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1472A -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1472A
KR20110101472A KR1020100020483A KR20100020483A KR20110101472A KR 20110101472 A KR20110101472 A KR 20110101472A KR 1020100020483 A KR1020100020483 A KR 1020100020483A KR 20100020483 A KR20100020483 A KR 20100020483A KR 20110101472 A KR20110101472 A KR 20110101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ing
elevator
landing
stop posi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0157B1 (ko
Inventor
김창오
원화연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1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1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6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 B66B1/40Means for stopping the cars, cages, or skips at predetermined levels and for correct levelling at lan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Abstract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랜딩 베인과 랜딩 베인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랜딩 센서 및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센서를 포함하고,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가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 또는 개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 출력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정차 위치 검출기와,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고 정차 대상 승강층에 대해 검출된 상기 정차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움직임 제어기, 및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승강층에 정차한 후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문 제어기를 포함하되, 정차 위치 검출기는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의 범위 내에서 정차 위치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TOP POSITION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elevator car)가 해당 승강층의 정위치에 착상하도록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시브(sheave)에 감겨진 로프의 일측에 고정되어 운행되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로프의 타측에 고정된 균형추(counter weight)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위해 상기 시브를 구동하는 전동기를 포함한다.
이때,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안전한 운행을 보장하고 승객에 대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 승강층에서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 위치에 정확히 정지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카의 현재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장치를 구비하며, 위치 검출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가 소정의 승강층에 도달하면 승강장의 출입문과의 정확하게 대응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착상 위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위치 검출 장치는 각 승강층의 위치에 대응하는 승강로 상의 소정 위치를 "정지 위치"로 설정하고, 각 승강로 상의 정지 위치에 설치된 차폐판을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위치 검출 센서가 감지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되도록 제어하였다.
또한, 종래의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 위치를 좀 더 정밀하게 제어하고, 승객의 승차감을 높이기 위하여 복수의 위치 검출 센서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검출하였다.
이와 같은 경우, 종래의 위치 검출 장치는 상기 복수의 위치 검출 센서를 포함하는 위치 검출 센서부를 구비한다. 이때, 위치 검출 센서부는 적어도 하나의 위치 검출 센서가 차폐판에 의해 차폐되면 엘리베이터 카를 감속 운행하고, 모든 위치 검출 센서가 차폐판에 의해 차폐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정지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킨다.
이처럼,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최종 정차 위치에서 승강장 바닥과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이 최대한 수평을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카 내부의 하중 변화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오작동 발생으로 인해 불규칙한 수평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를 검출하여 해당 승강층의 정위치에 착상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승강층의 정위치에 정차한 경우 엘리베이터 및 승강층의 출입문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랜딩 베인과, 상기 랜딩 베인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센서가 상기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 또는 개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 출력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정차 위치 검출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고, 정차 대상 승강층에 대해 검출된 상기 정차 위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움직임 제어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해당 승강층에 정차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문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정차 위치 검출기는 상기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정차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카 또는 승강로 내의 일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랜딩 베인;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승강로 내의 일면 중 상기 랜딩 베인에 수평 대향되는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랜딩 베인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센서를 포함하는 랜딩 센서부; 및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가 상기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 또는 개방될 때 출력되는 신호 출력 값과 상기 레벨링 센서가 상기 레벨링 개방부에 의해 개방될 때 출력되는 신호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은, 엘리베이터 카가 정차할 승강층을 식별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랜딩 베인에 의해 상기 랜딩 베인을 감지하는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하는 레벨링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모두 변화되면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 범위가 설정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랜딩 센서 및 각 랜딩 센서에 대응하는 랜딩 베인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해당 승장층의 정위치에 착상하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상기 랜딩 베인은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정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 범위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가 정차되어 승강장의 바닥과 엘리베이터 바닥의 수평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위치 검출을 위한 랜딩 베인 및 랜딩 센서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차 위치 검출을 위한 랜딩 베인 및 랜딩 센서부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100)는 움직임 제어기(110), 정차 위치 검출기(120), 속도 제어기(130) 및 출입문 제어기(140)를 포함한다.
