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745B1 - 분리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745B1
KR0164745B1 KR1019940021629A KR19940021629A KR0164745B1 KR 0164745 B1 KR0164745 B1 KR 0164745B1 KR 1019940021629 A KR1019940021629 A KR 1019940021629A KR 19940021629 A KR19940021629 A KR 19940021629A KR 0164745 B1 KR0164745 B1 KR 016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refrigerant pipe
indoor
outdoor
work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206A (ko
Inventor
김종엽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1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4745B1/ko
Publication of KR960008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실내기와 실외기의 연결 및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냉매누설을 방지하며 난방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제1작동유체가 내부를 흐르는 제1냉매관(20)에 의해 폐회로를 이루도록 차례로 연결된 압축기(21), 실외측 열교환기(22)와 감압기(23), 제2작동유체가 내부를 흐르는 제2냉매관(30)에 의해 폐회로를 이루도록 연결된 펌프(31)와 실내측 열교환기(32), 제1냉매관과 상기 제2냉매관이 함께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제1작동유체와 제2작동유체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하는 제3열교환기(40)를 구비한다. 압축기, 실외측 열교환기, 감압기, 제3열교환기, 펌프는 실외기(100)를 구성하고, 실내측 열교환기는 실내기(200)를 구성하고, 제2냉매관은 제3열교환기와 펌프를 연결하는 실외측 냉매관(30a)과 실내측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내측 냉매관(30b), 그리고 실외측 냉매관의 양단과 실내측 냉매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유연성 연결배관(5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분리형 공기조화기
제1도는 종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사이클 구성도.
제2도는 종래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개략적인 설치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사이클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설치 상태도.
제5도는 제4도의 요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저장용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와 구동부의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1냉매관 22 : 실외측 열교환기
30 : 제2냉매관 32 : 실내측 열교환기
40 : 제3열교환기 50 : 연결배관
52,52' : 서비스밸브 60 : 저장용기
64 : 공급관 70 : 가열부재
100 : 실외기 200 : 실내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기와 실외기가 유연하게 연결되어 그 설치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고 2종류의 작동유체를 별도로 사용하여 작동유체의 누설이 방지하도록 구성된 분리형 냉난방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측 유니트와 실외측 유니트가 일체로 구성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 구성되고 별도의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된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냉방만을 수행하는 공기조화기와 냉방과 난방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냉,난방 공기조화기로 대별된다.
제1도는 종래 분리형 냉난방 공기조화기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압축기(1)와 실외측 열교환기(2), 감압기(3), 그리고 실내측 열교환기(4)가 냉매관에 의해 폐회로를 이루도록 차례로 연결된다. 압축기(1)와 실외측 열교환기 및 실내측 열교환기 사이에는 냉매유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전환밸브(5)가 설치되고, 실외측 열교환기(2)와 실내측 열교환기(4)의 사이에 배치되는 감압기(3)는 제1모세관(3a)과 제2모세관(3b)으로 구성되고 제2모세관(3b)과 병렬로 체크밸브(6)가 설치된다. 여기서 압축기(1)와 실외측 열교환기(2), 감압기(3), 전환밸브(5), 그리고 체크밸브(6)는 실외기(10)를 구성하고, 실내측 열교환기(4)는 실내기(20)를 구성한다. 물론 공기의 강제순환을 위해 실외측 열교환기(2)와 실내측 열교환기(4)에 인접하여 실외팬(미도시)과 실내팬(미도시)이 각각 설치된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2개의 연결배관(7)에 의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실내기(20)와 실외기(10)에는 각각 2개씩 배관연결부(8)가 마련되고 실외기(10)에는 서비스밸브(9)가 설치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는 냉매로서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므로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연결배관(7)으로 동관을 사용하고, 이 연결배관(7)에도 냉매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분리형 냉난방 공기조화기에서의 냉난방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방시에는,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1)에서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전환밸브(5)에 의해 제어되어 실외측 열교환기(2)를 지나면서 응축되고, 제1모세관(3a)과 체크밸브(6)를 지나면서 감압되고, 실내측 열교환기(4)를 지나면서 증발되어 가스 상태로 다시 전환밸브(5)를 거쳐 압축기(1)에 흡입되어 사이클을 구성한다. 이때 실내측 열교환기(4)에서 증발되는 냉매가 주위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냉기를 생성하고 이 냉기가 실내팬에 의해 실내(조화공간)으로 토출됨으로써 냉방이 이루어진다.
