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8948B1 -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8948B1
KR100648948B1 KR1020050103225A KR20050103225A KR100648948B1 KR 100648948 B1 KR100648948 B1 KR 100648948B1 KR 1020050103225 A KR1020050103225 A KR 1020050103225A KR 20050103225 A KR20050103225 A KR 20050103225A KR 100648948 B1 KR100648948 B1 KR 100648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conditioner
dustproof
coupling part
vib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3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8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탄성재질의 방진몸체는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폐곡선으로서, 파이프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와,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된 방진몸체의 내측에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를 제공한다. 인접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파이프의 직경이 다양한 경우에도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끼워 넣는 간단하고 용이한 동작에 의하여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우수한 방진효과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Weight Rubber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방진몸체 11 : 공간부
12 : 제1결합부 14 : 제2결합부
2 : 제1파이프 3 : 제2파이프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직경을 가진 파이프들 사이에 용이하게 장착되어 방진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실내 열교환기, 전자 팽창밸브,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냉매관, 실내 및 실외 횡류팬 등으로 구성되 어 실내공기가 실내 열교환기와 열교환하게 함으로써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여 실내를 냉난방하게 되는데, 이러한 열교환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및 증발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축기는 저압의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에 고온고압의 냉매를 유입시킨다.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전달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와 응축기를 통하는 공기가 열교환되도록 하여 고온고압의 기체냉매를 저온고압의 액냉매로 전환시킨다.
한편, 응축기에서 토출된 저온저압의 액냉매는 모세관을 통과하는데 모세관은 응축기에서 토출된 저온고압의 액냉매를 감압하여 증발기에서 증발하기 쉬운 상태로 조정하고 일정한 비율로 냉매가 흐르도록 한다. 모세관을 통과한 액냉매는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로 변하여 증발기로 유입되어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사이에 파이프를 연결하여 냉매가 순환되도록 한다.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이러한 파이프 상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쇠시키고 소음이나 충격도 일부 완화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38156호에 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파이프의 지름에 꼭 맞는 관통부를 형성하고 파이프를 관통부에 끼운 후 이를 베리어 상부의 홈에 설치하는 구조로서, 관통부의 크기가 정해져 있어 지름이 다른 파이프에는 각각 다른 방진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 방진장치가 파이프를 방진장치에 끼운 후에 장착되는 구조로서 이미 파이프가 설치된 경우에는 방진장치의 설치가 곤란하며, 방진장치를 길이가 긴 파이프에 끼워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착탈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경이 다양한 두 개의 파이프 사이에 간단하게 끼워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탄성재질의 방진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방진몸체는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폐곡선으로서, 파이프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형성된 상기 방진몸체의 내측에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결합부는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진몸체를 이루는 폐곡선이 서로 겹치도록 단부가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결합부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파이프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형성되지 않는 상기 방진몸체의 양 측 부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되 강도보강을 위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중간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진몸체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가장 내측으로 인입된 부분이 서로 맞닿지 않아 상기 공간부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서로 연결하는 파이프 외주에 설치되어 진동 및 소음 등을 방지한다. 진동이 많이 발생하는 압축기와 연결되는 파이프에 많이 설치된다. 방진몸체(1)는 탄성부재로 만들어지는 폐곡선으로서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너비를 가진다. 이러한 방진몸체(1)의 양 측부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되어 좌측에 제1결합부를, 우측에 제2결합부를 형성한다.
제1결합부(12)는 방진몸체(1)의 내측으로 대략 타원형을 이루며 인입되어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12)의 입구부(12a)는 방진몸체(1)를 이루는 폐곡선이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입구부(12a)에 더욱 강한 지지력을 주어 파이프와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인데 주로 파이프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 더욱 유용한 구조이다.
제2결합부(14)는 제1결합부와 마찬가지로 방진몸체(1)의 내측으로 인입되도 록 형성된다. 그러나, 제2결합부(14)의 입구부(14a)는 제1결합부(12)의 입구부(12a)와는 다소 상이하게 형성되는데 이는 지름이 큰 파이프도 수용할 수 있도록 입구부(14a)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단부에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1결합부(12) 및 제2결합부(14)는 각 단부(12a, 14a)가 양 측으로 벌려지도록 형성되므로 파이프의 지름에 관계없이 각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진몸체(1)는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상이한 경우라면 작은 직경을 가진 파이프는 제1결합부(12) 측에 수용하여 더욱 강하게 지지하여 파이프가 착탈되지 않도록 하고, 큰 직경을 가진 파이프는 입구부(14a)에 걸림턱이 형성된 제2결합부(14)에 형성하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결합부(12) 및 제2결합부(14)가 형성되지 않은 방진몸체(1)의 양측부(13)는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양측부(13)는 두 파이프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여 주며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주는 곳으로서 상, 하단부는 이러한 탄성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두께가 더 두껍게 보강된다.
