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930B1 - 일체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930B1
KR100826930B1 KR1020070009466A KR20070009466A KR100826930B1 KR 100826930 B1 KR100826930 B1 KR 100826930B1 KR 1020070009466 A KR1020070009466 A KR 1020070009466A KR 20070009466 A KR20070009466 A KR 20070009466A KR 100826930 B1 KR100826930 B1 KR 100826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refrigerant pipe
refrigerant
compressor
integrat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득용
이재권
모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F16L55/0337Noise absorbers by means of a flexibl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와 실내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케이스 안에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냉매 토출구와 상기 압축기의 냉매 흡입구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유연한 재질을 갖는 제2냉매배관이 구비되는 구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으로서, 제2냉매배관의 U자형 트랩부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일체형 공기조화기{Integrated Type Air Conditioner}
도 1은 종래의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4(b)는 도 3의 가이드부재 중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일체형 공기조화기 20: 압축기
30: 실외열교환기 40: 실내열교환기
50: 제1냉매배관 60: 제2냉매배관
70: 가이드부재 80: 체결부재
90: 고정부재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와 실내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한 공간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통상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로 나뉘어져 형성되는 것을 분리형 공기조화기라고 하며, 실외기와 실내기가 하나의 유닛 안에 형성되는 것을 일체형 공기조화기라고 한다.
도 1은 종래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압축기(2)에 의해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제1냉매배관(5)을 통하여 실외열교환기(3)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3)에서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여 냉매를 응축하게 된다. 상기 응축된 냉매는 모세관에서 감압된 후 실내열교환기(4)로 유입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로 유입된 냉매는 실내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증발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를 통과한 저온저압의 냉매는 제2냉매배관(6)을 통하여 다시 압축기(2)로 유입된다.
일반적으로 제1냉매배관(5)과 제2냉매배관(6)에 사용되는 재질은 가공성이 뛰어나고 부식에 강한 동관(Copper Pipe)이 사용된다. 그러나 동관 재질의 제1냉매배관(5)과 제2냉매배관(6)은 압축기(2)와 연결되어 압축기(2)의 진동이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제1냉매배관(5)과 제2냉매배관(6)은 진동하여 U자형 트랩부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압축기(2)의 진동이 일체형 공기조화기(1) 전체로 전달되어 일체형 공 기조화기(1) 전체가 진동하여 안전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2)의 소음이 동관을 통해 실내기로 전달되어 실내에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압축기(2)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제1냉매배관(5)의 U자형 트랩부를 고정하는 구조에 대한 것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98563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2냉매배관(6)에서 U자형 트랩부의 진동으로 인한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와 실내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소음 및 진동이 감소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배관이 일체형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냉매배관을 일정 위치에 고정시켜 냉매배관의 손상을 방지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나의 케이스 안에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냉매 토출구와 상기 압축기의 냉매 흡입구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유연한 재질을 갖는 제2냉매배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냉매배관은 고무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냉매배관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냉매배관이 끼움 결합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2냉매배관이 끼워지도록 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케이블타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일체형 공기조화기(10)는 하나의 케이스(11) 내부에 압축기(20), 실외열교환기(30), 실내열교환기(40)가 설치되어 있다.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케이스(11) 내부를 실외측(13)과 실내측(12)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외측(13)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0)와 상기 압축기(20)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유입되어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30)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측(12)에는 고압의 냉매가 감압된 후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4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1)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20)와 실외열교환기(30)를 서로 연결하는 제1냉매배관(50)이 설치되고, 상기 실외열교환기(3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40)를 서로 연결하는 모세관(미도시)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40)와 상기 압축기(20)를 서로 연결하는 제2냉매배관(60)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20)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로 만들고, 이 고온고압의 기체는 상기 제1냉매배관(50)을 통과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30)로 유입되고,상기 실외열교환기(30)는 이 고온고압의 기체 냉매로부터 열을 방출하여 액체 상태로 만들며,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모세관(미도시)에서 감압된 후, 상기 모세관(미도시)을 통과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40)에 유입되어 기화되고, 이때 기화가 일어나면서 주위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실내열교환기(40) 주변의 공기가 냉각되며, 이에 냉기가 생성되어 실내에 공급되고, 기화된 냉매는 저온저압인 상태로 상기 제2냉매배관(60)을 통과하여 다시 압축기(20)로 유입되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되는 것이다.