난방시에는,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1)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가 전환밸브(5)에 의해 그 유동방향이 전환되어 실내측 열교환기(4)를 지나면서 응축되고, 제2모세관(3b)과 제1모세관(3a)을 차례로 지나면서 감압되고, 실외측 열교환기(2)를 지나면서 증발되어 가스 상태로 다시 전환밸브(5)를 거쳐 압축기(1)에 흡입되어 사이클을 구성한다. 이때 실내측 열교환기(4)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방열에 의해 온기가 생성되고 이 온기는 실내팬의 의해 실내(조화공간)를 토출됨으로써 난방이 수행된다.
이제 실외기와 실내기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설치를 위해서 실내기(20)와 실외기(10)의 위치가 결정되면, 연결배관(7)을 각 배관연결부(8)와 서비스밸브(9)에 연결한다. 이때 실내측 열교환기와 배관에는 공기가 들어 있어 냉매와 혼합될 수 있으므로 실내측 열교환기와 배관내의 공기를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실외기의 냉매를 이용과 공기를 불어낸다. 또한 배관연결부에서의 냉매 누설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비눗물 검사를 한다.
이러한 종래의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는 연결배관에도 냉매인 프레온가스가 흐르므로 냉매누설의 염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배관을 동관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설치상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설치상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해체할때는 연결배관내의 냉매를 회수해야 하므로 전문가가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설치시 냉매로 공기를 불어내야 하므로 냉매가 대기중에 누출되어 오존층의 파괴를 일으키는 환경상의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난방시에는 외기온도의 강하에 따른 열원의 부족으로 실내기에서 나오는 난방을 위한 열량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난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외기와 실내기의 연결작업이 매우 용이할뿐만 아니라 가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분리형 냉난방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경을 파괴하는 냉매의 누설 염려가 없는 분리형 냉난방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난방시 상황에 따라 난방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분리형 냉난방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냉난방 공기조화기는, 실외측 열교환기가 설치된 실외기, 상기 실외기에 배치된 실외측 냉매관, 실내측 열교환기가 설치된 실내기,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상기 실내기에 배치된 실내측 냉매관, 상기 실외측 냉매관과 상기 실내측 냉매관의 양단을 각각 유연하게 연결하는 2개의 유연성 연결배관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제1작동유체가 내부를 흐르는 제1냉매관에 의해 폐회로를 이루도록 차례로 연결된 압축기와, 실외측 열교환기, 감압기, 제2작동유체가 내부를 흐르는 제2냉매관에 의해 폐회로를 이루도록 연결된 펌프와 실내측 열교환기, 상기 제1냉매관과 상기 제2냉매관이 함게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작동유체와 상기 제2작동유체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하는 제3열교환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 실외측 열교환기, 감압기, 제3열교환기, 펌프와 저장용기는 실외기를 구성하고,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는 실내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2냉매관은 상기 제3열교환기와 저장용기, 펌프를 연결하는 실외측 냉매관과 상기 실내측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내측 냉매관, 그리고 상기 실외측 냉매관의 양단과 실내측 냉매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유연성 연결배관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사이클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제1작동유체가 흐르는 제1냉매관(20)에 의해 압축기(21), 실외측 열교환기(22), 감압기(23)가 차례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구성하고, 제2작동유체가 흐르는 제2냉매관(30)에 의해 펌프(31)와, 실내측 열교환기(32)가 연결되어 또 다른 폐회로를 구성한다. 한편, 압축기(21)와 감압기(23) 사이의 제1냉매관과 펌프(31)와 실내측 열교환기(32) 사이의 제2냉매관이 함께 통과하도록 구성된 제3열교환기(40)가 설치되는데, 제3열교환기(40)에서는 제1작동유체와 제2작동유체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작동유체로 통상의 프레온 가스를 사용하였고 제2작동유체로는 물이나 부동액을 사용하였다. 이 부동액은 메타놀, 에틸알코올, 글리세린 등의 액체로 물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외측 열교환기(22)와 실내측 열교환기(32)에는 실외 송풍팬(24)과 실내 송풍팬(33)이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시킨다.