제1결합부(12), 제2결합부(14) 및 방진몸체(1)의 양측부(13)의 사이에는 공간부(11)가 형성된다. 공간부(11)는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제1결합부(12)와 제2결합부(14)의 내측으로 인입된 부분들이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방진몸체(1)의 제1결합부(12)에는 지름이 비교적 작은 제1파이프(2)가 결합되고, 제2결합부(14)에는 지름이 상대적으로 큰 제2파이프(3)이 결합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파이프들의 지름은 이와 같이 서로 상이하여도 되고, 서로 같은 경우라도 아무런 무리없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지름이 다양하더라도 파이프의 외주부 전체가 제1결합부(12) 및 제2결합부(14)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얼마든지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제2결합부(14)의 입구부(14a)를 양 측으로 벌려 제2파이프(3)의 외주부에 끼우는 것과 같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파이프들(2, 3)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공간부(11)의 탄성에 의하여 변형시켜 방진몸체(1)를 파이프(2, 3)의 사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착탈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제2결합부(14)의 입구부(14a)의 결합턱(미도시)은 결합된 제2파이프(3)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진동에 의하여 탈착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인접되는 파이프의 직경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는 파이프의 직경이 다양한 경우에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끼워 넣는 간단하고 용이한 동작에 의하여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우수한 방진효과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탄성재질의 방진몸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진몸체는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폐곡선으로서, 파이프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양측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인입되는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형성된 상기 방진몸체의 내측에 탄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방진몸체를 이루는 폐곡선이 서로 겹치도록 단부가 이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파이프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부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형성되지 않는 상기 방진몸체의 양 측부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되 강도보강을 위하여 상단부와 하단부가 중간부분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 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몸체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가장 내측으로 인입된 부분이 서로 맞닿지 않아 상기 공간부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1020050103225A 2005-10-31 2005-10-31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100648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25A KR100648948B1 (ko) 2005-10-31 2005-10-31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225A KR100648948B1 (ko) 2005-10-31 2005-10-31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948B1 true KR100648948B1 (ko) 2006-11-27

Family

ID=3771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225A KR100648948B1 (ko) 2005-10-31 2005-10-31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89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480B1 (ko) * 2009-09-30 2011-12-13 (주)풍천엔지니어링 초방진형 냉각탑
CN114183835A (zh) * 2021-12-07 2022-03-15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隔振组件及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222U (ja) 1983-07-29 1985-02-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管の振動音防止装置
JPS61124782U (ko) 1985-01-25 1986-08-06
JP2000171061A (ja) 2000-01-01 2000-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外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50089592A (ko) * 2004-03-05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지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222U (ja) 1983-07-29 1985-02-22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排気管の振動音防止装置
JPS61124782U (ko) 1985-01-25 1986-08-06
JP2000171061A (ja) 2000-01-01 2000-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外ユニット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50089592A (ko) * 2004-03-05 2005-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냉매파이프 지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480B1 (ko) * 2009-09-30 2011-12-13 (주)풍천엔지니어링 초방진형 냉각탑
CN114183835A (zh) * 2021-12-07 2022-03-15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隔振组件及空调器
CN114183835B (zh) * 2021-12-07 2023-01-20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隔振组件及空调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988B2 (en) Pipe fixing device
KR100598215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배관 구조
CN108291669B (zh) 封闭用弹性体、空调装置及封闭方法
JP2008207630A (ja) 車両用空調装置の内部熱交換器
KR100648948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US20130199237A1 (en)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2005106367A (ja) 空調室外機、空気調和機、及び圧縮機ユニット
KR100677887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100714292B1 (ko) 공기조화기의 파이프 방진장치
KR102266827B1 (ko) 공기 조화기
KR200436382Y1 (ko) 차량용 에어컨 배관의 방진장치
US20050235690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6050684A (ja) 空気調和機および圧縮機
KR20100013925A (ko) 소음저감형 응축기
KR100826930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WO2008102815A1 (ja) 分岐管装置
KR10236501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656165B1 (ko) 공기조화기의 진동저감장치
CN218820690U (zh) 一种压缩机用连接管及空调室外机
WO2023218704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9990037817U (ko) 에어컨의 진동 감쇠 구조
CN216845230U (zh) 电子膨胀阀可视化装置及空调器
KR20120005558U (ko) 멀티 에어컨의 실내기 연결배관
JP6822513B2 (ja) 流体ユニット、冷凍装置用ユニット、熱源ユニット、利用ユニット、及び冷凍装置
US20240085056A1 (en) Window type air-conditione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