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113A -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113A
KR20210088113A KR1020200001243A KR20200001243A KR20210088113A KR 20210088113 A KR20210088113 A KR 20210088113A KR 1020200001243 A KR1020200001243 A KR 1020200001243A KR 20200001243 A KR20200001243 A KR 20200001243A KR 20210088113 A KR20210088113 A KR 202100881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implantation
sensor
level adjustment
implanta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8036B1 (ko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테크
Priority to KR102020000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0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88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완벽한 방수처리가 됨으로써 케이지와 홀실 사이로 흘러든 물에 의한 작동 오류 및 고장이 발생되지 않으며, 케이지의 정차 시 승객들의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순간적인 충격이나 하중 쏠림 현상으로 인한 착상 레벨 오차까지도 반영하여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은 케이지와 홀실 사이로 흘러든 물에 의한 작동 오류 및 고장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케이지나 홀실 바닥을 부담 없이 물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유지 관리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케이지가 원하는 홀실에 정차한 후 도어 개방 전, 후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들의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순간적인 충격이나 하중 쏠림 현상으로 인하여 케이지가 소정 높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착상 레벨 오차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착상 레벨 오차가 수정된 후 도어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드나들 시 케이지 바닥면과 홀실 바닥면에 발생되는 단차부에 승객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 없이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ELEVATION LEVEL ADJUSTMENT SYSTEM FOR ELEVATORS}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의 운행 시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는 케이지의 바닥면이 각 층별로 마련된 홀실 측의 바닥면과 수평이 되어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케이지의 레벨을 조정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라 함은 승객이 탑승하거나 화물을 실은 케이지가 승강로 따라 승강되면서 건물의 각 층의 홀 실로 승객이나 화물을 운반하는 기기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경우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면서 건물의 각층별로 마련된 홀 실에 승객이 내리거나 홀 실로부터 케이지로 승객이 탑승하기 위해 정차할 시 케이지의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이 수평이 되도록 케이지의 정차 높이, 즉 케이지의 착상 레벨이 조정해야만 하며, 상기 케이지의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의 레벨 조정이 되지 않아 상기 케이지의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단차가 발생하게 될 경우에는 케이지로부터 홀실로 승객이 내리거나 홀실로부터 케이지로 승객이 탑승할 시 승객이 단차부에 걸려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착상 레벨 조정장치를 설치하여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면서 건물의 각 층에 마련된 홀 실에 정차하는 케이지의 바닥과 홀실 측의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면서 각 층에 마련된 홀 실에 맞춰 정차하는 케이지의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조정하는 착상 레벨 조정장치의 경우 통상적으로 케이지의 외부 상단에 레벨 조정 스위치가 설치되고, 승강로를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의 건물의 각 층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위치 조작부를 설치하여 상기 케이지가 승강로를 따라 승강되면서 원하는 층의 홀실에 정차할 시 상기 케이지의 외부 상단에 설치된 레벨 조정 스위치가 조작부에 의해 작동되면 제어부로 케이지의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전달되어 케이지가 정차하게 됨으로써 케이지의 착상 레벨이 조정되어 케이지가 정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장치의 경우 상기 건물의 각 층 별로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스위치 조작부의 설치 위치에 따라 케이지의 착상 레벨이 조정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한 명의 작업자는 케이지 상부에 위치하여 케이지 상부에 설치된 저속운전용 승강 스위치를 조작하여 케이지를 저속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고, 나머지 한명의 작업자는 케이지 내부에서 케이지의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이 나란히 되는 것을 관찰하여 케이지의 착상 레벨이 조정되었다고 판단되는 순간, 그 사실을 상기 케이지 위에 있는 작업자에게 알리면 그 작업자가 작동시켰던 저속운전 승강용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레벨 조정된 위치에서 레벨 조정 스위치가 작동될 수 있도록 케이지 위에 있는 작업자가 스위치 조작부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 레일에 각 층별로 설치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장치의 경우 두 명의 작업자가 각 층별로 이동하면서 케이지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이 수평이 되는 위치를 일일이 확인하면서 스위치 조작부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케이지의 착상 레벨 조정에 많은 작업 인원과 작업 공수가 투입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어느 한 층에서 케이지 착상 레벨을 조정하여 스위치 조작부를 설치한 다음, 홀 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스위치 조작부가 설치된 위치를 산출하여 각 층별로 홀 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스위치 조작부를 이격시켜 가이드 레일에 설치하여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조정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 조작부를 설치할 경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착상 레벨이 조정된 층에서 홀 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스위치 조작부가 설치된 위치를 산출하여 건물의 전 층에 적용하게 됨으로써 홀 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스위치 