제1냉매관(20)의 중도에는 전환밸브(25)가 마련되어 압축기(21)에서 나온 제1작동유체가 실외측 열교환기(22)와 제3열교환기(40)로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한다. 이 전환밸브(25)는 사방밸브(four-way valve)로 구성되어 압축기(21)에서 나가는 제1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압축기(21)로 들어오는 제1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제3열교환기(40)와 실외측 열교환기(22) 사이에 배치되는 감압기(23)는 제1모세관(23a)과 제2모세관(23b)으로 구성되고 제2모세관(23b)과 병렬로 체크밸브(26)가 설치된다.
제2냉매관(30)은 제3열교환기(40)와 펌프(31)를 통과하는 실외측 냉매관(30a)과 실내측 열교환기(32)를 통과하는 실내측 냉매관(30b), 실내측 냉매관(30a)과 실외측 냉매관(30b)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배관(5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실내측 열교환기(32)로는 핀형(fin-type) 열교환기 하나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도시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형 열교환기(32a)와 코일형(coil-type) 열교환기(32b)를 병렬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코일형 열교환기는 실내의 온돌바닥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압축기(21), 실외측 열교환기(22), 감압기(23), 제3열교환기(40), 펌프(31)는 실외기(100)를 구성하고, 실내측 열교환기(32)는 실내기(200)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제2냉매관(30)중 제3열교환기(40)와 펌프(31)를 연결하는 것은 실외측 냉매관이 되고 실내측 열교환기(32)를 통과하는 것은 실내측 냉매관이 되는 것이다. 제6도에는 실외기(100)의 내부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4도는 실내기(200)와 실외기(100)의 연결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실외측 냉매관(30a)과 실내측 냉매관(30b)을 연결배관(50)에 의해 연결시키기 위해 이들 관의 단부에는 연결부(51)가 마련된다. 그리고 실외측 냉매관(30a)과 실내측 냉매관(30b)에는 그 양단 또는 연결부에 인접하여 실외측 서비스밸브(52)와 실내측 서비스밸브(52')가 설치된다. 실외측 서비스밸브(52)와 실내측 서비스밸브(52')는 실내기(200)와 실외기(100)의 설치상태에서는 개방되고 해체상태에서는 폐쇄된다. 한편, 연결배관(50)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된다. 즉 종래의 동관과는 달리 쉽게 구부릴 수 있고 가벼운 고무관 등으로 구성되어 누구든지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제5도를 참조하여 연결부(51)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측 냉매관(30a)과 실내측 냉매관(30b)의 양단에는 이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너트(53)가 마련되고, 고정너트(53)의 내면에는 고정홈(53a)이 인입형성된다. 또한 연결배관(50)의 단부에는 이 고정홈(53a)에 삽입되는 플랜지(54)가 형성되고, 냉매관의 단부와 연결배관(50)의 플랜지(54) 사이에는 고무링(55)이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너트를 풀고 조임에 따라 냉매관 연결배관을 연결시킬 수 있고 연결되는 힘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펌프(31)와 제3열교환기(40) 사이에는 제2작동유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60)가 설치되고, 이 저장용기(60)에는 그 내부의 제2작동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재(70)가 마련된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저장용기(60)는 제2작동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한 유입구(61)와 유출구(62)가 마련된 통상의 몸체(63)와 제2작동유체를 추가로 공급하도록 몸체(63)의 일측에 마련된 공급관(64)을 구비한다. 또한 저장용기(60)에는 그 내부의 제2작동유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65)가 마련되고, 공급관(64)에는 이 수위센서(65)에서 감지된 저장용기(60)내의 제2작동유체의 양에 따라 개폐되는 공급밸브(66)가 설치된다. 가열부재(70)는 난방시 실외온도의 강하에 따라 난방능력 부족현상이 발생할 경우 난방열을 보충하기 위한 것으로 실외온도, 실내측 냉매관의 온도, 실내기의 토출공기온도 등을 감지하여 가열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가열부재로는 통상의 히타외에 석유버너, 가스버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펌프(31)의 출구측에는 펌프압력센서(31a)를 설치하여 제2작업유체가 부족할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펌프운전을 정지시키고 실내기에 이를 표시해주도록 후술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수위센서(65), 펌프압력센서(31a)와 가열부재(70)는 제2작동유체의 공급량, 펌핑량, 가열량의 제어하여 표시부에 표시되게 하기 위해 제어부 즉 마이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콤에는 실내온도감지부, 실외온도감지부, 저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 펌프압력센서, 리모콘 수신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실내송풍모타 구동부, 실외송풍모타 구동부, 압축기 구동부, 전환밸브 구동부, 가열부재 구동부, 펌프 구동부, 실내기 작동상황 표시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냉방과정을 설명한다. 