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6599A - 자동차의 엔진룸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룸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6599A
KR19980056599A KR1019960075869A KR19960075869A KR19980056599A KR 19980056599 A KR19980056599 A KR 19980056599A KR 1019960075869 A KR1019960075869 A KR 1019960075869A KR 19960075869 A KR19960075869 A KR 19960075869A KR 19980056599 A KR19980056599 A KR 19980056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gine room
dash panel
engine
tire ap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7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6599A/ko
Publication of KR1998005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6599A/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엔진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추돌시 엔진 및 트랜스미션 본체가 차실내쪽으로 밀려지면서, 타이어 에이프런과 대시 패널을 변형시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을 해소한다. 또한, 대시 패널을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킨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램프류가 부착되는 전방 패널과, 휠 및 서스펜션이 장착되는 공간으로 타이어 에이프런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시 패널로 형성된 공간에, 엔진 및 트랜스미션 등이 설치된 자동차의 엔진룸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에이프런(6)과 대시 페널(5)의 사이에 보강재(7)가 설치된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보강재의 일단은 타이어 에이프런에 용접되고, 타단은 대시 패널에 용접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 룸 보강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룸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시 패널(dash panel)과 타이어 에이프런(tire apron)의 사이에 보강 구조물을 설치하여, 차량의 전방 추돌시 엔진 및 트랜스미션 본체가 차실내쪽으로 밀려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엔진룸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의 전방 차체구조가 도 1 및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전방 차체는 크게 외판부와 내판부로 구분된다. 외판부는 엔진(1), 트랜스미션(2) 등이 장착되는 엔진룸(3)과, 후드(hood) 및 램프류가 설치되는 전방패널(4)을 포함한다.
내판부는 엔진룸(3)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시 패널(5)과, 운전석 및 계기판 등이 설치되며 실내 공간의 하부 구조를 이루는 플로어 패널(floor panel)과, 측면 구조를 이루며 차륜 덮개 역할을 하는 전방 팬더(front fender) 및 바퀴가 장착되는 공간을 이루며 서스펜션(suspension)이 장착되는 타이어 에이프런(tire apron)(6)을 포함한다.
엔진(1) 및 트랜스미션(2)은 마운팅부재에 의해 차체 혹은 크로스 멤버등에 고정된다. 이때, 엔진(1) 및 트랜스미션(2)은 동력전달상의 문제와 엔진룸의 레이 아웃상의 문제에 의해, 차체의 중앙에 배치되지 않고 좌측 혹은 우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엔진룸 구조에 있어서, 엔진은 차량의 정면 추돌시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구조에 기인되어, 그 충격에 의해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밀려지면서, 타이어 에이프런과 대시 패널에 충격을 주어 차실내쪽으로 변형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차체의 변형은 탑승차에게 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대시 패널을 통해 엔진룸의 소음이 차실내로 전달되어, NVH(noise vibration harshness)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추돌시 엔진에 의해 충격을 받아 변형되는 대시 패널과 타이어 에이프런의 변형량을 억제하고,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시 패널을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엔진룸의 소음을 저감시키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엔진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엔진룸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 엔진룸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보강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트랜스미션
3 : 엔진룸 5 : 대시 패널
6 : 타이어 에이프런 7 : 보강재
8 : 보강 박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엔진 룸 보강구조를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은 휠 및 서스펜션이 장착되는 공간으로서의 타이어 에이프런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시 패널의 사이에 보강 구조물을 설치한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보강 구조물은 차량의 정면 추돌시 후방으로 밀려지는 엔진이 타이어 에이프런에 충격을 가하게 되더라도, 그 충격을 흡수하고, 타이어 에이프런과 대시 패널의 강성을 높여 차실내쪽으로의 변형을 억제하므로서,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 구조물은 대시 패널의 앞쪽에서 차단막을 형성하므로서, 대시 패널을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NVH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련된 자동차 엔진룸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으며,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 (1)은 엔진, (2)는 트랜스미션, (3)은 엔진룸 전체를 지칭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엔진룸(3)은 램프류가 부착되는 전방 패널(4)과, 휠 및 서스펜션이 장착되는 공간으로 타이어 에이프런(6)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시 패널(5)로 이루어지는 공간을 나타낸다.