조작부까지의 이격된 거리의 측정 시 오차가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위치 조작부의 설치를 위한 홀 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스위치 조작부가 설치될 위치까지의 거리 측정 시에도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전 층에 걸쳐 착상 레벨을 조정하는 작업을 다시 실행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위치 조작부의 경우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작업 시 작업자가 밟고 다니는 등 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스위치 조작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유지 보수작업 후에 케이지의 착상 레벨이 맞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장치의 경우 스위치 조작부를 가이드 레일에 볼트와 너트 등을 통해 설치할 시 스위치 조작부가 소정 각도 틀어져 설치되거나 자중에 의해 처지는 등의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정밀하게 조정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각 층별로 케이지의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여 승객이 드나들 시 케이지의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에 발생되는 단차부에 승객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장치의 경우에는 케이지가 승강로를 따라 원하는 홀실로 승강되어 정차하는 순간의 케이지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의 수평만을 감지하여 도어를 개방시킴으로써 도어 개방 전, 후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들의 이동 등으로 인하여 케이지에 순간적인 충격이나 케이지의 어느 한 측으로의 집중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도어는 개방되는데 케이지는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들로 인하여 가해지는 충격이나 케이지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로 인하여 소정 높이로 상승되거나 하강되어 케이지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이 수평이 이루지 못하여 승객이 드나들 시 케이지의 바닥면과 홀실 측의 바닥면에 발생되는 단차부에 승객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경우 정전이 발생될 경우 층과 층 중간부에 정지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경우 정전 시 착상 레벨 조정장치가 작동이 되지 않음으로써 관리자가 비상 전원을 사용하여 케이지를 가까운 홀실 측으로 승강시킨다 하더라도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므로 케이지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여 엘리베이터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추지 못한 일반 관리자의 경우에는 승객을 구출할 수 없고, 119 구조대원 등과 같은 전문 구조대원이 출동을 해서 홀 실의 도어를 개방한 후 케이지 도어를 강제로 개방시키거나 케이지의 상부로 구조대원이 올라가 케이지 상부의 비상 탈출 도어를 개방시켜야만 승객을 구출할 수 있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엘리베이터의 경우 홀 실과 케이지의 착상 레벨이 맞지 않을 경우 홀실의 도어는 개방되는 케이지의 도어는 개방되지 않게 됨으로써 정전 시 작동되지 않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장치를 설치할 경우 비상 전원을 사용하여 케이지를 승강시킨다 하더라도 홀실과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정확히 맞추기가 어려움으로써 케이지 도어를 개방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 관리자의 경우 정전 시 케이지의 착상 레벨이 맞지 않을 경우에는 승객을 전혀 구출할 수 없으며, 전문 구조대원이 출동할 경우에도 홀 실의 도어를 개방한 후 케이지 도어를 강제로 개방시키거나 케이지 상부로 구조대원이 올라가 케이지 상부의 비상 탈출 도어를 개방시켜 승객을 구출해야 함으로써 승객 구출 시 승객과 구조대원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가 파손되는 현상도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케이지와 홀실 사이에는 홀실 바닥이나 케이지 바닥의 물청소나 음료수 등이 쏟아짐에 따라 케이지와 홀실 사이로 물이 흘러들어가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는데,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장치의 센서의 경우에는 아무런 방수처리 없이 홀실 프레임과 케이지 프레임에 설치됨으로써 케이지와 홀실 사이로 흘러든 물에 젖을 경우 작동이 되지 않아 엘리베이터 운행이 중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67185호(1998.09.26.)
본 발명의 목적은 완벽한 방수처리가 됨으로써 케이지와 홀실 사이로 흘러든 물에 의한 작동 오류 및 고장이 발생되지 않으며, 케이지의 정차 시 승객들의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순간적인 충격이나 하중 쏠림 현상으로 인한 착상 레벨 오차까지도 반영하여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층별로 케이지의 착상 레벨 조정 작업 필요 없이 케이지와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에 설치하기만 하면 전 층에 걸쳐 케이지의 착상 레벨이 자동으로 조정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전이 발생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케이지가 층과 층 중간부에 정지한다 하더라도 케이지를 가까운 홀실 측으로 승강시켜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어 정전 발생 시 케이지 내의 승객을 매우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센서 작동모듈과,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에 고정 프레임에 의해 설치되어 케이지가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여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에 도달하게 되어 상기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센서 작동모듈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에 의해 작동되어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착상 레벨 센서모듈과,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어 수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한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는 통과시키는 수밀수단 및,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로부터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수신되면 케이지를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감속시켜 승강시키며, 감속된 케이지가 승강됨에 따라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모두 수신되면 승강되는 케이지를 일단 정지시킨 후,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고,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를 승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제시한다.