실외기(100)의 압축기(21)가 구동되면 제1작동유체는 고압으로 압축된다. 압축된 제1작동유체는 제3도의 실선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냉매관(20)을 따라 흐르는데, 전환밸브(25)에 의해 유동방향이 제어되어 실외측 열교환기(22)를 거치면서 응축되고 제1모세관(23a)과 체크밸브(26)를 통과하면서 감압된다. 감압된 제1작동유체는 제3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증발되어 다시 전환밸브(25)를 거쳐 압축기(21)로 들어간다. 이와 동시에 펌프(31)의 작동으로 제2작동유체가 제2냉매관(30)을 흐르게 되는데, 이 제2작동유체는 제3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제1작동유체와 열교환을 하여 방열함으로써 차가운 상태로 실내측 열교환기(32)를 통과하고 여기서 주위공기와 열교환되어 냉기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냉기는 실내측 송풍팬(33)의 구동으로 실내로 토출됨으로서 냉방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제2작동유체가 방바닥에 배치된 코일형 열교환기(32b)를 통과하면서 냉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은 난방과정을 설명한다. 실외기(100)의 압축기(21)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제1작동유체는, 점선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냉방시와 반대로 제1냉매관(20)을 흐르는데, 전환밸브(25)에 의해 유동방향이 전환되어 제3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제2냉매관(30)을 흐르는 제2작동유체와 열교환을 하여 응축된다. 응축된 제1작동유체는 제2모세관(23b)과 제1모세관(23a)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감압되고, 실외측 열교환기(22)를 지나면서 증발되어 다시 압축기(21)로 흡입된다. 이와 동시에 펌프(31)의 작동으로 제2작동유체가 제2냉매관(30)을 흐르는데, 이 제2작동유체는 제3열교환기(40)를 통과하면서 제1작동유체와 열교환을 하여 흡열함으로써 뜨거운 상태로 실내측 열교환기(32)를 통과하고 여기서 주위공기와 열교환되어 방열함으로서 온기(溫氣)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온기는 실내측 열교환기(32)의 구동으로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난방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제2작동유체가 방바닥에 배치된 코일형 열교환기(32b)를 통과하면서 난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난방중 난방능력의 부족 현상이 생기면 저장용기(60)에 설치된 가열부재(70)가 제2작동유체를 가열하여 충분한 난방을 수행한다. 이러한 난방의 조절은 마이콤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된다.
이제 실외기와 실내기의 설치 및 해체과정을 설명한다. 제품 출하시에는 실내기(200)에 있는 실내측 열교환기(32)를 통과하는 실내측 냉매관(30b)에 제1작동유체가 들어 있고 실내측 서비스밸브(52')가 닫힌 상태로 출하된다. 또한 실외기(100)에 있는 실외측 냉매관(30a)에도 제1작동유체가 들어있어 실외측 서비스밸브(52)가 닫힌 상태로 출하된다. 이 상태에서 2개의 유연성 연결배관(50)을 사용해 실외기(100)와 실내기(200)를 연결하는데, 연결배관(50)의 플랜지(54)를 냉매관에 나사결합된 고정너트(53)에 삽입하여 고정너트를 조이면 된다. 이때 연결배관(50)에는 제1작동유체가 들어있지 않으므로 제2냉매관(30)을 순환하는 제2작동유체의 양이 부족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저장용기(60)에 여분의 제2작동유체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부족량을 보충할 수 있다. 그래도 제2작동유체의 양이 부족할 경우에는 공급밸브(66)를 개방하여 공급관(64)을 통해 제2작동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제2작동유체의 부족현상을 완전히 해소할 수 있다. 이때 수위센서(65)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작동유체의 공급은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실외기(100)와 실내기(200)의 해체시에는 실내측 서비스밸브(52')와 실외측 서비스밸브(52)를 닫고 유연성 연결배관(50)을 풀면 되는데, 연결배관에 남아있는 제2작동유체를 별도의 그릇에 담아 재설치시에 공급해주면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외기와 실내기가 부드러운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되므로 설치 및 해체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실외기와 실내기의 연결부위를 포함한 제2냉매관을 흐르는 제2작동유체로 물이나 부동액을 사용하므로 실내기와 실외기의 연결과정에서 작동유체가 누설되더라도 환경을 파괴할 염려가 없고 실내기와 실외기의 설치시 서비스밸브를 개폐하면 되고 제1냉매관은 연결부위가 없으므로 작동유체가 누설될 염려가 없다. 