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710B1 - 소형 2인승 자동차 - Google Patents

소형 2인승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710B1
KR0165710B1 KR1019950003824A KR19950003824A KR0165710B1 KR 0165710 B1 KR0165710 B1 KR 0165710B1 KR 1019950003824 A KR1019950003824 A KR 1019950003824A KR 19950003824 A KR19950003824 A KR 19950003824A KR 0165710 B1 KR0165710 B1 KR 016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ssenger
dashboard
drive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928A (ko
Inventor
사코 브루노
톰프로데 요한
레이첼 안톤
슈테인레 게르하르트
클레인 베르쏠드
슬로터 데이비드
마 마이크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바이쓰; 볼프강 바이쓰
메르세데스-벤쯔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바이쓰; 볼프강 바이쓰, 메르세데스-벤쯔 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클라우스 바이쓰; 볼프강 바이쓰
Publication of KR950024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for side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1/00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 B62D31/003Superstructures for passenger vehicles compact cars, e.g. city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최소의 표면영역을 필요로하며, 구조 그리고 무게를 증가시키는 재료들을 더 필요로 하지 않고 탑승객에게 최대의 안전성을 제공하는 소형 2인승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다음의 특성들을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a) 승객석은 그옆에 위치한 운전석에 대하여 좌석쿠션의 약 반가량의 깊이만큼 뒤쪽으로 세로방향으로 물러나서 배열되어 있다.
b) 계기판은 좌석의 앞에 배열되어 있는데, 승객측 영역에서는 계기판과 좌석앞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운전석과 승객석 사이의 거리와 대략 같은 정도까지 좌석을 향한 쪽으로 뒤로 확장된다.
c) 뒷축 영역에서, 외부 프레임 측면구조재는 휜단면 형태로, 적어도 타이어 상부 가장자리의 수준까지, 즉 최소한 승객석이 측면충격력에 대해서 보호받도록 확장된다.
d) 자동차 차체는 사실상 뒷바퀴 너머로 돌출하지 않는데, 이결과와 더불어, 후방충격이 일어날때 뒷축은 뒷쪽에 더 뚜렷한 관입이 일어나기 전에 충격력을 흡수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ion

소형 2인승 자동차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소형 2인승 자동차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소형 2인승 자동차에 대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형 2인승 자동차 2 : 운전석
3 : 승객석 4 : 대쉬보드(dashboard)
5 : 승객측영역 6 : 외측프레임측면부재
7 : 타이어 상측변부 8 : 뒷바퀴
9 : 프레임횡방향부재 10 : 적재물공간
11 : 망
지금까지, 소형 자동차는 자동차의 정면충돌, 후면충돌 및 측면충돌특성이 매우 불량하고 동시에 승객 및 운전자에게 느껴지는 조이는듯한 느낌(constricted feeling), 동일한 내부공간을 가지면서도 더 큰 외부치수를 필요로 하고 따라서 표면영역을 상당히 감소시키지 못하며 공간이용율이 낮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와 관련하여 공간과 차량중량을 더 증가시키지 않고 최소의 표면적을 요구하면서, 승객 및 운전자에게 가능한 최대의 안전도를 제공하는 소형 2인승 자동차용 디자인(design)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음과 같은 특징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승객석의 옆에 위치한 운전석에 대하여 씨트쿠션(seat cushion)길이의 ½까지 승객석은 자동차의 후방을 향해 종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b) 운전석 및 승객석에 대하여 대쉬보드(dashboard)와 씨트전면부 사이의 거리가 대략 동일한 크기로, 운전석 및 승객석을 향하는 측면을 가진 대쉬보드는 승객측영역에서 후방으로 연장구성된다.
(c) 리어액슬(rear axle)영역에서 굽은 단면(bent-off section)으로 적어도 타이어상측변부(tyre upper edge)의 높이까지 외측프레임측면부재(outer frame side member)가 연장구성되어, 측면충돌하중에 대해 적어도 승객석이 보호된다.
(d) 자동차 차체는 사실상 뒷바퀴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오버행(overhang)을 가지지 않아서, 그 결과 후면충돌시 자동차 후면이 전방으로 더 많이 밀려들어오기 전에 리어액슬(rear axle)이 충격력을 흡수하게 된다.