상기 제1냉매배관(50)에는 고온고압의 냉매가 통과하므로 동관이 사용되며, 상기 제2냉매배관(60)은 저온저압의 냉매가 통과하므로 유연한 재질의 고무관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2냉매배관(60)의 일단은 상기 실내열교환기(40)의 냉매 토출구(41)와 타단은 상기 압축기(20)의 냉매 흡입구(21)와 연결된다. 이처럼 고무관으로 형성된 배관과 고무관으로 형성되지 않은 배관의 연결방법은 별도의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배관의 연결구조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58626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20)는 롤러(미도시)를 구비하여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데, 상기 롤러(미도시)가 회전하게 되면 압축기(20)에서 진동 및 소음이 발생된다. 이러한 진동 및 소음은 압축기(20)와 연결된 제2냉매배관(60)에 전달되며, 상기 제2냉매배관(60)은 압축기(20)에서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2냉매배관(60)은 고무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압축기(20)와 상기 실내열교환기(40)의 사이공간에서 스스로 지탱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2냉매배관(60)의 유동을 방지하고 다른 부재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냉매배관(60)이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정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상기 압축기(20)의 냉매 흡입구(21)에서 상기 실내열교환기(40)의 냉매 토출구(41)까지 이르는 제2냉매배관(60)의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70)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상기 압축기(20)와 실내열교환기(40) 사이에 있는 공간에 설치된다. 이 공간에는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제2냉매배관(60)이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10) 내부에서 정형화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품을 운반하거나 설치하거나 운전할 때 제2냉매배관(60)의 유동을 방지하여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케이블타이로 형성되어 제2냉매배관(60)을 직접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에 고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일체형 공기조화기에서 가이드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 도 4(b)는 가이드부재에서 고정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재(70)는 상기 제2냉매배관(60)을 끼움 결합하는 체결부재(80)와 상기 체결부재(80)를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에 고정하는 고정부재(90)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재(8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된 고리부(81)와 상기 고리부(81)와 일체로 형성되고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과 연결하는 연결부(83)를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재(80)는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81)에는 간극(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80)는 상기 간극(82)을 통하여 상기 제2냉매배관(60)과 끼움 결합한다. 상기 제2냉매배관(60)이 상기 간극(82)을 통하여 상기 체결부재(80)에 끼워질 때, 상기 체결부재(80)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제2냉매배관(60)의 직경만큼 벌어지고, 상기 제2냉매배관(60)이 상기 체결부재(80)에 끼워져 결합된 후에는 상기 체결부재(80)는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2냉매배관(60)과 결합을 지속적으로 유지한다.
상기 연결부(83)는 상기 체결부재(80)가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에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83)에는 연결홀(8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90)는 상기 연결홀(84)을 통하여, 상기 제2냉매배관(60)이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과 고정되게 한다.
상기 고정부재(90)는 상기 연결부(83)의 연결홀(84)과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을 고정하기 위해 마련되는 장치이다. 상기 고정부재(90)에는 케이블타이(91) 또는 나사(92)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타이(91)는 연결부(83)를 통과하여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과 매듭을 형성하여 결합한다.
상기 나사(92)는 상기 연결홀(84)을 통하여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과 나사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제2냉매배관(60)은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10)의 프레임(15)에 고정되어 유동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2냉매배관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여 진동 및 소음이 작은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냉매배관은 진동으로 인한 U자형 트랩부에 발생할 수 있는 크랙(Crack)의 근원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냉매배관의 유동을 방지하여 제2냉매배관이 일체형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정형화된 위치에 고정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하나의 케이스 안에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실내열교환기의 냉매 토출구와 상기 압축기의 냉매 흡입구 사이에는 상기 압축기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유연한 재질을 갖는 고무관으로 형성되는 제2냉매배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냉매배관의 경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냉매배관이 끼움 결합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2냉매배관이 끼워지도록 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케이블타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0070009466A 2007-01-30 2007-01-30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826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466A KR100826930B1 (ko) 2007-01-30 2007-01-30 일체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466A KR100826930B1 (ko) 2007-01-30 2007-01-30 일체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930B1 true KR100826930B1 (ko) 2008-05-06

Family

ID=39649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466A KR100826930B1 (ko) 2007-01-30 2007-01-30 일체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9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6468A (zh) * 2009-04-30 2010-1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体式鞍形空调器
WO2018202597A1 (en) * 2017-05-04 2018-11-08 Arcelik Anonim Sirketi A dynamic vibration damper and the household appliance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206A (ko) * 1994-08-30 1996-03-22 김광호 분리형 공기조화기
JPH10259893A (ja) * 1997-03-21 1998-09-29 Denso Corp 冷媒配管
KR200158616Y1 (ko) * 1995-11-09 1999-10-15 윤종용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와 압축기의 연결부의 진동감쇠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206A (ko) * 1994-08-30 1996-03-22 김광호 분리형 공기조화기
KR200158616Y1 (ko) * 1995-11-09 1999-10-15 윤종용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와 압축기의 연결부의 진동감쇠구조
JPH10259893A (ja) * 1997-03-21 1998-09-29 Denso Corp 冷媒配管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259893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6468A (zh) * 2009-04-30 2010-1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体式鞍形空调器
WO2018202597A1 (en) * 2017-05-04 2018-11-08 Arcelik Anonim Sirketi A dynamic vibration damper and the household applian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9705B2 (en) Noise reduc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439814B1 (ko) 냉동 장치의 실외 유닛
WO2010092933A1 (ja) インジェクション管
KR10059821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EP1589293A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82693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2006242515A (ja) 冷凍装置
KR20050024880A (ko) 저진동 에어컨 배관 구조
KR100713819B1 (ko) 김치저장고용 나선형 응축기
KR100745420B1 (ko) 공기조화기
JPWO2016002023A1 (ja) 熱源装置及びその熱源装置を備えた熱源システム
KR20090001455U (ko) 진동저감장치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KR20050036177A (ko) 저진동 에어컨 배관 구조
US20220042715A1 (en) Indoor unit for air-conditioning apparatus
KR20090069994A (ko) 안정화된 냉매 싸이클을 갖는 카세트 타입 히트펌프공기조화기
KR100713825B1 (ko) 나선형 응축기의 효율증대 구조
KR100648948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20070077409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50056034A (ko)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JP2015086982A (ja) 配管固定具及び配管固定具を備える冷凍装置の室外ユニット
KR100439057B1 (ko) 배관 구조
CN212179281U (zh) 冷凝器、冷气系统、以及管接头
US11739995B2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JP2008298413A (ja) ターボ冷凍機
KR20070077884A (ko) 배관 서포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