엔진룸(3)의 앞쪽에는 통상 엔진(1) 및 트랜스미션(2)이 마운팅부재에 의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정면 추돌시 엔진(1) 및 트랜스미션(2)에 의해 타격을 받는 타이어 에이프런(6)과 대시 패널(5)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그 타이어 에이프런(6)과 대시 패널(5)의 사이에 보강 구조물로서의 판상 보강재(7)를 신설하고 있다.
보강재(7)의 프론트쪽 단부는 타이어 에이프런(6)에 용접되고, 리어쪽 단부는 대시 패널(5)에 용접된다. 또한, 리어쪽 단부는 대시 패널(6)의 앞쪽으로 타이어 에이프런(6)을 연장하고, 그 타이어 에이프런(6) 및 대시 패널(5)과 함께 3매 용접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재(7)는 엔진룸(3)의 좌측 혹은 우측에 택일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앙쪽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보강재(7)는 차량이 정면으로 충돌될 경우, 후방으로 밀려지는 엔진(1)이 타이어 에이프런(6)에 충격을 가하게 되더라도, 그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 타이어 에이프런(6)과 대시 패널(5)을 일체로 구성하여 강성을 높임으로써, 타이어 에이프런(6) 및 대시 패널(5)이 차실내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재(7)는 대시 패널(5)의 앞쪽에 차단막을 형성하므로서, 대시 패널(5)을 통해 차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자동차 엔진룸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보강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정면 추돌시 엔진(1) 및 트랜스미션(2)에 의해 타격을 받는 타이어 에이프런(6)과 대시 패널(5)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그 타이어 에이프런(6)과 대시 패널(5)의 사이에 보강 구조물로서의 보강 박스(8)를 신설하고 있다.
보강 박스(8)는 차체의 측면을 구성하는 타이어 에이프런(6)의 연장부에 용접된다.
이러한 보강 박스(8)는 엔진룸(3)의 좌측 혹은 우측에 택일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앙쪽 모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른 보강 박스(8)의 작용은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부연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엔진 룸 보강구조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엔진룸 내부의 강성 구조를 보강하므로서, 전방에서의 추돌 사고시 엔진 및 트랜스미션이 차실내쪽으로 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탑승자는 안전하게 보호된다.
또한, 차실내로 유입되는 소음을 차단하여 NVH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아울러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램프류가 부착되는 전방 패널과, 휠 및 서스펜션이 장착되는 타이어 에이프런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시 패널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엔진룸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에이프런과 대시 패널의 사이에 보강 구조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 룸 보강구조.
KR1019960075869A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엔진룸 보강구조 KR19980056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869A KR19980056599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엔진룸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5869A KR19980056599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엔진룸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6599A true KR19980056599A (ko) 1998-09-25

Family

ID=6639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5869A KR19980056599A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엔진룸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65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299B1 (ko) 충격 분산기능을 갖는 차량의 전방실내구조
KR19980056599A (ko) 자동차의 엔진룸 보강구조
KR19980042191U (ko) 자동차 엔진룸의 보강구조
KR017180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인너 패널 보강구조
KR100412351B1 (ko) 프론트 필러부의 결합구조
KR100194716B1 (ko) 자동차의 정면 충격 흡수구조
KR100512444B1 (ko) 충돌 에너지 흡수가 가능한 조수석측 인스트루먼트 패널설치구조
KR100232472B1 (ko) 자동차용 범퍼 장착구조
KR0128701Y1 (ko) 대시 패널의 하단 보강구조
KR100262191B1 (ko) 자동차의 카울 박스(cowl box) 구조
KR0143644B1 (ko) 자동차의 차체 전방부 보강브라켓
KR100194714B1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100282920B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KR200149568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43642B1 (ko) 자동차의 상부대쉬판넬과 측부카울판넬의 연결부위 보강브라켓
KR20030016642A (ko) 프레임바디 자동차의 차체보강구조
KR19990021293A (ko) 자동차의 휀더 에이프런 어퍼부 충격흡수구조
KR19980043200U (ko) 자동차용 범퍼 임팩트 빔 보강구조
KR19980039541U (ko) 자동차의 플로어판넬
KR19980026507U (ko) 프레임 장착 차량의 정면 충격 흡수구조
KR19980024572U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9980048831U (ko) 차량용 대쉬패널
KR19980013787A (ko) 차량의 전방부 충격보강구조
KR19980024596U (ko) 자동차의 프런트 필라 보강 구조
KR19980012862U (ko) 자동차의 대쉬패널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