특징(a)에 따르면 첫째, 씨트쿠션길이의 ½까지 종방향으로 승객석이 오프셋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운전자 및 승객이 어깨를 맞대지 않고도, 운전석 및 승객석은 차량중심을 향해 더욱 가까이 이동가능하고, 둘째, 운전자와 승객은 공간적으로 상당히 더 넓게 느껴지고 운전자는 매우 좋아진 360도 시야를 가지며, 셋째, 차체폭이 작더라도 자동차 외측변부와 탑승자 사이의 거리는 더욱 커지게 되는데, 이것은 안전 및 심리적 측면에서 모두 중요하다.
특징(b)에 따르면, 특징(a)에 따라 씨트(seat)가 배열되더라도, 승객석과 대쉬보드사이의 거리는 거의 동일하거나 기껏해야 보통의 충진체적(filling volume)을 가진 에어백(air bag)이 이용될 수 있을 정도로만 다를 뿐이다.
특징(a)와 관련하여 특징(c)에 따르면 모든 차량에서 필수적인 외측프레임측면부재(outer frame side member)에 의해 별도의 구성없이도 후방으로 오프셋(offset)된 승객석이 측면충돌(side impact)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된다.
마지막으로, 특징(d)에 따르면, - 유사하게 차량중량을 증가시키는 별도의 구성없이 - 차량의 후면충돌(rear impact)시 운전자와 승객이 효과적으로 보호되고, 상기 후면충돌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기능을 위해 보조적으로 모든 차량에서 필수적이고, 대략 뒷바퀴의 상측높이에 배열되며, 후방변부가 뒷바퀴의 가장 바깥쪽위치와 대략 일직선을 이루는 강성의 프레임횡방향부재(frame cross member)가 구성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이 명확해진다.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소형 2인승 자동차(1)는 운전석(2)과 승객석(3)을 가지고, 운전석(2)에 대하여 승객석(3)은 씨트쿠션길이의 대략½까지 후방을 향해 종방향으로 오프셋(offset)(제2도에서 거리(X))되도록 배열된다. 대략적으로 상기 종방향오프셋(longitudinal offset)배열에 따라, 씨트들 앞쪽에 배열된 대쉬보드(4)는 운전석(2)의 앞에 위치한 대쉬보드(dash board)와 비교하여, 승객측영역(5)에서 거리(X)만큼 후방으로 연장구성된다. 승객석(3)에 대하여 거리(X)의 오프셋을 형성하는 대쉬보드의 상기 비대칭적인 설계에 의하여 승객석(3)의 앞쪽에서는 보통크기의 에어백(air bag)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승객석(3)에 대하여 측면충돌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실제로 승객석(3)의 하부는 프레임횡방향부재(6)에 의해 숨겨지고(sheltered), 적어도 타이어상측변부(7)까지 리어액슬(rear axle)영역에서 굽은단면(bent-off section)을 형성하며 외측프레임측면부재(6)가 연장구성된다.
사고시 차량의 후면이 전방으로 밀려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가지 방법이 준비된다.
첫째, 소형 2인승 자동차(1)의 차체는 사실상 뒷바퀴(8)너머로 오버행(overhang)을 가지지 않고, 그결과 후면충돌시 리어액슬(rear axle)이 충격을 직접 흡수하는데 이용된다.
둘째, 강성의 프레임횡방향부재(9)가 대략 뒷바퀴(8)의 상부높이에 배열되고, 상기 프레임횡방향부재(9)의 하부에 위치한 타이어(tyre)의 외측부와 상기 프레임횡방향부재(9)의 후방변부는 대략 일직선상에 높인다.
마지막으로, 대쉬보드(4)에 형성된 승객측영역(5)의 특수한 설계에 의해 얻어진 자유공간이 적재물공간(10)으로써 설계되고, 상기 적재물공간(10)은 대쉬보드(4)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으며, 적재물공간의 상측변부보다 낮은 위치에 배열되고 팽팽하게 늘어난 망(netting)(11)에 의해 적재물공간의 하측부가 형성된다.

