.
제8도는 종래 기술의 사시도이고, 제9도는 종래 기술의 단면도이다.
제8도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런스 셔틀 유니트(9)가 인쇄 셔틀 유니트(8)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인쇄 셔틀 유니트(8)는 다수의 도트 인쇄 엘레멘트를 지닌 인쇄 유니트(80)를 갖추고 있다. 이 인쇄 유니트(80)는 셔틀 축(85)을 따라 이동하는 셔틀 프레임(81)에 탑재되어 있다. 인쇄 유니트(80)는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외이어를 각각 가지고 있는 다수의 와이어 도트 엘레멘트 줄(strings)이 소정의 간격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된다.
이 셔틀 프레임(81)의 아래에는 요크(86)를 통해 코일(8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코일(82)에 대향해서 자석(84)이 베이스 프레임(요크)(83)에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87 은 왕복 운동을 위한 유도 롤러이고, 88 은 밸런스용 웨이트(weight)임에 주의하라.
한편 밸런스 셔틀 유니트(9)는 중량적으로 균형을 이루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90)를 가지고 있다. 이 밸런스 웨이트 유니트(90)는 셔틀 축(95)을 따라 이동하는 셔틀 프레임(91)에 탑재된다. 이 셔틀 프레임(91)의 아래에는 요크(96)를 통해 코일(92)이 설치된다. 코일(92)과 대향해서 베이스 프레임(요크)(93)에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97 은 왕복 운동용의 유도 롤러이다.
이 인쇄 기구의 원리는 인쇄 유니트(80)를 리니어 모터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이다. 즉, 코일(82)이 고정되는 셔틀 유니트(81)가 용지(71)의 반송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이 운동과 함께 인쇄 유니트(80)의 와이어 도트 인쇄 엘레멘트가 플래튼(platen)(70) 방향으로 구동되어 용지(71)에 인쇄를 행한다.
리니어 모터의 운동원리에 따라 코일(82) 아래에 설치된 영구자석(84)에 의해 발생된 전계에서 코일(82)에 전류가 흐른다. 이것에 의해 코일(82)이 설치된 셔틀 유니트(81)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른 운동을 한다.
한편 밸런스 셔틀 유니트(9)는 동일한 원리에 의해 인쇄 유니트(8)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고, 이러한 운동은 인쇄 셔틀 유니트(8)의 관성 모드를 제거해서 진동을 방지한다.
인쇄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쇄 유니트의 왕복 운동의 고속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왕복 운동을 하는 부재의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리니어 모터의 부하를 감소시키는 방법과 리니어 모터의 출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고려되고 있다.
전자는 코일(82,92)과, 셔틀 프레임(81,91)과, 코일 베이스(86,96)의 중량을 경감시킬 필요가 있으며, 코일(82,92)의 경량화는 코일(82,92)을 소형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하면 리니어 모터의 출력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코일의 중량을 줄일 수 없다.