움직임 제어기(110)는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호출된 승강층으로 이동하도록 운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움직임 제어기(110)는 엘리베이터 카 호출 신호가 입력되면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부 일면에 고정된 이동 로프(22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카(210)가 상/하 수직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움직임 제어기(110)는 속도 제어기(130)로부터 출력되는 속도 정보에 따라 이동 로프(220)를 감아 올리거나 내리도록 설계된 시브(sheave)(미도시)를 구동시키는 전동기(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움직임 제어기(110)는 엘리베이터 카(210)가 정차되어 있던 승강층의 정보 및 상기 호출된 승강층의 정보를 속도 제어기(130)로 전달한다.
또한, 움직임 제어기(110)는 정차 위치 검출기(120)로부터 정차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차 위치 정보 중 정위치 정보를 검출하면 해당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카(210)의 운행을 정지하여 정차 시킨다. 참고로, 상기 정위치는 상기 호출된 승강층의 승강장 바닥과 엘리베이터 카(210) 바닥이 수평이 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정차 위치 검출기(120)는 엘리베이터 카(210)의 이동 시 승강층을 식별하고, 상기 호출된 승강층의 정차 정위치를 검출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를 제어한다.
이때, 정차 위치 검출기(120)는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식별 수단(230), 위치 감지 수단(240) 및 위치 검출 수단(2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식별 수단(230)은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랜딩 베인(landing vane)으로 구성되고, 위치 감지 수단(240)은 상기 랜딩 베인을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랜딩 센서(landing sensor)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센서가 구비되는 지지판 형상의 랜딩 센서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위치 검출 수단(250)은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각 신호 출력 값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210)의 정차 위치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랜딩 베인(230)은 각 승강층의 정차 가능 위치에 대응되어 승강로의 내측 벽의 일면에 부착되고, 랜딩 센서부(240) 및 위치 검출 수단(250)은 엘리베이터 카(210)의 일측면에 부착된다. 이때, 도 2에서는 랜딩 센서부(240)가 위치 검출 수단(250)의 상부 일측면에 고정되고, 위치 검출 수단(250)이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부 일측면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딩 센서부(240)는 랜딩 베인(230)의 위치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부 및 하부 또는 랜딩 베인(230) 방향의 측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랜딩 베인(230)이 승강로 내측 벽에 부착되고, 랜딩 센서부(240)가 엘리베이터 카(210)에 부착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즉, 랜딩 베인(230)이 엘리베이터 카(210)에 부착되고, 랜딩 센서부(240)가 승강로 내측 벽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랜딩 센서부(240)의 레벨링 센서가 각 승강층의 정차 정위치에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랜딩 센서부(240)는 수평으로 대응되는 2개의 지지판과 상기 수평으로 대응되는 2개의 지지판을 연결하는 하나의 지지판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들의 연결 구조는 엘리베이터 카(210)가 랜딩 베인(230)과 대응되는 위치에 진입하게 되면 랜딩 베인(230)이 상기 수평 대응하는 지지판 사이를 관통하도록 랜딩 베인(230)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딩 센서부(240)의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는 각각 광소자, 마그네틱 소자, 근접 센서 등의 다양한 소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서는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가 광소자인 것을 예로 나타내었다. 이때, 랜딩 센서부(230)의 수평 대응하는 두 지지판 중 제1 지지판에 발광 소자가 구비되고 제2 지지판에 수광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서는 랜딩 센서부(240)가 4 개의 랜딩 센서(241, 242, 243, 244) 및 2 개의 레벨링 센서(245, 246)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상이한 수직 폭을 가지며 수평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형성된 두 단의 레벨링 개방부(231, 232)가 랜딩 베인(230)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이때, 제1 레벨링 개방부(231) 및 제2 레벨링 개방부(232)은 각각 제1 레벨링 센서(245) 및 제2 레벨링 센서(24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3에서는 두 단의 레벨링 개방부 중 제2 레벨링 개방부(232)의 수직 폭이 제1 레벨링홈(231)의 수직 폭보다 짧게 형성되며, 제2 레벨링 개방부(232)가 승강장 벽 측을 향해 안쪽에 형성된 것을 나타내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두 단의 레벨링 개방부(231, 232)가 랜딩 센서부(240) 방향으로 개방된 요홈 형태를 갖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벨링 개방부는 개방 구멍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복수 개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될 경우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레벨링 개방부는 각각 레벨링 센서의 위치 및 각 승강층의 정차 정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딩 베인(230)이 제1 및 제2 지지판 사이를 관통할 시에, 랜딩 센서부(240)에서는 각 랜딩 센서의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가 랜딩 베인(230)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각 레벨링 센서의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가 랜딩 베인(2300에 의해 차폐되었다가, 레벨링 개방부(231, 23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재개방되어 센싱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들의 신호 출력 값에 변화가 발생된다.