일예를 들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은 상기 건물의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케이지가 각각의 홀실에 정차하게 되면 착상 레벨 센서모듈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여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는 영구자석 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작동모듈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부에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을 고정부재에 의해 홀실 하부 프레임에 고정 설치할 시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의 측면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설치각도가 틀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영구자석 작동부와 착상 레벨 센서모듈이 항상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게 상기 고정 프레임을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 각도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은 상기 케이지가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여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밀수단이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수밀수단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고정 프레임에 복수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 하단으로 떨어져 고정 프레임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수밀수단 내부로 스며든다 하더라도 물에 의해 젖지 않는 센서 설치판 및, 상기 수밀수단에 의해 수밀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설치판의 상부 끝단부에서부터 하부 끝단부까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가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여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에 도달하게 되어 상기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센서 작동모듈과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 또는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 스위치 센서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에 의해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 또는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 스위치 센서부터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제어부로 순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 또는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 스위치 센서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수신되면 케이지를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감속시켜 승강시키며, 상기 감속된 케이지가 승강됨에 따라 제2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모두 수신되거나, 제3 내지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로부터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모두 수신되면 승강되는 케이지를 일단 정지시킨 후, 상기 제1, 4 전자석 스위치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상기 제1, 4 전자석 스위치 센서 중 다른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를 승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부에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을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할 시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의 측면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설치각도가 틀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와 센서 작동모듈이 항상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게 상기 고정 프레임을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 각도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은 상기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와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설치판에 설치되어 정전이 발생되어 비상 전원이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에만 공급되고 착상 레벨 센서모듈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제1 내지 4 전자석 스위치 센서가 작동되지 않을 시에도 비상 전원에 의해 케이지가 승강되어 착상 레벨 센서모듈이 센서 작동모듈과 마주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에 의해 작동되어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는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은 상기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로부터 제어부로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관리자에게 케이지의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레벨 조정 완료 알림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를 들면, 상기 수밀수단은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의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와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 설치판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후면부가 밀착되며 전면부는 개방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와 고정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부와 고정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수밀시키는 제1 수밀패킹과, 상기 제1 수밀패킹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밀패킹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을 관통한 고정부재에 후면부측이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수밀패킹을 관통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본체부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나사 체결부와, 상기 나사 체결부의 전면부 측에 고정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나사 체결부의 전면부 측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와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커버부와 본체부 사이의 틈새를 수밀시키는 제2 수밀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은 물에 민감한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가 수밀수단에 의해 1차적으로 수밀될 뿐만 아니라, 센서 설치판이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수밀수단의 노후화나 불량으로 인하여 수밀수단과 고정 프레임 사이로 물이 스며든다 하더라도 고정 프레임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가 젖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지와 홀실 사이로 흘러든 물에 의한 작동 오류 및 고장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케이지나 홀실 바닥을 부담 없이 물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유지 관리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은 케이지가 원하는 홀실에 정차한 후 도어 개방 전, 후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들의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순간적인 충격이나 하중 쏠림 현상으로 인하여 케이지가 소정 높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착상 레벨 오차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착상 레벨 오차가 수정된 후 도어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드나들 시 케이지 바닥면과 홀실 바닥면에 발생되는 단차부에 승객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 없이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장치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수신되면 케이지를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감속시켜 승강시켜 케이지의 빠른 승강 속도에 의해 착상레벨 센서모듈이 센서 작동모듈에 의해 감지되지 않아 작동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의 경우 케이지 하부 프레임에 착상 레벨 센서모듈을 설치하는 작업과 건물의 각 측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에 센서 작동모듈을 설치하는 작업만 진행한 후 케이지를 운행하기만 하면 건물의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에 케이지가 자동으로 착상 레벨을 맞춰 정지하게 됨으로써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설치한 후 각 층별로 작업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까다로운 케이지 착상 레벨을 조정하는 작업을 별도로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 공수와 유지 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의 센서 작동모듈과 착상 레벨 센서모듈은 고정 프레임을 고정부재를 통해 각각 홀실 하부 프레임과 케이지 하부 프레임에 설치만 하게 되면 고정 프레임의 설치 각도의 보정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항상 영구자석 작동부와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 및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가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센서 작동모듈과 착상 레벨 센서모듈이 정위치에 정밀하고 신속하게 설치됨으로써 설치작업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은 정전이 발생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착상 레벨 센서모듈의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가 센서 작동모듈의 영구자석 작동부에 의해 작동되어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로 전송하여 제어부에 의해 레벨 조정 완료 알림수단이 작동되어 관리자에게 케이지의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설치한 엘리베이터는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않은 일반 관리자의 경우에도 정전 발생 시 케이지가 홀실과 홀실 중간에 비상 정지한다 하더라도 매우 쉽고 용이하게 케이지를 가까운 홀실 측으로 수동으로 이동시켜 케이지의 착상 레벨을 조정한 후 홀실 도어와 케이지 도어를 모두 개방시켜 케이지 내의 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홀실 측으로 이동시켜 구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은 센서 작동모듈(110),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 수밀수단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은 건물의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은 고정 프레임(111) 및, 영구자석 작동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11)은 건물의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114)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프레임은 고정부(111a)와 