더욱이 셔틀 프레임(81)은 인쇄 반응력(printing reaction)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안정적인 왕복 운동을 실현하기 때문에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더욱이 종래 기술에서는 코일 베이스(86,96)는 요크를 겸하고 있기 때문에 자석의 자속을 포화시키지 않을 정도의 최소 판 두께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여기에는 코일 베이스의 중량을 줄이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리니어 모터의 출력을 증대시키는 것은 코일 또는 자석을 크게 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장치의 사이즈가 증대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외에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인쇄 셔틀 유니트(8)와 밸런스 셔틀 유니트(9)가 용지를 통해 서로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장치의 크기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인쇄 유니트의 왕복 운동을 가속화할 수 있는 도트 라인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왕복 운동 기구의 가동 유니트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도트 라인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코일 베이스의 판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도트 라인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왕복 운동에 의한 진동을 제한할 수 있는 도트 라인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도트 라인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의 발명에 의하면 도트 라인 프린터는 왕복 운동을 하여 도트 인쇄를 하는 인쇄 셔틀 유니트와 이 인쇄 셔틀 유니트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밸런스 셔틀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 셔틀 유니트는 대향관계로 설치되는 제 1 자석과 제 1 요크를 갖춘 제 1 자기회로와, 이 제 1 자기회로의 갭에 설치되어 제 1 코일이 설치된 제 1 코일 베이스 판을 구비하고 있다. 인쇄 셔틀 유니트는 복수의 도트 인쇄 엘레멘트를 갖춘 인쇄 유니트와, 이 인쇄 유니트가 탑재된 인쇄 셔틀 프레임과 이 인쇄 셔틀 프레임에 제 1 코일 베이스판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아암을 구비하고 있다. 밸런스 셔틀 유니트는 대향관계로 설치되는 제 2 자석과 제 2 요크를 갖춘 제 2 자기회로와, 이 제 2 자기회로의 갭에 설치되어 인쇄 유니트와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밸런스 유니트와 제 2 코일이 설치된 제 2 코일 베이스 판을 구비하고 있다. 밸런스 셔틀 유니트는 이 셔틀 프레임에 제 2 코일 베이스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연결 아암과, 밸런스 유니트가 탑재된 셔틀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본원의 발명에 따르면 셔틀 유니트의 코일 베이스 판은 요크로서 동작하지 않는다. 고정된 요크가 적절한 방법으로 설치된다. 이 코일 베이스 판에는 연결 아암을 사용하여 셔틀 프레임이 고정된다. 따라서 코일 베이스 판은 코일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셔틀 유니트의 가동 유니트는 중량이 경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쇄 유니트의 고속 운동이 가능해져 고속의 인쇄를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본원의 다른 발명에 의하면 용지에 인쇄를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는 왕복운동을 하여 도트 인쇄를 하는 인쇄 셔틀 유니트와 인쇄 셔틀 유니트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 셔틀 유니트의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밸런스 셔틀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다.
본원의 이러한 양상에 따르면 밸런스 셔틀 유니트는 인쇄 셔틀 유니트 아래에 설치되므로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왕복 운동의 반응력을 겪는 각각의 자석이 서로 근접하게 설치되고, 이외에도 2 개 셔틀의 가동 유니트 역시 서로 근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전체 장치에 가해지는 진동이 제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속의 운동이 얻어질 수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특성과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투시도이고, 제2도는 측면도이며, 제3도는 전면도이다. 제4도는 셔틀 유니트의 분해도이고, 제5도는 자기회로를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제6도는 제1도의 인쇄 셔틀 프레임을 나타내는 전면도이고, 제7도는 제1도의 셔틀 프레임을 나타내는 투시도이다.
제1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트 라인 프린터는 인쇄 유니트(1)가 탑재된 인쇄 셔틀 유니트(2)와 이 인쇄 셔틀 유니트(2) 아래에 설치된 밸런스 셔틀 유니트(11)로 구성된다. 이 인쇄 유니트에는 다수의 인쇄 엘레멘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쇄 유니트(10)는 잘 아는 바와 같이 하나의 라인에 배열되는 여러 와이어 도트 엘레멘트를 각각 가지고 있는 다수의 와이어 도트 엘레멘트가 소정의 피치에 배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예시하지 않은 플레튼은 인쇄 유니트(1)에 대향하여 설치된다.
제6도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쇄 셔틀 유니트(2)는 셔틀 축(10)을 따라 이동하는 셔틀 프레임(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셔틀 프레임(3)에는 인쇄 유니트(1)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셔틀 프레임(3)에는 왕복 운동용의 유도 롤러(8)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코일 베이스 판(4)은 경량의 비자성 재료로 구성된다.
이 코일 베이스 판(4)은 그 후면에 다수의 코일(5)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아암(9)은 코일 베이스 판(4)의 양 에지에 나사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6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셔틀 프레임(3)과, 한 쌍의 연결 아암(9)과 코일 베이스 판(4)이 조합되어 박스 구조를 이룬다.
반면에 밸런스 셔틀 유니트(11)는 제7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셔틀 축(20)을 따라 이동하는 셔틀 프레임(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셔틀 프레임(13)에는 밸런스 중량 유니트(26)가 탑재되어 있다. 셔틀 프레임(13)에는 왕복 운동용의 유도 롤러(18)로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코일 베이스 판(14)은 경량의 비자성 재료이다.