Claims (4)

  1. 소형 2인승 자동차에 있어서, (a) 승객석(3)의 옆에 위치한 운전석(2)에 대하여, 승객석(3)은 씨트쿠션길이의 ½까지 자동차의 후방을 향해 종방향으로 오프셋되도록 배열되고, (b) 운전석(2) 및 승객석(3)에 대하여 대쉬보드(4)와 씨트전면부사이의 거리가 동일한 정도로, 운전석(2) 및 승객석(3)을 향하는 측면을 가진 대쉬보드(4)가 승객측영역(5)에서 후방으로 연장구성되며, (c) 리어액슬영역에서 굽은단면(bent-off section)으로 적어도 타이어 상측변부의 높이까지 외측프레임측면부재(6)가 연장구성되어 측면충격력에 대해 적어도 승객석(3)이 보호되고, (d) 자동차 차체는 뒷바퀴(8)너머로 오버행(overhang)을 가지지 않아서, 후면충돌시 자동차후면이 전방으로 더 많이 밀려들어오기 전에, 리어액슬이 충격력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2인승 자동차.
  2. 제1항에 있어서, 뒷바퀴(8)의 상측높이에 강성의 프레임횡방향부재(9)가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횡방향부재(9)의 하부에 위치한 타이어의 외측윤곽과 상기 프레임횡방향부재(9)의 후방변부가 일직선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2인승 자동차.
  3. 제1항에 있어서, 대쉬보드(4)에 구성된 승객측영역(5)내에 형성된 자유공간이 대쉬보드(4)의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적재물공간(10)으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2인승 자동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적재물공간(10)의 바닥이 팽팽하게 늘어난 망(11)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2인승 자동차.
KR1019950003824A 1994-02-28 1995-02-27 소형 2인승 자동차 KR0165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06448.9 1994-02-28
DE4406448A DE4406448C2 (de) 1994-02-28 1994-02-28 Zweisitziger Kleinwa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928A KR950024928A (ko) 1995-09-15
KR0165710B1 true KR0165710B1 (ko) 1999-02-01

Family

ID=651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824A KR0165710B1 (ko) 1994-02-28 1995-02-27 소형 2인승 자동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553909A (ko)
EP (1) EP0669245B1 (ko)
JP (1) JP2844174B2 (ko)
KR (1) KR0165710B1 (ko)
CN (1) CN1064013C (ko)
DE (1) DE4406448C2 (ko)
ES (1) ES209516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980828A1 (it) * 1998-04-20 1999-10-20 Antonio Ceccotti Piccolo autoveicolo da citta'
US6149290A (en) * 1999-03-23 2000-11-21 Oshkosh Truck Corporation Front discharge concrete vehicle having two operator stations in a cab enclosure
FR2826616B1 (fr) * 2001-06-27 2003-09-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Agencement de deux sieges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et un vehicule automobile pourvu d'un tel agencement
FR2936485B1 (fr) * 2008-10-01 2011-08-26 Heuliez Cabine avant d'un vehicule automobile personnel urbain
DE102010009770B4 (de) * 2010-03-01 2021-11-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JP5855510B2 (ja) * 2012-03-30 2016-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
GB2508607A (en) 2012-12-04 2014-06-11 Ford Global Tech Llc A seating arrangement for a passenger vehicle
FR2998855B1 (fr) * 2012-12-05 2016-11-2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Vehicule automobile dont une carrosserie a un habitacle avec un siege conducteur et un siege passager avant disposes de front et de facon dissymetrique rapport a un axe median de la carrosserie.
JP2014198536A (ja) * 2013-03-29 2014-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不整地走行車両のキャビンスペース構造
GB2519309B (en) 2013-10-16 2019-07-10 Ford Global Tech Llc A motor vehicle seating arrangement having an armrest
CN104816650A (zh) * 2014-01-30 2015-08-05 吴健辉 一种微型汽车
CN113619452B (zh) * 2021-09-02 2023-01-0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改善驾驶员及乘员乘坐空间的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8602A (en) * 1913-11-11 Franklyn J Morgan Automobile seat construction.