본체부(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1a)는 상기 건물의 각 층별로 마련되어 있는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11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14)로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1b)는 상기 고정부(111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111a)의 하부 방향으로'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 작동부(112)는 상기 케이지(300)가 각각의 홀실(200)에 정차하게 되면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여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을 자력에 의해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11), 즉 상기 본체부(111b)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소정길이 만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1b)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은 설치 각도 고정부(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 각도 고정부(113)는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측면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11)의 상단부, 즉 고정부(111a)로부터 연장되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 각도 고정부(113)는 상기 고정 프레임(111)을 고정부재(114)에 의해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고정 설치할 시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측면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111)의 고정부(111a)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14)를 사용하여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고정시킬 시 상기 고정 프레임(111)의 각도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여 영구자석 작동부(112)와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항상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11)을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측면부에 지지되는 설치 각도 고정부(113)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11)의 고정부(111a)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14)를 사용하여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하부면에 고정을 하게 되면 상기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14)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 프레임(111)의 고정부(111a)를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하부면에 고정시킬 시 상기 고정부재(114)와 함께 상기 고정 프레임(111)의 고정부(111a) 또한 상기 고정부재(114)와 연동되어 고정부재(114)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 작동부(112)가 부착되는 본체부(111b)가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과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지 않게 되어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의 작동 오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 프레임(111)을 설치한 후 상기 고정 프레임(111)의 설치 각도를 조정해야 함으로써 센서 작동모듈(110)의 설치 공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은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측면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111a)의 상단부에 설치 각도 고정부(113)가 연장되어 절곡 형성됨으로써 상기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14)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부(111a)를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하부면에 고정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측면부에 설치 각도 고정부(113)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부(111a)를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하부면에 고정시키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14)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부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의 센서 작동모듈(110)은 고정 프레임(111)을 고정부재(114)를 통해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하부면에 설치만 하게 되면 고정 프레임(111)의 설치 각도의 보정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항상 영구자석 작동부(112)와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이 설치됨으로써 센서 작동모듈(110)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은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에 고정 프레임(121)에 의해 설치되어 케이지(300)가 승강로(400)를 따라 승강하여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200)에 도달하게 되어 상기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설치된 센서 작동모듈(110)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의 영구자석 작동부(112)의 자력에 의해 작동되어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착상레벨 센서모듈(120)은 고정 프레임(121), 스페이서(122), 센서 설치판(123),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21)은 상기 케이지(300)가 승강로(400)를 따라 승강하여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200)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128)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프레임(121)에는 상기 수밀수단(130)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 프레임(121)은 고정부(121a)와 본체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1a)는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12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128)로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21b)는 상기 고정부(121a)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121a)의 하부 방향으로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22)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2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설치판(123)은 수밀수단(130)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121)에 설치된 스페이서(122)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스페이서(122)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121)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310) 하단으로 떨어져 고정 프레임(121)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수밀수단 내부로 스며든다 하더라도 상기 센서 설치판(123)과 센서 설치판(123)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전자 스위치 센서(124)(125)(126)(127) 및,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가 물에 의해 젖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은 케이지(300) 바닥을 물걸레로 청소하거나 케이지(300) 바닥에 음료 등이 쏟아져 물이나 음료 등이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 하단으로 떨어져 고정 프레임(121) 표면을 따라 흘러내린다 하더라도 1차적으로 수밀수단(130)에 의해 수밀되어 고정 프레임(121)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수밀수단(130) 내부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에 하나 상기 수밀수단(130)의 노후화나 불량 발생 등으로 인하여 수밀수단(130)과 고정 프레임(121) 사이로 물이 스며든다 하더라도 센서 설치판(123)이 고정 프레임(121) 표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센서 설치판(123)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가 고정 프레임(121)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나 음료 등에 의해 젖게 되어 고장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124)(125)(126)(127)는 상기 수밀수단(130)에 의해 수밀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설치판(123)의 상부 끝단부에서 하부 끝단부까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자석 스위치(124)는 케이지(300) 바닥면과 홀실(200)의 바닥면이 수평이 되었을 시 센서 작동모듈(110)의 영구자석 작동부(112)의 상단부와 수평되도록 상기 센서 설치판(123)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전자석 스위치(127)는 케이지(300) 바닥면과 홀실(200)의 바닥면이 수평이 되었을 시 센서 작동모듈(110)의 영구자석 작동부(112)의 하단부와 수평이되도록 상기 센서 설치판(123)의 하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7)는 각각 착상 레벨 준비신호 또는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케이지(300)가 원하는 홀실(200)로 상승하여 정지할 시에는 상기 케이지(300)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에 의해 가장 먼저 작동되는 상기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가 착상 레벨 준비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고, 상기 케이지(300)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에 의해 가장 늦게 작동되는 상기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7)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케이지(300)가 원하는 홀실(200)로 하강하여 정지할 시에는 상기 케이지(300)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에 의해 가장 먼저 작동되는 상기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7)가 착상 레벨 준비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고, 상기 케이지(300)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에 의해 가장 늦게 작동되는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7)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 스위치 센서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발생된 후 케이지(300)가 감속되어 소정 높이만큼 더 승강되면 상기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와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 스위치 센서에 의해 제1 착상 레벨 조정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140)로 전송된 후, 상기 케이지(300)가 소정 높이만큼 승강되면 상기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와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 중 다른 하나의 전자석 스위치 센서에 의해 제2 착상 레벨 조정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140)로 전송된다.