이 코일 베이스 판(14)에는 그 후면에 다수의 코일(15)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아암(19)은 코일 베이스 판(14)의 양 에지와 셔틀 프레임(13)의 양 에지에 나사로 고정된다. 따라서 유사하게 셔틀 프레임(13)과, 한 쌍의 연결 아암(19)과, 코일 베이스 판(14)이 조합되어 박스 구조를 이룬다.
다음에 자기회로의 구조가 설명된다. 제4도와 제5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자기회로는 단면이 E 자 형상인 유지 블록(25)을 가지고 있다. 이 유지 블록(25)은 상부 아암(25-1)과, 중간 아암(25-2)과 하부 아암(25-3)을 가지고 있다. 이들 아암(25-1)(25-2)(25-3) 사이의 갭은 일정하다.
제 1 요크(28-1)가 상부 아암(25-1)의 하부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요크(28-1)에 대향하여 요크(6)와 제 1 영구자석(7)이 중간 아암(25-2)의 상부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요크(16)와 제 2 영구자석(17)이 중간 아암(25-2)의 하부 표면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영구자석(17)에 대향하여 하부 아암(25-3)의 상부 표면에는 제 2 요크(28-2)가 설치되어 있다.
제4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유지 블록(25)의 제 1 아암(25-1)이 인쇄 셔틀 유니트(2)의 셔틀 프레임(3)과 코일 베이스 판(4) 사이에 삽입된다. 유지 블록(25)의 제 2 아암(25-2)이 인쇄 셔틀 유니트(2)의 코일(5)과 밸런스 셔틀 유니트(12)의 코일(15) 사이에 삽입된다. 유지 블록(25)의 제 3 아암(25-3)이 밸런스 셔틀 유니트(12)의 셔틀 프레임(13)과 코일 베이스 판(14) 사이에 삽입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면(section)은 제2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되고 정면은 제3도와 같이 된다. 즉, 인쇄 셔틀 유니트(2)에서는 제 1 코일 베이스 판(4)에 설치된 코일(5)이 제 1 요크(28-1)와 제 1 영구자석(7) 사이의 자기갭에 위치한다. 더욱이 밸런스 셔틀 유니트(12)에서는 제 2 코일 베이스 판(14)에 설치된 코일(15)이 제 2 요크(28-2)와 제 2 영구자석(17) 사이의 자기갭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밸런스 셔틀 유니트(12)를 자기회로의 유지 블록(25)을 중심으로 하여 인쇄 셔틀 유니트(2)의 대칭 위치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지금 까지 넓은 실장 영역(packaging)을 필요로 했던 셔틀 기구를 콤팩트하게 실장할 수 있다. 더욱이 왕복운동의 반응력을 각각 받고 있는 영구자석(7,17)을 서로 근접하게 배치시키고, 이 밖에도 2 개의 셔틀 유니트(2,12)의 왕복 운동부도 서로 근접하게 배치시킴으로써 장치 전체에 미치는 진동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고속의 운동이 실현된다.
2 개의 셔틀 유니트(2,12)는 가동 코일 유니트와 자기회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니트는 서로 분할되기 때문에 가동 코일 유니트는 코일 베이스 판이 셔틀 프레임의 양 에지의 연결 아암에 부착되고 코일이 상기 코일 베이스 판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코일 베이스 판은 요크로서 동작하지 않으므로 자석의 자속을 포화시키지 않을 정도의 판 두께를 갖는 요크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코일 베이스 판은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코일 베이스 판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은 비자기 재료로 형성되므로 중량이 경감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코일 베이스 판은 자석에 붙지 않으므로 자석 흡인력에 대한 코일 베이스 판의 강도를 무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코일 베이스 판이 박판화 될 수 있어 경량의 코일 베이스 판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셔틀 유니트의 가동 유니트가 경량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인쇄 유니트의 왕복 운동이 가속화될 수 있다.