이때, 위치 검출 수단(250)은 랜딩 베인(230)이 랜딩 센서부(240)의 지지판 사이를 관통함에 따른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의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210)의 정차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정차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특히, 도 3에서와 같이 레벨링 개방부가 다단으로 형성된 경우, 레벨링 개방부 중 수직 폭이 상대적으로 짧은 제2 레벨링 개방부(232)와 대응되는 위치의 제2 레벨링 센서(246)의 신호 출력 값을 기준으로 엘리베이터 카(210)의 정차 시점 즉, 정차 정위치가 검출된다.
이처럼, 다단의 레벨링 개방부 중 수직 폭이 가장 짧은 레벨링 개방부에 대응하는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을 기준으로 엘리베이터 카(210)의 정차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승강층의 정위치에 대해 좀 더 최소화된 수평 편차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210)가 정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는 엘리베이터 카(210)가 수직 하강 구동될 시에 랜딩 센서부(240)의 각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들의 신호 출력 값들의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때, 도 4에서는 4 개의 랜딩 센서(241, 242, 243, 244) 및 2 개의 레벨링 센서(245, 246)의 각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랜딩 베인(230)에 의해 차폐될 때 하이(high)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즉, 도 4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210)의 수직 하강 운행이 진행됨에 따라 제4 랜딩 센서(244)가 최초로 차폐되어 신호 출력 값이 로우(low)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변화된다.
그런 후, 제3 랜딩 센서(243)가 다음으로 차폐되어 신호 출력 값이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변화되고, 제3 랜딩 센서(243)가 차폐된 후 일정 시간 후에 제1 및 제2 레벨링 센서(245, 246)가 차폐되어 신호 출력 값이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변화된다.
다음으로, 제2 랜딩 센서(242)가 차폐되어 신호 출력 값이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변화되고, 제2 랜딩 센서(242)가 차폐된 후 일정 시간 후에 제1 레벨링 센서(245)가 제1 레벨링 개방부(231)을 통해 센싱이 진행되어 신호 출력 값이 다시 로우(low) 신호로 변화된다.
그런 후, 제1 랜딩 센서(241)가 차폐되어 신호 출력 값이 로우 신호에서 하이 신호로 변화되고, 제1 랜딩 센서(241)가 차폐된 후 일정 시간 후에 제2 레벨링 센서(246)가 제2 레벨링 개방부(232)을 통해 센싱이 진행되어 신호 출력 값이 다시 로우(low)로 변화된다. 이때, 제1 레벨링 센서(245)는 제1 레벨링 개방부(231)에 의해 센싱이 진행되어 로우 신호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위치 검출 수단(250)은 4 개의 랜딩 센서(241, 242, 243, 244)들이 모두 하이 신호를 출력하고, 2 개의 레벨링 센서(245, 246)들이 모두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시점을 정차 시점으로 검출한다.
그리고, 위치 검출 수단(250)은 상기 정차 시점 즉, 정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차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움직임 제어기(110)로 전달한다.
참고로, 도 4에서는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가 각각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될 때에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가 차폐되었을 때 로우 신호 등의 다양한 종류의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가 차폐되었을 때 각각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딩 베인에 형성된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은 해당 승강층의 바닥과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이 수평 일치되는 정위치로부터 허용되는 최소의 수평 편차를 갖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 내에서 엘리베이터 카(210)가 정차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최소 수평 편차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위치 검출 수단(250)은 4 개의 랜딩 센서(241, 242, 243, 244) 및 2 개의 레벨링 센서(245, 246)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출력 값의 변화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210)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속도 제어기(13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검출 수단(250)은 랜딩 센서들로부터 신호 출력 값의 변화가 최초로 발생되는 시점에 감속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속도 제어기(130)로 전달한다.
속도 제어기(130)는 엘리베이터 카(210)가 운행될 때 상하 방향으로 속도를 감속 또는 가속시키기 위한 속도 정보를 산출하여 움직임 제어기(110)로 전달한다.