즉, 상기 케이지(300)가 원하는 홀실(200)로 상승하여 정지할 시에는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와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140)로 전송되며, 상기 케이지(300)가 원하는 홀실(200)로 하강하여 정지할 시에는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와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가 발생되어 제어부(140)로 전송된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케이지(300)가 원하는 홀실(200)로 상승하여 정지할 시에는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가 센서 작동모듈(1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어부(140)로 전송하며, 케이지(300)가 원하는 홀실(200)로 하강하여 정지할 시에는 제4 내지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7)(126)(125)(124)가 센서 작동모듈(110)에 의해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은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과 마찬가지로 설치 각도 고정부(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 각도 고정부(129)는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측면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21)의 상단부에 연장되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설치 각도 고정부(129)는 상기 고정 프레임(121)을 고정부재(128)에 의해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에 고정 설치할 시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측면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121)의 고정부(121a)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28)를 사용하여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에 고정시킬 시 상기 고정 프레임(121)의 각도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와 센서 작동모듈(110)이 항상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21)을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측면부에 지지되는 설치 각도 고정부(129)가 없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 프레임(121)의 고정부(121a)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28)를 사용하여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하부면에 고정을 하게 되면 상기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28)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 프레임(121)의 고정부(121a)를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하부면에 고정시킬 시 상기 고정부재(124)와 함께 고정 프레임(121)의 고정부(121a) 또한 상기 고정부재(128)와 연동되어 고정부재(124)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가 설치되는 본체부(121b)가 센서 작동모듈(110)과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설치되지 않게 되어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의 작동 오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 프레임(121)을 설치한 후 상기 고정 프레임(121)의 설치 각도를 조정해야 함으로써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의 설치 공수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은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측면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부(121a)의 상단부에 설치 각도 고정부(129)가 연장되어 절곡 형성됨으로써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28)를 회전시켜 상기 고정부(121a)를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하부면에 고정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측면부에 설치 각도 고정부(129)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부(121a)를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하부면에 고정시키는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28)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부(121a)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의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은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과 더불어 고정 프레임(121)을 고정부재(124)를 통해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하부면에 설치만 하게 되면 고정 프레임(121)의 설치 각도의 보정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가 센서 작동모듈(110)과 항상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설치됨으로써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은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는 상기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와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설치판(12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는 정전이 발생되어 비상 전원이 케이지(30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에만 공급되고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가 작동되지 않을 시, 비상 전원에 의해 케이지(300)가 승강되어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센서 작동모듈(110)과 마주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의 영구자석 작동부(112)의 자력에 의해 작동되어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은 레벨 조정 완료 알림수단(12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조정 완료 알림수단(120b)은 상기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로부터 제어부(140)로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작동되어 관리자에게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레벨 조정 완료 알림수단(126)으로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밀수단(130)은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어 수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21)에 설치되며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한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는 통과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밀수단(130)은 본체부(131), 제1 수밀패킹(132), 나사 체결부(133), 커버부(134) 및, 제2 수밀패킹(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31)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의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와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 설치판(123)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121)에 후면부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밀패킹(132)은 상기 본체부(131)와 고정 프레임(12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부(131)와 고정 프레임(121) 사이의 틈새를 수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나사 체결부(133)는 상기 제1 수밀패킹(132)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131)의 양측면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밀패킹(132)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121)을 관통한 고정부재(133a)에 후면부측이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수밀패킹(132)을 관통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본체부(131)를 고정부재(133a)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121)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부(134)는 상기 나사 체결부(133)의 전면부 측에 고정부재(134a)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수밀수단(130)에 의해 수밀되어 있는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의 유지 보수를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수밀패킹(135)은 상기 커버부(134)를 나사 체결부(133)의 전면부 측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고정부재(134a)에 의해 관통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134)와 본체부(13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커버부(134)와 본체부(131) 사이의 틈새를 수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31)와 나사 체결부(133)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131)와 나사 체결부(133) 및, 커버부(134)는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한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는 통과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밀수단(130)은 나사 체결부(133)가 제1, 2 수밀패킹(132)(135) 외측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31) 양측에 돌출 형성됨으로써 본체부(131)을 고정 프레임(12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3a)가 고정 프레임(121)을 관통하여 나사 체결부(133)에 나사 체결되거나, 커버부(134)를 본체부(131)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4a)가 커버부(134)를 관통하여 나사 체결부(133)에 나사 체결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1, 2 수밀패킹(132)(135)이 고정부재(133a)(134a)에 의해 관통되어 뚤리지 않음으로써 수밀수단(130)의 수밀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로부터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수신되면 케이지(300)를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감속시켜 승강시키며, 감속된 케이지(300)가 승강됨에 따라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모두 수신되면 승강되는 케이지(300)를 일단 정지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승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케이지(300)가 상승될 시에는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하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 케이지(300)가 하강될 시에는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상승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케이지(300)가 상승될 시에는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상승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며, 케이지(300)가 하강될 시에는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하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의 작동과정과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이동하기 원하는 층을 선택하게 되면 케이지(300)가 승강로(40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하여 원하는 층의 홀실(20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케이지(300)가 승강로(40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을 하여 원하는 층의 홀실(200) 측으로 이동되어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에 설치된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설치된 센서 작동모듈(110)과 마주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에 의해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작동되어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케이지(300)가 승강로(400)를 따라 상승하여 원하는 층의 홀실(200)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케이지(300)와 함께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상승되어 원하는 층의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설치된 센서 작동모듈(110)과 마주하게 된다. 