더욱이 제4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쇄 셔틀 유니트(2)와 밸런스 셔틀 유니트(12)는 코일 가동 유니트와 자기회로가 서로 분리되는 그러한 방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코일 유니트 그 자체는 전혀 자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 때문에 유지 작업에 있어 코일의 교환시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 개의 셔틀 유니트 즉, 인쇄 셔틀 유니트(2)와 밸런스 셔틀 유니트(12)의 자기회로에서는 자석 결합 베이스(6,16)와, 대향하는 요크 판(28-1,28-2)을 붙인 블록(25)이 E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함으써 이들 결합면의 평면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함으로써 리니어 모터의 갭을 균일화할 수 있고, 더욱 항구적인 가속이 얻어진다.
더욱이 가동 코일 유니트는 코일 베이스 판이 셔틀 프레임의 양 에지의 연결 아암에 부착되고, 이에 따라 셔틀 프레임의 강도의 증가가 실현될 수 있는 박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경량의 셔틀 프레임이 얻어질 수 있다.
더욱이 양 셔틀 유니트의 셔틀 프레임과, 연결 아암과 가동 코일부를 공통으로 했기 때문에 비용 절감 및 조립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 더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먼저, E 자 형상의 유지 블록을 이용하고 있지만, 유지 블록의 형상이 이러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와이어 도트 인쇄 엘레멘트를 구비한 인쇄 유니트를 실례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도트 인쇄 엘레멘트의 다른 형태를 갖는 인쇄 유니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형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배척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셔틀 유니트의 코일 가동 유니트와 자기회로를 서로 분리했기 때문에 코일 가동 유니트가 경량화될 수 있어 인쇄 유니트의 왕복 운동의 고속화가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지 작업 역시 용이해진다. 더욱이 인쇄 셔틀 유니트와 밸런스 셔틀 유니트가 상하로 설치되기 때문에 실장 면적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0)

  1. 왕복 운동을 하여 도트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셔틀 유니트와,상기 인쇄 셔틀 유니트와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밸런스 셔틀 유니트를 갖춘 도트 라인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인쇄 셔틀 유니트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 자석과 제 1 요크를 갖춘 제 1 자기회로와; 상기 제 1 자기회로의 자기 갭에 배치되어 제 1 코일이 설치되는 제 1 코일 베이스 판과; 다수의 도트 인쇄 엘레멘트를 갖는 인쇄 유니트와; 상기 인쇄 유니트가 탑재된 인쇄 셔틀 프레임과; 상기 인쇄 셔틀 프레임에 상기 제 1 코일 베이스 판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밸런스 셔틀 프레임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자석과 제 2 요크를 갖춘 제 2 자기회로와; 상기 제 2 자기회로의 자기 갭에 배치되어 제 2 코일이 설치되는 제 2 코일 베이스 판과; 상기 인쇄 유니트와 균형을 이루기 위한 밸런스 유니트와; 상기 밸런스 유니트가 탑재된 셔틀 프레임과; 상기 셔틀 프레임에 상기 제 2 코일 베이스 판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연결 아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코일 베이스 판은 각기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유니트의 제 1 코일 베이스 판과, 상기 한 쌍의 제 1 연결 아암과, 상기 셔틀 프레임이 박스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밸런스 셔틀 유니트의 제 2 코일 베이스 판과, 상기 제 2 연결 아암과, 상기 셔틀 프레임이 박스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유니트가 복수의 와이어 도트 인쇄 엘레멘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
  5. 용지에 도트 인쇄를 수행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에 있어서, 왕복 운동을 하여 도트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 셔틀 유니트와; 상기 인쇄 셔틀 유니트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 셔틀 유니트의 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는 밸런스 셔틀 유니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셔틀 유니트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1 자석과 제 1 요크를 갖춘 제 1 자기회로와; 상기 제 1 자기회로의 자기갭에 배치되어 제 1 코일이 설치되는 제 1 코일 베이스 판과; 복수의 도트 인쇄 엘레멘트를 갖는 인쇄 유니트와; 상기 인쇄 유니트가 탑재된 인쇄 셔틀 프레임과; 상기 인쇄 셔틀 프레임에 상기 제 1 코일 베이스 판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밸런스 셔틀 프레임은,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자석과 