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185B1 -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185B1
KR0167185B1 KR1019950037894A KR19950037894A KR0167185B1 KR 0167185 B1 KR0167185 B1 KR 0167185B1 KR 1019950037894 A KR1019950037894 A KR 1019950037894A KR 19950037894 A KR19950037894 A KR 19950037894A KR 0167185 B1 KR0167185 B1 KR 0167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ge
level
button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920A (ko
Inventor
김충원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1019950037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185B1/ko
Publication of KR970020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0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with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mounted in the car or cage or in the lift well or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장치는 착상레벨 오차 발생시 기계실 및 케이지내에 보수원이 각각 1명 있어야 하고, 이에 따라 인터폰 상태가 불량하면 기계실과 케이지내의 통화가 불편하며, 또한 확인과 조정하는 보수원이 다르므로 정확한 레벨을 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상레벨 오차 발생시 케이지내에서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오차조정수단과;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기 위해 케이지내의 부름을 등록함과 아울러 착상레벨 오차의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등록수단과; 상기 케이지로부터의 수정 데이터신호를 전송 입력받아 그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전제어 및 속도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연산처리부와; 상기 버튼등록부에 의한 층수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층수를 표시하거나 버튼제어부에 의한 데이터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를 창안한 것으로 이의 작용을 통해 즉, 엘리베이터에 착상레벨 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케이지내에서 직접 오차를 확인해 가면서 조정할 수 있어 조정시간이 단축됨과 아울러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버튼제어부 110 : 버튼등록부
120 : 입력제어부 130 : 기계실통신제어부
140 : 케이지통신제어부 150 : 키보드
160 : 중앙연산처리부 170 : 메모리
180 : 층수출력부 190 : 7세그먼트표시부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 운행 시, 착상레벨이 맞지 않을 경우 케이지내에 설치된 제어부를 이용하여 직접 레벨오차를 확인하면서 착상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운전제어 및 속도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연산처리부(1)와; 착상레벨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2)와; 상기 키보드(2)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와;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기 위해 케이지내의 부름을 등록하기 위한 버튼등록부(7)와; 입력된 버튼접점을 읽어 들이는 입력제어부(6)와; 층수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층수출력부(8)와; 상기 층수출력부(8)에 의해 출력된 층수를 표시하는 7세그먼트표시부(9)와; 케이지와 기계실제어반사이의 통신을 위한 케이지통신제어부(4) 및 기계실통신제어부(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의 고속 운전시 착상레벨이 맞지 않으면 착상레벨을 조정하기 위해 2명의 보수원이 필요하다.
한명은 케이지내에서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면서 레벨 오차를 체크하여 기계실에 있는 다른 보수원에게 인터폰을 통하든지 기타 수단을 이용하여 수정되어야 할 데이터를 알려준다.
그러면 기계실에 있는 보수원은 키보드(2) 또는 아나운시에이터를 이용하여 메모리(3)(예:이이피롬)에 수정 데이터를 입력한다.
상기 수정 데이터를 메모리(3)에 입력한 후, 기계실에 있는 보수원이 다시 케이지내에 있는 보수원에게 연락하면 케이지내에 있는 보수원은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키면서 상기 내용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동작 과정을 각 블록별 기능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엘리베이터가 도어 존에 정지했을 때 홀 바닥면과 케이지 바닥면이 일치가 되지 않으면 정확한 레벨조정을 하기 위해 먼저, 키보드(2) 또는 아나운시에이터를 이용하여 수정할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중앙연산처리부(1)는 상기 키보드(2)의 모드스위치의 선택에 따라 무부하조정 및 전부하조정 등으로 구분하여 조정한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를 업(UP)동작 시키면서 레벨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모드' + '10'을 선택하고, 엘리베이터를 다운(DOWN)시키면서 레벨을 조정하는 경우에는 '모드' + '11'을 선택한다.
이후, 수정할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예를 들어 업(UP)인 상태에서 레벨이 '16mm'의 오차가 발생하였고, 기존의 데이터는 '$6d'(16진수)라고 한다면 먼저, '모드' + '10'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화면에는 기존의 데이터 '$6d'가 표시된다.
이때, 레벨차 '1mm'를 '$01'로 해서 데이터를 재계산하여 수정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러면 화면에는 수정 데이터($5d)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면 메모리는 이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수정 데이터의 입력에 의해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도어존에 정지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엘리베이터를 운행시켜 본다.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는 과정은 먼저, 케이지내의 버튼등록부(7)를 이용하여 행선지를 등록하면 그 등록신호는 입력제어부(6)를 통해 기계실통신제어부(5)에 전달된다.