이때, 속도 제어기(130)는 움직임 제어기(110)로부터 엘리베이터 카(210)가 정차되어 있던 승강층과 상기 호출된 승강층의 정보를 획득하여 두 승강층의 거리 값에 따른 엘리케이터 카(210)의 속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속도 제어기(130)는 상기 두 승강층의 거리 값 별로 기설정된 속도 값을 검출하거나, 기설정된 승강층 당 평균 이동 시간에 기초하여 두 승강층의 거리 값에 따른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속도 제어기(130)가 상기 속도를 산출하는 기준 및 방법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속도 제어기(130)는 상기 두 승강층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카(210)가 상기 호출된 승강층으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에 진입 시 감속 운행할 감속 속도(이하, ‘제1 감속 속도’라고 함)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감속 속도를 포함하는 감속 속도 정보를 움직임 제어기(110)로 전달한다.
그리고, 속도 제어기(130)는 상기 호출된 승강층에 대해 랜딩 센서의 최초 신호 출력 변화 정보 즉, 감속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1 감속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일정 속도만큼 더 감속된 제2 감속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감속 속도를 포함하는 감속 속도 정보를 움직임 제어기(11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속도 제어기(130)는 랜딩 센서가 랜딩 베인의 범위 내 진입한 동안 더욱 감속된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정차 시 탑승자들의 승차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참고로, 속도 제어기(130)는 엘리베이터 카(210)가 해당 승강층의 일정 범위 내에 진입할 때 및 랜딩 센서가 랜딩 베인의 범위 내에 진입할 때의 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입문 제어기(140)는 움직임 제어기(110)의 제어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210)가 정차하면, 엘리베이터 카(210)의 출입문과 해당 승강층의 출입문을 동시에 개방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제어기(140)는 엘리베이터 카(210)의 정차 시, 정차 위치 검출기(120)로부터 정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각 신호 출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신호 출력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출입문 제어기(140)는 상기 각 신호 출력 값이 상기 기준 신호 출력 값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엘리베이터 카(210)의 출입문과 해당 승강층의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엘리베이터 카(210)의 구동 오작동이 발생한 경우 또는 엘리베이터 카(210)에 연결된 이동 로프(220)의 늘어짐 또는 줄어듦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당 승강층의 정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카(210)가 정차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나타낸 정차 시점에 엘리베이터 카(210)가 정차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 레벨링 개방부(245, 246)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의 신호 출력 값이 로우 신호에서 다시 하이 신호로 변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출입문 제어기(140)는 엘리베이터 카(210)가 정차한 이후라도 승강장 및 엘리베이터 카(210)의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움직임 제어기(110) 및 속도 제어기(130)로 기설정된 방향으로의 감속 운행 요청 정보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출입문 제어기(140)는 엘리베이터 카(210)가 하강 운행 중 오작동이 발생된 경우 수직 상향 감속 운행을 요청하고, 상승 운행 중 오작동이 발생된 경우 수직 하강 감속 운행을 요청한다. 이때, 상기 수직 상향 또는 하강 감속 운행 시 감속 속도는 상기 제1 및 제2 감속 속도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카(210)의 상기 수직 상향 또는 하강 감속 운행에 따라 렌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결과 값에 변화가 발생되면, 정차 위치 검출기(120)는 상기 발생된 신호 출력 결과 값을 포함하는 정차 위치 정보를 움직임 제어기(110)로 전송하여 엘리베이터 카(210)를 정차시킨다. 그러면, 출입문 제어기(140)는 정차 위치 검출기(120)로부터 정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차 위치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 신호 출력 값과 일치하면 출입문을 개방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210)가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을 벗어난 위치 즉, 정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 정차한 경우에도 정차 위치를 재검출한 후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정지 요청 층의 정보를 수신한다(S510).
이때, 상기 정지 요청 층의 정보는 엘리베이터 사용자가 엘리베이터 카를 호출하는 승강층의 정보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정차되어 있는 현재 승강층과 상기 정지 요청 승강층 간의 움직임 거리를 계산한다(S520).
이때, 상기 움직임 거리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승강층 개수와 각 승강층 간이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하거나 기저장된 움직임 거리를 검출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 거리 산출 시 해당 승강층 즉, 상기 정지 요청 층으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에 진입하기 직전까지의 거리를 더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정 거리 범위는 엘리베이터 카가 감속 운행될 거리를 의미한다.