한편 가열부재를 사용하여 제2작동유체를 적절히 가열하면 되므로 난방능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제1작동유체로 냉매가 흐르는 제1냉매관(20)에 의해 압축기(21), 실외측 열교환기(22)와 감압기(23), 제2작동유체로 물이나 부동액이 흐르는 제2냉매관(30)에 의해 연결된 펌프(31)와 실내측 열교환기(32), 상기 제1냉매관과 제2냉매관이 함께 통과하여 상기 제1,2작동유체 사이에 열교환이 일어나게 하는 제3열교환기(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냉매관은 상기 제3열교환기와 펌프를 연결하는 실외측냉매관(30a)과 상기 실내측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내측냉매관(30b), 상기 실외측냉매관의 양단과 실내측냉매관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2개의 유연성 연결배관(50)을 포함하고, 상기 펌프와 상기 제3열교환기 사이에는 상기 제2작동유체를 저장하는 저장용기(60)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용기에는 내부의 제2작동유체를 가열하는 가열부재(70)와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65), 제2작동유체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급관(64), 감지된 수위에 따라 공급관을 개폐하기 위한 공급밸브(6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냉매관과 실내측냉매관의 적어도 하나에는 고정너트(53)가 결합되고, 상기 고정너트의 내면에는 고정홈(53a)이 인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배관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플랜지(54)가 형성되고, 상기 냉매관의 단부와 상기 연결배관의 플랜지 사이에는 고무링(5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열교환기는 핀형 열교환기(32a)와 코일형 열교환기(32b)가 병렬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
KR1019940021629A 1994-08-30 1994-08-30 분리형 공기조화기 KR016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629A KR0164745B1 (ko) 1994-08-30 1994-08-30 분리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629A KR0164745B1 (ko) 1994-08-30 1994-08-30 분리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206A KR960008206A (ko) 1996-03-22
KR0164745B1 true KR0164745B1 (ko) 1999-03-20

Family

ID=1939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629A KR0164745B1 (ko) 1994-08-30 1994-08-30 분리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4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298A (ko) * 2001-01-02 2002-07-11 이근기 자폐식 냉,온수 수도전 및 이를 이용한 욕조수위조절장치
KR100570300B1 (ko) * 2004-12-31 2006-04-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2차유체 순환식 이동형 멀티에어컨
KR100748519B1 (ko) * 2005-02-26 2007-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차냉매 펌프구동형 공기조화기
KR100826930B1 (ko) * 2007-01-30 2008-05-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206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9048B (zh) 制冷循环装置
ES2553572T3 (es) Aparato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US6874334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6279333B1 (en) Mobile industrial air cooling apparatus
JP3410859B2 (ja) 空気調和機
KR0164745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
JP3399023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879301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0266439A (ja) 冷蔵庫
KR101450549B1 (ko) 히트 펌프 급탕기 및 그 제어 방법
JP7042927B2 (ja) 室外機
JP3728079B2 (ja) 空調システム
JP3322571B2 (ja) 温水空気調和機
KR200233865Y1 (ko) 공기조화기의열교환기용커넥터
JP2610220B2 (ja) 空気調和機
JPS6340758Y2 (ko)
KR20050070401A (ko) 자동차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040106012A (ko) 수냉식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96132B1 (ko) 도장건조기능을 탑재한 일체형 조선용 제습장치
JP3476980B2 (ja) 空気調和機
JPH0540734U (ja) 簡易一体型空気調和機
JP2007307936A (ja) 車両用冷凍サイクル装置
JPH0727437A (ja) 空気調和機
JPH08128752A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暖房運転方法
KR20020036110A (ko) 가습장치가 구비된 냉난방 겸용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