상기 기계실통신제어부(5)는 입력된 등록신호를 층수출력부(8)를 통해 7세그먼트표시부(9)로 표시토록 함과 아울러 케이지통신제어부(4)를 통해 중앙연산처리부(1)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중앙연산처리부(1)는 입력된 등록신호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운행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착상레벨 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장치는 엘리베이터에 착상레벨 오차 발생 시 기계실 및 케이지내에 보수원이 각각 1명 있어야 하고, 이에 따라 인터폰 상태가 불량하면 기계실과 케이지내의 통화가 불편하며, 또한 확인과 조정하는 보수원이 다르므로 정확한 레벨을 조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지내에 착상레벨 오차를 조정할 수 있는 제어부를 별도로 설치하여 케이지내에서 착상레벨 오차를 직접 확인하면서 조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절장치는 착상레벨 오차 발생시 케이지내에서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오차조정수단과;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기 위해 케이지내의 부름을 등록함과 아울러 착상레벨 오차의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등록수단과; 상기 케이지로부터의 수정 데이터신호를 전송 입력받아 그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전제어 및 속도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연산처리부와; 상기 버튼등록부에 의한 층수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층수를 표시하거나 버튼제어부에 의한 데이터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상레벨 오차 발생시 케이지내에서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제어부(100)와;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기 위해 케이지내의 부름을 등록함과 아울러 착상레벨 오차의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등록부(110)와; 상기 버튼제어부(100)와 버튼등록부(110)로부터 버튼의 접점상태 및 착상레벨 수정 데이터 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신호를 전달하는 입력 제어부(120)와; 상기 입력제어부(120)에서 기계실제어반과 통신을 위한 기계실통신제어부(130)와; 상기 기계실통신제어부(130)와의 통신을 위한 케이지통신제어부(140)와; 착상레벨 오차 발생시 기계실제어반내에서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50)와; 상기 키보드(150) 또는 상기 케이지통신제어부(140)로부터의 수정 데이터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전제어 및 속도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연산처리부(160)와; 상기 키보드(150) 또는 중앙연산처리부(160)로부터의 수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70)와; 상기 기계실통신제어부(130)의 출력신호에 의한 층수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층수출력부(180)와; 상기 층수출력부(180)에 의해 출력된 층수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층수를 표시하거나 수정 데이터를 표시하는 7세그먼트표시부(190)로 구성하다.
상기 버튼제어부(100)는 착상레벨 오차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고정용 스위치(SW1)와 가산, 감산, 취소, 확인을 선택하기 위한 로터리스위치(SW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가 도어존에 정지했을 때, 홀바닥면과 케이지 바닥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착상레벨에 오차가 생기면 승객에게 큰 불편을 줄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착상레벨 오차가 발생하면 이를 조정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기계실제어반에서 키보드(150)를 이용하여 수정 오차를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지내에 취부되어 있는 버튼제어부(100)를 이용하여 착상레벨 오차를 수정한다.
이때, 케이지내의 버튼등록부(110)도 수정 데이터를 입력함에 있어 보조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버튼등록부(110)의 버튼이 10층 이하인 경우와 10층을 초과하는 경우에 따라 조정방법이 다르다.
먼저, 버튼등록부(110)의 버튼이 10층 이하이고, 기존의 데이터 값은 $6d이며, 레벨을 업(UP)으로 조정할 경우에는 '모드' + '10'으로 하고, 레벨을 다운(DOWN)으로 조정할 경우에는 '모드' + '11'로 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레벨 오차는 '(+)16mm'라고 가정한다.
우선, 버튼제어부(100)의 고정용 스위치(SW1)를 '모드'선택 위치에 놓는다. 그리고 버튼등록부(110)의 10층 행선지 버튼을 누른 다음 로터리스위치(SW2)를 '가산'위치에 놓고 버튼등록부(110)의 1층 행선지 버튼을 누른 다음 로터리스위치(SW2)를 '확인'위치에 놓는다.
그러면 '모드-11' 즉, 레벨을 다운으로 조정하는 상태로 셋트된다. 이와 같이 셋트가 되면 7세그먼트표시부(190)는 기존의 데이터인 '$6d'를 표시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기존의 데이터에서 레벨오차인 '16mm'를 빼주어야 하므로 버튼제어부(100)의 로터리스위치(SW2)를 '감산'위치에 놓고 다시 '확인'위치에 놓는다.