그런 다음, 계산된 움직임 거리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수직 상향 또는 하향 운행한다(S530).
그런 후,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정지 요청된 승강층 근처의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진입 시에는 감속 운행을 수행한다(S540).
이와 같이, 상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진입 시에 감속 운행을 수행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시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좀 더 정밀한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 검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진입한 후, 해당 승강층의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된 랜딩 베인에 의해 랜딩 센서 값의 변경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550).
구체적으로, 단계 S550에서는 엘리베이터 카의 진행 방향에 따라 랜딩 센서가 구비된 지지판에서 최상부 또는 최하부에 위치한 랜딩 센서 값이 변경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단계 S550에서 랜딩 센서 값의 변경이 검출되지 않으면, 감속 운행을 진행하면서 단계 S550의 판단을 반복 수행한다.
반면, 단계 S550에서 랜딩 센서 값의 변경이 검출되면, 모든 랜딩 센서 값의 변경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560).
이때, 단계 S560에서 모든 랜딩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랜딩 센서 값의 변경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감속 운행을 진행하면서 단계 S560을 반복 수행한다.
반면, 단계 S560에서 모든 랜딩 센서 값의 변경이 검출되면 모든 레벨링 센서 값의 변경이 검출되는지 판단한다(S570).
이때, 상기 모든 랜딩 센서 값이 기설정된 기준 랜딩 센서 값인 상태에서 모든 레벨링 센서의 값이 기설정된 기준 레벨링 센서 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모든 레벨링 센서 값의 변경이 검출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단계 S570에서 모든 레벨링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센서 값의 변경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기설정된 방향 및 거리 단위에 따라 감속 운행을 진행하고(S580), 단계 S570을 반복 수행한다.
반면, 단계 S570에서 모든 레벨링 센서 값이 기준 레벨링 센서 값으로의 변경이 검출되는 경우, 엘리베이터 카가 정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킨다(S590).
다음으로, 해당 승강층의 출입문과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문을 개폐를 제어한다(S600).
이때, S590에서 엘리베이터 카가 정차한 후 모든 레벨링 센서 값을 재검출할 수 있으며, 재검출된 모든 레벨링 센서 값이 상기 기준 레벨링 센서 값과 동일한 경우에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움직임 제어기 120: 정차 위치 검출기
130: 속도 제어기 140: 출입문 제어기
210: 엘리베이터 카 220: 이동 로프
230: 위치 식별 수단 240: 위치 감지 수단
250: 위치 검출 수단 241: 제1 랜딩 센서
242: 제2 랜딩 센서 243: 제3 랜딩 센서
244: 제4 랜딩 센서 245: 제1 레벨링 센서
246: 제2 레벨링 센서 231: 제1 레벨링 개방부
232: 제2 레벨링 개방부

Claims (19)

  1.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랜딩 베인과, 상기 랜딩 베인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센서가 상기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 또는 개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 출력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정차 위치 검출기;
    엘리베이터 카의 운행을 제어하고, 정차 대상 승강층에 대해 검출된 상기 정차 위치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움직임 제어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해당 승강층에 정차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출입문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정차 위치 검출기는 상기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정차 위치를 결정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과 상기 정차 대상 승강층의 승강장 바닥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 정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검출기는,
    상기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상기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되어 제1 변화된 후 상기 레벨링 개방부에 의해 개방되어 제2 변화된 값을 기준으로 상기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베인은,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각 레벨링 센서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상기 레벨링 개방부 중 가장 작은 수직 폭을 갖는 레벨링 개방부의 신호 출력 값을 기준으로 상기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제어기는,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신호 출력 값과 동일할 때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제어기는,
    상기 정차 위치 검출기를 통해 상기 해당 승강층에 대응하는 랜딩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의 최초 변화가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속도를 감속 운행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베인 및 랜딩 센서는,
    각각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일면 또는 승강로 내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8.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또는 승강로 내의 일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판 형상의 랜딩 베인;
    상기 엘리베이터 카 또는 승강로 내의 일면 중 상기 랜딩 베인에 수평 대향되는 위치에 부착되고, 상기 랜딩 베인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센서를 포함하는 랜딩 센서부; 및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가 상기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 또는 개방될 때 출력되는 신호 출력 값과 상기 레벨링 센서가 상기 레벨링 개방부에 의해 개방될 때 출력되는 신호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센서 및 레벨링 개방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과 정차 대상 승강층의 승강장 바닥이 수평이 되도록 하는 정위치를 기준으로 형성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레벨링 개방부 중 수직 폭이 가장 작은 레벨링 개방부에 대응되는 상기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정차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는,