GB191420719A (en) * 1914-10-08 1915-02-25 Reginald Walter Maudslay Improvements in Dashboards for use on Motor and other Vehicles.
FR506380A (fr) * 1918-12-07 1920-08-20 Lancia Et Co Voiture automobile
DE1157935B (de) * 1958-03-11 1963-11-21 Daimler Benz Ag Tragwerk eines Kraftfahrzeuges
US3602327A (en) * 1967-08-02 1971-08-31 Daimler Benz Ag Instrument panel for motor vehicles, especially passenger motor vehicles
DE1932073A1 (de) * 1969-06-25 1971-01-21 Audi Nsu Auto Union Ag Selbsttragender Wagenkasten
JPS58110379A (ja) * 1981-12-24 1983-06-30 Yamaha Motor Co Ltd 小型車輌
JPS598874U (ja) * 1982-07-09 1984-01-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自動車
GB2128562A (en) * 1982-10-11 1984-05-02 Talbot Motor Vehicle fascias having storage containers
JPS59176165A (ja) * 1983-03-26 1984-10-05 Yamaha Motor Co Ltd 小型四輪車
JPS606650U (ja) * 1983-06-22 1985-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に設けられる小物収納ボツクス
JPS608163A (ja) * 1983-06-28 1985-01-17 Yamaha Motor Co Ltd 小型車「りよう」のフレ−ム構造
JPS6060367U (ja) * 1983-10-03 1985-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構造
FR2572340B1 (fr) * 1984-10-30 1988-07-29 Renault Agencement de sieges dans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JPS6464681A (en) * 1987-09-03 1989-03-10 Ace Denken Kk Pinball game machine
IT1238121B (it) * 1989-10-17 1993-07-07 Bulgari Gianni Spa Autovettura a tre sedili anteriori affiancati
US5201547A (en) * 1991-04-10 1993-04-1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ear under body structure
IT223369Z2 (it) * 1991-12-17 1995-06-21 Fiat Auto Spa Autoveicolo avente una scocca di tipo perfezionato.
SK249692A3 (en) * 1992-08-13 1994-08-10 Milan Bursik Method and equipment for more effective utilization of deformation zone of car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85404A (ja) 1995-10-31
DE4406448C2 (de) 1995-12-21
DE4406448A1 (de) 1995-09-07
ES2095168T3 (es) 1997-02-01
KR950024928A (ko) 1995-09-15
CN1112884A (zh) 1995-12-06
CN1064013C (zh) 2001-04-04
JP2844174B2 (ja) 1999-01-06
EP0669245A1 (de) 1995-08-30
EP0669245B1 (de) 1996-10-16
US5553909A (en) 199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933B2 (en) Vehicle front body structure
JP2745387B2 (ja) 剛性床構造体を持つ乗用自動車
KR0165710B1 (ko) 소형 2인승 자동차
JPH08324373A (ja) 斜めからの衝撃も緩和する自動車用エアバック
US5326130A (en) Vehicle instrument panel structure
CA2616050A1 (en) Front-end vehicle structure for a commercial vehicle
JPH10226363A (ja) 自動車のサイドストラクチャ構造
CN115315379A (zh) 气囊模块和车辆乘员约束系统
US4065157A (en) Knee protector
JP3105348B2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US6120093A (en) Child seat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vehicle
KR100412845B1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차체보강구조
KR200147806Y1 (ko) 자동차의 차체구조
JP3095474B2 (ja) 自動車のニープロテクタ構造
WO2002024490A1 (en) Protective arrangement in a motor vehicle
KR19980039541U (ko)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JP4238607B2 (ja) 車体構造
KR900007255Y1 (ko) 차량 이중 밤바장치
JPH10316041A (ja) 車体のトーボード構造
KR19980056599A (ko) 자동차의 엔진룸 보강구조
JPH0558512U (ja) 座席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00004633A (ko) 자동차의 대쉬패널 밀림 방지구조
KR19980042191U (ko) 자동차 엔진룸의 보강구조
JPH0526747U (ja) キヤブオーバ型車両
JP2004276817A (ja) 車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