즉,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상승하게 되어 원하는 층의 홀실(20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 설치판(123)의 상부 끝단에서 하부 끝단까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7)가 순차적으로 센서 작동모듈(110)의 영구자석 작동부(112)와 마주하게 되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상승되어 원하는 층의 홀실(20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가장 먼저 영구자석 작동부(112)와 마주하게 되는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가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착상 레벨 준비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소정 간격 더 상승을 하게 되면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가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제1 착상 레벨 조정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소정 간격 더 상승하게 되면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가 상기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소정 간격 더 상승을 하게 되면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가 상기 영구자석 작동부(112)와 마주하여 상기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제2 착상 레벨 조정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소정 간격 더 상승을 하게 되면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7)가 상기 영구자석 작동부(112)와 마주하여 상기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로부터 착상 레벨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케이지(300)를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감속시켜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300)의 빠른 상승 속도에 의해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와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가 감지되지 않아 작동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소정 간격 더 상승을 하게 되면 제2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126)(127)가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 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발생되어 제어부(14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140)에 제2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126)(127)에 의해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승되는 케이지(300)를 일단 정지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소정시간 동안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승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하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상승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지(300)가 승강로(400)를 따라 하강하여 원하는 층의 홀실(200) 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케이지(300)와 함께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하강되어 원하는 층의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설치된 센서 작동모듈(110)과 마주하게 된다. 즉,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하강하게 되어 원하는 층의 홀실(20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 설치판(123)의 하부 끝단에서 상부 끝단까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7),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가 순차적으로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의 영구자석 작동부(112)와 마주하게 되어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하강되어 원하는 층의 홀실(200)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가장 먼저 영구자석 작동부(112)와 마주하게 되는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7)가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착상 레벨 준비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소정 간격 더 하강을 하게 되면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가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제1 착상 레벨 조정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와 함께 소정 간격 더 하강하게 되면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가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소정 간격 더 하강을 하게 되면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125)가 상기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제2 착상 레벨 조정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소정 간격 더 하강을 하게 되면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가 상기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7)로부터 착상 레벨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케이지(300)를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감속시켜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케이지(300)의 빠른 하강 속도에 의해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와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가 감지되지 않아 작동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케이지(300)와 함께 소정 간격 더 하강을 하게 되면 제3 내지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125)(124)가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발생되어 제어부(140)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140)에 제3 내지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126)(125)(124)에 의해 순차적으로 발생되는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하강되는 케이지(300)를 일단 정지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140)는 소정시간 동안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승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상승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하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의 운행 중 정전이 발생하여 엘리베이터에 전원이 공급되지 못하게 되면 케이지(300)가 정지하게 되며, 상기와 같이 정전이 발생되어 케이지(300)가 정지되면 케이지(300)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을 케이지(300)로부터 홀실(200) 측으로 안전하게 탈출시켜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정전 발생 시 홀실(200) 바닥면과 케이지(300)의 바닥면이 수평하도록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이 맞춰진 상태에서 케이지(300)가 정지하게 되면 관리자가 홀실(200) 도어와 케이지(300) 도어를 개방하여 케이지(300)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을 손쉽게 탈출시킬 수 있으나, 케이지(300)가 홀실(200)과 홀실(200) 중간에 위치하도록 정지하게 되면 케이지(300) 내에 탑승하고 있는 승객을 탈출시키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여 케이지(300)를 가까운 홀실(200) 측으로 승강시켜 케이지(300) 도어와 홀실(200) 도어를 개방시켜야만 승객을 케이지(300)로부터 안전하게 홀실(200) 측으로 탈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정전이 발생되어 비상 전원을 엘리베이터에 공급한다 하더라도 비상 전원의 경우 케이지(30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에는 공급되어 케이지(300)를 관리자가 수동으로 승강시킬 수는 있으나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에는 공급되지 않게 됨으로써 관리자가 가까운 홀실(200) 측으로 수동으로 케이지(300)를 승강시킨다 하더라도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이 제대로 조정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없을뿐더러 수동으로는 케이지(300)의 레벨을 제대로 맞춘다는 것이 매우 어려움으로써 전문 지식을 갖추지 못한 일반 관리자의 경우에는 승객을 구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엘리베이터의 경우 전반적으로 안전을 위해 홀실(200)의 바닥면과 케이지(300)의 바닥면이 수평이 되도록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이 정확하게 맞게 될 경우에만 케이지(300) 도어가 개방되도록 설계되는 바, 홀실(200)의 바닥면과 케이지(300)의 바닥면이 수평이 되도록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이 정확하게 맞지 않게 되면 홀실(200) 도어는 개방되나 케이지(300) 도어가 개방되지 않으며, 정전 시에는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이 작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정전 발생 시 케이지(300)가 홀실(200)과 홀실(200) 중간에 위치하도록 정지하게 되면 관리자가 수동으로 케이지(300)를 가까운 홀실 측으로 이동시킨다 하더라도 케이지(300)가 이동된 홀실(200) 바닥면과 케이지(300)의 바닥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을 