    각각 상기 랜딩 베인에 의해 차폐될 때와 개방될 때 상이한 신호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 수단은,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로부터 상기 출력되는 신호 출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신호 출력 값에 부합될 때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및 출입문 개방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기 위한 정차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13.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가 정차할 승강층을 식별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레벨링 개방부가 형성된 랜딩 베인에 의해 상기 랜딩 베인을 감지하는 랜딩 센서 및 상기 레벨링 개방부를 감지하는 레벨링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의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모두 변화되면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레벨링 개방부의 수직 폭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정차 위치 범위가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단계 이후에,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신호 출력 값에 부합되는지 판단한 후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에서,
    상기 랜딩 센서 및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기설정된 기준 신호 출력 값에 부합되지 않으면, 상기 신호 출력 값이 상기 기준 신호 출력 값에 부합될 때까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정지되어 있던 승강층과 상기 정차할 승강층 간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정차할 승강층을 식별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17.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정차할 승강층으로부터 소정의 거리 범위 내에 진입하면 감속 운행을 시작하고, 상기 감속 운행을 시작 시점부터 최초로 상기 랜딩 센서의 신호 출력 값이 변화되는 승강층을 상기 정차할 승강층으로 식별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18.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 위치 범위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바닥과 상기 정차할 승강층의 승강장 바닥이 수평이 되는 정위치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19.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레벨링 개방부 중 수직 폭이 가장 작은 레벨링 개방부에 대응되는 상기 레벨링 센서의 신호 출력 값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정차시키는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방법.
KR1020100020483A 2010-03-08 2010-03-08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60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483A KR101160157B1 (ko) 2010-03-08 2010-03-08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483A KR101160157B1 (ko) 2010-03-08 2010-03-08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472A true KR20110101472A (ko) 2011-09-16
KR101160157B1 KR101160157B1 (ko) 2012-06-27

Family

ID=44953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483A KR101160157B1 (ko) 2010-03-08 2010-03-08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1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0016A (zh) * 2015-02-13 2017-10-13 蒂森克虏伯电梯股份公司 用于操作电梯系统的方法
KR20210088113A (ko) *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KR20210088119A (ko) *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99266U (ko) 1977-12-26 1979-07-13
KR100292260B1 (ko) 1998-10-13 2001-06-01 장병우 엘리베이터의위치검출장치
JP3910505B2 (ja) 2002-08-01 2007-04-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の位置検出装置
KR101084479B1 (ko) * 2006-10-17 2011-11-2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위치 검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0016A (zh) * 2015-02-13 2017-10-13 蒂森克虏伯电梯股份公司 用于操作电梯系统的方法
US10703607B2 (en) 2015-02-13 2020-07-07 Thyssenkrupp Elevator Ag Method for operating a lift system
KR20210088113A (ko) *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KR20210088119A (ko) * 2020-01-06 2021-07-14 주식회사 한테크 엘리베이터용 착상 레벨 조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157B1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1854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361312B1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KR101837870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2015534932A (ja) 可変長緩衝器を有するエレベータ
JP2001171924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1160157B1 (ko) 엘리베이터 정차 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JP6683184B2 (ja) エレベータ
KR20180097150A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시스템 모니터링 방법
JP2008179432A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JP2006290500A (ja)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135192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6419638B2 (ja) 両かごエレベーター
JP5850801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速度制御方法
JP2019099325A (ja) エレベーター
JP6079323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18052667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2005280934A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10086426A (ko) 엘리베이터의 위치 제어 장치
CN110770154B (zh) 电梯装置
JP2002220161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KR100638754B1 (ko) 엘리베이터 카 위치검출장치
JP5966872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2265012B1 (ko) 가변속도 엘리베이터의 강제 감속 제어장치 및 방법
JP6261459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CN111348505B (zh) 电梯及电梯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