제 2 요크를 갖춘 제 2 자기회로와; 상기 제 2 자기회로의 자기갭에 배치되어 제 2 코일이 설치되는 제 2 코일 베이스 판과; 상기 인쇄 유니트와 균형을 이루기 위한 밸런스 유니트와; 상기 밸런스 유니트가 탑재된 셔틀 프레임과; 상기 셔틀 프레임에 상기 제 2 코일 베이스 판을 연결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연결 아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코일 베이스 판이 각기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 유니트의 제 1 코일 베이스 판과, 한 쌍의 제 1 연결 아암과 상기 셔틀 프레임이 박스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밸런스 셔틀 유니트의 제 2 코일 베이스 판과, 상기 제 2 연결 아암과 상기 셔틀 프레임이 박스 형상의 구조를 형성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
  9. 제6항에 있어서, 상부 아암과, 상기 상부 아암에 대해 일정한 갭을 갖도록 배치된 중간 아암과, 상기 중간 아암에 대해 일정한 갭을 갖도록 배치되는 하부 아암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요크가 상기 상부 아암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자석이 상기 중간 아암의 하부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요크가 상기 하부 아암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유니트가 복수의 와이어 도트 인쇄 엘레멘트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트 라인 프린터.
KR1019950028907A 1994-09-06 1995-09-05 도트 라인 프린터 KR0167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12231 1994-09-06
JP6212231A JPH0872353A (ja) 1994-09-06 1994-09-06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シャトル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254A KR960010254A (ko) 1996-04-20
KR0167409B1 true KR0167409B1 (ko) 1999-03-30

Family

ID=16619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8907A KR0167409B1 (ko) 1994-09-06 1995-09-05 도트 라인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44964A (ko)
JP (1) JPH0872353A (ko)
KR (1) KR0167409B1 (ko)
CN (1) CN106459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4983B2 (ja) * 1996-01-08 2002-06-24 富士通株式会社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装置
US5821981A (en) * 1996-07-02 1998-10-13 Gerber Systems Corporation Magnetically preloaded air bearing motion system for an imag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405A (en) * 1987-12-16 1990-07-17 Dataproducts Corporation Driving mechanism for reciprocating print shuttle
US4921365A (en) * 1988-08-10 1990-05-01 Royden C. Sanders, Jr. High speed shuttle printer
JP2913821B2 (ja) * 1990-02-23 1999-06-28 日立工機株式会社 ドットラインプリンタのインクリボン速度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72353A (ja) 1996-03-19
CN1128214A (zh) 1996-08-07
US5544964A (en) 1996-08-13
CN1064597C (zh) 2001-04-18
KR960010254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597B2 (en) Linear drive device provided with an armature body having a magnet carrier
WO2017088366A1 (zh) 线性振动马达
KR970011085B1 (ko) 프린터용 셔틀장치
KR20060069868A (ko) 가동 자석형 리니어 액츄에이터
KR0167409B1 (ko) 도트 라인 프린터
GB2028597A (en) Electrical motor
JPS6018297B2 (ja) 走査用キャリア装置
JP3463766B2 (ja) プリンタ
JP3661370B2 (ja)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3777236A (en) Reciprocating motor
US4421430A (en) Dot printer
JPH0414070B2 (ko)
US5560723A (en) Shuttle driving mechanism of printer apparatus
JP2001309632A (ja) 振動型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H05316712A (ja) 2軸ステージ装置
JPS5980145A (ja) 往復直進装置
JP2835249B2 (ja) プリンタのシャトル装置
JPH037163Y2 (ko)
JPS6046027B2 (ja) プリンタ装置
CN116760251A (zh) 一种新型三自由度平动作动器
JPH037055A (ja) リニアモータ装置
JPH05168219A (ja) リニアモータ
JP4151067B2 (ja) リニアモータ
JPH06747U (ja) ラインドットプリンタにおける印字ハンマバンク揺動装置
JPS5989175A (ja) 印字ヘツ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