조정할 수 없으므로 케이지(300) 도어를 개방시키지 못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못한 일반적인 관리자의 경우에는 승객을 구출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119 구조대원 등과 같은 전문 구조대원이 출동을 하여 홀실(200)의 도어를 개방한 후 케이지(300) 도어를 강제로 개방시키거나 케이지(300)의 상부로 구조대원이 올라가 케이지(300) 상부의 비상 탈출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개방시켜야만 승객을 구출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형태로 승객을 구출하게 되면 구조대원과 승객이 안전사고가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는 승강로(400)에 노출됨으로써 승객 구조작업이 매우 어렵고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항상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이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정전이 발생되어 홀실(200)과 홀실(200) 중간에 위치하도록 케이지(300)가 비상 정지되고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가까운 홀실(200) 측으로 케이지(300)를 이동시키게 되어 케이지(300)에 설치되어 있는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설치된 센서 작동모듈(110)과 마주하게 되면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의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가 센서 작동모듈(110)의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40)는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수신되는 즉시 레벨 조정 완료 알림수단(120b)을 작동시켜 관리자에게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려주게 되어 관리자가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이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경우에는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않은 일반 관리자의 경우에도 정전 발생 시 케이지(300)가 홀실(200)과 홀실(200) 중간에 비상 정지한다 하더라도 매우 쉽고 용이하게 케이지(300)를 가까운 홀실(200) 측으로 수동으로 이동시켜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을 조정한 후 홀실(200) 도어와 케이지(300) 도어를 개방시켜 케이지(300) 내의 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은 물에 민감한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 설치판(123)이 수밀수단(130)에 의해 1차적으로 수밀될 뿐만 아니라 센서 설치판(123)이 스페이서(122)에 의해 고정 프레임(121)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수밀수단(130)의 노후화나 불량으로 인하여 수밀수단(130)과 고정 프레임(121) 사이로 물이 스며든다 하더라도 고정 프레임(121)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가 젖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지(300)와 홀실(200) 사이로 흘러든 물에 의한 작동 오류 및 고장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케이지(300)나 홀실(200) 바닥을 부담 없이 물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유지 관리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은 제어부(140)에 착상 레벨 준비신호 수신 후,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모두 수신되면 승강되는 케이지(300)를 일단 정지시킨 후, 제어부(140)에 의해 소정시간 동안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고,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300)를 승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지(300)가 원하는 홀실(200)에 정차한 후 도어 개방 전, 후 케이지(300)에 탑승한 승객들의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순간적인 충격이나 하중 쏠림 현상으로 인하여 케이지가 소정 높이만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착상 레벨 오차가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착상 레벨 오차가 수정된 후 도어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이 드나들 시 케이지(300) 바닥면과 홀실(200) 바닥면에 발생되는 단차부에 승객의 발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안전사고 없이 엘리베이터를 운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장치는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40)에 의해 케이지(300)가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감속되어 승강됨으로써 케이지(300)의 빠른 승강 속도에 의해 착상레벨 센서모듈(120)이 센서 작동모듈(110)에 의해 감지되지 않아 작동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엘리베이터를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은 건물의 각 측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센서 작동모듈(110)을 설치하고,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에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을 설치하여 케이지(300)가 원하는 층의 홀실(200)로 이동하여 홀실 하부 프레임(210)과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이 수평을 이루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에 의해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자동으로 작동되어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에 의해 승강되는 케이지(300)를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을 설치한 엘리베이터의 경우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에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을 설치하는 작업과 건물의 각 측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210)에 센서 작동모듈(110)을 설치하는 작업만 진행한 후 케이지(300)를 운행하기만 하면 건물의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200)에 케이지(300)가 자동으로 착상 레벨을 맞춰 정지하게 됨으로써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을 설치한 후 각 층별로 작업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고 까다로운 케이지(300) 착상 레벨을 조정하는 작업을 별도로 진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설치 작업 공수와 유지 보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은 센서 작동모듈(110)의 고정 프레임(111)의 상단부에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측면부에 지지되는 설치 각도 고정부(113)가 마련되고,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의 고정 프레임(121)의 상단부에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측면부에 지지되는 설치 각도 고정부(129)가 마련되어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과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을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14)(128)를 회전시켜 각각 홀실 하부 프레임(210)과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에 고정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210)의 측면부와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의 측면부에 각각 센서 작동모듈(110)의 설치 각도 고정부(113)와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의 설치각도 고정부(129)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114)(128)의 회전력에 의해 센서 작동모듈(110)과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의 센서 작동모듈(110)과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은 고정 프레임(111)(121)을 고정부재(114)(128)를 통해 각각 홀실 하부 프레임(210)과 케이지 하부 프레임(310)에 설치만 하게 되면 고정 프레임(111)(121)의 설치 각도의 보정 작업을 진행하지 않아도 항상 영구자석 작동부(112)와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124)(125)(126)(127) 및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가 정면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센서 작동모듈(110)과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이 정위치에 정밀하고 신속하게 설치됨으로써 설치작업 공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은 정전이 발생되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착상 레벨 센서모듈(120)의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120a)가 센서 작동모듈(110)의 영구자석 작동부(112)에 의해 작동되어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40)로 전송하여 제어부(140)에 의해 레벨 조정 완료 알림수단(126)이 작동되어 관리자에게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100)을 설치한 엘리베이터는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않은 일반 관리자의 경우에도 정전 발생 시 케이지(300)가 홀실(200)과 홀실(200) 중간에 비상 정지한다 하더라도 매우 쉽고 용이하게 케이지(300)를 가까운 홀실(200) 측으로 수동으로 이동시켜 케이지(300)의 착상 레벨을 조정한 후 홀실(200) 도어와 케이지(300) 도어를 모두 개방시켜 케이지(300) 내의 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홀실(200) 측으로 이동시켜 구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센서 작동모듈 (120) : 착상 레벨 센서모듈
(130) : 수밀수단 (140) : 제어부

Claims (9)

  1. 건물의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센서 작동모듈;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에 고정 프레임에 의해 설치되어 케이지가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여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에 도달하게 되어 상기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센서 작동모듈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에 의해 작동되어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착상 레벨 센서모듈;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수용되어 수밀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에 의한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는 통과시키는 수밀수단; 및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로부터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수신되면 케이지를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감속시켜 승강시키며, 감속된 케이지가 승강됨에 따라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모두 수신되면 승강되는 케이지를 일단 정지시킨 후,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고,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를 승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작동모듈은,