그러면 '기존의 데이터 -' 즉 '$6d - '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버튼등록부(110)의 10층 행선지 버튼을 누른 다음 버튼제어부(100)의 로터리스위치(SW2)를 '가산'위치에 놓고 버튼등록부(110)의 6층 행선지 버튼을 누른 다음 다시 버튼제어부(100)의 로터리스위치(SW2)를 '확인'위치에 놓는다.
이와 같이 하면 기존의 데이터에서 레벨오차를 빼는 식이 성립된다. 즉, '$6d - 16'가 성립되는데, 이와 같은 식의 계산된 값 '$5d'는 다시 7세그먼트표시부(190)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착상레벨 오차에 대한 수정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버튼제어부(100)의 고정용 스위치(SW1)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켜 착상레벨 수정모드를 해제한다.
그러면 7세그먼트표시부(190)는 다시 정상적으로 해당 층수를 표시한다.
만약 버튼등록부(110)의 버튼 스위치가 10층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모드-11'을 선택할 경우 11층 행선지 버튼을 이용하여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제어부(100)와 버튼등록부(110)에서 출력된 신호는 모두 입력제어부(120)와 기계실통신제어부(130)와 케이지통신제어부(140)를 통해 중앙연산처리부(160)에 전달되어 그 중앙연산처리부(160)의 제어를 받는다.
그리고 기계실통신제어부(130)는 층수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층수출력부(180)에 인가하고 7세그먼트표시부(190)는 그 층수출력부(18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값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버튼제어부(100)를 케이지내에 취부하지 않고 휴대용으로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용으로 만들게 되면 필요시에만 케이지내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일반인들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착상레벨 오차가 발생하였을 때 케이지내에서 직접 오차를 확인해 가면서 조정할 수 있어 조정시간이 단축됨과 아울러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착상레벨 오차 발생시 케이지내에서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오차조정수단과;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기 위해 케이지내의 부름을 등록함과 아울러 착상레벨 오차의 수정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등록수단과; 상기 케이지로부터의 수정 데이터신호를 전송 입력받아 그에 따른 엘리베이터 운전제어 및 속도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연산처리부와; 상기 버튼등록부에 의한 층수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층수를 표시하거나 버튼제어부에 의한 데이터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데이터 값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오차조정수단은 착상레벨 오차를 수정하기 위한 수정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1스위칭부와; 가산, 감산, 취소, 확인 등을 선택하기 위한 제2스위칭부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KR1019950037894A 1995-10-28 1995-10-28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KR0167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894A KR0167185B1 (ko) 1995-10-28 1995-10-28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894A KR0167185B1 (ko) 1995-10-28 1995-10-28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20A KR970020920A (ko) 1997-05-28
KR0167185B1 true KR0167185B1 (ko) 1998-12-01

Family

ID=1943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894A KR0167185B1 (ko) 1995-10-28 1995-10-28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1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202B1 (ko) 2019-04-01 2019-09-0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안전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KR20210088119A (ko)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KR20210088113A (ko)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202B1 (ko) 2019-04-01 2019-09-0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안전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KR20210088119A (ko)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KR20210088113A (ko)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20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0231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용동작사양설정장치
CN110498310B (zh) 轿厢位置确定装置以及轿厢位置确定方法
KR0167185B1 (ko)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JPH0216327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186378B1 (ko) 엘리베이터의 동기위치 보정장치
EP0456265A3 (en) Procedure for the selection of an elevator in an elevator group
JP2567524B2 (ja) エレベーターの信号伝送装置
US20230109305A1 (en)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operation mode
JP473794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WO2007020326A1 (en) Elevator system
KR900002782B1 (ko)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
WO2021038624A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0512575A2 (en) Electronic code key
JPH1087206A (ja) エレベータの保守運転装置
JPH0130755B2 (ko)
JPH07330245A (ja) エレベーターの負荷検出調整装置
KR101820660B1 (ko) 승강장 인디케이터 패널의 외부버튼을 이용한 층 id 저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346282B1 (ko) 직렬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190432B1 (ko) 엘리베이터 감시 장치
CN112020472A (zh) 具备更新电梯的点检信息显示的功能的显示控制装置及电梯系统
JP2005280888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CN110316621B (zh) 基于电梯安全回路的外呼地址设置方法
KR0179885B1 (ko) 엘리베이터 시험 장치
JP3028876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装置
JP3927268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姿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