    상기 건물의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케이지가 각각의 홀실에 정차하게 되면 착상 레벨 센서모듈과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여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에 부착되는 영구자석 작동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작동모듈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부에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을 고정부재에 의해 홀실 하부 프레임에 고정 설치할 시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의 측면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설치각도가 틀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영구자석 작동부와 착상 레벨 센서모듈이 항상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게 상기 고정 프레임을 상기 홀실 하부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 각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은,
    상기 케이지가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여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밀수단이 설치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수밀수단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복수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 하단으로 떨어져 고정 프레임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수밀수단 내부로 스며든다 하더라도 물에 의해 젖지 않는 센서 설치판; 및
    상기 수밀수단에 의해 수밀될 수 있도록 상기 센서 설치판의 상부 끝단부에서부터 하부 끝단부까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가 승강로를 따라 승강하여 각 층별로 마련된 각각의 홀실에 도달하게 되어 상기 각각의 홀실 하부 프레임에 설치된 센서 작동모듈과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 또는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 스위치 센서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에 의해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 또는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 스위치 센서부터 순차적으로 작동되어 착상 레벨 준비신호,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제어부로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 또는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전자석 스위치 센서에 의해 착상 레벨 준비신호가 수신되면 케이지를 소정 속도 이하가 되도록 감속시켜 승강시키며,
    상기 감속된 케이지가 승강됨에 따라 제2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모두 수신되거나, 제3 내지 제1 전자석 스위치 센서로부터 제1, 2 착상 레벨 조정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순차적으로 모두 수신되면 승강되는 케이지를 일단 정지시킨 후,
    상기 제1, 4 전자석 스위치 센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상기 제1, 4 전자석 스위치 센서 중 다른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된다고 판단되면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여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착상 레벨 준비신호와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모두 감지될 때까지 상기 케이지를 승강시켜 착상 레벨을 재조정한 후 도어 개방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은,
    상기 고정 프레임의 상단부에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어 상기 고정 프레임을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의 하부면에 고정 설치할 시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의 측면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고정 프레임의 설치각도가 틀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와 센서 작동모듈이 항상 정면으로 마주할 수 있게 상기 고정 프레임을 상기 케이지 하부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 각도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은,
    상기 제2 전자석 스위치 센서와 제3 전자석 스위치 센서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센서 설치판에 설치되어 정전이 발생되어 비상 전원이 케이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에만 공급되고 착상 레벨 센서모듈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상기 제1 내지 4 전자석 스위치 센서가 작동되지 않을 시에도 비상 전원에 의해 케이지가 승강되어 착상 레벨 센서모듈이 센서 작동모듈과 마주하게 되면 상기 센서 작동모듈에 의해 작동되어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는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은,
    상기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로부터 제어부로 비상 착상 레벨 조정완료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어 관리자에게 케이지의 착상 레벨 조정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알려주는 레벨 조정 완료 알림수단을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수단은,
    상기 착상 레벨 센서모듈의 제1 내지 제4 전자석 스위치 센서와 영구자석 스위치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센서 설치판이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 프레임에 후면부가 밀착되며 전면부는 개방되어 있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고정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본체부와 고정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수밀시키는 제1 수밀패킹;
    상기 제1 수밀패킹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수밀패킹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 프레임을 관통한 고정부재에 후면부측이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수밀패킹을 관통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본체부를 상기 고정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나사 체결부;
    상기 나사 체결부의 전면부 측에 고정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를 나사 체결부의 전면부 측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고정부재에 의해 관통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부와 본체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커버부와 본체부 사이의 틈새를 수밀시키는 제2 수밀패킹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KR1020200001243A 2020-01-06 2020-01-06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KR10242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43A KR102428036B1 (ko) 2020-01-06 2020-01-06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43A KR102428036B1 (ko) 2020-01-06 2020-01-06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113A true KR20210088113A (ko) 2021-07-14
KR102428036B1 KR102428036B1 (ko) 2022-08-02

Family

ID=76862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243A KR102428036B1 (ko) 2020-01-06 2020-01-06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0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16Y2 (ja) * 1988-12-19 1995-02-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磁気センサ
KR0167185B1 (ko) 1995-10-28 1998-12-01 이희종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KR20110101472A (ko) * 2010-03-08 2011-09-16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18202B1 (ko) * 2019-04-01 2019-09-0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안전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16Y2 (ja) * 1988-12-19 1995-02-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磁気センサ
KR0167185B1 (ko) 1995-10-28 1998-12-01 이희종 엘리베이터의 착상레벨 조정장치
KR20110101472A (ko) * 2010-03-08 2011-09-16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18202B1 (ko) * 2019-04-01 2019-09-0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안전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036B1 (ko)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2557B1 (ko) 엘리베이터 제어 시스템
US9382099B2 (en) Motorized height access device for tower cranes
EP0990615B1 (en) Elevator with governor
JP4683703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WO2015110696A1 (en) Elevator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arrangement
KR102018202B1 (ko) 엘리베이터용 안전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CN109476458B (zh) 用以打开电梯轿厢的轿厢顶的电梯装置
US20190119074A1 (en) Elevator arrangement for safe maintenance work
KR102428036B1 (ko)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KR102428037B1 (ko)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JP2008024409A (ja) エレベータのピットはしご装置
JP3824586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安全装置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JP438752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1715330B1 (ko) 엘리베이터의 피트 전용 수동 운전리모컨
JP201016818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022892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JP7471894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3790516B2 (ja) エレベータの保守安全装置
JP2005206386A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446299B1 (ko) 고소작업대탑승장치
US11851304B2 (en) Method and arrangement
KR102446293B1 (ko) 사다리차 탑승장치
JP2004067295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引上げ装置
KR200389642Y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